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8:32:25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한지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주한미군에 파견되는 대한민국 육군의 병사들에 대한 내용은 KATUS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제1101공병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 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 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 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 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 제7군수지원단 · 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 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지능정보기술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전투지휘훈련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 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 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 군사경찰단
인사사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 근무지원단
3사교 근무지원단
학군교 근무지원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해체된 독립단
}}}}}}}}}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駐韓 美八軍 韓國軍支援團
Eighth United States Army Republic of Korea Army Support group
파일:한국군 지원단 마크.png[1]
창설일 1950년 7월 26일 ([age(1950-07-26)]주년)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육군인사사령부
규모
약칭 한지단, RSG[2]
역할 주한미군에 대한 대한민국 육군 병력 지원[3]
단장 대령 구석모
위치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캠프 험프리스

1. 개요2. 특징3. 예하부대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파일:제8군 마크.svg
제8군 마크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육군인사사령부 직할부대이며, 미국 제8군의 RSG 산하 조직이다.

대한민국 육군 부대이지만 특이하게 미합중국 육군의 제8군의 편제인 RSG(ROKA Support Group) 소속으로 한미 육군 양쪽에 다 들어가 있는데, 이는 KATUSA 병력들 때문이다.[4]

카투사 출신들은 자대배치시 단본부 소속으로 배치받는 인원들이 직할부대로 배정된 인원이다. 이외 각 산하 큰 부대에 ROKA Staff Office(RSO), 즉 한국군 인사과가 따로 배치되는데 역시 단본부 산하 조직이다.

단본부 소속의 경우 카투사 지원이 주 업무이며 RSO의 경우 일반 육군의 행정반과 같은 역할이다.

2. 특징

본부는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 위치하고 있다.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은 본래 한미연합군사령부 소속이었으나, 1977년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부대로 한차례 편입된 이후 2009년 육군인사사령부 예하로 다시 편입되었다.

주 임무는 KATUSA 인원들을 관리하는 부대이다.

지원단장은 전역을 앞둔 육군 대령이 보임된다. 하지만, 과거에는 소장 및 준장이 단장으로 배치된 기록이 있다. 한미연합군사령부 창설 이후부터 대령 보임이 관례가 된 듯하다. 그밖에는 지원대장은 소령이나 대위가, 지원반장은 원사나 상사, 아주 드물게 중사가 보임된다. 지원대장은 카투사들의 국군측 중대장 역할에 대응되고, 지원반장은 행보관 역할에 대응된다고 보면 되는데 미군측 부대 사정이나 해당 부대에 배정받는 카투사 인원소요에 따라 지원대만 있는 곳도 있고 지원반만 있는 곳도 있다.[5]

여기 근무하는 한국 육군 부사관(Non-Commissioned Officer)과 들은 지원단 소속 한국 육군 사병(Enlisted)들에게 미 육군의 피복 일부를 지급하기로 한 한미간 협정에 따라, 전투복과 개인 장구류 등을 미 육군의 것을 지급받는다. 미 육군들과 동일한 OCP 전투복을 착용하고 있지만, 국기패치와 오른쪽 가슴에 다는 군종 패치[6]에서 차이를 알 수 있다. 계급장도 미군 계급장이 아니라 한국군 계급장을 쓴다 정복 등의 일부 피복은 지급되지 않으므로, 정복이나 근무복 착용 지시 시 한국 육군 부사관들은 한국 육군 정복과 근무복을 착용하게 된다. 단, 카투사 병사들 중, 미군 행사에 참석해야 하는 일이 많거나 대외적으로 보여질 일이 많은 보직을 받은 경우, 각 유닛 NCO들의 재량에 따라 부대 운영비에서 각출하여 미 육군 사병용 정복을 맞춰주기도 한다. 미 육군 피복 지급 대상이 아닌 준위 이상의 장교들은 상시 한국 육군 피복을 착용해야 한다.

3. 예하부대

  • 1 지역대
    동두천의 캠프 케이시와 호비를 담당한다.
  • 2 지역대
    용산을 비롯한 수도권 기지들 및 용산에서 평택으로 이전한 부대들을 담당한다.
  • 3 지역대
    2지역대 소속 부대를 제외한 평택 전체를 담당한다. 수원 공군기지와 오산 공군기지가 포함된다.
  • 4 지역대
    대구의 캠프 워커와 헨리, 왜관의 캠프 캐롤, 군산 공군기지 등을 담당한다.

4. 출신인물

4.1. 단장

역대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김봉식 예) 대령 단장
2대 양희두 예) 준장 종합 13기 제63훈련단장
3대 조옥식 예) 소장 제39보병사단
4대 안교덕 예) 대령 육사 11기 단장 [7]
5대 김영규 예) 소장 단장
6대 박희도 예) 대장 육사 12기 육군참모총장, 제3야전군사령관 [8]
7대 강우근 예) 준장 통역 15기 제65훈련단장
8대 신현각 예) 대령 단장
9대 예) 대령 단장
10대 예) 대령 단장
11대 이영우 예) 대령 단장
12대 양상태 예) 소장 육사 19기 단장 [9]
13대 예) 대령 단장
14대 예) 준장 단장
15대 예) 대령 단장
16대 예) 대령 단장
17대 예) 대령 단장
18대 정성길 예) 대령 단장 [10]
19대 예) 대령 단장
20대 예) 대령 단장
21대 김덕곤 예) 대령 단장
22대 이명완 예) 대령 단장
23대 윤원희 예) 대령 단장
24대 권영길 예) 대령 육사 37기 육군특수전사령부 기지이전사업단장
25대 이석재 예) 대령 육사 41기 한미연합군사령부 연습과장
26대 이철원[11] 예) 대령 육사 42기 필리핀 재해복구단 [12]
27대 하종식[13] 예) 대령 육사 44기 레바논 평화유지단
28대 허열 예) 대령 육사 45기 제52군수지원단
29대 이성재 대령
30대 구석모 대령

4.2. 장교/부사관

장교들의 경우, 소위 말년장교로 불리는 사람들이[14] 주로 한지단 장교에 지원하는데, 한지단 본부가 위치한 USAG 험프리스를 비롯하여 주한미군 부대들이 주로 도심지와 가까운 편이거나 전반적으로 시설과 복지들이 일반 국군 부대에 비해 좋기 때문에 인기가 꽤 높은 편이다.[15] 주로 카투사 지원대장을 맡는데, 보통 대위~소령 급이 보임되며, 한 Area 안에 있는 모든 지원대를 관리하는 지역대장은 중령급이 보임된다.

부사관은 카투사에서 전문하사를 신청하여 복무하거나 육군부사관학교에서 임관한 후 T.O가 나는 대로 선발한다. 지원반장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아 육군부대에서 근무중에 영어성적과 근무평정 등과 함께 서류심사를 거쳐 영어면접, 한국면접에 최종합격하여 오는 상사, 원사급이 가장 많으며 카투사 교육대 교관 등의 일부 보직에는 중사급도 선발된다. 부사관 또한 앞서 말한 이유 때문에 인기가 높다. 한지단의 병사인 카투사들 관리와 교육, 한미연합훈련 실무 담당 등을 주로 맡는다. KATUSA 특기를 부여받는 신분은 카투사 병에서 진급한 임기제부사관과 병사만이며, 임기제 부사관 외의 부사관과 장교부터는 그냥 한국군 지원단 소속 육군 간부이다.

4.3.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ATUSA 출신인물에 대한 내용은 KATUSA/출신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5.1. 근무환경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ATUSA 근무환경에 대한 내용은 KATUSA/생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한지단 마크는 건물 상징용으로만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간부와 병사 모두 미8군 마크를 착용한다.[2] ROKA Support Group. 주로 미군들이 부르는 약칭[3] 가장 큰 역할은 KATUSA 병력 관리이다.[4] 물론 미군 측의 명령을 직접적으로 받지는 않는다.[5] 지원대/반은 특정 단위의 미군부대에 들어가는 카투사들을 묶어서 관리한다. 이를테면 미 94 헌병대대 142 헌병중대에 들어가는 카투사들이 있다면 이들을 묶어서 한측 편제로 관리하는 것. 이렇게 하는 이유는 보통 같은 미측 편제가 같은 카투사들끼리는 사는 배럭도 같고 일하는 곳도 같은 경우가 많아서 관리나 카투사들의 고충들 들어주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수 부대에 배치된 카투사들의 경우, 다른 부대의 지원대/반에 꼽껴서 국군측 관리를 받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주한 미 특수전사령부에 복무하는 카투사는 단 6명뿐인데 해당 인원을 위해 따로 주한 미 특수전사령부 지원대나 지원반을 만들어 간부를 편성하는게 아니라 비교적 인원이 많은 미8군 본부대대 지원대/반에 소속시켜 국군 측 관리를 받게 하는 구조. 이렇게 생활하는 카투사들이 꽤 많고 심지어 원맨유닛인 경우에는 정훈교육 받을 때 모이는 수십명의 카투사들 중, 나만 달고있는 부대마크가 다른 경우도 허다하다. 이 경우에 상황에 따라 꿀과 헬을 오가는데, 예를 들어, 한측에서 귀찮은 일이 있거나 하면 선임병장이나 지원대반장에게 대충 미측 핑계로 둘러대면 쟤네는 부대가 달라서 그런갑다 하고 쉽게 빼준다. 반대로 내가 미측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 경우에 지원대/반장이나 선임병장에게 조치를 받기도 쉽지 않다. 규정상, 상사 이상이 지원반장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나와있고 중사급 부사관이 지원반장을 맡으려면 무조건 KTA 교관직을 6개월 이상 수료한 이후 T.O.가 나는 지원반의 지원반장직에 지원할 수 있다. 보통 지원반장이 상사여도 카투사들을 통솔/관리한다는 측면에서 미군에서는 지원반장을 Master Sergeant(상사)가 아닌 한 계급 위의 Sergeant Major(원사)로 불러준다.(Acting SGM) 하지만 중사가 보임되는 경우에는 얄짤없이 Sergeant First Class(중사)로 부른다.[6] 미 육군은 U.S ARMY가 적혀있지만, 카투사들은 ‘대한민국 육군 ROKA’로 한국 육군의 명칭이 한국어와 영어로 병기되어 있는 패치를 부착한다. 다만 종종 사비로 ROK ARMY로 영어만 명기된 패치를 만들어 다는 사람도 없지는 않다.[7]민정수석비서관[8] 12.12 군사 쿠데타 주요 인물[9]제27보병사단[10] 1993∼1995[11] 카투사들 사이에선 카투사들의 꿀을 없앤 사람으로 유명한데, 원래 카투사들은 미측휴일과 한측휴일을 모두 쉬었지만, 이철원 대령이 부임한 이후, 한국 공휴일은 설과 추석, 석가탄신일만 쉴 수 있게 바꾸었기 때문이다.[12] 배우 이시아의 아버지[13] 위의 이철원이 카투사의 꿀을 없앤걸로 유명하다면, 이 양반은 카투사의 싸대기를 어루만진(...) 사람으로 유명하다. 미군기지는 영내가 아니니 약하게 처벌받아야 한다.는 특급 개소리는 덤.[14] 진급에 관심이 없는 장교와 부사관에게는 최고의 꿀부대로 불리지만, 진급에 관심이 있는 간부들에게는 무덤으로 불릴 정도로 진급이 잘 안 된다. 그래서 진급을 원하는 간부들은 한지단에서 최저 복무 연한으로 1년 조금 넘게 요양하면서 보내다가 야전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많다.[15] 한지단과는 달리 연합사한미연합사단은 진급이 잘되고 일반 야전부대에 비해 몸은 편하지만 통역, 연락 등으로 머리를 쓸 일이 많으며 한미연합의 최전선에 있는 부대라는 중요성 때문에 육사 출신이 많이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