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0:44:38

잘못된 팀 이적


1. 개요2. 잘못된 팀 이적의 선수 원인
2.1. 본인이 원하지도 않는 이적2.2. 주전 확보 실패2.3. 지역 적응 실패2.4. 팀에 융화되지 못함
3. 해당하는 선수들
3.1. 축구3.2. 야구3.3. 농구3.4. 배구3.5. e스포츠

1. 개요

스포츠 팀에서 한 순간의 잘못된 이적으로 인해 폼이 나락으로 떨어진 선수/지도자에 대한 사례를 나열한 문서.

스타 플레이어가 순식간에 팀을 이적한 선수/지도자들이 다른 팀으로 이적할 때 폭망하는 경우는 수도 없이 많이 있어 왔다.

이런 것들이 터지면 높은 확률로 먹튀가 되거나 잘하더라도 팀 적응에 실패하여 선수가 고통 받다가 금방 떠나 버리는 실패를 겪게 된다.

2. 잘못된 팀 이적의 선수 원인

2.1. 본인이 원하지도 않는 이적

선수 스스로는 원소속팀에 남아서 계속 플레이하고 싶은데, 원소속팀이 해당 선수를 그냥 포기해버리는 경우. (ex. 염혜선)

아무리 뛰어난 선수라도 이 경우는 소속팀에서 좌천당하듯 버림받은 케이스라서, 해당 선수의 멘탈이나 리그 내 위상에 큰 상처로 남는다. 선수가 새로운 팀을 찾는 과정에서 아무런 준비 없이 선수를 받기만 하고 활용계획이나 준비가 없으면 제아무리 뛰어난 선수라도 팀의 기대와 맞는 활약을 할 수 없다. 애초에 팀이 뭘 기대하는지도 안 정해진 상태로 뛰는 거니...

특히 팀 이적의 자유가 떨어지는 한국 같은 경우라면 트레이드나 보상선수로 이적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ex. 노재욱)

은퇴 후 취업을 보장해주는 구단(IBK 기업은행, 대한항공 점보스 등)의 선수가 이적당하면, 은퇴 후 취업 자리에도 문제가 생길 것 같다.

옛날 야구계에서는 트레이드 대상으로 지목된 선수들이, 해태-기아로 이적할 상황에 처하자 은퇴를 시도한 사례가 있다. 이 해태-KIA 타이거즈 구단이 군기잡기 및 폭력 문제가 심했고, 선수들은 해태-기아에 절대 안 가고 싶었기 때문이다. 당연한 소리지만 이적 후 폭력 문제에 시달릴 게 뻔했다.

2.2. 주전 확보 실패

주로 중소클럽의 에이스나 하위 리그에서 활약하던 에이스급 선수들이 한 단계 더 높은 클럽으로 갔을때, 로테이션이나 후보 선수로 전락하면서 이런 경우가 생긴다. 계구우후라는 고사성어가 이런 상황에 어울린다고 보면 되겠다. 본인이 에이스이던 이전 소속팀에서는 자신을 중심으로 전술을 짜 왔지만, 빅 클럽에서는 본인이 전술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융화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ex: 박주영)

2.3. 지역 적응 실패

주로 타 국가의 리그에 갔을때 실패하는 경우의 선수들에 대해 벌어지는 케이스.

축구에서 남미나 아프리카의 선수들이 따뜻한 남쪽 리그에서 활약하다가[1] 음식이나 언어가 어울리지 않는 다른 리그에 이적했을때, 문화적 차이등으로 적응을 하지 못하고 기본적인 의식주 생활을 적응하지 못하는 케이스다. 먼 나라의 리그에 갔을 때 달라진 기후조건으로 인해(예컨대 따뜻한 나라의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추운 나라의 리그로 이적했을 때) 몸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부지기수.

이 경우는 흔히 일본이나 한국에서 용병으로 오는 구기종목의 외국인 선수들 또한 자주 겪는 문제로 초반 적응 실패에 대해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2.4. 팀에 융화되지 못함

원래의 소속팀에서 새 팀으로 이적을 했을때, 새 팀의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겉도는 경우로, 대개 돈지랄로 스타 플레이어를 단기간에 모은 팀에서 주로 벌어진다.

주로 언론에서는 '고참 선수 부족', '리더십 부재'등으로 스타 플레이어들을 하나로 융합하지 못하는 지도력을 탓하며, 인터넷 상에서는 그 팀만 가면 망가진다고 ○○적화라는 단어로 조롱받게 된다. ex. 맹적화, 엘적화 등등

3. 해당하는 선수들

3.1. 축구

3.2. 야구

  • 임재철 -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의 다섯 팀을 뛰었는데 한화에서는 그 유명한 '롯데보다 더 X같은 곳은 처음봤다.' 발언의 당사자이다.
  • 앤디 밴 헤켄 - 넥센 히어로즈의 외국인 투수 레전드.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뛰었으나 중간의 세이부 라이온스의 1년은 먹튀 신세였다.
  • 박찬호 - 메이저리그에서 8개구단을 뛰었으나 그 중 텍사스 레인저스 시절은 완벽한 흑역사. 그 외 말년의 일본 1년 생활 역시도 실패한 이적이라고 볼 수 있다.
  • 이승엽 - 특히 요미우리와 오릭스 두 팀에서 실패 후 국내복귀
  • 조경환
  • 콜로라도 로키스로 이적한 투수들 - 쿠어스 필드는 높은 해발고도 탓에 타구가 쭉쭉 뻗어나가는 투수들의 무덤으로 악명이 높다. 그 탓에 훌륭한 투수들이 먹튀가 되어 몰락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마이크 햄튼이 있다.

3.3. 농구

  • 우지원 - 인천 신세기 빅스서울 삼성 썬더스 : 2000~2001년 시즌이 끝난 직후 문경은과의 트레이드로 삼성으로 이적했는데, 문경은보다 못한 성적을 남기며 그 다음 시즌 서장훈의 FA 영입 과정에서 보호선수에서 제외되는 수모를 당하며 1년 만에 모비스로 다시 트레이드 당했다.(정확히는 보상선수 지목 후 곧바로 김영만과 맞트레이드) 다행히 모비스에서 플레이 스타일을 완전히 바꾸며 2번의 우승을 거두었고 영구결번도 되었다.
  • 전희철 - 대구 동양 오리온스전주 KCC 이지스 : 2001~2002년 우승 주역이자 동양의 프랜차이저였지만, 김승현-마르커스 힉스에 이은 3옵션 자리에 만족할 수 없었기 때문에 트레이드를 요구, 이현준과 현금 6억원에 KCC로 이적했다. SBS로 이적한 양희승의 확실한 대체자이자, 신선우식 토탈 바스켓볼의 마지막 퍼즐로 평가받았지만 팀 컬러와 어울리지 않는 스타일 덕에 성적이 수직 낙하했고 이는 전희철의 커리어가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다.
  • 표명일 - 원주 동부 프로미부산 kt 소닉붐 : 오랜 기간 동안 백업으로 활약하다 동부에서 주전으로 정점을 맞이한 후 FA 시장에 나오자마자 전창진 감독이 있는 kt가 연봉 4억원을 주고 데려왔지만, 노쇠화 탓에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며 먹튀로 까였다.
  • 전태풍 - 전주 KCC 이지스고양 오리온스부산 kt 소닉붐 : 2012년 KCC와의 3년 계약이 끝난 후 입찰을 통해 오리온스로 이적했으나 추일승식 공산농구+김동욱과의 갈등으로 슬럼프가 시작되었고, 1년도 안 되어 우여곡절 끝에 kt로 이적했으나 거기서도 슬럼프 탈출은 실패. 그리고 2015~16시즌 KCC로 리턴한 이후 MVP로 거론될 정도의 맹활약으로 부활하였다.
  • 이광재 - 원주 동부 프로미부산 kt 소닉붐 : 표명일과 비슷한 케이스. 5년 계약을 맺었지만 전창진 말기 때 이적하여 준수한 3점슈터 역할을 기대했지만 전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그가 있는 동안 KT는 4년 동안 PO에도 진출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2018-19 시즌 직전에 웨이버가 되어 DB로 돌아와서 1년 뛰고 은퇴했다.
  • 김기윤 - 안양 KGC인삼공사부산 kt 소닉붐 : 이 쪽은 이적 당시 기대치 이상은 해줬지만 팀 동료의 음주차량에 동승하여 큰 부상을 당하고 1년만에 방출되었다. 그리고 그로 인해서 가드와 포워드를 보강하기 위해 서동철 감독은 1라운드 1번픽이었던 변준형과 당시 포텐이 터져가던 박지훈마저 KGC로 내줘야 했고 대신 받아온 김윤태는 기량이 크게 떨어졌다가 낮술듀오 사건까지 일으켰고 한희원은 기대치보다는 못하고 있어 팬들의 금지어가 된 케이스.[3] 반대급부로 넘어간 이재도는 군 전역 후 리그 최고의 수비형 가드로 각성했으며, 박지훈은 2년 동안 준수한 활약을 보인 뒤 상무 입대를 했다.
  • 고아라 - 춘천 우리은행 한새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사전접촉 논란까지 받으며 1억 9000만원에 삼성생명으로 이적했지만 정작 그 시즌에 우리은행은 56666의 암흑기 청산과 동시에 통합 6연패까지 기록한 반면 고아라는 우리은행의 통합 6연패 시작에 기여(?)하며 삼성생명의 X맨으로 전락했고 팀은 KB와 우리은행에게도 밀리는 수준으로 전락하며 삼성생명 팬들의 속만 뒤집고 부천 KEB하나은행으로 이적했다. 이 쪽은 먹튀이자 여자농구 잘못된 팀 이적의 대표 사례.
  • 김단비 - 아산 우리은행 위비부천 하나원큐 : 우리은행 시절엔 최은실과 함께 주전 선수들을 뒷받침하며 6연패에 기여했고 홍보람과 함께 백업진에서 맹활약 하며 1617 시즌 33승 2패하는 독보적인 성적에 기여했다. 하지만 김정은의 보상선수로 하나은행으로 이적하며 폭망했다.

3.4. 배구

  • 한송이 - 구미 도로공사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여배의 원조 사례. 하지만 이건 약과다. 아래에는 이거보다 더 한 사례도 있다. 이적 후 당사자는 비록 이후 두번 더 이적했지만 우승도 두번을 했다. 그런데, 도로공사측은 자업자득이 된 바보짓. 목적인 고의적인 특정 팀 엿먹이기[4]로 다음 시즌 꼴지만 면하자는 계획이 실현되기는커녕 꼴지가 되고 보상픽인 이보라가 유리몸 기질로 폭망한 데다가 그 엿먹이려던 팀의 박진왕과 트레이드를 했는데 이보라가 더 오래 프로생활을 한데 비해 박진왕은 단 1년만에 방출되면서 프랜차이즈 윙을 1년 한도 세터로 바꿨다는 환장할 결과가 나왔다.
  • 염혜선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여배의 대표 사례. 차라리 도공은 프런트가 주도했지, 여긴 프런트, 코칭스탭, 선수들이 삼위일체로 이런 짓을 저질렀다. 대놓고 커리어상 쨉도 안되는 이다영 따위를 주전으로 쓰려고 양철호 사단을 내치고 염혜선, 김주하 등을 선후배가 실컷 조롱해 이적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는 캠벨 방출 후 리그 17연패. 당사자도 이적 후 멘붕으로 이고은, 이나연에 밀려 백업으로 전락한 희대의 바보짓. 추가 이적으로 반등이 없다면 후술할 노재욱의 다운그레이드 버전. 결국 표승주의 보상선수로 GS칼텍스로 이적했다. 하지만 GS도 이고은에 안혜진이 있는 터라 추가 트레이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고, 예상대로 보상선수로 이적 후 현대시절 제쳐버렸던 한수지 영입을 위해 인삼공사로 트레이드되었다. 사실상 돌도희 사단의 만행으로 (기록상으로 한정 시) 이숙자, 김사니, 이효희와 버금가는 대형 세터를 완벽하게 허접 세터로 만들어 버리고 팀도 박살냈다.
  • 남지연 -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박미희 감독의 보상선수 뻘짓 그 자체이다. 남지연은 은퇴 후 기업은행 팀에서 일할 예정이었다. 보상 선수로 지목된 일은 남지연의 장래를 꼬이게 하여 은퇴를 앞당긴 셈이다.
  • 노재욱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전광인 보상선수로 옮겼으나 한국전력에서 폭망하고 우리카드로 최홍석과 트레이드 되어 그나마 우리카드에서 회복. 한전 이적 한정이다. 은퇴 직전 유광우, 경험 적은 하승우, 시즌 말에나 전역하고 경기 감각이 뚝 떨어진 김광국으로 시즌을 날 위기였던 우리카드는 뜻하지 않게 주전세터를 얻으며 창단 첫 봄배구를 하면서 이 트레이드에서 반사이익을 누렸다. 현대캐피탈 역시 노재욱 공백이 크게 드러나고 말았지만, 그래도 이승원의 확실한 가능성을 보여주며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했다. 이 쪽은 남배의 대표사례.
    서울 우리카드 위비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황경민과 함께 트레이드로 삼성화재로 이적했다. 사회복무요원(공익)으로 복무하여 2022.02.27에 소집이 해제된다. 2022-2023 시즌에 출전할 전망이지만, 삼성화재의 선수진이 부실하여 본인의 경기력을 뽐내기 어려울 것이다.
  • 황경민 - 서울 우리카드 위비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2019-2020 시즌 종료 후 우리카드-삼성화재 간의 4대 3 대형 트레이드로 삼성화재에 이적했다. 18-19 시즌 후 신인상을 받고 나경복을 뒷받침하며 우수한 기량을 보여주었으나, 삼성화재에서 과거의 기량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황경민 외의 국내 레프트들이 황경민을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것도 크다.

3.5. e스포츠



[1] 주로 스페인/포르투갈이나 프랑스 등에서 활약한다.[2] 해당 규정은 2018년에 폐지되었다.[3] 그나마 박준영이 2020-21 시즌부터 조금씩 살아나면서 최악은 피했다.[4] 한송이를 못 잡을 것이 확실하자 "자신들의 주 사업인 고속도로와 관계된 팀으로는 보내지 않겠다"라는 말을 시전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