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09:41:34

트랜스젠더

Transgender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사회적\에 대한 내용은 성전환(젠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성소수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1.8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373a3c> 주요 분류 성소수자 · LGBT (레즈비언(L) · 게이(G) · 양성애(B) · 트랜스젠더(T) · 퀘스처닝(Q) · 인터섹스(I) · 무성애(A) · 범성애(P) · BDSM(K))
상세 분류 인터섹스
젠더퀴어 · 바이젠더 · 안드로진 · 논바이너리 · 뉴트로이스 · 에이젠더 · 팬젠더 · 트라이젠더 · 데미젠더 · 젠더플루이드 · 트랜스젠더 · 젠더리스 · 젠더플럭스 · 제노젠더
남성애와 여성애 · 동성애 · 양성애 · 호모플렉시블 · 헤테로플렉시블 · 다성애 · 범성애 · 전성애 · 무성애
퀘스처닝
기타 분류 및 은어 크로스드레싱 (여장 · 남장 · 드랙 · 트랜스베스티즘 · 자기여성애) · BDSM · 후타나리 · 쉬메일 · 넷카마 · 에세머 · 혐오 레토릭 · 젠더 표현
성전환 성 지정 · 성별 불쾌감 · 트랜스여성 (트랜스페미닌 · 쉬메일) · 트랜스남성 (트랜스마스쿨린 · 히피메일) · 패싱
과정 · 성전환증 · 성전환 치료 · 호르몬 치료 · 얼굴 여성화 수술 · 얼굴 남성화 수술 · 가슴성형 · 성전환 수술 · 성전환수술자
탈성전환 · 데이비드 라이머 · 포스트젠더리즘 · 제3의 성 · 성별 비순응
현황 및 인식 성소수자 국가별 현황/대한민국 (동성애자 · 트랜스젠더 · 인터섹스) · 성소수자 비하명칭 · 성소수자 인권단체/대한민국 (목록) · 성소수자 인권포럼 · 스포츠 · 퀴어 · 퀴어신학 · 퀴어 이론 · 퀴어학 · 얼라이 · 커밍아웃 · 오픈리 · 스텔스 · 아웃팅 · 혐오증 (호모포비아 (게이포비아 · 레즈보포비아 · 자유주의적 호모포비아) · 바이포비아 · 트랜스포비아 · TERF · 트랜스여성혐오) · 핑크워싱
이데올로기 (진보주의 · 소수자 운동 · 신좌파 · 성소수자 보수주의 · 성소수자 자유주의 · 성소수자 사회주의 · 트랜스페미니즘 · TIRF · 성해방주의 · 핑크자본주의 · 퀴어 내셔널리즘 · 호모내셔널리즘)
제도 및 이슈 탈동성애 운동 · DADT · 교정강간 · 여폭법 성소수자 배제 관련 논란 · 성소수자 없는 구역 · 소도미법 · 군형법상 추행죄 · 나중에 · 다했죠? · 차별금지법/대한민국 · 가족구성권 · 동성혼 · 시민결합 · 성별 정정 · 성중립 화장실 · 욕야카르타 원칙
논란 및 사건 사고 스톤월 항쟁 · 홍석천 커밍아웃 · 티나 브랜든 살인사건 · 배살구 피살사건 · 육우당 활동가 자살사건 · 비온뒤무지개 법인화 불허 논란 · 육군참모총장 동성애자 군인 색출 처벌 지시 사건 · 부사관 성전환 사건 · 트랜스젠더 숙명여대 합격자 입학 반대 논란 · 이태원 클럽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건 · 신촌역 성소수자 차별반대 광고 훼손 사건 · 김기홍 활동가 자살 사건 · 변희수 하사 자살 사건 · 오태양 성소수자 현수막 훼손 피해 사건 · 2023년 대구 퀴어문화축제 공권력 대치 사태
문화 대한민국 성소수자 커뮤니티 · 대중문화에서의 성소수자 · 은어 · 게이바 · 레즈비언바 · 트랜스젠더바 · 여장 클럽 · 프라이드 플래그 · 프라이드 퍼레이드 · 퀴어문화축제 · 게이 게임(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 위장결혼 · 팬픽이반 · 브로맨스 · 워맨스 · 까만봉지 · 잠방 · 게이 게임 · 퀴어 문학 · 퀴어 영화 · BL 작품 · 장미 작품 · 백합 작품
관련 인물 분류:게이 · 분류:레즈비언 · 분류:양성애자 · 분류:범성애자 · 분류:무성애자 · 분류:트랜스여성 인물 · 분류:트랜스남성 인물 · 분류:인터섹스 · 분류:논바이너리 · 분류:젠더퀴어 · 분류:성소수자 인권운동가}}}}}}}}}


인간의 성(性) 특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232529>생물학적 성별
(sex)
<colbgcolor=#E8E8E8,#3B3E45>분류남성 · 여성 · 인터섹스
같이 보기성결정계 · 성 지정 · 생식(동성생식) · 생식 기관 · 무성별
성 정체성
(gender identity)
분류성소외자 · 트랜스젠더(MTF · FTM · 트랜스섹슈얼) · 시스젠더 · 젠더퀴어/논바이너리(안드로진 · 바이젠더 · 에이젠더 · 젠더리스 · 팬젠더 · 뉴트로이스 · 젠더플루이드 · 트라이젠더 · 제노젠더) · 제3의 성 · 중성
같이 보기성별 · 젠더 · 젠더 시스템(젠더 이분법)
성적 지향
(sexual orientation)
분류이성애 · 동성애(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유성애 · 무성애 · 범성애 · 다성애 · 전성애 · 남성애 / 여성애
같이 보기성소수자 · 비성소수자 · 성적 정체성 · 성애
로맨틱 지향
(romantic orientation)
분류이성로맨틱 · 동성로맨틱 · 양성로맨틱 · 무로맨틱
같이 보기연애(이성연애 · 동성연애 · 양성연애 · 비연애) · 로맨틱 정체성
성적 특성 질문
(question)
분류퀘스처닝
같이 보기성 정체성 · 성적 정체성 · 로맨틱 정체성 · 젠더 표현 · 성별 비순응
}}}}}}}}} ||
파일:트랜스젠더 프라이드 플래그.svg
트랜스젠더의 프라이드 플래그
최상단과 최하단의 하늘색은 어린 남자아이를, 그 사이의 분홍색은 어린 여자아이를, 중간의 하얀색은 인터섹스젠더퀴어를 상징한다.

1. 개요2. 상세3. 언어별 명칭4. 혼동하기 쉬운 개념5. 트랜스젠더 반대론자들의 주장과 그에 대한 반론6. 동성애자와 트랜스젠더7. 트랜스젠더의 패싱8. 러버9. 관련 용어10. 트랜스젠더의 스포츠 참여11. 국가별 현황12. 실존 인물
12.1. 트랜스여성 (MTF)12.2. 트랜스남성 (FTM)12.3. 관련 문서
13. 제3의 성 / 젠더퀴어14. 관련 매체15. 가상의 트랜스젠더 캐릭터16. 관련 링크

[clearfix]

1. 개요

트랜스젠더(Transgender)는 성별 정체성[1] 태어날 당시의 1차 성징에 따라 판별 받았던 육체적 성별과 다르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칭한다. 약칭은 트랜스 혹은 트랜이며 대한민국에서는 트젠, 영어TG라고 하기도 한다.

2. 상세

젠더 정체성태어나 지정된 성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다. "젠더 정체성"은 "젠더"라는 것과는 다르다. 젠더는 태어난 성별에 사회가 부여하거나 기대하는 문화적인 성역할과 관련된 용어지만, 젠더 정체성은 개인이 자기 스스로의 성별에 대해 느끼는 내적인 감각이다. 둘은 어느정도 비례하는 경향이 있지만, 사회적인 맥락에서 표준적인 반대성별의 성역할을 따르지 않거나 관심이 없더라도 스스로가 느끼는 성정체성의 불일치감이 있다면 트랜스젠더다. 자신의 신체에 대한 문제, 그리고 그 신체가 사회에 상호작용 하는 것에서 오는 개인적인 불일치감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태어나 지정된 성과 반대성별에 가까운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은 트랜스여성(MtF)/트랜스펨, 트랜스남성(FtM)/트랜스마스크로 부르며, 태어난 성별과 불일치하는 성정체성을 가졌다고 생각하지만 반대의 성별과도 일치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을 가르켜 폭넓게 논바이너리라고 부른다.

트랜스젠더, 트랜스섹슈얼 이 두단어 모두 한국에선 성전환자라고 번역되지만 미묘하게 다른 의미가 있고 사회운동에서 사용될 경우 정치적인 의미도 다르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용어는 트랜스섹슈얼이다. 이는 의학적인 맥락에서 신체적 성별을 바꾸고 싶거나 바꾼 사람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1990년대 무렵부터 트랜스섹슈얼이라는 단어는 의료적이고 병리학적인 의미가 있고, 신체에 대한 피상적인 측면만을 보고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사회운동에서 표면상의 신체적 성이 아닌 내적인 "젠더 정체성"의 측면을 강조하며 트랜스젠더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서양에서는 여전히 트랜스섹슈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는데 나이가 많아서 그런 경우도 있고, 의학적인 맥락에서 트랜스젠더를 설명하기 위해 그 용어를 쓰는 사람도 있고, 무언가 기준을 잡아야한다면서 트랜스섹슈얼 이라는 용어를 고집하는 경우도 있다.[2]

자신의 내적 정체감에 따라서 정체성을 외부로 표현하는 것을 젠더 표현이라고 부른다. 젠더 표현에는 말투나 몸짓 같은 부분도 있고, 외모적 치장과 같은 부분도 있다. 대부분의 문화권과 사회에서는 성별에 따라 요구되거나 금지되는 젠더 표현이 존재한다. 많은 트랜스젠더들은 이런 문제에서 사회와 충돌하면서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런 괴로운 감정을 성별 불쾌감이라고 부른다. 불쾌감은 자신의 신체와 관련될 수도, 그런 신체를 사회가 바라보는 맥락에 따라서 발생할 수도 있고, 그 두가지가 복합적으로 섞여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직접적인 젠더 정체성의 문제를 겪지 않더라고 사회가 요구하는 젠더 표현 강요와 탄압 때문에 갈등을 겪는 사람도 있는데 이런 사람들은 젠더 비순응자라고 부른다.

자신의 본래 젠더를 숨기고 살아가는 것 때문에 스트레스우울증불안장애, 대인기피증 등의 정신질환을 갖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이는 트랜스젠더에 대한 몰이해와 사회적 폭력에 기인한 것으로 트랜스젠더 당사자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 봐서 트랜스젠더는 '정신질환'이 아니다. DSM-IV에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s)'라는 이름으로 기재되었지만, 최근 DSM-V에서는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장애'라는 말이 사라졌다. # '성별 불쾌감'이란 자신의 신체적 성별과 성 정체성의 불일치로 불쾌감을 느끼거나 혹은 자신의 태생 성별의 전형적인 모습을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한 사회적 압력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등을 뜻한다. 현재 DSM 진단의 대상이 되는 것은 젠더 라는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개인적인 "고통"이다. 그 사람의 개인적인 고통을 치유한다는 맥락에서 접근할 뿐, 타인이 정체성에 대해 규정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3] 성별 불쾌감이라는 용어는 70년대 부터 트랜스젠더 관리하는 의사들이 계속 사용해왔다.[4]

수술과 호르몬제 투여 등을 통해서 신체적으로도 스스로가 지각하는 성과 흡사한 모습이 되게 바꾸는 경우가 많지만, 성전환 의료를 거치는지의 여부는 트랜스젠더의 정체성과는 관계가 없다. 즉, 수술을 했든 안 했든 자기 스스로가 느끼는 성 정체성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수술이나 호르몬 요법을 하지 않고 행복하게 사는 트랜스젠더도 있다. 수로만 봤을 때만 많지 퍼센트로 보면 소수지만 성기 수술이 제일 복잡하고 중요한 단계인 관계로 비용이 만만치 않고, 생식 기관 수술 후의 부작용이나 호르몬 문제 등이 복잡하여 성기를 제거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트랜스젠더(transgender)는 "정신적인 성별"인 젠더(gender) 문제이고, 인터섹스(intersex)는 "육체적인 성별"인 섹스(sex) 문제인 것만 봐도 gender와 sex의 쓰임이 다름을 알 수 있다.

트랜스젠더라 할 수 없지만 트랜스젠더의 잘못된 편견과 정보로 인해, 그리고 트랜스젠더를 성전환자라고만 생각한 시스젠더(Cisgender)가 '난 치마하고 핑크를 좋아하고 남자를 좋아하니까 트랜스젠더인가?', '난 스포츠를 좋아하고 여자를 좋아하니까 트랜스젠더인가?[5]' 라고 생각하고 성전환 절차를 밟다가 정신과에서 막힌다든지, 어둠의 경로로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을 하고 변하는 몸과 변하는 몸에 의한 성별불쾌감 가족과 인연의 단절, 직장에서의 취직률 하락 같은 것 때문에 후회하는 안타까운 사람도 트랜스젠더 집단에 어느 정도 섞여있다.[6]

3. 언어별 명칭

4. 혼동하기 쉬운 개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스젠더/혼동하기 쉬운 개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트랜스젠더 반대론자들의 주장과 그에 대한 반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스젠더/트랜스젠더 반대론자들의 주장과 그에 대한 반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동성애자와 트랜스젠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성애자와 트랜스젠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트랜스젠더의 패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패싱(젠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러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관련 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스젠더/용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트랜스젠더의 스포츠 참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스젠더/스포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국가별 현황

트랜스젠더/국가별 현황 문서 참조.

12. 실존 인물

12.1. 트랜스여성 (MT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스여성/실존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트랜스남성 (FT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랜스남성/실존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3. 관련 문서

13. 제3의 성 / 젠더퀴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3의 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젠더퀴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관련 매체

트랜스젠더/관련 매체 문서 참조.

15. 가상의 트랜스젠더 캐릭터

여성스러운 용모를 가지고 있어도 스스로를 남성으로 인식하는 오토코노코나 성별이 바뀌는 TS물은 해당 항목에 표기하며 확실하게 트랜스젠더임이 드러난 경우만 작성한다.

* 그렐 서트클리프 - 흑집사
* 나루카미 아라시 - 앙상블 스타즈!![9]
* 노사카 노조미 - 스누스무무리크의 연인
* 로버타 멀둔 - 가아프가 본 세상(The World According to Garp)
* 마리나 도멕 - Fear & Hunger 2: Termina
* 마현이 - 이태원 클라쓰
* 매들린 - Celeste
* 멜로디 아마란스, 클레어 힉스비 - 슈퍼 레즈비언 애니멀 RPG(Super Lesbian Animal RPG)
* 미노가와 사쿠야(美濃川昨夜) - 메이드 찻집 히로시마
* 미셸 볼렝저 - 파타 모르가나의 저택
* - 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
* 불비안 -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2024) 미국판[10]
* 브리짓 - 길티기어 시리즈 [11]
* 비너스 반 뎀 - 썬즈 오브 아나키
* 비센테 - 내가 사는 피부[12]
* 셀리 메이 - 헬러바 보스[13]
* 스왈로브세키 - 사랑의 아쿠아리움
* 시스터 - 스타워즈: 여왕의 희망
* 신시아 웰트먼 - 라비헴 폴리스
* 아키야마 미즈키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14]
* 알리시아 여(Alysia Yeoh) - 배트걸
* 에리카 - 캐서린, 캐서린 풀 보디
* 이와오카 사토리, 메이(타테바야시 아키라) - 이해할 수 없는 나의 모든 것을
* 아유카와 류지- 블루 피리어드
* 야마토[15], 키쿠노죠, 몰리 - 원피스
* 요코타 스스무(横田進) - 패밀리 컴포[16]
* 장도팔 - 여자 사람 친구(코미디 빅리그 2016년 코너)
* 정나미(정지훈) - 어서오세요, 305호에!
* 조안 램버트 - 에이리언 시리즈
* 죽음에 웃음짓는 알레샤 - 매직 더 개더링
* 지젤 쥬엘 - 블리치
* 카이니스 - Fate/Grand Order[17]
* 키사라기 루이 - 킹 오브 프리즘 [18]
* 쿠리타 카오루 - 원더 에그 프라이어리티[19]
* 타카사고 아키오 - 휴먼버그대학교
* 아리마 분타 - 휴먼버그대학교
* 하루 - one night, hot springs
* 호랑이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20]
* 혼죠 카마타리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6세대의 아가씨[21], 님피아[22] 포켓몬스터 시리즈
* 카탈리스트 - Apex 레전드

16. 관련 링크



[1] # "Gender identity: A person’s inner sense of being a girl/woman, boy/man, some combination of both, or something else, including having no gender at all. This may or may not correspond to one's sex assigned at birth."[2] 트랜스젠더라는 말의 범주가 조금 더 넓기 때문에 그 안에서 다양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샘 스미스, 엘리엇 페이지 둘 모두 자신을 논바이너리로 여기지만 샘 스미스는 겉으로 보여주는 모습이 태어난 성별인 남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신체적 성징을 바꾸는 것엔 전적으로 무관심한 면모를 보인다. 반면 엘리엇 페이지의 경우 그 문제에 많은 고민을 하고 시술을 통해 전반적인 모습이 남성화됐다. 둘다 "젠더 정체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논바이너리지만 페이지의 경우는 신체적 성징에 대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논바이너리 트랜스섹슈얼이다. 한편으로 의료적 성전환을 하지 않았거나, 하지않기로 결정을 했더라도 신체적 성징에 대한 문제로 고민하고 괴로워하는 사람이라면 트랜스섹슈얼로 분류된다. 트랜스섹슈얼이라는 용어는 그런 성향을 가진 사람을 뜻하는 용어이지 성전환 관련 시술 상태를 뜻하는 말은 아니기 때문이다.[3] #[4] "성전환을 요청하는 신청자의 감별진단이 동성애, 트랜스베스티즘, 성전환증으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 명확성보다는 모호함이 더 큽니다. 너무 많은 환자가 그 사이의 회색 영역에 속합니다. 설명적인 하위 범주를 추가하여 전체 분류를 선택하는 것이 더 실행 가능해 보입니다. 이를 염두에 두어 저는 성전환을 요청할 만큼 성별에 대한 불편함, 편향, 불안이 충분한 상태를 성별 불쾌감 증후군으로 부를 것을 제안합니다. 내가 아는 바로는 이 훌륭한 용어와 그 적용은 원래 Norman Fisk(1973)가 제안한 것입니다. 성별 불쾌감 증후군이라는 라벨이 부여하는 요소는 해부학적 성이 부적절하거나 불편하다는 느낌 역할 적환을 통해 개선이 이루어 질것이라는 느낌... 의학적 개입에 대한 적극적인 욕구 등이 있습니다. 이 정의에서 명시적인 것은 환자가 성전환에 대한 관심을 실현하기 위해 몇 가지 적극적인 조치를 취한다는 것입니다... 성별 불쾌감 증후군을 사용한다면 환자 자신의 성별에 대한 부조화를 강조할 수 있다는 추가 이점도 있습니다." Meyer, J.K. Clinical variants among applicants for sex reassignment. Arch Sex Behav 3, 527–558 (1974). https://doi.org/10.1007/BF01541136[5] 이 경우는 MTF 외의 트랜스젠더 존재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수가 매우 적다.[6] 이 경우는 탈 성전환을 하고 탈 성전환 운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호모포비아 성향을 띄고 동성애자를 정신이상자 취급을 한다. 이 사람들은 트랜스젠더랑 동성애자랑 혼동한다.[7] '트랜스젠더', 혹은 '트랜즈젠더'라고 발음한다.[8] 성별을 뛰어넘었다, 건넜다는 의미이다. 성전환 수술 및 법적 정정까지 완료한 사람은 '變性人'라고 별도로 칭한다. 다만 이 분야에 지식이나 관심이 없는 다수자들 입장에서는 두 개념을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9] 논란이 많긴 했으나 글로벌 런칭 때 영어로 쓰여진 캐릭터 소개문에서 he/him이 아니라 she/her로 지칭됨으로써 공식이 되었다.[10] 원작의 미국판에서는 평범한 여자라는 설정이었으나 리메이크판에서 트랜스여성으로 설정이 바뀌었다. 일본판과 이를 충실하게 번역한 한국판에서는 원작이나 리메이크나 똑같이 오토코노코인 설정이 유지되었다.[11] STRIVE에서 트랜스여성으로 정체성 설정이 바뀌었다.[12] 이쪽은 강제적 여성화에 의해 성전환수술자가 된 경우에 가깝다.[13] 밀리의 형제 중 하나. 성우의 트위터에서 직접 트랜스젠더로 밝혀졌다. 참고로 성우인 모가나 이그니스 또한 트랜스젠더이다.[14] 설정상으로 성별 불명이지만 지정성별 남성에 여성적인 외형과 젠더 표현을 추구하며, 자신을 남성으로 지칭하지 않는다.[15] 트랜스젠더라기보다는 자신의 정체성을 오뎅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에 가깝다.[16] 여장/남장이 넘쳐 흐르는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제대로 시술을 받은 사례.[17] 생전에 육체적 성별이 남성으로 바뀌며 정신적 성별 또한 바뀌었다. 단, 서번트로 현현 시 육체적 성별은 여성이나 정신적으로는 남성.[18]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루이의 진짜 정체를 생각하면, 게이보다는 이성애자에 가깝다.[19] 자켓 디자인에서 대놓고 트렌스 남성임을 강조한다.[20] 태국으로 갈 때는 여자였지만 일본으로 돌아올 땐 남자였다고 한다.[21] 패배 후 "나는 반 년 전에는 태권왕이었단다. 현대 과학 기술은 놀라워." 이라며 직접 밝힌다.[22] 공식 설정이 아니다. 수컷의 성비가 87.5% 이지만 여성스럽게 생긴 점과, 색상이 프라이드 플래그와 완전히 일치한다는 점 때문에 트랜스젠더 포덕후들의 마스코트로 애용된다.[23] 사이트 특성에 유의('oddee'). 부연설명하면 자극적인 사진들이 많이 올라오는 곳이다.[김승섭]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부교수가 국내 트랜스젠더들의 건강 문제를 연구한 과정을 정리한 것. TG 이슈뿐만 아니라 학술적으로도 맨땅에 헤딩하여 연구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인지(시론 → 해외 문헌 검토 → 질적 연구 → 설문조사 → 실험 연구) 그 흐름을 보여주는 교과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25] 법적 성별 정정을 했다는 이야기 지만#, 이 분야에 무지한 사람들이 그렇듯이 성전환을 "수술"이라는 의미로 착각해서 잘못보도하고 있다. 이 분야의 전문 학회들은 미성년자의 성전환 수술은 금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