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권 | 몽골 | 인도 |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아프가니스탄 | 위구르 | 우즈베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
유럽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몰도바 | 조지아 |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가가우지아 | 독일 | 오스트리아 | ||||
폴란드 | 헝가리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알바니아 | ||||
그리스 | 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 코소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핀란드 | 이탈리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이라크 | ||||
쿠웨이트 | 바레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
이스라엘 | 레바논 | 쿠르드 | 이집트 | 튀니지 | ||||
리비아 | 알제리 | 요르단 | 수단 공화국 |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
미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다자관계 | ||||||||
키프로스 5+1 회담 |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 튀르키예·이란·아랍권 |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 유럽연합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유럽 | |||||
대한민국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독일 | 리히텐슈타인 | ||
폴란드 | 체코 | 헝가리 | 영국 | 프랑스 | ||
스페인 | 이탈리아 |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 튀르키예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크로아티아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
다자관계 | ||||||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
튀르키예 | 오스트리아 |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와 튀르키예의 관계. 오늘날 오스트리아는 튀르키예의 유럽 연합을 가입을 적극 반대하는 나라이기도 하다.2. 역사적 관계
2.1. 근세
합스부르크 제국의 특수성은 그 다종족적, 다민족적 특성이 아니라 이 다민족 제국을 유지시킨 요인에 있었다. 합스부르크 제국의 독일인(오스트리아인)은 특별히 인구가 많거나 군사적으로 우월한 것은 아니었다. 즉 오스만 제국의 팽창이 이들 기독교 영토에 가하는 더 큰 위협이 없었다면, 합스부르크 가문은 결코 유럽 동남부에 새로운 영토를 획득하거나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한마디로 합스부르크 제국은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방어 세력으로 생겨난 제국이었다. 동남부 유럽인들은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 중 차악으로 어쩔 수 없이 합스부르크를 택했다.
민족 / 아자 가트, 알렉산더 야콥슨
민족 / 아자 가트, 알렉산더 야콥슨
튀르키예와 오스트리아는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 시절부터 숙적이었다. 제1차 빈 포위 때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수도 빈이 점령당할 뻔하기도 했다. 이후 30년 전쟁이 발발하자 보헤미아 왕국 대표들이 오스만 제국에게 개입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당시 사파비 페르시아를 주적으로 여겼던 무라트 4세는 이 요청을 기각했다. 합스부르크 제국은 오스만 제국과 헝가리 왕국을 삼분할해 지배하다가[1] 제2차 빈 포위와 뒤이은 대 튀르크 전쟁으로 합스부르크 제국이 헝가리 왕국 전역을 지배했다.
2.2. 19세기
오스트리아 제국과 그 후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오스만 제국이 약해지자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발칸반도로 진출하면서 영토를 확장해나가는데, 이 과정에서 한 때는 오스만 제국에 맞선 동맹이었던 러시아 제국과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오스트리아 측의 대독일주의와 러시아 측의 범슬라브주의가 충돌하게 되었다.튀르키예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거의 하늘이 준 것과 같은 효용성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튀르키예가 작은 발칸 국가들의 현상 유지를 보존하고 이들의 민족적 열망을 막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튀르키예가 없었다면 이 모든 열망을 우리가 감당해야 했을 것이다. (중략) 만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가 세르비아나 몬테네그로로 가게 되거나 우리가 막을 수 없는 새로운 국가가 그곳에 생겨나면 우리는 망하게 되고, 우리가 '병자'이 역할을 떠맏아야 할 것이다.
헝가리 왕국 외무장관 언드라시 줄러
헝가리 왕국 외무장관 언드라시 줄러
오스만 제국이 유럽의 환자라는 별명으로 조롱받던 시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도층은 오스만 제국의 현상 유지를 바라는 의견이 종교적인 열망으로 오스만 제국을 침공하자는 의견이 서로 대립하였다. 결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병합한 것은 언드라시 줄러의 예언대로 사라예보 사건과 그 뒤이언 제1차 세계 대전, 트리아농 조약과 생제르맹 조약을 통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로 이어졌다.
2.3. 20세기
오스만 제국 내 청년 튀르크당 운동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실질적으로는 자신들이 지배하고 있으나 명목상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공식적으로 병합하였다. 이는 이른바 보스니아 위기라고 하여 당대에 지정학적인 긴장 관계를 불러 일으켰다.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동맹국이라 관계가 좀 개선되는듯 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양국은 패전국이 되면서 많은 영토를 잃었다. 그리고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었고 신생 오스트리아 공화국과 튀르키예 공화국이 생겨나면서 수교했다.
2.4. 21세기
오스트리아에는 지금도 튀르키예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2] 오스트리아는 튀르키예의 유럽연합가입도 반대했고 게다가 이미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2018년 6월 8일에 오스트리아 정부는 튀르키예 출신의 이슬람 성직자 60여명을 추방하겠다고 밝히자 튀르키예와의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그리고, 극우 자유당대표는 에르도안을 찍은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로 돌아가야 한다고 발언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는 터키어 운전면허시험을 폐지했다.#
2020년 6월 23일 튀르키예 외교부는 난민 문제와 관련해 그리스를 옹호하고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를 비판하는 성명을 냈다.#
그러나 이들의 외교성항은 비슷한 편이다. 역사적으로 주변국가들을 침략한 전적이 있으며 주변국가들에게 밉상 취급받는 것까지 말이다.[3]
2020년 9월 1일에 오스트리아 정부는 튀르키예 스파이를 체포해 기소했다고 밝혔다.#
2023년 2월 11일, 오스트리아군은 점점 어려워지는 안보 상황 때문에 튀르키예에서의 구호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3. 관련 문서
- 오스트리아/외교
- 튀르키예/외교 / 튀르키예-유럽 관계(유럽연합-튀르키예 관계)
- 오스트리아/역사
- 튀르키예/역사
- 오스트리아/경제
- 튀르키예/경제
- 오스트리아/문화
- 튀르키예/문화
- 오스트리아인 / 튀르키예인
- 독일어 / 튀르키예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