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2 15:53:21

집 실에서 넘어옴
집 실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シツ
일본어 훈독
むろ, いえ, つま, へや
-
표준 중국어
sh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室획순.gif
室의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室은 '집 실'이라는 한자로, '', '건물', '' 등을 뜻한다. 또한 아내라는 의미도 있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집
중국어 표준어 shì
광동어 sat1
객가어 sṳt
민북어
민동어 sék
민남어 sek
오어 seq (T4)
일본어 음독 シツ
훈독 むろ, いえ, つま, へや
베트남어 thất

유니코드에는 U+5BA4에 배정되어 있으며, 十一戈土(JMIG)로 입력한다.

갑골문 때부터 등장하며, (집 면) 자와 (이를 지) 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설문해자에서는 이 글자를 '从宀从至。至,所止也。'라고 풀이했다. 즉 室 자를 회의자로 보아 '사람이 이르러(至) 사는 집(宀)'이라고 풀이한 것이다. 그러나 段玉裁의 《說文解字注》에서는 至와 室이 같은 운부에 속하며 室 자는 뜻을 나타내는 宀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至 자가 합쳐진 형성자라고 풀이했다. Zhengzhang Shangfang과 Baxter-Sagart가 재구한 室과 至의 상고음에는 이런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室은 바깥채인 (집 당)에 대하여 안쪽 방을 일컫는다.

3. 용례

3.1. 단어

3.1.1. 아내를 의미하는 室

  • 가실(家室)[A]
  • 계실(繼室)[B]
  • 고실(故室)[C]
  • 규실(閨室)[A]
  • 내실(內室)[A]
  • 망실(亡室)[C]
  • 별실(別室)[D]
  • 본실(本室)[E]
  • 부실(副室)[D]
  • 소실(小室)[D]
  • 실규(室閨): 안주인이 거처하는 방.
  • 영실(令室):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
  • 재실(再室)[B]
  • 정실(正室)[E]
  • 적실(嫡室)[E]
  • 처실(妻室)[A]
  • 첩실(妾室)[D]
  • 초실(初室): 처음 맞이한 아내.
  • 추실(簉室)[D]
  • 측실(側室)[D]
  • 현실(顯室)[C]
  • 후실(後室)[B]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A] 아내[B] 사별하거나 이혼한 후 새로 맞이한 아내[C] 사망한 아내[A] [A] [C] [D] [E] 본처, 본부인[D] [D] [B] [E] [E] [A] [D] [D] [D] [C]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