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8 10:53:20

제너럴 아토믹스 모하비

파일:general-atomics-aeronautical-systems-logo.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파일:제너럴 아토믹스 로고.jpgGENERAL ATOMICS AERONAUTICAL 제품 라인업
파일:mq-9b_lineart_top.png 파일:mq-9b-seaguardian_lineart_top.png 파일:mq9b_stol-lineart_top.png 파일:mq-9a_lineart_top.png
MQ-9B SkyGuardian MQ-9B SeaGuardian MQ-9B STOL MQ-9A "Reaper"
파일:avenger_lineart_top.png 파일:gray-eagle-er_lineart_top.png 파일:mojave_lineart_top.png 파일:sparrowhawk_lineart_top.png
MQ-20 "Avenger" MQ-1 Predator(Grey Eagle 25M) Mojave Sparrowhawk
파일:gambit_lineart_top.png
Gambit Series
}}}}}}}}}}}} ||
파일:MojaveSTOL-img-04.jpg
General Atomics Mojave

1. 개요2. 제원3. 특징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Mojave/모하비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에서 MQ-9 리퍼의 후계기를 목표로 개발 중인 무인 항공기이다.

2. 제원

파일:General atomics logo.png GENERAL ATOMICS MOJAVE
<nopad> 파일:MojaveSTOL-img-09.jpg
임무 단거리 이착륙(STOL) 무인 항공기
초도비행 2021년 12월 9일
전장 9m
전폭 16m
이륙거리 122m~304m[비포장활주로]
공허중량 1,360kg
적재중량 1,542kg
최대이륙중량 3,175kg
엔진 롤스로이스 M250 터보프롭
최대속도 260km/h(140kts)
최대항속거리 4,600km (2,900mi, 2,500 nmi)
항속능력 25+ 시간
최대고도 25,000ft
하드포인트
파일:Mojave_hardpoint.png
무장 AGM-114 헬파이어 x 16기
AGM-179 JAGM x 16기
M134D-H(dap-6 건포드) x 2기
고성능 전자광학/적외선[EO/IR] 감시장비
합성개구레이더/지상이동표적추적기[SAR/GMTI]
전자전 장비 및 통신 중계기

3. 특징

STOL(단거리 이착륙)이 가능하며, 지상 발진 무인기로서의 운용 외에도 함재 무인기로서의 운용도 상정하였기에 강습상륙함이나 경항공모함 등의 함재기로 운용할 수 있다. 별도의 스키점프대캐터펄트의 도움 없이 이함이 가능하고, 착함도 어레스팅 기어 등의 보조 장치 없이 자력으로 착함하는 방식이다.

군용 무인 항공기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기총을 장비한 무인 항공기이기도 하다. 다만 고정무장으로 기총을 탑재한 것은 아니고, 탈착식 건포드 방식으로 기총을 운용한다. CAS(근접항공지원)를 위해선 무인 항공기에도 기총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기총을 달게 된 것으로 보인다.

같은 개발사의 제품인 MQ-9 리퍼의 발전형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전반적인 비행 성능이나 무장 및 감시장비의 운용 능력 등은 MQ-9와 비슷한 편이다. 무인 정찰기로서 정찰과 초계 등의 임무를 수행하거나 무인 공격기로서 공대지 공격과 지상군에 대한 화력지원을 수행하는 등, 상정한 임무 역시 기본적으로 MQ-9와 대동소이하다.

4. 기타

  • 2024년 12월 12일 대한민국 해군이 포항 인근 동해상에서 고정익 무인기 시제기를 독도함 비행갑판을 통해 이륙시키는 전투실험을 실시했다. 착함의 경우 독도함에 모하비가 착륙하려면 최소 10m의 여유 공간이 더 필요한데, 독도함의 폭이 약간 모자라 60㎞ 떨어진 포항 해군항공사령부 지상 활주로에 안전하게 착륙했다.#1#2

5.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518a>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CMV-22B, MH-60R/S/H, MH-53E, CH-46(A/D/E), AH-1(W/Z), UH-1(N/Y)
전투기 <colbgcolor=#00518a> 4세대 / 4.5세대 F-14(A/B/D), F/A-18 (A/B, C/DMC), F/A-18(E/F)
5세대 F-22N, F-35(BMC/C)
6세대 {F/A-XX}
공격기 A-12, AV-8(B/B+)MC
수송기 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D), E-6
대잠초계기 P-3C, P-7, P-8A, S-3(A/B), S-2(A/D/E/G)
정찰기 HC-144CG
공중급유기 KC-130
전자전기 EA-6B, EA-18G, EP-3
훈련기 프롭 DHC-3, T-34, T-44A, T-6 II
제트 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MC
헬리콥터 TH-57, UH-72
가상적기 F-21A , F-16(A/B), (T)F-16N, F-5(E/F/N)
다목적기 UC-35D
무인기 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MQ-25}
※ 윗첨자MC: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CG: 해안경비대 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 핵투발 수단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비포장활주로] [EO/IR] [SAR/GM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