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7:42:26

청주시 시내버스/차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청주시 시내버스

1. 개요

청주시 시내버스의 운용 차량을 정리한 문서다.

2. 운용 차량

2.1. 현재 운용 차량

2.1.1. 현대자동차

  • 뉴 카운티 디젤 : 공영노선에서 운행하고 있다. 2020년 2월 11일 이전까지는 e-카운티 차량도 있었으며 e-카운티 차량의 경우는 2014년에 청주교통에서 2011년형 중고 차량을 도입하였다.
  • 그린시티 디젤 / 천연가스버스 : 2011년 우진교통이 가스 차량 1대를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2012년 동양교통이 디젤 차량 1대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가스 차량도 소수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디젤 차량이다. 2024년 기준으로 청주시의 모든 업체들이 보유 및 운행하고 있다.
  • 그린시티 F/L 디젤 : 2018년 10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도입하였다. 동일운수가 최초로 도입했으며, 입석도색 디젤 차량으로 출고했다. 2020년 2월에 청주교통우진교통에서 추가 출고했고, 2021년 4월에는 청신운수에서 추가 출고했으며, 같은 해 6월 동양교통에서 추가 출고했다. 2024년 기준으로 청주시의 모든 업체들이 보유 및 운행하고 있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 도시형버스 L 디젤 / 천연가스버스 : 2018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도입하였다. 최초 도입분은 동일운수였으며 2024년 기준으로 청주시 모든 업체들이 보유 및 운행하고 있다. 전부 도시좌석이며 도시표준 차량은 없으며 마지막까지 입석형으로 출고하던 우진교통도 지금은 2x1 좌석형으로 출고하기 때문에 입석형 출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디젤 차량은 청주교통 2대, 청신운수 1대, 우진교통 1대이며, 공영 노선에서 운행하고 있다.
  •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2008년 8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도입하였으며, 개선형(2차) 출시로 인하여 청주교통을 끝으로 도입하지 않는다. 2024년 기준으로 청주시의 모든 업체들이 보유 및 운행하고 있다.
  •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2018년 10월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최초 도입분은 동일운수 2대였으며 2024년 기준으로 청주시의 모든 업체들이 보유 및 운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입한 곳은 2023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한 증차를 목적으로 뽑은 청신운수이다.
  • 블루시티 천연가스 하이브리드버스 : 2014년 우진교통에서 저상형으로 처음 도입하였고, 2016년 청주교통에서도 고상형 2대를 도입했으며, 우진교통에 있던 저상형은 2022년 11월 말에 현대 일렉시티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 일렉시티 전기버스 : 2019년 하반기 증차분으로 일렉시티가 채택돼서 우진교통에서 4대, 동양교통청주교통에서 2대 반입했으며, 2020년 하반기에는 동일운수우진교통에서 각각 2대씩, 청주교통에서 1대 반입하였다. 신형 모델의 경우 2021년 12월 우진교통에서 3대를 처음 반입했으며, 2022년 1월엔 우진교통에서 신형 일렉시티 4대를 추가로 반입하였다. 2024년 기준으로 한성운수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들이 보유 및 운행하고 있으며, 한성운수도 수소전기버스 도입 시 운행할 수 있다.
  •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2019년 10월 751번 노선 투입목적으로 사온 버스로 총 11대(청신운수 2대, 동일운수 2대, 청주교통 2대, 우진교통 3대, 동양교통 1대, 한성운수 1대) 도입하였으며, 전중문 폴딩 형식이다.

2.1.2. 자일대우버스

  • 레스타 디젤 : 일반 시내버스 노선용으로는 한성운수가 도입하여 공영노선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충북-세종 자율주행차량 시험운행지구를 운행하는 노선인 A3번에 투입되는 자율주행버스 차량도 레스타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 NEW BS090 디젤 : 2012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도입한 자일대우 중형버스이다. 2014년 이후 형식은 한성운수에서만 보유하고 있다. 최초 도입분은 청주교통에서 도입했으며, 2024년 현재 한성운수 1대만 보유 및 운행하고 있다. 전 차량 디젤차량이고 공영노선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잔고장으로 인하여 더 이상 도입하지 않는다.
  • NEW BS106 천연가스버스 : 2012년 3월부터 도입하였다. 최초 도입분은 우진교통에서 도입했고, 2024년 현재 한성운수에서만 보유하고 있으며, 잔고장으로 인하여 2016년 3월까지 도입했다.
  •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 2012년 5월부터 도입하였다. 2024년 현재 한성운수에서만 보유하고 있으며, 잔고장으로 인하여 2015년 9월까지 도입했다가 2022년 6월에 한성운수에서 서울 범일운수 취소분으로 2대를 출고하였다.

2.1.3. 우진산전

2.1.4. CRRC

  • CRRC 그린웨이1100 전기버스 : 청주 최초의 중국산 전기버스로, 2022년 5월 한성운수에서 도입했다.
  • CRRC 그린웨이1100A 전기버스 : 2023년 12월 상순 한성운수에서 비수도권 최초로 도입했다.

2.1.5. 하이거

2.2. 과거 운용 차량

2.2.1. 현대자동차

  • 글로벌 900 천연가스버스 : 2005년 7월 당시 각 회사당 1대(우진교통은 2대)씩 있던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1996년형 공영버스 대차 시기에 청신운수, 우진교통, 한성운수에서 도입하였고,[2] 전 차량 가스차로 도입하였다. 후에 동양교통에서도 도입하였다. 2005~07년에 도입하여 2016년 7월에 한성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
  • 글로벌 900 F/L 디젤 : 2012년에 동일운수에서 오송농협 출신 2009년형 중고차량을 도입하였다. 청주시 시내버스 업체 중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었으며, 공영노선에서 운행하고 있었으나, 2018년 10월에 현대자동차 그린시티 F/L 개선형 디젤 차량으로 대차되면서 전멸하였다.
  • HD170 디젤 : 1977~79년 초기모델은 청신운수에 중문형이 도입되었고, 1980~81년에 페이스리프트모델이 동양교통에 소수 도입되었다.
  • FB485 디젤 : 1982~84년에 도입되었고, 청주교통, 동양교통, 한성운수에 존재했으며 전중문 폴딩형식이었다. 1982~83년형이 주력이었으며 대부분 1989~90년에 대차되었고[3] 일부 차량은 1991년까지 생존하였다.
  •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동양교통이 2000~01년에 중고로 도입하였으며,[7] 2006~07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입석형 가스차량과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가스차량으로 각각 대차되었다.
  •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 도시형버스 L 디젤 / 천연가스버스 : 2000년 후반 청주교통에서 첫 도입 당시 무인터쿨러로 도입하였다가[8] 같은 해 말에는 인터쿨러 모델도 도입하였다. 2002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가스 차량으로 도입하였고, 일부는 디젤차량으로 병행 도입하기도 하였으며, 동일운수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이 구입하였다. 시내 좌석형 디젤 차량의 경우는 2014년 5월에 청주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하였고, 도시형 디젤 차량의 경우는 2012년 11월에 청신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했으며,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의 경우는 2013년 12월에 청주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하였으며, 도시형 가스 차량의 경우는 2015년 9월 하반기에 한성운수[9]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도입한 현대 도시형 가스차량이다. 청주교통이 2005년 3월에 최초로 도입을 하였으며[10], 동일운수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이 구입하였다. 처음 도입할 시기부터 청주시에서 현대버스 도입량이 대우버스 도입량보다 훨씬 많아짐과 동시에 청주시 시내버스 업체의 전체 보유댓수 중 현대버스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시내좌석형 차량은 1대도 없었는데, 대차할 차량이 없던 데다가 그나마 대차분으로 유력했던 동양교통 1996~97년형 시내좌석형 차량은 2008년 2월이 되어서야 이 차종이 아닌 F/L 모델로 대차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05년 이 버스가 처음 도입될 당시 한성운수에서 도시형에 전면행선판 등이 없는 형식(속칭 대머리행선판.)을 최초로 출고하였으며, 2018년 12월에 동양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

2.2.2. 자일대우버스

  • 대우버스 BM090 로얄미디 디젤 : 1997년에 중형 좌석 대차분[11]으로 7대 도입하였고, 2003년 8월에 공영버스 증차분[12]으로 도입하였다. 전문형 좌석형은 2006~07년 사이에 대차되었으며, 전중문형 입석형은 2012년 4~5월 사이에 대차되었다.
  •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디젤 / 천연가스버스 : 2005년 2월 동양교통에서 첫 도입하였고,[13] 디젤차량과 가스차량을 병행 도입하였다가 2006~07년에는 가스차량으로 도입하였으며, 2016년 3월에 동일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
  • GM-코리아 BD50DL 디젤 : 1970년대 초중반에 대량으로 도입되어 1970년대 주력 차종이었다.
  • 새한 BF101 디젤 : 1978년 말~82년에 도입되었다. 대체로 1985년부터 1989년까지 당시 신차로 대차되어갔다.
  • 대우 BF101 디젤 : 1983~86년 초에 도입되었던 대우 도시형 버스로 전중문 폴딩형식이었는데 소수 중문 슬라이딩인 형식도 손에 꼽을 정도로만 있었다. 1990~93년에 대차되었는데 1993년 중반까지 생존했던 버스는 1986년 초창기 도입분으로 전중문 폴딩형이었다.
  • 대우 BF105 디젤 : 1990년~1994년 후반에 도입되어 이후로 프론트엔진 버스는 더 이상 도입하지 않았다. 1990년에는 극소수만 중문 슬라이딩형으로 도입되었고, 1992년에는 '폴딩중문+푸른색시트' 조합으로 도입되었으며, 1993~94년에는 대부분 '폴딩중문+회색시트' 조합으로 도입되었지만 슬라이딩 중문형도 청신운수에 2대, 청주교통에 2대, 동양교통에 1대 도입되었고, 슬라이딩 중문형 차량의 경우는 2003년 후반에 청주교통 2대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으며,[14] 폴딩 중문형 차량의 경우는 2005년 2월에 동양교통 1대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15]
  • 대우 BS105 디젤 : 1988년 청주에 시내좌석 첫 운행시 시내좌석형 도입을 처음으로 도시형에도 소수 도입하였다가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많이 도입하였다. 시내좌석형은 1998~2000년 사이에 대차되었으며, 도시형은 2001~03년 사이에 대차되었다.
  • 대우 BS106 하이파워 / BS106L 하이파워 디젤 : 1991년부터 1998년 초까지 도입한 대우 도시형 및 시내좌석형 버스이다. 시내 좌석형 차량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이 버스로만 도입했고,[16] 도시형 부문에는 1993년부터 많이 도입했으며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청주시 시내버스 차량의 상당수를 차지하던 BF101Q 1988~89년형이 1995~96년에 대부분 이 버스로 대거 대차되었다. 1999년에 동양교통에서 서울 출신 중고차로 1994년식 BS106L 차량을 1대 도입했다.[17] 입석형 차량의 경우 1994년식 무냉방 쇠창틀 입석형 차량은 2004년 초에 한성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고,[18] 1995년식 냉방초기 쇠창틀 입석형 차량은 2005년 1월에 동양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했으며,[19] 1996년식 쇠창틀 입석형 차량은 2008년 5월에 동일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으며,[20] 최후기형[21]인 1997~98년식 차량은 2008년 11월에 우진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22] 그리고 시내좌석형 차량의 경우 1994~95년식 하부냉방형 차량은 2004년 9월에 청신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고,[23] 1994~95년식 둥근 전문형 쇠창틀 차량은 2004년 12월에 동양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하였으며,[24] 2001년에 중고로 도입한 1996~97년식 전중문 갈창틀 1/3 개폐창은 2008년 2월에 동양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25]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 BS106L 로얄시티 디젤 / 천연가스버스 : 1998년부터 2007년까지 꾸준히 도입한 대우 도시형 및 시내좌석형 버스이다. 2001년부터 인터쿨러 형식으로 도입하였고, 2002년 5월 가스 차량을 처음 도입하였으며 디젤 차량도 2004년까지 병행 도입하였다. 2001년부터 도시형에 전면 행선판(속칭 대머리 행선판.) 등이 없는 형식을 많이 출고 하기 시작하였다. 시내 좌석형 차량의 경우 우진교통에서(정확히는 舊 충일고속 시내사업부 시절에 도입) 전문형 시내 좌석형을 4대 도입하였고 이 외에 이 차종의 시내 좌석형은 전중문형이었다. BS106 로얄시티 차량의 경우는 2017년 5월에 동일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으며, BS106L 로얄시티 차량의 경우는 2014년 10월에 동일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26] '좌석 도색+좌석 시트' 조합의 차량은 2015년 2월에 동일운수 디젤 2대와 한성운수 가스 2대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다.[27]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2008년 5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도입한 대우 도시형 및 시내좌석형 가스차량이다. 청신운수동양교통을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이 구입하였고, 년식에 비해 차량 상태가 불량한 차량이 많으며, 대부분의 차량이 녹으로 인한 철판 땜질 작업이 되어있어 미관상 좋지 않았다. 브레이크 잡을 때 라이닝 소음도 끝내줬다. 입석형 차량의 경우는 2021년 4월 초에 동일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되었으며, 시내 좌석형 차량의 경우는 2021년 3월 말에 우진교통을 마지막으로 전멸되었다.
  • 대우버스 BS120CN 천연가스버스 : 2005년 4월 동일운수에서 1대를 도입하였으며 2015년 7월에 대차되었다.[28][29] 그리고 청주시에는 F/L 이전의 BS110CN은 다닌 적이 없으며 2005~08년 당시 유일하게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하지 않았던 동일운수마저 출고를 하지 않았다. BS110CN 때도 저상버스 출고가 있었긴 했지만 죄다 현대 저상버스였다. 이 때문에 F/L 이전의 BS110CN을 보려면 인근 도시인 대전으로 가야 볼 수 있었다.
  • 대우버스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2007년 7월경에 동일운수[30]를 시작으로 도입하였고, 2010년 1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전문이 현대 저상버스처럼 폴딩형식으로 도입하였으며, 2021년 4월 초에 한성운수를 마지막으로 전멸되었다.

2.2.3. 아시아자동차

  • AM808 디젤 : 1984년 동일운수만이 2대 도입하여 대형버스 운행이 어려운 오지노선에 투입 운행하였다.
  • AM818 코스모스 디젤 : 1989년 청주 모든 회사가 1대씩 도입하여 대형버스 운행이 어려운 오지노선에 투입 운행하였다. 1997년에 대차되었다.
  • AB185 디젤 : 1980년 청신운수에서만 도입하여 1987년까지 운행하였다.

2.2.4. KG모빌리티/KGM커머셜

  • 하동환 A66 디젤 : 1960년대에 도입된 도시형 버스이다.
  • 프리머스 천연가스버스 : 2009~10년, 동일운수에서 전국 최초[31]로, 충청권 시내버스 업체에서 유일하게 도입했으며, 2020년 11월 초에 모두 대차되었다.

2.2.5. 르노코리아자동차

  • 르노 마스터 디젤 : 충청권 최초 르노 마스터로, 2022년 9월 청신운수에서 과천콜버스 출신 차량을 가져와서 2023년 6월 초까지 청주콜버스로 운행하고 반납했다.

3. 기타

청주시 시내버스 업체에는 1970년대부터 자일대우버스(당시 명칭은 신진자동차, GM-코리아, 새한자동차)에서 생산한 버스차종이 많았고, 현대자동차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종도 적게나마 있었다.[32] 동아자동차(쌍용자동차의 전신) HA20도 소수 있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초반부터 대우버스와 현대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하였고, 1980년대 후반 동양교통에서 현대 FB500을 도입할 시기에 당시 현대버스가 등판능력이 약하다는 이유로 한동안 업체들 사이에서 현대버스를 기피하는 경향이 강해서 1988년 청주시에서 시내좌석버스가 처음으로 도입되어 운행할 때 당시 7개 업체[A] 모두 좌석버스를 대우 BS105로만 도입했다. 당시 청주시 시내버스 도색은 충북 공용도색을 적용했는데 좌석버스 도색은 도시형 도색 중간에 빨간색/파란색 줄이 더 추가된 형식이었다. 1980년대에 도시형에 '프론트엔진형+중문폴딩형' 조합으로 도입[34]한 걸 보면 청주시가 당시 중소도시급 지역임을 감안하면 시내버스 옵션이 좋지 않았었다.[35] 한편, 대형버스 운행이 어려운 지역에는 1984년 동일운수에서 아시아 AM808 중형버스를 2대 투입하여 운행했다. 그리고 1989년부터 청주시 7개 업체[A]에서 아시아 AM818 중형버스를 1대씩 도입하여 7대가 공동배차 형식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37][38]

이후 1990년부터 1995년까지는 오르지 대우자동차의 버스로만 도입하였는데, 주 차종이 대우버스 BF105에 전중문 폴딩형이었다. 물론 BS105 및 BS106 하이파워도 조금 섞어서 도입하였다. 당시 시내버스 차종으로는 십중팔구가 대우버스였고, 현대 FB500동양교통에 적지 않은 댓수가 있었다. 그나마 대우버스 BF101(원형 헤드램프+전문 분리형유리창)이 생존해 있던 1993년 당시만 해도 FB500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는데, 주류를 이루었던 년식이 1986~87년형이었고 7년 운행하여 대차[39][40]해서 1993~94년 초에 대부분 대차하여 이후로 청주시에 현대버스는 가뭄에 비 오듯 보였다.

그러다가 1996년 대우버스 BS106 하이파워 냉방형을 비롯한 냉방도시형 버스를 대거 도입하였고, 현대버스도 이 때 재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이 해에 청주시 시내버스에 대개혁이 일어나는데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중반에 청주시 시내버스 주력차종이었던 대우버스 BF101 후기형(1988~90년형)이 당해 신차로 대거 대차되어 주력 차종이 프론트 엔진버스에서 리어엔진 냉방도시형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로도 마저 남아 있던 프론트 엔진버스들은 대부분 7년 운행하고 대차[41]되었고, 특히 청주교통은 2000년 이전까지 당시 고령 차량들을 대거 대차[42]하여 이후로 무냉방 차량은 BF105 중문슬라이딩 차량 청주교통 2대가 전부였다.

2002년 5월 청주시에도 천연가스버스가 도입되기 시작하고 이후, 천연가스버스로 점차적으로 대차하였다. 다만 일부 중형 차량은 디젤차량으로 도입하기도 하였다. 가스차량은 2002년 5월 동일운수, 우진교통을 시작으로 하여 도입했고 대우 도시형 가스차량으로 도입했다. 이후로 청신운수(현대 도시형 가스차량)와 동양교통(대우 좌석형 가스차량)에서도 도입하였고, 동년 11월 한성운수에서도 도입하였다. 반면 청주교통은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2000년 이전에 무냉방차량들이 대거 대차되어 대차할 차량이 없어서 가스차를 도입하지 않았고 2003년 중반에서야 차령 만료된 좌석형을 대차하면서 현대 좌석형 가스차량을 처음으로 하여 가스차량을 도입하였다.

2005년 4월에 청주시에 처음으로 저상버스가 들어왔고, 이 후로 해마다 저상버스의 수 또한 늘어나갔다.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당시 청주시 시내버스 6개 업체들 중 동일운수만이 대우버스를 도입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현대버스로 도입하였다. 다만 청주교통과 동양교통은 대우버스도 약간 섞어서 도입하였다. 이 시기(2005~07년)에 청주시 시내버스 주력 차종이 대우버스 BS106 하이파워에서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변경되었다.

저상버스 최초 도입분인 동일운수 2071호(대우버스 BS120CN)와 우진교통 5063호(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는 좌석버스 도색으로 출고해서[43] 대전처럼 저상버스를 좌석으로 운행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으나 다행히 해당 차량들은 입석버스 노선에서 운행되었고 도입 몇 개월 쯤 지난 후, 두 대 모두 입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했다.

2007년에 동일운수가 청주시 최초의 준저상 차량으로 대우버스 BC211M 1대 도입하려고 하였지만 전국 최초의 BS110CN F/L을 도입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무산되어 청주시에서 BC211M은 운행한 적이 없었다.

그런데 한성운수가 2008년 F/L 형식 도입부터 현대자동차 측의 서비스 문제로 인해 대우버스 쪽으로 등을 돌린 상태이다. 그러다가 2016년, 약 8년여 만에 현대버스를 출고하여 4월에는 현대 그린시티, 6월에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2017년 1월에는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를 출고하였다. 반면 동일운수는 2012년에 현대버스를 1대 사오더니 2015년에는 계속 도입하고 있어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거기에 2009~10년 전국 최초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저상버스를 도입하였다. 한편 우진교통은 2014년 청주시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현대 블루시티 저상형 차량을 도입하였다.

중형차량의 경우, 1997~2003년에는 오르지 대우버스 BM090 차량만 도입하였다가 2005년부터 현대버스와 대우버스가 같이 들어오기 시작하였는데, 2008~11년에는 중형 차량 신차 도입이 없어서 대우 BS090 F/L 차량은 청주에 단 1대도 도입하지 않았고 운행하지 않았다. 하지만 아성교통이 운행하는 증평 - 오창, 청천 - 미원 노선에 오창미원에서 간혹 아성교통 소속의 BS090 F/L 차량을 볼 수 있었지만 2020년 8월에 아성교통도 전량 대차하여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현대 글로벌 900 F/L 차량은 2012년 초 동일운수에서 청원군(現. 청주시) 오송농협 마을순환버스 출신 차량을 중고로 1대를 도입하였고 현재 해당 차량은 현대 그린시티 개선형으로 대차되었다.

저상버스에 장착되는 자동변속기옆 동네의 문화적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지 청주시 시내버스는 현대다이모스 AMT만을 선택할 수 있는 우진교통블루시티를 제외한 모든 저상버스가 ZF 자동변속기를 사용한다. 우진교통의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 F/L CNG SE 모델 일부와 동일운수의 BS110CN F/L에는 엘리슨 자동변속기가 적용된 바 있으나 지금은 모두 대차되었다.

청주시 시내버스 업체들 중에는 운행 차종의 제작회사가 단일화되어 있는 업체가 2017년 4월 당시만 해도 없었다가 동년 5월 4일 동양교통에 있던 2007년형 마지막 대우버스[44]까지 대차되면서 동양교통이 현대버스로만 운행하는 업체가 되었다. 하지만 2018년 12월 말에 동양교통이 우진산전 전기버스를 도입하면서 아니게 되었다. 동일운수는 대우버스 위주에서 현대버스로 대차되고 있고, 한성운수는 반대로 대우버스로 대차하고 마저 남은 현대버스들도 대우버스로 대차할 예정으로 보였으나... 2016년, 약 8년여 만에 현대버스를 출고하여 4월에는 현대 그린시티, 6월에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2017년 1월에는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를 출고하였다. 동일운수, 한성운수 외의 대우버스는 청신운수의 2012년식 NEW BS106 1대를 마지막으로 2021년 9월 29일에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F/L로 대차되면서 전멸되었으며, 동일운수도 2024년 2월 초 아폴로 1100을 도입하면서 대우버스가 전멸되었다.

각 회사 별로 차량에 따라 범퍼 색상이 다르다. 예를 들면 청신운수, 청주교통, 우진교통, 동양교통, 한성운수[45]현대 카운티,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등 차량은 검정색 도색이며, 나머지 동일운수, 한성운수 차량은 파란색 도색이 되어 있다. 공통점으로 자일대우버스 BS 시리즈, 자일대우버스 레스타 차량들은 모두 파란색 도색이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저상버스에서 저상버스로 대차 시, 시에서 보조금 지급 제한으로 기존 넘버는 결번 처리되고 결번이 되었던 차량 번호나 신규 차량 번호를 사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저상버스에서 저상버스로 대차를 잘 하지 않았다. 그러다 2021년 2월에 우진교통에서 기존 저상버스 6대가 차량번호를 유지하고 새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는데, 준공영제 시행에 따라 저상버스에서 저상버스로 대차가 허용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도시좌석과 시내좌석은 좌석도색으로 좌석버스 노선에 운행하고 도시표준이 입석도색으로 시계외노선과 시내일반 노선에 다녔으나, 2014년 중반쯤 한성운수가 경기도 버스 취소분으로 시내좌석 2대[46]가 도입됐는데 입석도색이 적용된 좌석버스로 운행되었다. 이후에도 동일운수가 입석도색이 적용된 좌석차량을 도입하고 나서 청주시 모든 회사들이 입석도색이 적용된 좌석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해당 차량들은 광주식 2:1 좌석 배열을 하고 있으며 입석노선에 다양하게 투입되고 있다.

좌석버스 중에 노후 차량이 유난히 많다(...). 전면 유리의 색지가 삭아서 거스러진 차량, 차체에 녹이 슨 차량, 대충 철판으로 덧대어 수리하고 리벳으로 고정시킨 차량 등 동호인이 아닌 사람도 고물 차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노후 차량이 유달리 좌석버스에서 자주 보인다.[47]

좌석버스의 좌석 앞뒤 간격이 앉기 불편할 정도로 굉장히 좁다. 몸이 팔걸이에 부딪히거나 팔걸이에 옷이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좌측 좌석이 일반버스보다 한 줄이 더 많다. 다행히도 신형 차량은 앞뒤 간격이 평범한 시내버스와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9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차량 43대가 증차되었다.[48] 증차 차량들은 기존 노선 증차와 신규개발택지인 가경2지구, 테크노폴리스, 방서지구, 동남지구 등에 신설되는 노선에 운행중이다. 증차 차량은 전기버스(우진산전 아폴로 1100 7대, 현대 일렉시티 8대) 15대, 입석버스 15대, 751번 전용 버스(현대 유니버스 엘레강스) 11대, 오송읍 도시형 교통모델 차량(현대 뉴 슈퍼에어로시티 디젤 차량) 2대이다. 751번에 운행되는 유니버스는 전중문 폴딩형식의 고급좌석차량이며, 전기버스는 청신운수, 동일운수, 한성운수에서는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청주교통, 우진교통, 동양교통에서는 현대 일렉시티로 출고되었다. 일렉시티는 이후 동일운수, 청신운수에서도 출고하며, 동양교통, 동일운수, 청신운수, 청주교통은 아폴로 1100과 혼용 출고하나[49], 우진교통은 아예 일렉시티로 전향했다. 한성운수는 충북에서 유일하게 중국산 전기버스로 전향했다.

2021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로 출고하는 차량들의 대차주기가 9년으로 정해져 2009~2011년식 차량 모두와 2012년식 차량 대부분 등 60대 가량 대차되었다. 대차된 차량에도 에어서스펜션을 추가한 차량이 있는가 하면, 전기버스우진산전 아폴로 1100이나 고급좌석차인 현대 유니버스를 뽑는 등 차량 관리에 힘쓰는 것으로 보인다. 2013년식 차량은 2023년 11월 14일에 한성운수 2대를 마지막으로 대차되어, 2014~15년식 차량의 조기폐차를 진행한다고 한다.

충청북도에서 충주시 시내버스에 이어 2번째로 수소버스를 도입할 계획이 있다.

거의 모든 회사가 차량에어컨으로 두원공조 에어컨을 장착하여 출고하는 편이며, 충주교통[50]과 더불어 특히 뉴 슈퍼 에어로시티, NEW BS106,110 같은 대형차량은 두원공조 에어컨으로 일원화되어 있다.

[1] 2012년 초까지 출고된 8핀 휠 차량은 2021년 8월 우진교통 1대를 마지막으로 전량 대차되었다.[2] 동일운수청주교통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입석형 디젤차량으로 도입하였다.[3] 중문 뒤에 보조창 1개 달린 차량은 1990년 이전에 대차되었고, 이 후로는 중문 뒤로 철창틀이 2개 좁아지는 차량만 생존했다.[4] 다만 동양교통은 1986~89년에 걸쳐서 도입한 반면 청주교통은 1986~87년에 도입하여 1993~94년 초까지 운행하였다.[5]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F/L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18년 10월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6]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가스 차량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F/L 입석형 가스차량을 거쳐서 2020년 초반~2021년 초반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입석 도색이 적용된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7] 해당 차량은 1991~92년식 대우버스 BS105 입석형 디젤 차량 혹은 1992~93년식 대우버스 BF105 폴딩 / 슬라이딩 중문형 디젤 차량 대차분이다.[8] 1993~94년식 대우버스 BF105 폴딩 중문형 디젤 차량 대차분과 1995~96년식 대우버스 BS106 하이파워 쇠창틀 냉방 입석형 디젤 차량 조기대차분이며, 2011년 11월에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F/L 입석형 가스 차량과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20년 후반~2021년 초반에 현대자동차 일렉시티 FEV 차량과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입석 도색이 적용된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각각 대차되었다.[9] 2004년 11월 도입분으로 청주 최후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 가스 차량 도입분이었고, 2015년식 자일대우버스 NEW BS110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도입을 하지 않는다.[10] 해당 차량은 1995~96년식 대우버스 BS106 하이파워 쇠창틀 냉방 입석형 디젤 차량 대차분이며, 2014년 11월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11] 이때 도입된 차량들은 전차량 전문형 좌석차량이었다.[12] 이전 2000~01년 사이에 업체별로 2대씩 일부 미교체 감차가 있어서 중간에 결번이 생기기도 하였다. 따라서 순수 증차라고 보기는 어렵다.[13] 해당 차량은 1994년식 대우버스 BF105 폴딩 중문형 디젤 차량 대차분이며, 2014년 2월에 현대자동차 그린시티 입석형 디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14] 현대자동차 슈퍼 에어로시티 입석형 가스차량과 2012년 10월에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가스차량을 거쳐서 2021년 8월에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15]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입석형 가스차량을 거쳐서 2014년 2월에 현대자동차 그린시티 입석형 디젤차량으로 대차되었다.[16] 본래 청주 시내버스 업체에서 자체 출고한 이 차종의 시내 좌석형 차량들 전량 전문형에가 쇠창틀 형식으로만 이루어져 있었는데 2000년대 초 동양교통에서 1996~97년형 전중문 1/3 개폐창 갈창틀형을 2001년에 중고로 1대를 도입하기도 했으며 동일운수가 1996년에 자체 출고로 2/3 갈창틀 사양을 1대 구입하였다.[17] 해당 차량은 1992년식 대우버스 BF105 폴딩 중문형 디젤 차량 대차분이며, 2001~02년에 1996~97년식 중고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차량과 2006년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입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15년 8월에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18]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입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15년 봄에 자일대우버스 NEW BS106 입석 도색이 적용된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19] 이때 중고 시장에 풀린 대구 영진교통 출신 2000~01년식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입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09년 가을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가 2012년 여름에 전기 배선의 불량으로 인하여, 조기 대차된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21년 5월에 현대자동차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20]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F/L 입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17년 9월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도색이 적용된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21] 속칭 짝퉁로얄(세미로얄)로 알려진 차량.[22]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17년 11월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23] 창문 맨 끝에 아크릴 판넬이 달린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과 2012년 9월에 자일대우버스 NEW BS106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21년 9월에 현대자동차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F/L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24] 광폭 그릴 형식이 적용된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가 2012년 11월에 엔진 과열로 인한 화재로 인하여, 조기 대차된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21년 12월에 현대자동차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F/L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25]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을 거쳐서 2019년 1월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26] 입석형 차량의 경우 휠 하우징이 우레탄 재질인 2000년 이전 형식은 2011년 5월 청주교통 1대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고, 측면 창문 맨 끝에 아크릴 판넬이 없는 2004년 초반 이전 형식은 2015년 3월 동일운수 2대와 한성운수 2대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으며, 2005~07년에 출고된 광폭 그릴 형식 차량이 2017년 5월에 전멸하였다. 참고로 청주에 2004년 중반부터 2004년 말 광폭 그릴 형식 차량 출고 전까지 그 어떤 대우버스 신차를 도입하지 않았으므로 쪽창이 있으면서 그릴이 광폭이 아닌 형식은 단 1대도 없었다.[27] 시내 좌석형 차량의 경우 휠 하우징이 우레탄 재질인 2000년 이전 형식은 2011년 4월 한성운수 1대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고, 앞 유리가 비스듬한 2001년 이전 형식은 2012년 11~12월 동일운수 1대와 청주교통 1대와 한성운수 2대를 마지막으로 전멸하였으며, 2002~04년에 도입한 디젤 및 가스 차량이 2011년부터 순차적으로 대차되어 2015년 2월에 전멸하였다.[28] 해당 차량은 1995~96년식 대우버스 BS106 하이파워 쇠창틀 냉방 입석형 디젤 차량 대차분이다.[29] 여담으로 2005년 도입 당시에는 좌석버스 도색으로 출고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입석형 버스처럼 재도색된다.[30] 참고로 전국 최초로 도입된 해당 차량은 청주시에서 유일하게 앨리슨 자동변속기 옵션이 적용된 차량이었으며, 2018년 1월 25일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 도색이 적용된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31] 전국 최초 도입분 3대는 모두 현대자동차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입석 도색이 적용된 시내 좌석형 가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32] 다만 아시아자동차의 경우 이웃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에서는 선호도가 꽤 높은 편이었던 반면 청주시 시내버스 업체들은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그다지 신뢰하지 않아 청신운수의 P9AMC, AB185, 동일운수의 AM808을 제외하면 청주에서는 매우 보기 힘든 편에 속했다. 동일운수가 운행한 산성 중형좌석버스의 경우 당시 명암로 산성고개 구간에 운행할 수 있는 차종이 아시아 중형버스를 제외하고는 없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들여온 것이다. 1980년 한정면허로 운행을 시작한 부산 버스 203의 초기 차종이 부산에서 선호도가 매우 낮았던 아시아자동차 차종 AM808이었던 이유를 생각해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A] 청신운수, 동일운수, 청주교통, 대화운수, 동원교통, 동양교통, 한성운수[34] 극소수는 대우 BF101에 중문 슬라이딩형도 있었고, 대우버스 BS105 도시형청신운수청주교통에 약간 있었다.[35] 이는 비단 청주시뿐만 아니라 멀지 않은 천안시도 그랬고 이 외 중소도시급 지역들도 프론트 엔진버스 도입시 중문폴딩형으로 도입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런데 1980년대 이랬던 청주시 시내버스가 거듭 발전하여 지금은 천연가스버스저상버스는 물론 현대 블루시티, 전기버스, 직행좌석버스까지 있다.[A] 청신운수, 동일운수, 청주교통, 대화운수, 동원교통, 동양교통, 한성운수[37] 그 아시아 AM818 7대는 1997년에 대우버스 BM090 전문형으로 대차했고, 2005년에 중형좌석버스 제도가 폐지되면서 좌석형 도색에서 도시형 도색으로 변경하였다가 공영 노선에서 격하해서 운행하다가 그 버스가 9~10년 운행하여 운용 기간이 끝난 2006~07년에 당시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입석형 가스차량과 현대 글로벌 900 입석형 가스차량을 거쳐서 2014년 12월~2016년 7월에 현대 그린시티 입석형 디젤 / 가스차량으로 대차했으나, 예외로 동일운수 2053호는 2006년에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입석형 가스차량을 거쳐서 2016년 12월에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가스차량으로 대차했다.[38] 청주시 시내버스로 운행한 기아(아시아)버스 차종은 AM808/AM818 중형버스 이외에 1970년대 이전에 도입했던 차종이 더 있었고, 1980년대 이후로 나온 AM907 모델명을 부여받은 기아(아시아) 대형 도시형 차종은 운행한 역사가 단 한 번도 없었다. 옆 동네인 충남지역은 AM 도시형버스를 운행한 지역이 많았던 반면 청주를 비롯한 충북 지역에서는 AM 도시형버스 출고가 거의 전무한 지역이었다. 그나마 충북에서는 영동군 동일버스에 1996~97년형이 다수 있었고, 괴산군 아성교통(당시 원일교통.)의 AM937L 무냉방형 1대가 전부였다. 이 외 현대자동차 버스 차종은 '프론트엔진+슬라이딩 중문' 형식과 '리어엔진+무냉방' 형식의 차량을 단 1대도 운행한 적 없었다.[39] 이는 비단 청주시뿐만 아니라 1980년대에 도입했던 프론트엔진 시내버스들은 대부분 7년 운행하고 대차하였다.[40] 1986년에 도입되었던 FB500 초기모델과 BF101 원형헤드램프차량 최후기형, 그리고 BF101Q 초기도입분이 1993년 BF105가 대량으로 도입될 무렵 '마크등 삭제+회색시트+폴딩중문' 차량으로 많이 대차되었다.[41] BF101 후기형이 1997~98년 초에 전멸하고 BF105 중에 파란색 시트 달린 1990~92년형이 1998~99년에 대부분 대차되었으며, 회색시트 달린 1993~94년형이 2000~01년에 대부분 대차되었다. 물론 1993~94년형 중 일부는 2003~05년까지 생존하기도 했다.[42] 2000년 초 당시만 해도 청주교통에 BS105 및 BF105 중문 폴딩형도 다수 존재했었다.[43] 단, 앞부분이 범퍼를 제외하고 완전히 녹색이었다.[44] 청주에서 유일하게 NEW BS를 도입하지 않은 회사다.[45]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이전에 있었고 2008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2대도 있으나 2017년 9~12월에 대차되면서 검정색 범퍼도 사라졌다.[46] 03년식 BS106 로얄시티 입석형 가스차량 대차분이다.[47] 청주에 좌석버스는 대체로 1992~95년 도입분이 2001~04년 도입분을 거쳐서 2009~14년에 대차된 차량들이 대부분이고, 1988~90년 도입분이 1998~99년 도입분을 거쳐서 2008~09년에 대차된 차량들이 소수 있다. 즉, 2020년도 기준으로 2010년대 초반 이전에 도입된 차량들이 대부분이기에 좌석버스 부문에 노후차량들이 많은 것이다.[48] 청주시내버스 43대 증차 확정(회원가입 필요), 2019-05-11, 다음 카페 청주시내버스 동호회[49] 그 중 동일운수, 청신운수가 아폴로 1100 출고에 가장 적극적이다.[50] 단, 충주는 중형차량에 충주교통만 두원공조 에어컨을 장착하여 출고하며, 삼화버스공사는 전 차량 덴소코리아(구.덴소풍성) 에어컨을 장착하여 출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