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6 17:43:52

카를 알렉산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818, #a01e1e 20%, #a01e1e 80%, #80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나사우의 엥겔베르트 2세 윌리엄 드크루아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rowcolor=#fff> 스페인령 네덜란드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사보이아의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파르마의 마르가레테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톨레도 루이스 데레케센스 이 수니가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돈 후안 데아우스트리아 파르마-피아첸차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페테르 에른스트 1세 폰만스펠트포어데로르트 오스트리아의 에른스트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페드로 엔리케스 데아세베도 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7세[A]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A] 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프란시스코 데멜로 마누엘 드모라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빌헬름 돈 후안 호세 데 아우스트리아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루이스 데베나비데스 카리요 프란시스쿠 드모라 이니고 멜코르 데벨라스코 후안 도밍고 데수니가 이 폰세카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카를로스 데아라곤 데구레아 파르마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오토네 엔리코 델카레토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아구르토
<rowcolor=#fff> 제29대 제30대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2세 이시도로 데라쿠에바 이 베나비데스
<rowcolor=#fff>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rowcolor=#fff>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사보이아의 외젠 비리히 필리프 폰다운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하라흐로라우
<rowcolor=#fff> 제35대 제36대 제37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마리아 크리스티나 카를 루트비히
카를 알렉산더 알베르트 카지미어
[A]: 1598년 5월 6일에서 1621년 7월 13일까지 일시적으로 총독이 아니라 주권자였다.
}}}}}}}}}

파일:튜튼 기사단 문장.svg
튜튼기사단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흐마이스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하인리히 발포트 폰 바센하임 오토 폰 케르펜 하인리히 폰 투나 헤르만 폰 잘차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콘라트 폰 튀링겐 게르하르트 폰 말베르크 하인리히 폰 호헨로헤 귄터 폰 뷜러슬레벤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포포 폰 오스테르나 안노 폰 생게르스하우젠 하르트만 폰 헬드룽겐 부르크하르트 폰 슈반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콘라트 폰 포이흐트방겐 고트프리트 폰 호헨로헤 지크프리트 폰 포이흐트방겐 칼 폰 트리에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베르너 폰 오르셀른 루터 폰 브라운슈바이크 디트리히 폰 알텐부르크 루돌프 쾨니히 폰 바차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하인리히 뒤세머 빈리히 폰 크니프로테 콘라트 촐너 폰 로텐슈타인 콘라트 폰 발렌로데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콘라트 폰 융깅겐 울리히 폰 융깅겐 하인리히 폰 플라우엔 미하엘 퀴히마이스터 폰 슈테른베르크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파울 폰 루스도르프 콘라트 폰 에를리히스하우젠 루트비히 폰 에를리히스하우젠 하인리히 로이스 폰 플라우엔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하인리히 레플 폰 리히텐베르크 마르틴 트럭세스 폰 베츠하우젠 요한 폰 티펜 프리드리히 폰 작센
제37대
알브레히트 폰 호엔촐레른
호흐운트 도이치마이스터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발터 폰 크론베르크 볼프강 슈츠바르 게오르크 훈트 폰 벤크하임 하인리히 폰 보벤하우젠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막시밀리안 3세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 요한 유스타흐 폰 베스테르나흐 요한 카스파르 폰 슈타디온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레오폴트 빌헬름 카를 요제프 요한 카스파르 폰 암프링겐 루트비히 안톤 폰 팔츠노이부르크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프란시스 루이스 폰 팔츠노이부르크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카를 알렉산더 막시밀리안 프란츠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카를 루트비히 안톤 빅토르 막시밀리안 요제프 빌헬름 프란츠
제58대 제59대
오이겐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노버트 클라인
독일기사단장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노버트 클라인 폴 하이더 로베르트 셸츠키 마리안 텀러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일데폰스 파울러 아놀드 빌란트 브루노 플래터 프랭크 베이어드 }}}}}}}}}}}}
<colbgcolor=#DDDBC5><colcolor=#000> 로트링겐의 공자
카를 알렉산더
Prinz Karl Alexander von Lothringen
파일:800px-Martin_van_Meytens_007.jpg
이름 프랑스어 샤를 알렉상드르 드 로렌
(Charles Alexandre de Lorraine)
독일어 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바르
(Karl Alexander Prinz von Lothringen und Bar)
출생 1712년 12월 12일
로트링겐 공국 뤼네빌
사망 1780년 7월 4일 (향년 67세)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브라반트 공국 테뷰런
배우자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여대공[1]
(1744년 결혼 / 1744년 사망)
아버지 로렌 공작 레오폴드
어머니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도를레앙
형제 레오폴드,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루이즈 크리스틴, 마리 가브리엘 샤를로트, 루이, 조제핀 가브리엘, 가브리엘 루이즈, 레오폴드 클레망, 프란츠 1세, 엘레오노르, 엘리자베트 테레즈, 안 샤를로트
1. 개요2. 일생
2.1. 초기 경력2.2.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2.3. 7년 전쟁2.4. 이후의 삶

[clearfix]

1. 개요

로트링겐 태생의 오스트리아군 원수 및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2] 총독.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웠고 행정 능력도 우수한 편이었으나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7년 전쟁에서 프로이센 왕국프리드리히 대왕에게 연거푸 패배했다. 뛰어난 군사 기동능력을 갖추었으나 전장에서는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군사적으로는 평이 갈린다.

군사적 평가와는 별개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으로서는 선정을 보여 높은 인기와 평가를 지닌 인물이다. 군사적 평가는 매우 뛰어나지만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으로서는 평이 나쁜 사부아 공자 외젠과는 반대되는 면모로, 애초부터 군인 체질이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2. 일생

2.1. 초기 경력

샤를 알렉상드르(카를 알렉산더)는 로트링겐 공작 레오폴트 요제프 카를과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도를레앙의 다섯 번째 아들[3] 이다. 1716년, 갓 4살이 된 그는 삼촌 카를 요제프의 뒤를 이어 로트링겐 보병 연대의 지휘관으로 발탁되었다. 1729년 4월 5일, 황금 양털 훈장을 수여받았고, 1736년 그의 셋째 형 프랑수아 에티엔[4]마리아 테레지아와 결혼하자 형과 함께 으로 갔다. 카를 알렉산더는 곧 오스트리아군 대령으로 임명되었고 1737년 8월 6일 소장으로 진급한 뒤 형과 함께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참전했다.

1738년 1월 20일 중장으로 승진한 카를 알렉산더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중 코르니아 전투에서 후위대를 맡아 아군의 철수를 훌륭하게 엄호했고, 뒤이은 메아디아 전투에서는 앞장서서 적과 맞서 싸우는 모습을 보여 세인의 찬사를 받았다. 1739년 7월 22일, 카를 알렉산더는 그로츠카 전투에서 우익 부대를 지휘했으나 아군의 대패를 막지 못하고 그 자신도 중상을 입었다.

2.2.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년 11월 22일, 마리아 테레지아는 그녀의 시동생인 카를 알렉산더를 제국군 원수로 승진시켰다. 이후 카를 알렉산더는 1741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이 되었으나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발발 때문에 1744년까지는 부임하지 못했다. 1741년 11월 바이에른에서 프란츠 1세 휘하의 군대와 합류한 카를 알렉산더는 1742년 초 오스트리아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보헤미아 왕국 남부 지역에 군대를 집결시킨 뒤 모라비아를 통해 슐레지엔으로 진군하기로 했다. 그러나 그는 적과의 정면 대결을 회피하라는 막시밀리안 율리시즈 폰 브라운의 권고에 흔들려 3주 동안 출발을 지연시키다가 형수 마리아 테레지아의 독촉을 받고 나서야 출격했다. 그러나 그가 출발을 늦추는 사이 오스트리아군의 의도를 간파한 프리드리히 대왕이 선제 공격에 나섰고, 카를 알렉산더는 5월 17일 코투지츠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과 처음으로 맞붙었으나 1만 9천 명의 사상자와 대포 18문을 상실하는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이 패배로 수도 빈까지 프로이센군의 가시권에 들자 어쩔 수 없이 프로이센이 슐레지엔을 지배하는 걸 용인하는 조건하에 평화 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카를 알렉산더는 브라운 장군의 권고에 따라 프랑스군과 맞서기 위해 군대를 서쪽으로 이동시켰고 1743년 바이에른 전역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칭한 카를 7세의 군대를 격파하고 바이에른 전역을 유린했다. 다만 실제 지휘는 브라운 장군 등 유능한 부관들이 맡았고 카를 알렉산더는 전체적인 전략을 수립했을 뿐 전투 자체를 지휘하진 않았다. 심지어 일설에 따르면 데겐도르프 전투에서 브라운 장군이 바이에른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했을 때 카를 알렉산더는 오랫동안 낮잠을 잤다가 전투가 끝난 후에야 전장에 나타났다고 한다.

어쨋든 바이에른을 성공적으로 굴복시킨 카를 알렉산더는 7월 하나우에서 영국 국왕 겸 하노버 선제후인 조지 2세와 만났다. 조지 2세는 그에게 연합군을 결성해 자신의 지휘를 받을 것을 권유했으나 카를 알렉산더는 이를 거부했다. 결국 영국-하노버 군과 오스트리아군은 독자적으로 작전을 수행했고, 카를 알렉산더는 이후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게다가 그는 오스트리아 궁정과는 상의도 없이 바이에른과 평화 협약을 체결했는데, 그 내용이 오스트리아에게 별로 이롭지 않았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정계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1744년 1월 7일, 카를 알렉산더는 마리아 테레지아의 여동생인 마리아 안나와 결혼했다.[5] 그러나 신혼 생활을 채 즐기지도 못한 상황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이 또다시 보헤미아를 침공하자, 카를 알렉산더는 서둘러 병사들을 끌어모아 보헤미아로 진군해 트라운 장군의 조언을 받아들여 적과 정면전을 회피하고 요새에 틀어박혔다. 결국 프리드리히 대왕은 카를 알렉산더가 싸워주질 않는데다 보헤미아의 민심이 매우 험악하자 슐레지엔으로 철수했고, 카를 알렉산더는 그런 적군을 추격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아내가 12월 16일 브뤼셀에서 출산 도중 사망했다는 비극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1745년 슐레지엔 탈환 작전에 착수한 카를 알렉산더는 6월 4일 호엔프리트베르크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과 격돌했으나 13,730명의 사상자를 기록하는 대패를 당했다. 이후 9월 30일 자신을 추격하는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회심의 역습을 가했으나 역시나 패배를 면치 못했고, 뒤이은 헨넬스도르프 전투에서도 패배했다. 전쟁 평의회는 이러한 카를 알렉산더의 군사 지휘관으로서의 능력을 불신하며 그를 물러나게 할 것을 권고했으나 마리아 테레지아는 이를 묵살했다.

1746년 카를 알렉산더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주둔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2만에 달하는 프랑스군에 맞서 영국-하노버-네덜란드-오스트리아 연합군 9만 7천명을 통솔했다. 그러나 그는 이 전역에서 모리스 드 삭스 장군이 지휘하는 프랑스군에게 시종일관 밀렸는데, 특히 10월 11일 로쿠스 전투에서는 적이 공격해오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하고 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점심을 먹고 있다가 프랑스군이 아군의 좌익을 맡은 네덜란드군에 공세를 퍼부어 제압해버리는 걸 막지 못했다. 결국 카를 알렉산더는 로쿠스 전투 후 리에주 등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대부분이 프랑스에게 넘어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2.3. 7년 전쟁

1748년 전쟁이 종식된 후 합스부르크 제국은 프랑스로부터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를 돌려받았다. 이후 카를 알렉산더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으로서 1756년까지 활동하며 탁월한 행정 능력을 발휘해 세간의 찬사를 받았다. 그러던 1757년, 마리아 테레지아는 프로이센과의 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카를 알렉산더를 오스트리아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가 4월 30일에 보헤미아에 도착했을 때, 프로이센군은 이미 보헤미아 침공을 개시했다. 카를 알렉산더는 프라하에서 병력을 끌어모으면서 다운 백작 레오폴트 요제프의 군단의 합류를 기다렸으나, 프리드리히 대왕은 다운 백작이 오기 전에 승부를 보기로 결심하고 5월 6일 프라하 전투를 개시했다. 카를 알렉산더는 전투 도중 기절해 프라하 요새로 이송되었고, 그 대신 브라운 장군이 지휘해 프로이센군에게 막심한 피해를 입혔으나 도중에 그가 치명적인 부상을 입는 바람에 통제력을 상실한 오스트리아군이 브라운 장군의 복수를 하겠다며 섣불리 공세를 개시했다가 프로이센군에게 측면이 공략당하면서 패배하고 말았다. 이후 카를 알렉산더는 요새 수비에 전념하다가 다운 백작이 콜린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을 격파하고 프로이센군이 본국으로 철수를 개시하고 나서야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1757년 가을, 오스트리아군은 슐레지엔 공세를 개시했다. 카를 알렉산더 휘하의 유능한 지휘관들은 그에게 승전을 여러 차례 안겨줬다. 프란츠 레오폴트 폰 나르다시 장군은 11월 12일 슈바이트니츠를 점령했고, 다운 백작과 프란츠 모리츠 폰 라시 장군은 11월 22일 브레슬라우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격파하고 슐레지엔의 수도 브레슬라우를 공략했다. 그러나 카를 알렉산더는 12월 5일 로이텐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완패당했고, 기껏 탈환했던 브레슬라우도 프로이센에게 도로 빼앗긴 뒤 보헤미아로 철수해야 했다. 이후 형수 마리아 테레지아로부터 "질 수 없는 싸움을 졌다"는 문책을 받은 그는 총사령관 직에서 물러났고 다운 백작 레오폴트 요제프가 신임 원수로 취임했다.

2.4. 이후의 삶

카를 알렉산더는 군직에서 완전히 물러난 뒤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으로 복귀한 후 선정을 베풀어 큰 인기를 끌었다.[6] 그는 예술과 과학을 후원했으며 테르부렌 성에 기발한 궁정을 지었다. 또한 1761년에는 튜튼 기사단의 단장이 되기도 했다. 1780년 7월 4일 카를 알렉산더는 테르부렌 성에서 사망했다. 향년 68세. 그의 시신은 브뤼셀의 성 미카엘과 성녀 구둘라 대성당(Cathédrale Saints-Michel-et-Gudule/Kathedraal van Sint-Michiel en Sint-Goedele)에 매장되었고 심장은 코르델리에 예배당에 보관되었다.[7]

[1] 마리아 테레지아의 여동생.[2] 현재의 벨기에룩셈부르크.[3] 장남 레오폴드와 차남 루이는 유아기에 요절했고 삼남 레오폴드 클레망 역시 일찍 사망해서 프랑수아 에티엥과 샤를 알렉상드르가 사실상 장남과 차남이었다.[4] 독일어로는 프란츠 슈테판. 훗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1세가 된다.[5] 형인 프란츠 1세와 형수인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 당시에 드문 연애결혼을 한 것과 마찬가지로, 마리아 안나와 카를 알렉산더 역시 서로 사랑해서 연애결혼으로 맺어진 관계였다. 하지만 마리아 테레지아와 마리아 안나의 아버지 카를 6세는 카를과 마리아 안나까지 결혼해서 로트링겐 가문과 합스부르크 가문이 겹사돈이 된다면, 합스부르크 가문이 몽땅 로트링겐 가문에게 넘어갈 것이라 여겨 두 사람의 결혼을 반대했다. 결국 카를 6세 사후에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마무리한 뒤, 어느정도 국정이 안정되자 카를과 마리아 안나는 무사히 결혼할 수 있었다.[6] 그와 그의 형이던 프란츠 1세는 루이 14세의 조카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유년 시절 프랑스 궁정에서 자랐다. 심지어 자신은 독일 귀족인데 본명이 프랑스어일 정도. 어쨌든 프랑스어에 유창했기 때문에 프랑스어권인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를 통치하기에 수월했다.[7] 합스부르크 왕가의 전통 장례 방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