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4a2, #0099d5 20%, #0099d5 80%, #0074a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비텔스바흐 왕조 | |||
막시밀리안 1세 | 페르디난트 마리아 |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 카를 알브레히트 | |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 | 카를 테오도어 | 막시밀리안 4세 요제프 | ||
바이에른 공작 · 바이에른 국왕 | }}}}}}}}} |
룩셈부르크 공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 |||
바츨라프 1세 | 태만공 바츨라프 2세 | 욥스트 | 엘리자베트 1세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앙투안 | ||||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엘리자베트 1세 | 엘리자베트 1세 | 엘리자베트 1세 | 라디슬라오 | |
<rowcolor=#fff> 비텔스바흐 왕조 | ||||
장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포디에브래드 왕조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안나 | 엘리자베트 2세 | 조르주 | 선량공 필리프 1세 | |
<rowcolor=#fff> 베틴 왕조 | 야기에우워 왕조 | |||
기욤 2세 | 카지미에시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용담공 샤를 2세 | 부귀공 마리 1세 | 미남공 필리프 2세 | 샤를 3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막시밀리앙 1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3세 | 이자벨 | 필리프 4세 | 바보공 샤를 4세 | |
알베르 | ||||
<rowcolor=#fff> 부르봉 왕조 | 비텔스바흐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5세 | 막시밀리앙 2세 | 샤를 5세 | 마리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조제프 | 레오폴드 | 프랑수아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1818, #a01e1e 20%, #a01e1e 80%, #80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나사우의 엥겔베르트 2세 | 윌리엄 드크루아 |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 ||
<rowcolor=#fff> 스페인령 네덜란드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 파르마의 마르가레테 |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톨레도 | 루이스 데레케센스 이 수니가 | ||
<rowcolor=#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돈 후안 데아우스트리아 | 파르마-피아첸차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 페테르 에른스트 1세 폰만스펠트포어데로르트 | 오스트리아의 에른스트 | ||
<rowcolor=#fff>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페드로 엔리케스 데아세베도 | 오스트리아의 알브레히트 7세[A] |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A] | 페르난도 데 아우스트리아 | ||
<rowcolor=#fff>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프란시스코 데멜로 | 마누엘 드모라 |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빌헬름 | 돈 후안 호세 데 아우스트리아 | ||
<rowcolor=#fff>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루이스 데베나비데스 카리요 | 프란시스쿠 드모라 | 이니고 멜코르 데벨라스코 | 후안 도밍고 데수니가 이 폰세카 | ||
<rowcolor=#fff>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카를로스 데아라곤 데구레아 | 파르마의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 오토네 엔리코 델카레토 |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아구르토 | ||
<rowcolor=#fff> 제29대 | 제30대 | ||||
막시밀리안 폰 바이에른 | 이시도로 데라쿠에바 이 베나비데스 | ||||
<rowcolor=#fff>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 |||||
<rowcolor=#fff>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
에우제니오 디 사보이아 | 비리히 필리프 폰다운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하라흐로라우 | ||
<rowcolor=#fff>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 마리아 크리스티나 | 카를 루트비히 | |||
샤를 알렉상드르 | 알베르트 카지미어 | ||||
[A]: 1598년 5월 6일에서 1621년 7월 13일까지 일시적으로 총독이 아니라 주권자였다. | |||||
}}}}}}}}} |
<colbgcolor=#CDE9FF><colcolor=#000> 바이에른의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Maximilian II. Emanuel[1], Kurfürst von Bayern | |
출생 | 1662년 7월 11일 |
바이에른 선제후국 뮌헨 | |
사망 | 1726년 2월 26일 (향년 63세) |
바이에른 선제후국 뮌헨 | |
재위 | 바이에른 선제후국의 선제후 |
1679년 5월 26일 ~ 1726년 2월 26일 | |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총독 | |
1691년 ~ 1714년 3월 7일 | |
배우자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토니아 (1685년 결혼 / 1692년 사망) |
테레사 쿠네군다 소비에스카 (1694년 결혼) | |
자녀 | 요제프 페르디난트, 카를 알브레히트, 페르디난트 마리아 이노센츠, 클레멘스 아우구스트[2], 요한 테오도어 |
아버지 | 바이에른 선제후 페르디난트 마리아 |
어머니 | 사보이아의 엔리케타 아델라이데 |
형제 | 마리아 아나 빅토리아, 요제프 클레멘스[3], 비올란테 베아트릭스 |
종교 | 가톨릭 |
서명 |
[clearfix]
1. 개요
합스부르크 가문을 대체하여 신성 로마 제국 제위에 오르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2. 생애
바이에른 선제후 페르디난트 마리아와 사보이아의 엔리케타 아델리이데(Enrichetta Adelaide di Savoia 1636~1676)의 맏아들이다. 형제로는 프랑스의 왕세자비인 마리아 아나 빅토리아[4], 나중에 쾰른 선제후가 되는 요제프 클레멘스, 토스카나 대공국의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Ferdinando de' Medici 1663~1713)와 결혼하는 비올란테 베아트릭스가 있었다.어린 나이에 바이에른 선제후국을 물려받았으며 제2차 빈 공방전과 그로 인해 촉발된 대튀르크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1685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와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조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딸 마리아 안토니아(Maria Antonia von Österreich 1669~1692)와 결혼하여 요제프 페르디난트(Joseph Ferdinand von Bayern 1692~1699)를 얻었으나 득남한 지 얼마 안 되어 마리아 안토니아가 산후 합병증으로 사망하자 사별하였다. 9년 전쟁에서 제국군으로 참전한 공로를 인정받아 1692년에는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후사가 없던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는 강성한 프랑스의 부르봉 왕조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조 대신 부르봉 왕조와 합스부르크 왕조 모두와 적당히 가까우면서도[5] 세력은 고만고만했던 바이에른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스페인을 물려주려 했고, 요제프 페르디난트는 카를로스 2세의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그러나 1699년 요제프 페르디난트가 6살의 나이에 요절하면서 스페인 제국의 일부를 물려받겠다는 그의 야망은 좌절되었다. 1694년에 재혼한 테레사 쿠네군다 소비에스카의 친정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차기 국왕 선거에 도전할 수도 있었으나[6] 일단은 서유럽에 남았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신성 로마 제국 제위를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비텔스바흐 가문으로 대체하려는 야심을 품고 루이 14세의 편에 참전했으나 1704년 블렌하임 전투에서 말버러 공작 존 처칠과 사부아 공자 외젠[7]에게 먼지나게 털리며 1706년 동생과 함께 제국추방령을 당하고 스페인령 네덜란드로 도피했다. 위트레흐트 조약으로 바이에른으로 돌아올 수 있었으나 그 사이 바이에른은 오스트리아와 팔츠 선제후국에 탈탈 털린 뒤였다.
프로이센 국왕이 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이 된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영국 국왕이 된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크 루트비히를 보며 희망을 버리지 않은 막시밀리안 에마누엘은 1724년 동생인 쾰른 선제후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팔츠 선제후 카를 3세 필리프, 트리어 선제후 프란츠 루트비히와 손잡아 비텔스바흐 가문 연합을 만들었다. 1726년 2월 26일 뮌헨에서 사망했고, 그가 만든 비텔스바흐 연합은 1740년 카를 6세가 사망하고 마리아 테레지아가 즉위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벌어지는 도중 개최된 황제선거에서 아들 카를 알브레히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되면서 빛을 보았다.
3.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토니아 (Maria Antonia von Habsburg) | ||||
1남 | 요제프 페르디난트 (Joseph Ferdinand) | 1692년 10월 28일 | 1699년 2월 6일 | |
테레사 쿠네군다 소비에스카 (Teresa Kunegunda Sovieska) | ||||
1녀 | 마리아 아나 카롤리네 (Maria Anna Karoline) | 1696년 8월 4일 | 1750년 10월 9일 | |
2남 | 카를 7세 (Karl VII) | 1697년 8월 6일 | 1745년 1월 20일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슬하 1남 6녀[8] |
3남 | 필리프 모리츠 마리아 (Philipp Moritz Maria) | 1698년 8월 5일 | 1719년 3월 12일 | |
4남 | 페르디난트 마리아 이노센츠 (Ferdinand Maria Innocenz) | 1699년 8월 5일 | 1738년 12월 9일 | 노이부르크의 마리아 아나 슬하 2남 1녀 |
5남 | 쾰른 선제후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Clemens August) | 1700년 8월 17일 | 1761년 2월 6일 | |
6남 | 요한 테오도어 (Johann Theodor) | 1703년 9월 3일 | 1763년 1월 27일 |
[1] 줄여서 Max Emanuel로 표기하기도 한다.[2] 쾰른 선제후.[3] 쾰른 선제후.[4] 루이 14세의 적자 그랑 도팽 루이의 아내로 프티 도팽 루이와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어머니다. 프랑스어로는 마리 안 빅투아르.[5]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이 합스부르크 왕조 레오폴트 1세의 사위이고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의 누나 마리아 아나 빅토리아는 프랑스 루이 14세의 왕세자비였다.[6] 장인인 얀 3세 소비에스키는 처남인 야쿠프를 지지했으나 장모인 마리 카지미르 다르키앙은 띨띨한 아들 야쿠프 대신 야망있는 사위 막시밀리안 에마누엘을 차기 국왕으로 밀면서 서로 다투었다. 결국 장모의 직감은 틀리지 않아 얀 3세 사후 야쿠프는 국왕 선거에서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에게 패배했다.[7] 사부아 공자 외젠과 막시밀리안 에마누엘은 육촌 친척지간이었다.[8]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