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00:42:43

튀르키예-리비아 관계

터키-리비아 관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원형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서아시아·북아프리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동서관계
파일:베르베르기.svg
베르베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튀르키예 리비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중세2.3. 근세2.4. 근대2.5. 20세기2.6. 21세기
2.6.1. 2020년대
3. 대사관, 교통 교류4. 관련 문서

1. 개요

튀르키예리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리비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고 양국간에도 정치적인 갈등이 있었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아나톨리아 서부 해안지대와 리비아 동부 해안지대는 고대 그리스어권으로 엮어 있었는데, 고대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 서부 해안지대에 에페소스, 밀레토스, 페르가몬 등의 도시를 세우고 리비아의 해안지대에도 키레나이카, 벵가지, 트리폴리 등의 폴리스들을 건설하였기 때문이다. 로마 제국 시대에도 리비아 동부는 아나톨리아와 함께 그리스어가 공용어로 통용되곤 했다.

2.2. 중세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는 과정에서 리비아에는 로마 제국의 행정력이 무너지고 반달 왕국이 들어섰다. 서기 6세기 오늘날의 아나톨리아를 중심으로 한 동로마 제국에서 반달 왕국을 멸망시키고, 북아프리카 해안 지대에 아프리카 총독부를 설치하여 리비아 북부 해안지대에 행정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서기 7세기 이슬람 제국의 팽창 과정에서 트리폴리타니아 일대는 이슬람 제국에게 정복되었고, 이어 아프리카 총독부가 붕괴되면서 리비아 해안지대와 아나톨리아 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로마 제국 사이의 관계는 재차 단절되었다.

2.3. 근세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를 예속화한 뒤 마그레브 방향으로 확장하여 오늘날의 리비아에 해당하는 지역까지 정복하였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리비아 지배는 해안 지역 거점 도시들을 중심으로 한 형태의 지배에 국한되었으며, 당시 리비아 일대는 그렇게까지 생산력이 높은 지역이 아니었던 이유로, 별 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리비아 일대에는 지방 세력들의 반자치가 이루어졌다. 오스만령 트리폴리타니아 문서 참조.

2.4. 근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북아프리카 지역이 프랑스, 스페인의 지배를 받고 리비아 지역도 카라만리 왕조가 잠시 들어선 적도 있었다.

2.5. 20세기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의 결과 리비아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에서 이탈리아의 식민지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엔베르 파샤는 리비아의 수피즘 종단인 세누시야 수피 교단에게 영국과 이탈리아를 대상으로 지하드를 벌일 것을 요구하였고, 이는 세누시야 수피 교단의 저항이 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몰락하고 신생 튀르키예 공화국이 출범했다. 그리고 리비아 지역은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독립국이 되면서 양국은 공식수교했다. 하지만 냉전시절에 리비아는 카다피 정권 시절에 소련, 중국과 협력을 자주 한 반면, 튀르키예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해서 정치적으로 갈등이 존재했다.

2.6. 21세기

양국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치적으로 갈등을 빚었다. 카다피가 사망한 뒤에 양국관계는 회복되었다. 튀르키예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에르도안 정권이 리비아에 대해 관계를 맺었는데, 특히 리비아의 트리폴리 정권을 인정하고 있다.

리비아 내전이 일어나자 튀르키예는 리비아에도 개입했다. 2021년 2월 11일에 튀르키예측은 리비아에 군대를 주둔한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정회원국들이다.

2.6.1. 2020년대

2021년 7월 7일에 튀르키예 외교부는 리비아에서 발생된 튀르키예 국기 모독 행위에 대해 비판했다.#

2021년 8월 7일에 에르도안 대통령은 리비아의 압둘하미드 모함메드 드베이바 과도 정부 총리를 접견했고 양국관계에 대해 논의했다.#

2021년 11월 6일에 에르도안 대통령이 압둘-하미드 모함메드 드베이바 리비아 과도 정부 총리를 접견했다고 튀르키예 대통령실이 밝혔다.#

3. 대사관, 교통 교류

트리폴리에 주 리비아 튀르키예 대사관, 앙카라에 주 터키 리비아 대사관이 존재한다.

두 나라들을 이어주는 공항이 존재한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