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19:10:12

제1101공병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제1101공병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 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 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 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 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 제7군수지원단 · 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 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지능정보기술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전투지휘훈련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 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 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 군사경찰단
인사사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 근무지원단
3사교 근무지원단
학군교 근무지원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해체된 독립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101공병단.pn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2작사 공병단.png
제1101공병단 제1113공병단 제1115공병단
파일:2작사 공병단.png 파일:수도군단 부대마크.svg 파일:the-seventh-engineer-brigade.jpg
제1117공병단 제7공병여단
도하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1101공병단
第1101工兵團
The 1101st Engineer Corps
파일:제1101공병단.png
최초의 공병단! 최고의 공병단!
창설일 1950년 9월 15일(제1101야전공병단)
2007년 00월 00일(제1101공병단)
상징명칭 밀목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지상작전사령부
규모
역할 지상작전사령부 공병지원
단장 대령 최보걸
위치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

1. 개요2. 연혁3. 예하부대
3.1. 단직할대3.2. 제119공병대대3.3. 제153공병대대
4. 과거부대5. 출신인물
5.1. 단장5.2. 장교/부사관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7. 사건사고8.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예하 공병단이다. 별칭은 '밀목부대'

2. 연혁

경기도 광주시 등 경기도 동부지역과 강원도 일대에 위치하며, 육군의 여러 공병단 중 최초로 창설된 1101공병단은, (구)3군사령부 (현)지작사 직할부대로서 공병이라는 이름에 맞게 연대급 규모로 단장은 대령급이 역임한다.

과거 야전공병단이란 이름하에 한국전쟁 당시 강원도에서 북한군과 직접적인 교전을 벌였고 부대 특성에 맞게 임시 활주로 건설, 교량 사용거부, 교량 복구 등 본연의 임무도 수행하였다. 이후 전후 복구사업에 부대 인력과 중장비 등을 투입하여 군시설 복구는 물론 교량 복구, 도로 건설, 공공시설 복구 등 대민지원을 넘은 국가 재건사업에 한획을 그었다.

또한 1965년 베트남 전쟁 당시 단에서 차출된 127공병대대가 한국군 군사원조단(비둘기 부대)으로 배속되어 남베트남 수도 사이공 인근의 지안(Di An)에서 주둔하면서 사이공 외곽 도로 건설 및 각종 건설 지원을 담당하였다. 2000년 부터 2003년까지 경의선 연결공사에 투입되어 지뢰제거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2005년 이라크 자이툰 부대의 공병 모체부대로 파병되었고 한빛부대의 모체부대로도 파병돼 오고있다.

2007년 '야전'이란 이름을 떼고 공병단으로 새출발하게 되었다.

2018년 부대 개편으로 인하여 1101공병단 직할대 (본부중대, 장비중대), 119대대를 제외한 대대 및 직할중대는 사라졌다.
2018년 단장비중대의 혹덩이 이지원(굴삭기 운용병) 이병이 전입하고 1101공병단의 해체가 확정지어졌다.

2019년 지상작전사령부 창설로 인해 해체된 제1107공병단의 일부 예하부대들을 흡수했다.
2019년 1101공병단 전설 단장비중대 직할대 소속 육진수 이병이 전입하였다. 전입이후 거침없는 행보를 보여주며
1101공병단 창설 이후 전설의 병사로 지금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평시에는 대대별 특성에 맞는 교육훈련(교량거부, 장애물운용 및 거부, 지뢰매설 및 제거, 축성, 폭파, 비행장 복구, 토양오염제거, 그리고 M2 장간조립교, MGB, RBS 리본부교 등 교량가설 등등)과 각종 파견(공사감독, 중장비 운용 등등) 및 경계근무, 각종 작업 등으로 눈코뜰새 없다.
2020년 육진수 병장의 전역이후 1101공병단의 그늘이 지어졌으며 현역 생활 중 없었던 부조리가 다시 생겼다. 육진수 병장이 속했던 1101공병단직할중대는 6개월도 안되어 해체되고 말았다. (병사임에도 뛰어난 역량, 책임감 임무수행능력으로 모든 선후임 간부들에게 인정을 받으며 간부제의를 삼고초려 받았으나 사회의 미련때문에 거절한것으로 알려짐)

3. 예하부대

3.1. 단직할대

3.2. 제119공병대대

* 도심과 매우 가까워 주말배달도 가능하며 평일 외출도 편하게 이동할수 있다.
* 그리고 153대대에 비해 훨씬 근무환경이나 시설이 좋다.

  • 본부중대, 1중대, 2중대, 3중대의 편제를 이루고 있으며, 본부중대와 3중대가 인원이 적은편이다. 특히 3중대는 1,2중대와 마찬가지로 근무를 돌아가면서 투입하는데 10명 넘게 인원이 차이가 나서 근무강도가 쎈편이다. 보통 한중대에 50~55명 정도이다. 3중대는 40명내외정도. 본부는 더 적다. 요즘은 그냥 신병이 잘 안들어 옴.

*1중대는 24년도 지뢰제거작전으로 인해 근무를 안서고 환자제외 대부분 나가서 작전을 한다.(출퇴근)
*본부중대는 통신병, 의무병, 당직병 등 여러 특수보직들이 간다고 보면 된다.
*나머지 중대들은 특기가 야전공병, 폭파병, 지뢰병인 신병들이 온다. 폭파병과 지뢰병은 2주 후반기교육을 받고오기도 하나 그냥 훈련소에서 바로 오는 경우도 있다.

*3개월 동기제(입대일 기준)이다.(1,2,3월/ 4,5,6월 / 7,8,9월 / 10,11,12월)

  • 어느 공병부대가 그렇듯이 대부분 사령부 등 각종 외부 공사와 부대내부 공사로 부대원 태반이 공사판을 전전한다고 하나 사실이 아니고 일상 속에서 틈틈히 주특기 교육도 내실있게 이루어지고 있다. 평상시엔 근무나 작업을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 풋살장과 족구장 및 농구장이 있다.
  • 편의시설론 헬스장, 멀티방(노래방)이 있다.
  • 분대장교육은 55사신병교육대가 있는 곳으로 간다. 훈련소가 55사 출신이었다면 복무중에 또다시 그곳으로 가게 되어 옛기억이 떠오를 수 있다. 본래 20사단으로 갔지만 20사단이 해체되면서 바뀐듯...
    FTC는 남양주 마석으로 간다.(이건 불확실)

*타부대에 비해 훈련은 적당한 정도다. 중대훈련, 대대훈련, 유격, 혹한기훈련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3.3. 제153공병대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 제1107공병단 부대였다.
개편
  • 본부중대
  • 1중대
  • 2중대
  • 3중대

4. 과거부대

  • 제117환경대대
    2007년, 야전공병대대[1]였던 117대대가 국방부와 주한미군의 토지 반환협정에 의해 우리 측에 인수된 경기도 일대의 前 주한미군의 토지 및 시설이 세워져있던 오염된 토양에 대한 복구를 위해 환경대대로 전환, 재편성 되었다. 그리고 그해 벌어진 태안 기름유출 사고 당시 기름제거 작업에 투입되었다. 117환경대대의 경우 담벼락을 하나두고 다른 부대와 옹기종기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 전철역과 버스정류장이 가까이 있어서 휴가, 외출, 외박시 빠르게 부대를 이탈하기 용이하다. 이건 개꿀 맞다. 이후 306보충대대가 해체되면서 주둔지를 인수받아 의정부로 부대를 이전했다. 그러나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이 통폐합되면서 다시 부대 개편이 이뤄졌고, 해체가 예상되었으나 제2작전사령부 제1115공병단 예하부대로 전속되었다. 그리고 부대 울타리 한 구석에 제2군수지원사령부 소속의 의무 정비 보급대대가 이어져 있었는데, 그 부대도 현재 해체한 상태이다.
  • 제133공병대대
    133대대는 2006년 가을 이전까지는 133대대 생활관이 나무관물대에 구형 생활관으로써 악명을 떨쳤으나[2], 현대식 생활관 신축으로 인해 최신식(침대형 생활관)이 되었다.

5. 출신인물

5.1. 단장

볼드체소장 진급이 된 단장.[3]
역대 제1101공병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육사 00기 단장
00대 김용규 예) 대령 육사 35기 제2공병여단 #
00대 서상완 예) 대령 육사 00기 단장 #
00대 손덕환 예) 대령 3사 25기 단장
00대 박상희 대령 육사 00기 단장
00대 배진영 대령 육사 00기 단장
00대 김익준 대령 육사 00기 단장
00대 이향배 대령 육사 43기 단장
00대 임강택 대령 단장
00대 신승용 대령 단장

5.2. 장교/부사관

5.3.

직할대 육진수 병장 병 2019 예비역

6. 기타

6.1. 근무환경

공병의 특성상 각종 전문병은 전문분야에서 그 외의 인력은 잡부로서의 임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그리고 부대 인근 환경정화활동과 여름에는 집중호우, 겨울에는 폭설 등 각종 재난 및 재해 발생시 부대 가용 인력과 굴삭기와 덤프트럭 등 중장비를 적극 활용하여 대민지원에 선봉부대로 투입된다.

동서울 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타면 40분 남짓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으며, X대대와 일부 예하부대를 제외하고는 부대가 서울 등 수도권으로 나가는 버스정류장과 멀지 않기에 휴가 및 외출, 외박 나가기에는 상당히 용이하다.

이 곳에서 군생활 도중 외진이 필요할 경우 국군수도병원국군구리병원 등으로 가기도 한다.

공병단 직할중대인 단 본부대와 교량 중대 등이 함께 위치하며, 다른 한쪽에 119대대가 위치하고 있는데, 119대대 막사에 ,본부중대,지원중대, 2중대가 거주하고, 한쪽 측면에 119대대 1중대가 나와서 생활하고 있다.

133대대의 경우 넓은 북한강변 바로 옆에 부대가 위치하고 있고 부대 뒤에는 산이 있어 경치는 좋으나 여름휴가철 강 건너 수상스키장에서 모터보트 타는 민간인을 보며 훈련하거나 경계근무[4]를 서면 부대를 빨리 벗어나고 싶은 심정이 굴뚝같은 최악의 장소이다.[5] 지원 중대가 전투 중대에게 똥 맞는 경우가 허다한 곳이기도 하다.[6] 이 밖에도 초소에 지원중대와 도하중대끼리 서로 디스하는 훈훈한 낙서가 상당히 많았는데(ex: 지원중대 병신, 도하 꿀빨러 새끼들 등등) 검은색 페인트로 칠하면서 모두 없어졌다.

907 도하중대는 국내에서 몇 안 되는 도하 장비를 갖춘 부대 중 하나로 정식 편제에 맞게 배치가 되어있다. 133대대와 같은 부지를 쓰며 긴밀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시설은 열악하나 독립중대 치고는 그럭저럭인 수준이다. 다만 133대대 건물에 비하면 눈물이 나는 부분. 1야수교 출신 소수의 운전병과 대다수의 3야수교 출신 운전병이 제일 많다. 일명 운전병의 지옥. 도하중대답게 교량 가설 단정리본부교를 갖추었고, 이로 인해 몇 안 되는 육군 내 수상 작전이 가능한 편제를 갖고 있다. 여름철 북한강 지역 대민 지원이 자주 이루어지는 부대.


7. 사건사고

8. 여담

  • 공병단 직할 독립중대인 907도하중대와 공병단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공병교육대가 133대대 바로 옆에 위치하여 FTC훈련이나 분대장 교육, 신병집체교육(상무대 공병학교 후반기 교육자 출신 제외) 으로 교육파견 시 타 부대나, 타 대대에 비해서 이동시간이 길지 않아 파견의 이점이 별로 많지 않다는 것도 흠이다.
  • 국방개혁 2020의 일환으로 공병부대 정형화 개편방안에 의해 예전에는 예하 대대에 1중대, 2중대, 3중대, 본부중대 등으로 편제되어 있었으나, 2006년 말부터 1중대, 2중대, 지원중대, 본부중대 등으로 개편되어 있다.


[1] 정확히는 중야전공병대대였다. 뭔 부댄고 하니, 바로 군사작전용 특수장비를 제외한 일반 토목-건설용 중장비를 주로 다루는 부대를 중야전공병으로 분류한다. 즉, 부대 내에 덤프트럭, 포크레인, 믹서트럭 등이 굴러다니는... 당연히 하는 일도 가장 기본적인 토목-건설에 특화되어, 정식 병영(막사) 건축, 개보수, 간이 막사 건축, 도로 정비 및 폭파 등에 특화된 부대였다. 다만 교량중대는 상급 단직할.[2] 본부중대 제외. 나머지는 다 쓰러져가는 막사에 나무 기둥을 대충 덧댄식이었다. 현재 구형 막사는 도하중대 휴게 시설이나 관사로 개조되었다.[3] 공병 특기 특성상 병과 진급한도가 소장(공병학교장, 국방시설본부장, 육군본부 공병실장 중 1인)이기에 변경[4] 경계 초소의 경우 현재는 나무로 모두 가려서 외부와 차단 되었다.[5] 단본부와 119대대도 코앞이 광주시청이고 117대대도 도시 안의 평지에 부대가 있어서 사정은 비슷하다...[6] 도하중대도 얄짤 없다! 도하중대가 경계 근무를 서지 않을 때 제대로 알리지 않아 지원중대 말번초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반대의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