#!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주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주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주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이주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주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주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492b><tablebgcolor=#00492b> | OKSavingsBank BRION 2025 시즌 로스터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492b><colcolor=#fff> 감독 | [[최우범|최우범 Edgar ]] | ||
코치 | [[김도엽|김도엽 GuGer ]] | |||
로스터 | ||||
TOP | Morgan ]] | |||
JGL | HamBak ]] | |||
MID | Clozer ]] | |||
BOT | Hype ]] | |||
SPT | Pollu ]] | |||
LCK 참가팀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492b> | 이주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92b><colcolor=#fff> 소속 구단 | | T1 |
2021 | |||
| BNK FearX | ||
2022 · 2023 · 2024 | |||
| OKSavingsBank BRION | ||
2025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주요 경력 | ||
기타 | 별명 · 여담 |
| |
<colbgcolor=#00492b><colcolor=#fff> OKSavingsBank BRION Clozer[1] | |
이주현 (李周炫 | Lee Ju-hyeon) | |
출생 | 2003년 7월 27일 ([age(2003-07-27)]세) |
인천광역시 계양구 | |
국적 |
|
신체 | 172cm[2], A형 |
학력 | 인천당산초등학교 (졸업) 인천동양중학교 (졸업) 계산고등학교 (중퇴)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3] |
종교 | 무종교 |
MBTI | ISFP |
ID | 물레방아 #BRO # 인천물주먹 #인천사람 # 롤드컵 가고싶당 #0727 # |
포지션 | 미드[4] |
데뷔 | 2020년 7월 31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0-07-30)]일째, [age(2020-07-31)]주년) |
소속 | T1 Rookies (2019.05 ~ 2020.06.04) T1 (2020.06.04 ~ 2021.11.16) BNK FearX[5] (2021.11.16 ~ 2024.11.19) OKSavingsBank BRION (2024.11.20 ~ 2025.11.17예정) |
에이전시 | 슈퍼전트 |
서명 | |
|
1. 개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의 OK저축은행 브리온 소속 미드 라이너.2. 플레이 스타일
프로 미드라이너치고는 드물게 장인형 선수로,[6] 뛰어난 피지컬을 앞세운 초공격적인 플레이를 지향한다. 이렐리아, 조이, 아칼리, 사일러스를 주력으로 다루며 이로 인해 클로저의 매드무비 속에는 이 챔피언들로 만든 공격적인 슈퍼 플레이들이 즐비하게 나오곤 한다. 특이한건, 대회에서 주로 사용되는 정통 AP 미드 마법사 챔피언[7]으로도 위 챔피언들과 동일하게 공격적으로 운용하여 잘 컸을때는 유니크한 모습을 보이지만, 스스로 게임을 말아먹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으로 인해 오죽하면, 모든 챔피언들을 이렐리아처럼 다룬다는 말이 있을 정도. LPL 미드라이너 크렘과 나이대도 엇비슷하며 챔프폭이나 플레이 스타일도 매우 유사하다고 평가받는다.라인전 딜교환 능력만큼은 LCK에서도 손꼽히게 강력한 선수로 꼽히나, 무력이 강력한 이미지와는 달리 라인전 단계에서의 디테일이 부족해 딜교환 자체는 찍어누르는데, 정작 CS 수급을 잘 못한다.[8] 1:1 중심의 극단적 빌드를 선택하여 거물급 미드 라이너들을 라인전 단계부터 솔킬 내는 상황이 나오기도 한다.[9]즉, 라인전에서 상대방을 최대한 두들겨패서 성장 플랜을 막는 안티캐리형 선수[10]로 볼 수 있다. 어지간하면 점멸까지 소모하며 싸움으로 이득을 보고 싸움으로 굴리는 공격적인 운영은 능동적이고 점멸 의존도가 낮은 챔피언일 때 특히 두각을 드러내지만, 수동적이거나 점멸 의존도가 높은 챔피언일 때는 그 강점보다 단점이 두드러지게 된다. 후술할 근로저, 원로저라는 별명이 나오는것도 바로 이것. 근접 AD는 대부분 전자에 해당하는 반면 원로저를 대표하는 스탠딩 메이지같은 캐릭은 후자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팀이 전체적으로 망해서 홀로 많은 짐을 짊어진 상황이라도 과감하게 들이박아서 모 아니면 도의 플레이가 주를 이루는데, 안정감이 부족해 단독 범인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많지만, 반대로 다 진 게임을 혼자 힘으로 역전시키는 경우도 종종 보여주기에 이는 양날의 검.
클로져의 큰 단점은 소위 말하는 로지컬의 부족. 기본적인 게임 흐름에 대한 이해도가 운영에도 어느정도 관여를 해야하는 미드라이너치고 상당히 낮으며, 그 중에서도 로밍 타이밍을 재는 능력이 특히 부족하다. 클로져 라인전 운영상 본인 로밍 타이밍을 잘 못재는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지만, 문제는 잘 두들겨 패는 와중에도 상대방의 로밍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는게 문제다. 거기에 순간이동 선호도가 다소 낮은 것과 겹쳐져서 지박령 경향도 다소 있다. 이런 경향까지 합쳐져 트위스티드 페이트나 라이즈같이 운영 능력이 필요한 챔피언들의 숙련도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 다만, 상술했듯 대인전 무력 자체는 강력해서 스플릿 구도에서 허무하게 갱당하는 것과 별개로 상대방을 혼자 밀어내는 장면도 곧 잘 이끌어낸다.
데뷔 전 부터 받아온 '역대급 유망주'라는 수식어에 비하면 LCK의 미드 풀이 워낙 튼튼하여 4대 미드에는 미치지 못해 살짝 아쉽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넘어설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몇 안되는 선수라는 게 주된 평가. 그 이하의 상대는 확실히 억누르는 모습이 나오다보니 LCK 상위권 미드의 수문장이라는 평을 받는다. 실제로 동부권 유망주 미드가 상위권 미드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클로저를 넘어야 한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올 정도로 LCK 미드라이너의 전투력 측정기라고도 볼 수 있는 셈.[11] 이 말이 딱히 틀리지도 않은 게, 클로저는 4대 미드를 제외하면 제카와 더불어 둘 뿐인 LCK 미드 올프로를 한 번이라도 차지한 선수다.[12]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4 LoL KeSPA Cup 우승 | ||||
DWG KIA Challengers | → | OKSavingsBank BRION | → | 미정 |
준우승 경력 | ||||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 ||||
Gen.G | → | T1 | → | Gen.G |
2024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오프닝 준우승 | ||||
Team Faker | → | Team MID | → | Team TOP |
LCK All-Pro Team 선정 |
2022 LCK SUMMER 3RD TEAM |
4.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주현(프로게이머)/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주현(프로게이머)/선수 경력#|]][[이주현(프로게이머)/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별명
- 근로저 & 원로저
2024년 스프링 시즌부터 나온 별명. 플레이스타일 문서에서도 알 수 있듯 근거리 챔피언과 원거리 챔피언의 퍼포먼스 차이가 두드러지는 편인데 특히 전패를 기록 중이던 DRX와의 경기에서는 아칼리 승리 - 아지르 패배 - 야스오 승리라는 극단적인 전적을 기록하며 절찬리에 쓰였다. 웃기게도 바로 다음 농심과의 경기에선 시그니쳐 픽인 이렐리아로 패배한 반면 아지르로 모두 승리를 가져오는 정반대의 전적을 기록했는데 그와중에 3세트 아지르로 기존의 아지르와는 구별되는 저돌적인 아지르 플레이로 POG를 수상하며 모든 챔피언을 이렐리아처럼 플레이한다는 말도 나왔다.
- LCK 미드 1차 타워, LCK 미드라이너 최저합, 동부의 왕 : 미드로서 워낙 성공하기 힘든 LCK이기에 최소한 클로저를 뚫어야 플레이오프와 선발전을 간다는 이유로 생긴 별명. 실제로 2025년 기준 LCK 미드를 보면 사실상 유일신 수준인 페이커, 그 아래인 쵸비, 쇼메이커, 비디디, 우스갯소리로 추합컷 드립을 듣다 페이커를 대신해 4대 미드 말석 자리를 차지한 제카를 제외하고 LCK All-Pro Team에 이름을 올린 미드 선수는 클로저 뿐이다.
6. 여담
- 과거 PC방 대회를 참가할 때 닉네임이 '오마이걸 기적1'이었다는 점, 오마이걸의 음반 목록 중에서 'CLOSER'라는 제목의 앨범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오마이걸의 팬으로 보인다. 과거 '나경누나 이쁘다'라는 닉네임도 사용한 적이 있어서 프로미스나인의 이나경 팬으로도 추측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둘 다 안 좋아한다고.
- 콜라류는 펩시, 탕수육은 부먹이라 한다.
- 보통 대형 유망주들은 데뷔 전에 솔로랭크 리더보드 최상위권에 먼저 이름을 알리는 경우가 많은데, 높은 점수로 주목받기보단 솔랭 및 매드무비에서 미친 메카닉과 슈퍼 플레이로 커뮤니티 등지에서 유명해졌고 T1과 e스포츠 팬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 마타가 아마추어의 솔랭을 보고 잘한다고 느낀 사람 중에서 3명을 꼽았는데 그 중 한명이 클로저다. 나머지 두명은 페이커와 루키.
- Clozer를 마지막으로 육성군 T1 Rookies에서의 주전을 맡던 모든 라이너들이 1군으로 전부 콜업 되었다.
- 1군으로 콜업 되면서 닉네임을 Closer에서 Clozer로 변경하였다. 이는 LCS의 100 Thieves 소속의 터키인 정글러 Closer[13]선수가 먼저 사용하고 있어서 닉네임이 겹치는 것을 피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 닉네임을 정말로 많이 바꾼 선수이기도 한데, Clozer → Claire → Clozer → Closer → Clozer 로 무려 5번이나 바꿨다(...)# 이는 상술하듯 LCS에 있는 Closer 선수와의 닉네임 중복일 가능성이 높다.
- 인터뷰에서 롤모델은 삼성 갤럭시의 레전드 미드라이너 크라운이라고 밝혔다. 노력하는 모습이 멋있다고.[14] 대신 페이커도 존경하는 선수이며 페이커 만큼 인정받고 "롤 하면 이 사람이다"라는 소리를 들을 만큼 되고 싶다고 이야기하였다.
- 2022 서머 시즌 종료 후 폰의 매드무비, 연대기를 보면서 엄청난 선수인 걸 알게 되어, 폰처럼 레전드 선수로 불리는 미드 라이너가 되고 싶으며 그럴 자신도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 이현우 해설을 닮았다는 평이 많다. 클템 본인도 클로저를 언급하며 클로저는 클가문이라고 이야기 하였다.
- 다른 선수들처럼 최근 개인방송을 시작하기는 했는데, 개인 계정이 없는지 T1 공용 계정으로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채널은 임요환과 T1 CEO인 조 마쉬도 사용하니 참고. 현재는 개인 계정을 만들어 개인 채널에서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 지난 문도피구 이후로 드디어 페이커에게 친구추가를 걸었다.
- 원래는 2021 시즌부터 1군 데뷔를 생각하고 있었으나 1년 먼저 프로 데뷔를 하게 되었다. 본인은 1군으로 콜업된게 무척 신기하다고 덤으로 언급했다.
- 프로 데뷔 첫해에는 페이커를 닮았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2021년 들어 급격히 살이 찌면서 살찐 테디라는 의견이 확 올라왔다. 특히 둘이 같이 인터뷰를 하는 모습을 보았을때 비슷하고 안경도 비슷하다 보니 더더욱 테디 닮았다는 얘기를 듣기도. 그리고 23서머에 테디가 샌드박스에 영입되면서 둘이 만났다(...).
- 닉네임을 하도 바꿔서 DRX 아카데미 코치가 클로저인걸 모르고 DRX 아카데미에 영입을 시도해서 방송 끝나고 해명하기로 했다.
- 2020년 후반기경 전 T1 아카데미 원딜 연습생이었던 해캄과 듀오 도중 닷지를 했었고 이에 시청자와 1대1 칼바람에서 친추빵을 하여 실버 야스오를 이겼으나 2번째 판에서 골드 아칼리에게 지며 본계 친추를 했다고 한다.
- 강하고 안정적인 라인전으로 유명한 Chovy에게 공식 경기 솔로킬을 안겨준 몇 안 되는 선수다. 쵸비의 공식전 피솔킬 횟수는 8회 뿐인데 그 중 2회를 클로저에게 내주었다.[15]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f05c><tablebgcolor=#d7f05c> | League of Legends Season Kickoff 역대 준우승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rowcolor=#001ab6> 시즌 | 팀 | ||||
<rowcolor=#001ab6> TOP | JGL | MID | BOT | SPT | ||
2023 | LCK Team Faker | [[대한민국| DuDu | [[대한민국| Willer | [[대한민국| Faker | [[대한민국| Viper | [[대한민국| BeryL |
LCS Boomers | [[미국| Solo | [[미국| Contractz | [[미국| Jensen | [[미국| Array | [[대한민국| CoreJJ | |
LEC Team Legacy | [[루마니아| Odoamne | [[스웨덴| Yike | [[크로아티아| Perkz | [[프랑스| Sheo | [[불가리아| Hylissang | |
LPL Make it Possible | [[중국| Breathe | [[대한민국| Tarzan | [[중국| Harder | [[중국| Hope | [[중국| Meiko | |
CBLOL Team Robo | [[브라질| Robo | [[브라질| Ranger | [[브라질| NOsFerus | [[브라질| micaO | [[브라질| RedBert | |
LJL Team Jaegar | [[일본| Kinatu | [[대한민국| Blank | [[대한민국| Jett | [[일본| dresscode | [[일본| Dicey | |
LLA La Tukineta | [[멕시코| Buggax | [[우루과이| Mataz | [[칠레| Aloned | [[아르헨티나| Josedeodo | [[멕시코| IgnaVilu1 | |
PCS Team Zod | [[대만| Rest | [[대만| Kongyue | [[대만| Minji | [[대만| Shunn | [[대만| Kino | |
VCS Team Levi | [[베트남| Hasmed | [[베트남| Levi | [[베트남| Artifact | [[베트남| Shogun | [[베트남| Pallete | |
2024 | LCK Team MID | [[대한민국| Chovy | [[대한민국| Faker | [[대한민국| Clozer | [[대한민국| Karis | [[대한민국| Bdd |
2025 | LCK Team TOP | [[대한민국| Kiin | [[대한민국| Morgan | [[대한민국| Zeus | [[대한민국| Siwoo | [[대한민국| Rich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All-LCK {{{#bd9424 3rd}}} Team |
{{{#!wiki style="margin: 0 -11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rowcolor=#fff> 시즌 | TOP | JGL | MID | BOT | SPT |
2020 스프링 | | | | | | |
2020 서머 | | | | | | |
2021 스프링 | | | | | | |
2021 서머 | | | | | | |
2022 스프링 | | | | | | |
2022 서머 | | | | | | |
2023 스프링 | | | | | | |
2023 서머 | | | | | | |
2024 스프링 | | | | | | |
2024 서머 | | |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WOORI BANK Gold King of the Week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4 스프링 1주 | 2024 스프링 2주 | 2024 스프링 3주 | 2024 스프링 4주 | 2024 스프링 5주 |
Aiming 김하람 DK | BOT | BuLLDoG 이태영 KDF | MID | Bdd 곽보성 KT | MID | DuDu 이동주 KDF | TOP | Zeka 김건우 HLE | MID | |
2024 스프링 6주 | 2024 스프링 7주 | 2024 스프링 8주 | 2024 스프링 9주 | 2024 스프링 PO | |
Aiming 김하람 DK | BOT | Clear 송현민 FOX | TOP | Jiwoo 정지우 NS | BOT | Chovy 정지훈 GEN | MID | ||
2024 서머 1주 | 2024 서머 2주 | 2024 서머 3주 | 2024 서머 4주 | 2024 서머 5주 | |
Aiming 김하람 DK | BOT | Clozer 이주현 FOX | MID | Viper 박도현 HLE | BOT | Aiming 김하람 DK | BOT | ||
2024 서머 6주 | 2024 서머 7주 | 2024 서머 8주 | 2024 서머 9주 | 2024 서머 PO | |
Aiming 김하람 DK | BOT | Chovy 정지훈 GEN | MID | Aiming 김하람 DK | BOT | Peyz 김수환 GEN | BOT | ||
2025 컵 1주 | 2025 컵 2주 | 2025 컵 3주 | 2025 컵 PI&PO | 2025 1주 | |
Jiwoo 정지우 NS | BOT | Hype 변정현 BRO | BOT | Smash 신금재 T1 | BOT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20237> | League of Legends KeSPA Cup 역대 우승 선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우승팀 | 선수 | ||
2015 | | Crazy · Ares · Ryan · Athena · LokeN · Police · KeY · Totoro | |||
2016 | | 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lA | |||
2017 | | Smeb · Score · PawN · Deft · Mata | |||
2018 | | Sword · Tarzan · Chovy · Viper · Lehends · Kabbie | |||
2019 | | Kiin · Hoon · Spirit · Dread · Fly · SSUN · Mystic · Ssol · Jelly · Ben | |||
2020 | | Khan · Chasy · Canyon · ShowMaker · Ghost · BeryL | |||
2021 | | Thanatos · Lucid · Pullbae · Saint · Rahel · Bible | |||
2024 | | Morgan · HamBak · Clozer · Hype · Bull · Pollu | |||
2021 케스파컵은 LCK 소속의 1군 팀들이 전부 참여하지 않았다. | }}}}}}}}} |
[1] 前 Closer, Karmine Corp의 정글러 Closer와 닉네임이 겹쳐 Clozer로 변경했다.[2] 9월 24일 생방송에서 언급하였다.[3] 2025년 2월 4일 브리온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에서 평균 60점 턱걸이로 합격했다고 밝혔다.[4] 2022 LCK 스프링 2라운드 농심전 3세트에는 탑으로 출전했다.[5] 팀명 변경: Liiv SANDBOX → FearX, 2023년 12월 15일 → BNK FearX, 2024년 5월 24일[6] 특히, 천고 같이 그냥 못했던 선수를 제외하고 클로져 이상~비슷한 급으로 거론되는 선수들이랑 비교했을때 이 경향이 두드러진다.[7] 대표적으로, 아지르의 경우도 다른 선수들은 슈퍼토스 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원거리 캐스터 역할이 강조되는데, 클로져는 토스고 나발이고 신기루로 진입해서 한순간에 중요 요인을 폭딜로 찔러죽이는 근접 암살자식 운용을 한다.[8] 실제로 24서머 기준 미드라이너중 15분 골드수급은 9위로 최하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재미있는건 CS수급이 좋지 않음에도, 맞라이너와의 경치, 골드 차이는 상위권 지표를 유지하는데, 이는 클로져가 로밍 능력이 좋은 선수가 아니라는 점이 어느정도 작용한다. 즉, 상대는 로밍 운영을 하는 와중에 클로져는 CS를 그제서야 수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9] 실제로 프로 데뷔 이래 통산 피솔킬 횟수가 단 7회뿐인 쵸비를 상대로 2번이나 솔킬을 따낸 유이한 선수이다. 나머지 1명은 유칼.[10] 캐리롤의 핵심을 묶어놓는다의 개념에서 착각하기 쉽지만, 안티 캐리는 상대방을 초반부터 두들겨패서 원하는 성장을 막는 유형과 중후반 상대의 요인을 마킹해서 아무것도 못하게하는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클로져는 여기서 전자에 해당한다.[11] 현재까지 클로저를 넘어서서 서부로 스탭업 한 미드는 22 선발전의 제카 이후로 아무도 없다. 정작 이때 클로져는 본인이 올프로 서드였던게 함정이다[12] 실제로 클로저는 4대 미드 및 제카를 상대로도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가끔씩 승리를 거두기도 한다.[13] 2019 시즌에 Royal Youth 소속으로 자국 리그에서 우승하여 롤드컵까지 진출했고, 2019 올스타전에도 참가하며 터키 최고의 정글러로 이름을 날렸다. 게다가 2020 스프링, 2021 시즌 LCS All-pro 세컨드팀에 입성하면서 북미 정상급 정글용병으로 활약하고 있다.[14] 재밌게도 클로저 못지 않게 차세대 미드 유망주로 평가받는 젠지 아카데미의 카리스는 롤모델이 페이커라고 한다.[15] 나머지 6회는 각각 Ucal에게 두 번, Jett와 ShowMaker, Caps, Zeka에게 각각 한 번 솔로킬을 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