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05:36:43

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22142>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colbgcolor=#522142> 파일:함흥시 상징.png
함흥시
파일:원산시 상징.png
원산시
파일:함경남도 흥남시 휘장.svg
흥남시
함주군 파일:함경남도 정평군 휘장.svg
정평군
영흥군 파일:고원군 상징.png
고원군
파일:문천군 상징.png
문천군
파일:안변군 상징.png
안변군
홍원군 북청군
이원군 파일:단천군 상징.png
단천군
신흥군 파일:장진군 상징.png
장진군
풍산군 삼수군 파일:함경남도 갑산군 휘장.svg
갑산군
혜산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함흥시 }}}}}}}}}

1. 시
1.1. 함흥시1.2. 원산시1.3. 흥남시
2. 군
2.1. 함주군2.2. 정평군2.3. 영흥군2.4. 고원군2.5. 문천군
2.5.1. 구 문천군 지역2.5.2. 구 덕원군 지역
2.6. 안변군2.7. 홍원군2.8. 북청군2.9. 이원군2.10. 단천군2.11. 신흥군2.12. 장진군2.13. 풍산군2.14. 삼수군2.15. 갑산군2.16. 혜산군

1.

1.1. 함흥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함흥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흥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흥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경남도미수복지역(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함흥시 상징.png
함흥시
咸興市
Hamheung City
}}}
파일:함흥시.jpg
<colbgcolor=#522142><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소화정1정목
광역자치단체 함경남도
하위 행정구역 8행정동 84법정동, 법정리
면적 274.14㎢
인구 112,157명[1]
인구밀도 409.12명/㎢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이니만큼 일본식 지명도 많이 보이며, 일부 지명은 겹치기도 한다.
행정동 법정동·리 비고
경흥동(慶興洞) 경흥리(慶興里)·부평리(富坪里)·상수리(上水里)·심동리(深洞里)·하수리(下水里)
반룡동(盤龍洞) 금일리(錦一里)·반룡리(盤龍里)·산수리(山手里)·서일리(曙一里)·운흥리(雲興里)·지락리(知樂里)·출운리(出雲里) 동흥산구역
보고동(保古洞) 보고리(保古里)·상보리(上保里)·신보리(新保里)·자흥리(自興里)·중보리(中保里)
사포동(沙浦洞) 사포리(沙浦里)·신흥리(新興里)·용호리(龍湖里) 사포구역
서상동(西祥洞) 서상리(西祥里)·신흥리(新興里)·풍호리(豊湖里)·흥도리(興島里)
성천동(城川洞) 만세리(萬歲里)·성천리(城川里)·황금리(黃金里) 성천강구역
중앙동(中央洞) 남문리(南門里)·대화리(大和里)·복부리(福富里)·소화리(昭和里)·연지리(蓮池里)·조일리(朝日里)·중앙리(中央里) 시청 소재지
치마동(馳馬洞) 일출리(日出里)·춘일리(春日里)·치마리(馳馬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함흥시 항목에는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이 다음과 같은 84개 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와 있다.
소화1가(昭和一街)·소화2가·중앙1가(中央一街)·중앙2가·중앙3가·서1가(曙一街)·서2가·산수1가(山手一街)·산수2가·산수3가·금1가(錦一街)·금2가·군영1가(軍營一街)·군영2가·대화1가(大和一街)·대화2가·대화3가·대화4가·성천1가(城川一街)·성천2가·성천3가·성천4가·황금1가(黃金一街)·황금2가·황금3가·황금4가·본1가(本一街)·본2가·본3가·본4가·본5가·복부1가(福富一街)·복부2가·복부3가·사포1가(沙浦一街)·사포2가·사포3가·일출1가(日出一街)·춘일1가(春日一街)·춘일2가·치마(馳馬)·동운(東雲)·조일(朝日)·반룡대(盤龍臺)·지락(知樂)·주길(住吉)·낙민(樂民)·유락(有樂)·만세(萬歲)·신흥(新興)·낙(樂)·용흥(龍興)·회상(會上)·출운(出雲)·하신흥(下新興)·서흥(西興)·당북(塘北)·당흥(塘興)·상보(上保)·연봉(蓮峰)·대흥(大興)·중흥(中興)·자흥(自興)·풍동(豐東)·인흥(仁興)·남신흥(南新興)·운곡(雲谷)·초흥(草興)·동흥(東興)·보고(保古)·서상(西上)·신상(新上)·풍호(豐湖)·흥도(興島)·십이(十二)·구억(九億)·회양(會陽)·중보(中保)·상수(上水)·하수(下水)·부평(富坪)·경흥(慶興)·심흥(深興)·신보(新保)

광복 당시 행정구역을 보면 주요 도시에 소화동(昭和洞), 명치동(明治洞)이라는 지명이 많이 나오는데, 이는 당시 일제히로히토의 연호인 쇼와(昭和), 그리고 할아버지 메이지(明治)의 연호를 따서 붙였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정(町)으로 표기했는데, 이북 5도 한정으로 이를 현대 한국식 동(洞)으로 구역만 바꾸어서 일단 표기하고 있는 상태로, 비슷한 경우로 일본의 고대 국가였다는 야마토에서 따온 대화동(大和洞)도 이 때문에 많이 눈에 띈다. 단 고양시 대화동(大洞)이나 평창군 대화면(大和面) 같은 경우는 이와 연관이 없다.[2] 이즈모, 후쿠토미, 아사히, 히노데, 카스가 같은 것도 보인다.

광복 직후 북한에서는 소화1·2정목(町目)을 해방리(解放里)1·2구[3]로, 서1·2정목을 용마리(龍馬里)로, 산수1~3정목을 운흥리(雲興里)1~3구로, 일출1정목 및 금1·2정목을 금사리(金絲里)1·2구로, 군영통1·2정목 및 조일정을 동문리(東門里)로, 대화1~4정목을 삼일리(三一里)1~4구로, 황금1~4정목을 통남리(通南里)1~4구로, 본1~3정목 및 복부1정목을 연지리(蓮池里)로, 본정4·5정목 및 황금정4·5정목을 남문리(南門里)1~5구로, 복부2·3정목 및 영정을 광화리(光華里)로, 춘일정1·2정목을 지장[4]리(智將里)1·2구로, 동문정을 이화리(梨花里)로, 주길정을 신창리(新昌里)로, 지락정을 낙산리(樂山里)1·2구 및 지락리로, 유락정을 서문리(西門里)로, 출운정을 서운리(西雲里)로 개칭했다. 1953년까지 사용한 이들 지명은 1.4 후퇴 이전 함흥에 살았던 실향민들의 회상에 등장하기도 하니 특별히 언급해둔다.

대한민국의 국도 체계로는 5번 국도7번 국도가 지나간다.

1.2. 원산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원산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산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산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원산시기.png
  •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 명사동은 옛 덕원군 현면(縣面)에 해당된다.
  • 1939년에 덕원군 적전면(赤田面) 송하리·송흥리·와우리가 원산부에 편입됐으나, 1942년에 덕원군이 폐지돼 문천군에 병합되면서 송흥리와 와우리가 적전면에 환원됐다. 그러다 광복 직후 적전면 전체가 원산시에 편입돼 사라졌다. 행정동 적전동 중에서 장덕동을 제외한 나머지, 행정동 송도동 중에서 송흥동이 옛 적전면에 해당한다.

파일:원산시.jpg
행정동 법정동·리
광산동 광석동(廣石洞)·산제동(山祭洞)[5]
남장동 남산동(南山洞)·장촌동(場村洞)
명사동 갈마동(葛麻洞)·견산동(見山洞)·내원산동(內元山洞)·두남동(斗南洞)·두방동(斗方洞)·두산동(斗山洞)·방하산동(訪霞山洞)·성라동(星羅洞)·성북동(城北洞)·세동(細洞)·용평동(龍坪洞)·장흥동(長興洞)·지경동(地境洞)·춘산동(春山洞)·춘악동(春岳洞)·포평동(浦坪洞)·현동(峴洞)·능도리(能島里)·여도리(麗島里)·신도리(薪島里)
명석동 명석동(銘石洞)·상동(上洞)·석우동(石隅洞)
상중동 남촌동(南村洞)·북촌동(北村洞)·상리1동(上里一洞)·상리2동(上里二洞)·중리동(中里洞)
송도동 송흥동(松興洞)·양지동(陽地洞)·철산동(鐵山洞)·평화동(平和洞)·해안동(海岸洞)
용산동 신흥동(新興洞)·용동(龍洞)·중청동(中淸洞)
적전동 관풍동(館豊洞)·낙수동(洛水洞)·당상동(堂上洞)·당중동(堂中洞)·당하동(堂下洞)·무라동(武羅洞)·삼태동(三台洞)·송상동(松上洞)·송중동(松中洞)·송하동(松下洞)·신동(新洞)·신풍동(新豊洞)·와우동(臥牛洞)·용계동(龍溪洞)·용주동(湧珠洞)·장덕동(長德洞)·중평동(仲坪洞)

아래는 광복 당시 지명으로, 88개 동과 리로 구성되었다. 동 일부는 정(町)이었다.
  • 춘일동(春日洞) - 시청 소재지
  • 해안로1가~6가(海岸路一街~六街)
  • 욱동1~3가(旭洞一~三街)
  • 수동1~2가(壽洞一~二街)
  • 행동(幸洞)
  • 중동1~3가(仲洞一~三街)
  • 본동1~5가(本洞一~五街)
  • 천동1~4가(泉洞一~四街)
  • 영동(榮洞)
  • 경동(京洞)
  • 명치동(明治洞)
  • 녹동(綠洞)
  • 대화동(大和洞)
  • 명석동(銘石洞)
  • 상동(上洞)
  • 광석동(廣石洞)
  • 산제동(山祭洞)
  • 남촌동(南村洞)
  • 신흥동(新興洞)
  • 북촌동(北村洞)
  • 상리1~2동(上里一~二洞)
  • 남산동(南山洞)
  • 용동(龍洞)
  • 교하동(橋下洞)
  • 중리1~4동(中里一~四洞)
  • 하촌동(下村洞)
  • 장촌동(場村洞)
  • 신촌동(新村洞)
  • 포하동(浦下洞)
  • 와우동(臥牛洞)
  • 송흥동(松興洞)
  • 송하동(松下洞)
  • 신풍동(新豊洞)
  • 두방동(斗方洞)
  • 두산동(斗山洞)
  • 중청동(中淸洞)
  • 당상동(堂上洞)
  • 당중동(堂中洞)
  • 당하동(堂下洞)
  • 무라동(武羅洞)
  • 삼태동(三台洞)
  • 낙수동(洛水洞)
  • 중평동(仲坪洞)
  • 신동(新洞)
  • 송상동(松上洞)
  • 송중동(松中洞)
  • 용계동(龍溪洞)
  • 용주동(湧珠洞)
  • 관풍동(館豊洞)
  • 내원산동(內元山洞)
  • 세동(細洞)
  • 장흥동(長興洞)
  • 견산동(見山洞)
  • 지경동(地境洞)
  • 포평동(浦坪洞)
  • 사둔동(沙屯洞)
  • 춘악동(春岳洞)
  • 춘산동(春山洞)
  • 현동(峴洞)
  • 방하산동(訪霞山洞)
  • 용평동(龍坪洞)
  • 성라동(星羅洞)
  • 성북동(城北洞)
  • 두남동(斗南洞)
  • 여도리(麗島里)
  • 웅도리(熊島里)
  • 신도리(薪島里)

이 곳 역시 일제강점기 때도 주요 도시였기에 일본식 지명이 있다. 일본 지명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면 카스가, 메이지, 야마토 등 다양한 일본식 지명이 보일 것이다.

1.3. 흥남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흥남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흥남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흥남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2.1. 함주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함주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주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주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경남도 함주군기.png

파일:함주군.jpg
광복 당시 16면을 관할했으며, 인구 16만여 명으로 함경남도의 군들 중 3번째로 많았다(1위는 21만여 명이었던 북청군, 2위는 19만여 명이었던 단천군). 군청소재지는 함흥시 유락동이었다.
  • (興) 자가 들어간 동네 이름이 매우 많은 것이 특징. 심지어 같은 이름의 리들이 여러 면들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 면 이름에 자주 나타나는 '기(岐)'라는 지명은 주나라의 발상지인 '기산(岐山)'에서 따온 것이다.
  • 기곡면(岐谷面)
    • 관할 리 : 동흥(東興), 기양(岐陽), 동덕(東德), 삼당(三堂), 상(上), 상직(上直), 서원(西原), 신동(新洞), 신중(新中), 신풍(新豐), 장동(長洞), 중(中), 중흥(中興), 풍동(豐東), 흥복(興福), 흥서(興西)
  • 덕산면(德山面)
    • 관할 리 : 부상(扶桑), 관동(館洞), 구상(舊上), 노봉(老峰), 대덕(大德), 대동(大洞), 대평(大坪), 동양(東陽), 마상(麻上), 모봉(帽峰), 문봉(文峰), 사동(舍洞), 삼봉(三峰), 상대(上垈), 상중흥(上中興), 상혜(上惠), 송호(松湖), 신덕(新德), 신상(新上), 신풍(新豐), 안심(安心), 용봉(用峰), 원상(元上), 원흥(元興), 중평(中坪), 중흥(中興), 초흥(初興), 풍상(豐上), 풍양(豐陽), 황사(黃舍), 하흥동(下興洞), 회양(會陽), 흥경(興慶), 흥동(興洞), 흥봉(興峰)
    • 북한 행정구역 상 퇴조군 북부→함흥시 덕산구역→덕산군을 거쳐 함흥시 회상구역 북부에 해당된다.
    • 홍원군과의 경계에 함관령이 있다.
  • 동천면(東川面)
    • 관할 리 : 풍동(豐東), 가흥(街興), 경흥(京興), 대동(大洞), 덕허(德許), 동덕(東德), 동봉(東峰), 동상(東上), 삼봉(三峰), 상동흥(上東興), 상신풍(上新豐), 상신흥(上新興), 송흥(松興), 순흥(順興), 쌍봉(雙峰), 억동(億洞), 원봉(元峰), 청송(靑松), 풍남(豐南), 풍서(豐西), 풍양(豐陽), 하동흥(下東興), 하신풍(下新豐), 흥경(興京), 흥동(興東), 흥봉(興峰)
    • 1939년 덕천면(德川面)과 북주동면(北州東面, 회상리는 함흥부에 편입)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경흥리에 환조정릉(定陵)이 있다.
  • 삼평면(三平面)
    • 관할 리 : 동중(東中), 동(東), 부흥(富興), 상태(上太), 서성(西成), 송대(松垈), 송호(松湖), 수풍(數豐), 수흥(洙興), 신경(新慶), 신흥(新興), 원상(元上), 인흥(仁興), 자상(自上), 중상(中上), 풍서(豐西)
    • 1914년 동삼평면(東三平面)과 서삼평면(西三平面)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 상기천면(上岐川面)
    • 관할 리 : 오로(五老), 경흥(慶興), 경복(慶福), 상(上), 신경(新慶), 죽(竹), 중상(中上)
    • 1895년 기천사(岐川社)를 분리하여 신설하였으며 현재 북한 행정구역상 영광군(오로군) 소재지. 신흥선장진선 철도가 영광역 (구 오로역)에서 분기하며, 관내에 동양역(장진선)이 있다.
  • 상조양면(上朝陽面)
    • 관할 리 : 신한(新閒), 봉명(鳳鳴), 삼길(三吉), 상(上), 상보(上保), 상한(上閒), 신안(新安), 중평(中坪), 탑동(塔洞)
    • 1895년 조양사(朝陽社)를 분리하여 신설하였다.
  • 선덕면(宣德面)
    • 관할 리 : 선덕양(宣德陽), 경호(鏡湖), 경흥(京興), 고상(高上), 구남(九南), 구하(舊下), 대덕(大德), 동상(東上), 동후(東厚), 동흥(東興), 명호(明湖), 몽상(蒙祥), 서상(西上), 서중(西中), 서호(西湖), 서흥(西興), 신경(新京), 신남(新南), 신덕(新德), 신창(新昌), 신풍(新豐), 신흥(新興), 용흥(龍興), 운흥(雲興), 원산(元山), 인산(仁山), 장문(章文), 중(中), 중상(中上), 중해(中海), 창(倉), 풍상(豐上), 풍호(豐湖), 호남(湖南), 호상(湖上), 화도(花島), 흥덕(興德), 흥상(興上)
    • 1895년에 정평군에 편입되었으나, 1944년 다시 함주군에 편입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또 다시 정평군에 편입됐다. 선덕비행장이 있으며, 해안은 해안사구 지역으로 한반도 제2의 자연호수인 광포가 있다. 앞바다에 화도(花島)·소화도(小花島)·간도(間島) 등의 섬이 있다.
  • 연포면(連浦面)
    • 관할 리 : 경흥(慶興), 구만(九萬), 덕흥(德興), 동흥(東興), 상(上), 서흥(西興), 신흥(新興), 용상(龍常), 용성(龍成), 원상(元上), 중(中), 중평(中坪), 중흥(中興), 풍상(豐上), 흥성(興成)
    • 련포온실농장이 있다.
  • 주북면(州北面)
    • 관할 리 : 흥경(興慶), 기양(岐陽), 동흥(東興), 반송(盤松), 봉하(鳳賀), 부민(富民), 상반(上盤), 상운(祥雲), 서양(西陽), 송흥(松興), 신계(新溪), 신덕(新德), 신풍(新豐), 쌍송(雙松), 운봉(雲峰), 운장(雲藏), 운흥(雲興), 장흥(長興), 중흥(中興), 후언(厚諺), 흥덕(興德), 흥봉(興峰), 흥상(興祥)
    • 신흥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가담역(구 흥상역), 부민역이 있다.
  • 주서면(州西面)
    • 관할 리 : 삼암(三巖), 동십일(東十一), 복흥(福興), 삼(三), 상구(上九), 신중(新中), 신풍(新豐), 신흥(新興), 오(五), 용흥(龍興), 원상(元上), 원풍(元豐), 중상(中上), 중세(中洒), 칠(七), 팔(八), 풍남(豐南), 하구(下九), 흥남(興南)
    • 1914년 상주서면(上州西面)과 하주서면(下州西面)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 만세교를 통해 함흥시와 도로교통이 이어진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주서역이 있다.
    • 북한 행정구역상 함주군 옛 소재지.
  • 주지면(朱地面)
    • 관할 리 : 흥상(興上), 계동(溪東), 구만(九萬), 덕성(德成), 부전(富田), 서흥(西興), 송흥(松興), 신경(新慶), 신안(新安), 신중(新中), 신평(新坪), 신흥(新興), 원흥(元興), 장흥(長興), 중흥(中興), 포흥(浦興), 풍계(豐溪), 풍서(豐西), 항수(項水), 호남(湖南)
    • 흥상리는 통칭 '지경(地境)'이라 불렸으며, 북한 행정구역상 함주군 현 소재지(옛 흥상군 소재지). 주지, 연포, 선덕면과 정평군 사이에 한반도 제2의 석호(潟湖)인 광포가 있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함주역(구 함남흥상역)이 있다.
  • 천서면(川西面)
    • 관할 리 : 당상(堂上), 고양(高陽), 덕흥(德興), 상운흥(上雲興), 신경(新慶), 신남(新南), 신덕(新德), 신상(新上), 신흥(新興), 용강(龍江), 용서(龍西), 운동(雲洞), 운흥(雲興), 원봉(圓峰), 원상(元上), 원충(元忠), 원흥(元興), 은곡(隱谷), 회목(檜木), 흥남(興南), 흥덕(興德)
  • 천원면(川原面)
    • 관할 리 : 중(中), 강도(江島), 동상(東上), 동중(東中), 상중(上中), 신경(新慶), 신서(新西), 신흥(新興), 원성(源成), 원흥(元興), 유정(柳亭), 중상(中上), 홍상(洪上), 흥대(興大), 흥상(興上)
  • 퇴조면(退潮面)
    • 관할 리 : 신풍(新豐), 경흥(慶興), 길흥(吉興), 백동(栢洞), 사동(寺洞), 상곡(上谷), 상송(上松), 상흥(上興), 서상(西上), 서중(西中), 성동(城洞), 송대(松垈), 송흥(松興), 신상(新上), 신중(新中), 신흥(新興), 여호(呂湖), 용흥(龍興), 원상(元上), 장흥(長興), 적동(笛洞), 풍서(豐西), 현산(峴山), 흥경(興慶), 흥상(興上)
    • 1895년에는 홍원군 서퇴조면이었으나 1914년 함주군으로 편입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 락원군(퇴조군) 소재지.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신중역, 려호역, 락원역(구 퇴조역)이 있다.
  • 하조양면(下朝陽面)
    • 관할 리 : 인흥(仁興), 기회(岐會), 봉명(鳳鳴), 봉하(鳳下), 삼흥(三興), 봉흥(鳳興), 쌍봉(雙鳳), 안서(安西), 용안(龍安), 추동(楸洞), 풍흥(豐興), 흥덕(興德)
    • 흥덕리 백운산에 용흥사(龍興寺)가 있다.

2.2. 정평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정평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평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평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경남도 정평군 군기.svg
군기
파일:정평군.jpg

동쪽은 함주군, 서쪽은 평안남도 영원군, 남쪽은 영흥군과 접하였고, 광복 당시 8개 면을 관할했다.
  • 정평면(定平面)
    • 관할 리 : 동천(東川), 경흥(慶興), 광흥(光興), 구상(龜上), 남산(南山), 남흥(南興), 대흥(大興), 덕동(德洞), 덕봉(德峰), 덕풍(德豊), 동현(銅峴), 문봉(文峯), 봉대(鳳坮), 봉양(鳳陽), 서흥(瑞興), 송정(松亭), 송흥(松興), 신동(新東), 신서(新西), 연정(蓮井), 영풍(永豊), 예성(禮成), 운봉(運峰), 원흥(元興), 중흥(中興), 직상(稷上), 태양(太陽), 포상(浦上), 포양(浦陽), 포중(浦中), 풍남(豊南), 풍성(豊成), 풍양(豊陽), 풍천(豊川), 풍흥(豊興), 호남(湖南), 흥덕(興德), 흥상(興上), 흥성(興城)
    • 면사무소와 군청이 동천리에 있었다. 원래 중심지는 풍성리였으나 함경선 정평역이 동천리에 들어서면서 옮겨갔으며, 풍성리는 북한 치하에서 '구읍리(舊邑里)'가 되었다. 부군면 통폐합 당시 부내면(府內面)이었으나 1940년에 개칭하였다.
  • 고산면(高山面)
    • 관할 리 : 흥봉(興峰), 고양(高陽), 구창(舊倉), 남양(南陽), 덕흥(德興), 상서(上西), 신경(新京), 신성(新城), 신풍(新豊), 풍서(豊西), 풍송(豊松), 풍양(豊陽), 흥천(興川)
    • 정평군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이름 그대로 면의 경계선을 따라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고산준봉들이 늘어서 있다. 면적 540.64㎢로, 정평군 면적의 47%를 차지하는 면. 평안남도 영원군과 경계한다.
  • 광덕면(廣德面)
    • 관할 리 : 장동(長洞), 도흥(都興), 문창(文昌), 부평(富坪), 선흥(宣興), 송오(松塢), 송천(松川), 신천(新川), 오상(五上), 용봉(用峯), 용응(用應), 원상(元上), 원흥(元興), 유흥(儒興), 율봉(栗峯), 율성(栗城), 인흥(仁興), 작동(鵲洞), 장천(長川), 장흥(長興), 중양(中陽), 중흥(中興), 향동(香洞), 향중(香中), 향흥(香興)
    • 평라선 철도가 면의 동부를 지나며 관내에 부평역이 있다. 역이 있는 부평리가 면의 동남쪽 끄트머리에 있다. 부평역에서 동쪽으로 명칭불명의 지선철도가 바로 옆 함주군 선덕면 방면으로 나 있다.
  • 귀림면(歸林面)
    • 관할 리 : 하남(河南), 내동(內洞), 동상(東上), 동성(東成), 동하(東下), 상풍(上豊), 송문(松門), 송흥(松興), 신성(新城), 신평(新坪), 유성(楡城), 장흥(長興), 중하(仲下), 중흥(中興), 포상(浦上), 하동(河東), 하양(河陽)
    • 금진천(金津川) 이남 지역으로 동해와 접한다.
  • 문산면(文山面)
    • 관할 리 : 동천(東川), 기산(岐山), 남양(南陽), 덕화(德化), 문흥(文興), 소항(所項), 수천(洙川), 원봉(元峰), 윤봉(輪峰), 은흥(殷興), 중흥(中興), 지양(芝陽), 평흥(坪興), 풍성(豊城), 풍양(豊陽)
    • 금진천 이남 지역이다. 평라선 철도가 면의 동쪽 경계를 스쳐지나가며 관내에 문봉역이 있다.
  • 신상면(新上面)
    • 관할 리 : 영곡(靈谷), 광흥(光興), 남흥(南興), 덕흥(德興), 도흥(道興), 동흥(東興), 문진(問津), 복흥(復興), 부암(傅巖), 부암(富巖), 상흥(上興), 선덕(宣德), 시흥(始興), 신상(新上), 신성(新成), 신포(新浦), 신풍(新豊), 신하(新下), 신흥(新興), 영흥(靈興), 용천(用川), 월성(月城), 유중(柳中), 유흥(儒興), 조양(朝陽), 중흥(中興), 포덕(布德), 향동(香洞), 화동(禾洞)
    • 부군면 통폐합 당시 춘류면(春柳面)이었으나 1940년에 개칭하였다. 면소재지 일대는 통칭 '번춘장(橎春場)'이라 불렸다.
    • 동해안에 포덕리해수욕장이 있다. 평라선 철도가 면의 중부를 지나며 관내에 신상역이 있다.
    • 북한 행정구역상 한때 존재했던 신상군 소재지.
  • 장원면(長原面)
    • 관할 리 : 양동(陽東), 관평(館坪), 노하(路下), 교항(橋項), 동계(東溪), 동양(東陽), 봉림(鳳林), 사수(泗洙), 서성(西成), 신흥(新興), 아동(衙洞), 용연(用淵), 용흥(用興), 율천(栗川), 장자(長者), 중평(仲坪), 하대(河大)
    • 면소재지 일대는 통칭 '초원(草原)'이라 불렸다.
  • 주이면(朱伊面)
    • 관할 리 : 동봉(東峯), 노동(蘆洞), 보상(甫上), 보중(甫中), 보흥(甫興), 복흥(復興), 석마(石馬), 신경(新京), 신덕(新德), 신성(新成), 신흥(新興), 영성(嶺城), 오리평(五里坪), 왕락(王樂), 왕상(王上), 용강(龍江), 용상(龍上), 운봉(雲峰), 중흥(中興), 추상(楸上), 포항(浦項), 풍양(豊陽)
    • 평라선 철도가 면의 동남부를 지나지면 관내에 역이 없다.
    • 북한 행정구역상 함주군 소재지(흥상, 함주군 주지면)와 매우 가깝다.

2.3. 영흥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흥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흥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흥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고원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고원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원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원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고원군기.png
파일:고원군.jpg

광복 당시 1읍 5면을 관할했다.
  • 고원읍(高原邑)
    • 관할 리 : 관덕(觀德), 광탄(廣灘), 금수(今水), 남양(南陽), 남흥(南興), 대수곡(大水谷), 덕흥(德興), 도정(都井), 동산(銅山), 동양(東陽), 매평(梅坪), 문조(文潮), 보충(寶忠), 상고도(上高島), 신성(新盛), 신정(新井), 조양(朝陽), 진사(進沙), 창항(倉項), 하고도(下高島), 합탄(蛤灘), 호평(湖坪), 흥평(興坪)
    • 읍사무소가 관덕리에, 군청이 조양리에 있었다. 원래 하발면(下鉢面)이었다가 1937년 고원면으로 개칭되었고, 1943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평라선강원선이 이곳에서 분기하며 관내에 고원역이 있다. 전북 정읍시처럼 행정구역이 바다와 인접되지 못했지만 고원읍 합탄리 동쪽 덕지강을 통해 영흥만과의 거리는 10km내외라서 한반도 동해안 내륙지역에서 동해안 바다간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으로 덕지강을 뱃길로 통해 영흥만으로 진입이 가능하다.
  • 군내면(郡內面)
    • 관할 리 : 상석연(上石淵), 가동산(加東山), 가하(加下), 금창(今昌), 다삼포(多三浦), 도청(道淸), 몽상(夢尙), 상가남(上加南), 상사창(上泗昌), 송천(松川), 신안(新安), 신창(新昌), 신흥(新興), 중사박(中沙泊), 중석연(中石淵), 천동(泉洞), 하가남(下加南), 하고읍(下古邑), 하사창(下泗昌), 하석연(下石淵), 현흥(玄興), 황송(黃松)
    •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현흥역이 있다.
  • 산곡면(山谷面)
    • 관할 리 : 수산(秀山), 건천(乾川), 고관(高串), 덕산(德山), 상경둔(上景屯), 상죽전(上竹田), 성남(城南), 수(修), 신흥(新興), 영암(靈巖), 와우(瓦宇), 원거(院巨), 하경둔(下景屯), 하죽전(下竹田), 화남(花南), 회동(檜洞)
    • 지선철도인 고원탄광선이 이곳을 지나가며 관내에 수동역, 덕사역, 장동역이 있다. 수동군이 폐지되기 전 옛 수동군 소재지(하경둔리)였다.
  • 상산면(上山面)
    • 관할 리 : 붕현(鵬峴), 교초(交草), 낙천(樂泉), 내동(內洞), 도내(島內), 도흥(都興), 독암(獨巖), 방축(防築), 복흥(福興), 봉현(鳳峴), 북방축(北防築), 석교(石橋), 송현(松峴), 신당(新塘), 신흥(新興), 용봉(龍峰), 용천(龍泉), 용흥(龍興), 원봉(元峰), 은하(銀河), 입석(立石), 장흥(長興), 주당(珠塘), 지경(地境), 풍남(豊南), 하다(下多), 하상(河上), 회동(會洞), 회목(會睦)
    • 1914년에 상발면(上鉢面)과 신산면(薪山面)을 통합하여 형성되었다. 면의 북서쪽에는 평라선 부래산역, 남동쪽 끝에는 강원선 전탄역이 있다.
  • 운곡면(雲谷面)
    • 관할 리 : 용평(龍坪), 관평(館坪), 운흥(雲興), 천을(天乙), 태을(太乙)
    • 본래 영흥군 소속이었다가 1914년에 고원군으로 편입되었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천을역, 운곡역, 요덕역(구 관평역)이 있다.

2.5. 문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문천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천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천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경남도미수복지역(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문천군
文川郡
Muncheon County
}}}
파일:문천군.jpg
<colbgcolor=#522142><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문천면 옥평리
광역자치단체 함경남도
하위 행정구역 1 7 240
면적 1380.65㎢
인구 106,565명[6]
인구밀도 77.18명/㎢
파일:문천군기.png
1945년 광복 당시 기준이다.

2.5.1. 구 문천군 지역

  • 문천면(文川面)
    • 관할 리 : 옥평(玉坪), 교월(矯越), 남산(南山), 남양(南陽), 능전(陵前), 당모로(堂毛老), 당하(堂下), 대성(大成), 도창(道昌), 만포(晩浦), 문봉(文峰), 문양(文陽), 문창(文昌), 미양(眉陽), 반계(磻溪), 보목정(補木亭), 봉오(鳳梧), 부거(富巨), 서재(書齋), 석현(石峴), 성북(城北), 성저(城底), 송치(松峙), 수침(水砧), 영로(營老), 영상(嶺上), 원평(元坪), 용정(龍井), 유정(柳亭), 육상(陸上), 자방(自方), 장평(長坪), 주교(舟橋), 지산(智山), 초전(草田), 함평(咸平)
    • 읍소재지와 군청이 옥평리에 있었다. 1922년 남산리에 있던 군청이 옥평리로 이전했으며, 1936년 군내면(郡內面)에서 개칭하였다. 강원선과 지선인 문천항선옥평역(구 문천역)에서 분기한다.
  • 천내읍(川內邑)
    • 관할 리 : 장흥(長興), 가경(加慶), 관사(館仕), 노흥(蘆興), 누익(樓翊), 덕상(德上), 문왕(問旺), 물방덕(勿方德), 신평(新坪), 신풍(新豊), 용담(龍潭), 용당(龍塘), 용산(龍山), 용암(龍巖), 용연(龍淵), 용운(龍雲), 용천(龍川), 재인(才人), 제위(祭位), 중양(中陽), 천내(川內), 학포(鶴浦), 화라(禾羅)
    • 부군면 통폐합 당시 도초면(都草面)이었으나 1936년에 면의 남부가 문천면에 편입하였고, 1943년에 천내읍으로 승격하였다. 강원선천내선 철도가 룡담역에서 분기한다. 시멘트 공장 인입선으로 쓰는 산업철도인 천내선 또한 이곳을 지나며 천내역이 있다. 현재는 천내군으로 따로 분리되었다.
  • 명구면(明龜面)
    • 관할 리 : 풍전(豊田), 간송(間松), 교양(橋陽), 구부안(駈富安), 귀종(歸宗), 귀포(歸浦), 금호(錦湖), 낙동(洛洞), 내양(內陽), 논금(論錦), 답촌(畓村), 당북(塘北), 당치(堂峙), 대덕(大德), 덕치(德峙), 도룡(圖龍), 마산(馬山), 명우(明友), 무우실(無憂室), 반암(班巖), 방고개(方古介), 방구미(方九未), 백산(白山), 상평(上坪), 생포(生浦), 서원(書院), 석전(石田), 석흥(石興), 섬호(蟾湖), 성저(城底), 송전(松田), 수치(秀峙), 신안(新安), 신양(新陽), 신율(新栗), 신천(新川), 신풍(新豊), 신흥(新興), 아치곶(牙致串), 안흥(安興), 양지(陽地), 어류(於柳), 어은구미(魚隱九未), 어항(魚項), 오산(鰲山), 옥호(玉湖), 용암(龍巖), 원당(元塘), 유구미(柳九未), 장발(長發), 장흥(長興), 주산(主山), 지부구미(地富九未), 청어구미(靑魚九未), 청어포(靑魚浦), 추구미(楸九未), 평방(坪方), 풍무(豊武), 한포(鷴浦), 향교판(鄕校板), 확좌(確佐), 황죽(黃竹)
    • 105.81㎢정도 되는 면적에 무려 63개 리가 빽빽하게 모여있다. 1936년 구산면(龜山面)과 명효면(明孝面)이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문천군의 북부 해안지역. 하지만 해안선이 깔끔하게 일자로 쭉 뻗어있는 북성면, 덕원면과 달리 반도와 만이 한데 엉켜있는 리아스식 해안이라 해안선이 엄청나게 복잡하다. 이 때문에 어업이 활발하다. 남한에서 가장 법정리가 많은 오창읍(34개)과 비교했을 때, 명구면의 면적은 오창읍의 1.25배 정도에 불과한데 법정리 수는 2배 가까이 많다. 철도는 문천항선 답촌역이 있다.
  • 운림면(雲林面)
    • 관할 리 : 신창(新倉), 가목정(柯木亭), 구덕(龜德), 금덕(金德), 덕평(德坪), 동봉(東鳳), 마한(馬汗), 방고개(方古介), 상평(上坪), 수한(水閑), 신풍(新豊), 어은(於隱), 영전(嶺前), 용암(龍巖), 월은(月隱), 응봉(鷹峰), 인흥(仁興), 장흥(長興), 쟁경(爭境), 중덕(仲德), 직두(直頭), 철산(鐵山), 회복(會福)
    • 명승지로 운림폭포가 있다.

2.5.2. 구 덕원군 지역

이외에도 현면(縣面, 원산시 동부)과 적전면(赤田面, 원산시 서·남부)이 있었지만 1939~1945년에 걸쳐 원산부에 편입되어 사라졌다.
  • 덕원면(德源面)
    • 관할 리 : 상동(上洞), 고성(古城), 관상(關上), 관평(關坪), 당치(堂峙), 덕산(德山), 도령(道靈), 문암(門巖), 박천(朴川), 방하산(方下山), 부산(浮山), 삼대(三臺), 삼월(三越), 상평(上坪), 석현(石峴), 성남(城南), 성북(城北), 성외(城外), 송하(松下), 수변(水邊), 신교(新橋), 어운(於雲), 영강(永康), 영등(永登), 영안(永安), 오목(梧木), 용암(龍巖), 의남(宜南), 의주(宜州), 춘성(春城), 풍촌(豊村)
    • 원래 부내면(府內面)이었으나, 1942년에 덕원군이 폐지되면서 개칭하였다. 원산 개항 전까지 덕원부의 중심지였다. 문천군의 남부 해안지역. 강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덕원역이 있다.
  • 북성면(北城面)
    • 관할 리 : 문평(文坪), 가평(柯坪), 고암(庫巖), 사흘천(沙屹川), 송탄(松灘), 수달(秀達), 신성(新城), 신안(新安), 신흥(新興), 야태(野汰), 염동(鹽東), 염중(鹽中), 옥정(玉井), 용진(龍津), 운성(雲城), 황석(黃石), 휘후(揮厚)
    • 북한 기준 상 문천의 중심시가지에 해당한다. 문천군의 중부 해안지역. 면의 남쪽에 강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문천역(구 문평역)이 있다. 또한 지선철도인 문천항선이 지나며 관내에 룡탄역, 고암역이 있다. 일제강점기(1943년)에는 원산북항역까지 이어져 있었다고 하나 폐선되었다.
    • 원산항과 맞닿지는 않았지만 매우 가까워 이미 일제강점기부터 공업시설이 발달, 영국계 라이징썬(Rising Sun)[7] 제유회사가 들어섰으며 1929년 원산 총파업의 진원지이다.
  • 풍상면(豊上面)
    • 관할 리 : 마전(馬轉), 감둔(甘屯), 감산(甘山), 거(巨), 구미(九味), 금동(金洞), 내동(內洞), 노동(蘆洞), 도념(道念), 도찬(道贊), 동산(東山), 마식(馬息), 방하(方下), 복회(伏回), 상서(上西), 서흥(西興), 수침(水砧), 억동(億洞), 영저(嶺底), 용포(龍浦), 유동(裕洞), 작동(鵲洞), 하서(下西)
    • 마식령 서쪽 지역은 원래 안변군 영풍면(永豊面)이었으나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풍상면과 풍하면으로 분리되어 덕원군으로 넘어갔다. 현재는 둘 다 북한 행정구역상으로 법동군에 속해 있다. 영저리에 마식령스키장이 있다. 용포리에 위치한 두류산은 임진강의 발원지이며[8], 아호비령(8번 국도)을 통해 평안남도 양덕군과 통한다.
  • 풍하면(豊下面)
    • 관할 리 : 법동(法洞), 고련(古蓮), 금구(金龜), 내고읍(內古邑), 내백일(內白日), 노탄(蘆灘), 동화(東化), 백안(白岸), 병암(屛巖), 봉황산(鳳凰山), 산저(山底), 상취암(上鷲巖), 석천(石泉), 어유지(魚遊池), 여해(汝海), 외고읍(外古邑), 외백일(外白日), 원산(元山), 율동(栗洞), 장안(長安), 종포(從浦), 청계(淸溪), 하취암(下鷲巖)
    • 군의 최남단이며 황해도, 강원도와의 경계지역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법동군 소재지이다.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위치한 롯데월드타워가시권 중 가장 멀리 위치해 있다. 약 165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대기 중 아무것도 없는 진공 상태라는 전제 하에 보인다고 한다.

2.6. 안변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안변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변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변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경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안변군 상징.png
안변군
安邊郡
Anbyŏn County
}}}
<colbgcolor=#222143><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안변면 문내리
상위 행정구역 함경남도
하위 행정구역 7
면적 1,052km²
인구 102,421명[9]
인구밀도 97.36/㎢
파일:안변군기.png

파일:안변군.jpg
광복 당시 1,052㎢의 면적에 7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안변면(安邊面)
    • 관할 리 : 문내(門內), 과남(果南), 곽하(郭下), 내석교(內石橋), 두득(斗得), 문외(門外), 미현(美峴), 비운(飛雲), 상화산(上花山), 송학(松鶴), 영춘(永春), 옥(玉), 외석교(外石橋), 조전(棗田), 중화산(中花山), 탑(塔), 하화산(下花山), 학성(鶴城), 홍문(紅門)
    • 문내리에 면사무소와 군청이 있었다. 원래 학산사(鶴山社)로 1914년 학산면이 되었고 1931년 안변면으로 개칭하였다. 강원선금강산청년선안변역에서 분기한다.
  • 배화면(培花面)
    • 관할 리 : 해천(蟹川), 낙천(樂川), 내원(內院), 동대(東坮), 문봉(文峰), 방교(方橋), 방화(訪花), 상사고(上沙皐), 송강(松岡), 송상(松上), 수려(水麗), 수악(秀岳), 수항(水項), 신(新), 신기(新基), 어은(漁隱), 옥천(玉泉), 용연(龍淵), 지경(地境), 천양(泉陽), 풍상(豊上), 풍하(豊下), 하사고(下沙皐), 한사(閑沙)
    • 면적이 43.1㎢로 안변군에서 제일 작지만 24개 리가 옹기종기 모여있다. 강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배화역이 있다. 안변읍과 원산시를 잇는 길목이다.
  • 서곡면(瑞谷面)
    • 관할 리 : 성우(城隅), 계산(桂山), 계자(桂子), 광자(光自), 남평(南坪), 능(陵), 대대(大垈), 동산(東山), 마우(馬牛), 보성(寶城), 사(寺), 상(上), 상남(上南), 상율(上栗), 상일(上一), 석방(石方), 수성(水城), 수암(水巖), 오(梧), 옹점(瓮店), 용상(龍上), 용평(龍坪), 용현(龍峴), 주암(珠巖), 중(中), 중남(中南), 창(倉), 포(浦), 하남(下南), 하율(下栗), 하일(下一), 학익(鶴翼), 한천(漢川), 후(後)
    • 서쪽 산지의 보성리, 주암리 등을 제외하면 평지에 32개 리가 옹기종기 모여있다.
  • 석왕사면(釋王寺面)
    • 관할 리 : 오산(梧山), 고현(古峴), 괴항(槐巷), 구령(九嶺), 구용지원(舊龍池院), 궐(蕨), 근외(芹外), 금(錦), 남산석(南山釋), 노복(蘆福), 능화(陵化), 동상(東上), 동하(東下), 사기(沙器), 상감(上甘), 상룡운(上龍雲), 상사(上寺), 상신흥(上新興), 상탑(上塔), 서상(西上), 송촌(松村), 송하(松下), 신월(新月), 신청(新淸), 옥정(玉井), 인두문(引豆門), 인호(寅湖), 장평(場坪), 주음(周音), 탑성(塔城), 통천(通川), 풍포(豊浦), 하감(下甘), 하룡운(下龍雲), 하사(下寺), 후창(後昌)
    • 원래 문산사(文山社)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개칭하였다. 이름대로 조선 왕조의 원찰인 석왕사가 사기리에 있으며, 한반도에 몇 없는 선상지 지형이 구용지원리에 있다. 강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남산역, 광명역(구 석왕사역), 룡지원역이 있다. 참고로 용지원리는 바로 아래쪽에 있는데 신고산면에 속한다.
  • 신고산면(新高山面)
    • 관할 리 : 신대(新垈), 강성(江城), 고명(古明), 고산(高山), 구미(九味), 금기(琴基), 내평(內坪), 번지(蕃之), 복곡(洑谷), 사(砂), 산양(山陽), 삼방(三防), 상가동(上佳洞), 상부평(上富坪), 상사현(上沙峴), 상수청(上水靑), 상일온(上日溫), 상주천(上舟川), 서(鋤), 석교(石橋), 성남(星南), 성북(星北), 세포(細浦), 신점(新店), 외평(外坪), 용지원(龍池院), 위동(衛東), 위남(衛南), 위북(衛北), 재천(載川), 종자(種子), 죽근(竹根), 창평(昌坪), 청학(靑鶴), 탄부(炭釜), 하가동(下佳洞), 하부평(下富坪), 하사현(下沙峴), 하수청(下水靑), 하일온(下日溫), 하주천(下舟川), 학소(鶴巢)
    • 원래 위익사(衛翼社)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개칭하였다. 신고산타령의 신고산이 바로 이곳이다. 경원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역이 생긴 지점을 신고산으로 부르게 되면서 2km 떨어진 본래의 고산은 구고산(舊高山)이라 부르게 됐다. 강원선(경원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고산역(구 신고산역), 동가리역, 삼방역, 락천역(구 삼방협역)이 있다. 참고로 삼방리와 청학리는 북한 행정구역상 세포군으로 넘어갔다.
    • 최남단인 삼방리에는 명승지인 삼방협곡이 있으며, 삼방역 북서 1km 지점에 1886년 현지 주민이 발견한 삼방약수가, 북쪽 4km 지점에 삼방폭포가 있다.
    • 광복 직전(1944년) 인구가 2만 8천 명으로, 군청소재지인 안변면(1만 4천 명)보다 번성했던 곳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고산군 소재지로, 현재도 안변읍보다 고산읍 시가지가 더 크다.
  • 신모면(新茅面)
    • 관할 리 : 김천(金泉), 공곡(公谷), 공수전(公須田), 구절(九節), 내원산(內元山), 덕산(德山), 두남(斗南), 모창(茅倉), 문곡(文谷), 별산하(別山下), 사근(沙根), 상다전(上多田), 상령(上靈), 상어지(上漁池), 석변(石邊), 수남(水南), 신곤(新坤), 신동(新洞), 신성(新城), 신평(新坪), 신흥(新興), 양명(陽明), 양지(陽址), 율(栗), 이원(利原), 인악(仁岳), 중어지(中漁池), 차산(遮山), 천내(泉內), 판기(板機), 하다전(下多田), 하령(下靈), 하어지(下漁池), 효자(孝子)
    • 1914년 신리면(新里面)과 모치면(茅峙面)이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 안도면(安道面)
    • 관할 리 : 중평(中坪), 가평(柯坪), 낭성(浪城), 대와(大瓦), 미덕(味德), 비산(比山), 상덕(上德), 상마(桑麻), 어운(於雲), 오계(梧溪), 용운(龍雲), 월포(月浦), 장현(長峴), 하와(下瓦)
    • 1914년 상도면(上道面)과 하도면(下道面)이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금강산청년선이 지나가며 관내에 오계역이 있다. 남대천 하구에 있는 낭성리는 안변군에서 유일한 해안지역이다. 통천군과 원산시를 잇는 길목이다.

2.7. 홍원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홍원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홍원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홍원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경남도 홍원군기.png

파일:홍원군.jpg

광복 당시 1읍 6면을 관할했다.
  • 홍원읍(洪原邑)
    • 관할 리[10] : 신흥(新興), 기양(岐陽), 남계(南溪), 남당(南塘), 남동(南洞), 남산서(南山西), 남산중(南山中), 남송(南松), 남정(南井), 남흥(南興), 내원(來源), 농서(農西), 도정(都井), 동문동(東門東), 동상(東桑), 동흥(東興), 문중상(門中上), 문호(門湖), 문흥(門興), 방상(方上), 방서(方西), 방하(方下), 봉상(鳳翔), 부흥(富興), 서상(西上), 서상(西桑), 서흥(西興), 성남(城南), 성동(城東), 성서(城西), 신포(新浦), 시흥(始興), 신중(新中), 신풍(新豊), 양류정(楊柳亭), 연동(蓮東), 원호(元湖), 용천(龍川), 인흥(仁興), 장동(壯東), 장정(壯亭), 주흥(周興), 창대(倉垈), 천중(穿中), 풍곡(豊谷), 풍흥(豊興), 하남(河南), 하동(河東), 하양(河陽), 하중(河中), 학남(鶴南), 학산(鶴山), 학동(鶴東), 학중(鶴中), 해암(蟹巖), 회흥(回興), 효동(孝洞)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주익면(州翼面)이었으나 1936년 홍원면으로 개칭하였으며, 1941년 읍으로 승격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홍원역(구 전진역)[11]이 있다. 앞바다의 송도와 죽도는 명승지다.
  • 경운면(景雲面)
    • 관할 리 : 동포(東浦), 관덕(觀德), 관동(觀東), 관중(觀中), 관흥(觀興), 남송(南松), 남양(南陽), 남학(南鶴), 동계(東溪), 동동(銅洞), 동상(東上), 동양(東陽), 동촌(東村), 동호(東湖), 부흥(富興), 산서(山西), 서상(西上), 소돌(小乭), 송동(松洞), 송령(松嶺), 송정(松亭), 신양(新陽), 안풍(安豊), 용반(龍盤), 용성(龍城), 용풍(龍豊), 용흥(龍興), 우간상(右看上), 우간서(右看西), 우간중(右看中), 우상(右上), 우중(右中), 운동(雲東), 운흥(雲興), 이화정(梨花亭), 인정(獜亭), 인흥(仁興), 장흥(長興), 좌동(左東), 좌상(左上), 좌중(左中), 좌하(左下), 좌호(左湖), 중흥(中興), 호남(湖南), 흥석(興石)
    • 1936년 경포면(景浦面)과 운포면(雲浦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경포역, 운포역이 있다.
  • 보현면(普賢面)
    • 관할 리 : 어은(漁隱), 농원(農源), 도원(桃源), 방계(芳溪), 방남(芳南), 방덕(芳德), 방동(芳東), 방상(芳上), 방중(芳中), 성포(城浦), 안풍(安豊), 안흥(安興), 어내(魚乃), 어헌(魚軒), 연봉(延鳳), 영동(靈洞), 용림(龍林), 용서(龍西), 용성(龍城), 용전(龍田), 용중(龍中), 용택(龍澤), 용포(龍浦), 용풍(龍豊), 용흥(龍興), 원상(源上), 은택(隱澤), 조흥(肇興), 중흥(中興), 직동(直洞), 풍동(豊東), 풍전(豊田), 호상(乎上), 호하(虎下), 호흥(虎興)
    • 1936년 호현면(好賢面)과 희현면(希賢面)이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홍원군의 북부 산악지대(1).
  • 삼호면(三湖面)
    • 관할 리 : 상신흥(上新興), 금호(錦湖), 나상(羅上), 나천(羅川), 남양(南陽), 남호(南湖), 동상(東上), 동흥(東興), 무계(茂桂), 부민(富民), 상부(上富), 상중흥(上中興), 상흥(上興), 섬(剡), 송산(松山), 송평(松坪), 송호(松湖), 송흥(松興), 신계(新溪), 신덕(新德), 신상(新上), 신성(新成), 신중(新中), 신평(新坪), 신하(新荷), 신흥(新興), 용연(龍淵), 용흥(龍興), 운계(雲溪), 원흥(元興), 은동(隱洞), 중양(中陽), 중평(中平), 중흥(中興), 추흥(秋興), 풍남(豊南), 풍동(豊東), 풍상(豊上), 풍서(豊西), 풍양(豊陽), 풍중(豊中), 풍하(豊下), 해청(海靑), 호남(湖南), 화동(和洞)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보청면(甫靑面)이었으나 1920년 동퇴조면(東退潮面)을 흡수하였고, 1936년 용운면 일부를 편입하여 삼호면으로 개칭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세포리역, 라산역, 삼호역, 룡운역이 있다.
  • 용원면(龍源面)
    • 관할 리 : 춘동(春洞), 남호(南湖), 다전(多田), 대돌(大乭), 도룡(都龍), 동계(東溪), 동동(銅洞), 동촌(東村), 신안(新安), 신풍(新豊), 신호(新湖), 연하(蓮下), 영대(靈臺), 영덕(靈德), 영소(靈沼), 용덕(龍德), 용호(龍湖), 운계(雲溪), 운동(雲洞), 원동(源東), 원호(元湖), 중동(中洞), 중양(中陽), 중호(中湖), 천상(泉上), 천하(泉下), 풍계(豊溪), 풍남(豊南)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용천면(龍川面)이었으나 1936년 용천면의 일부가 운포면의 일부와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풍어역(구 영무역)이 있다. 이에 해방 당시까지만 해도 이 역 부근을 영무(靈武)라 통칭하였다.
  • 용포면(龍浦面)
    • 관할 리 : 서포(西浦), 나흥(羅興), 내상(內上), 내양(內陽), 내중(內中), 내초(內初), 노은(老隱), 동평(東坪), 동포(東浦), 송상(松上), 신계(新溪), 신덕(新德), 신흥(新興), 외상(外上), 외하(外下), 용천(龍泉), 용풍(龍豊), 중평(仲坪)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용천면(龍川面)이었으나 1936년 용천면의 일부가 평포면(平浦面)과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홍원군의 북부 산악지대(2).
  • 운학면(雲鶴面)
    • 관할 리 : 풍양(豊陽), 거상(車上), 공덕(公德), 관양(關陽), 남평(南坪), 남흥(南興), 노적(露積), 대흥(大興), 동상(東上), 두남(斗南), 부남(富南), 산양(山陽), 상신흥(上新興), 상풍서(上豊西), 신덕(新德), 신상(新上), 신양(新陽), 연흥(連興), 영상(嶺上), 용동(龍洞), 용릉(龍陵), 용전(龍田), 운상(雲祥), 운흥(雲興), 은행(銀杏), 인흥(仁興), 장남(壯南), 장덕(長德), 장동(壯洞), 장생(壯生), 장흥(長興), 중상(中上), 중양(中陽), 중흥(中興), 직동(直洞), 천서(川西), 청수(淸水), 풍계(豊溪), 풍동(豊東), 풍산(豊山), 풍택(豊澤), 풍호(豊湖), 하신흥(下新興), 하풍서(下豊西), 학동(鶴洞), 학산(鶴山), 함덕(咸德), 효달(孝達)
    • 1936년 학천면 용운면의 일부가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홍원군의 서부 산악지대지만 동쪽으로 평야가 있다.

2.8. 북청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북청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청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북청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경남도 북청군기.png
파일:북청군.jpg

광복 당시 3읍 11면을 관할했으며, 인구 21만여 명으로 함경남도의 군들 중 가장 많았다(2위는 19만여 명이었던 단천군, 3위는 16만여 명이었던 함주군). 북한 치하에서 분리된 신포시, 덕성군, 금호군을 포함하면 2008년 기준 인구는 40만여 명에 육박한다.
  • 북청읍(北靑邑)
    • 관할 리 : 내(內), 남(南), 남흥(南興), 당포(棠浦), 동(東), 동흥(東興), 북(北), 북상(北上), 서(西), 장항(獐項), 죽평(竹坪), 중평(仲坪)
    • 내리에 읍사무소와 군청이 있었다. 원래 노덕면(老德面)이었다가 1917년 북청면으로 개칭하였고, 1931년 읍으로 승격하였다. 북청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북청역이 있다. 주요 사적으로 삼의사(三義祠), 북청읍성, 대덕산 기슭에 광제사가 있다.
  • 신창읍(新昌邑)
    • 관할 리 : 신창(新昌), 경안대(景安擡), 덕음(德音), 만춘(晩春), 승평(昇坪), 신풍(新豐), 예원(藝園), 장호(長湖), 토성(土城), 보청(甫靑)
    • 북청군의 동부 해안 지역이자 어항. 원래 북청군 해안면(海晏社)·상보청면(上甫靑社)·하보청면(下甫靑社)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하보청면을 신창면(新昌面)으로, 해안면과 상보청면을 병합하여 청해면(靑海面)으로 각각 개편하였고, 1937년에 청해면 전체를 신창면에 편입하였으며, 1942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평라선 철도가 읍의 북부를 스쳐지나가며 관내에 경안역이 있다. 토성리에는 ㅁ자 모양의 청해토성이 있는데, 발해 남경남해부의 소재지로 가장 유력하게 비정되는 곳이다.
    • 충청남도 아산시에도 한자가 같은 신창면이 있다. 만약 신창면이 읍으로 승격된다면 전국(이북 5도 포함)에 신창읍이 2개가 된다.
  • 신포읍(新浦邑)
    • 관할 리 : 신포(新浦), 노평(蘆坪), 도서(島西), 문암(文巖), 상보주(上寶珠), 석정(石井), 신호(新湖), 연호(蓮湖), 육대동(六擡東), 육대서(六擡西), 중보주(中寶珠), 중흥(中興), 토성(土城)
    • 원래 북청군 소양화면(小陽化面)이었다가 1914년에 신포면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37년에 읍으로 승격하였다. 현 함경남도 신포시. 남쪽에 마양도를 끼고 있는 항구도시다. 마양도울릉도에 이어 동해 제2의 섬으로 토성·도서·석정·중흥·문암리의 5개 법정리로 나눠서 관할한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륙대동역, 신포역이 있다.
  • 가회면(佳會面)
    • 관할 리 : 중(中), 나흥(羅興), 마산(馬山), 봉의(鳳儀), 초(初)
    • 북청읍에서 서쪽으로 남대천을 건너면 가회면이다.
  • 거산면(居山面)
    • 관할 리 : 평(坪), 상세동(上細洞), 상입석(上立石), 포항(浦項), 하세동(下細洞), 하입석(下立石)
    • 북청군의 동부 해안 지역으로 1914년 상거산면(上居山面)과 하거산면(下居山面)이 병합되어 신설되었다. 이원군과 접한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거산역, 건자역이 있다.
  • 덕성면(德城面)
    • 관할 리 : 수동(水東), 동장내(東庄內), 만항(滿項), 서장내(西庄內), 서흥(西興), 수서(水西), 어은(魚隱), 이망지(泥望只), 주의동(主義洞), 죽전(竹田)
    • 현재 북한 행정구역상 덕성군의 중심지이다. 북청읍 바로 북쪽에 붙어 있다. 북청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라하대역, 덕성역, 주의동역이 있다.
  • 상거서면(上車書面)
    • 관할 리 : 중돌(中乭), 상돌(上乭), 수서(水西), 신태(新泰), 엄동(嚴東), 하돌(下乭)
    • 북청군의 북부 산악 지역(1). 북청군 북서쪽에 있는 산악 지역이다. 본래 북청군 거서사(車書社)로 1896년에 상거서와 하거서, 2개 면으로 분할되었다.
  • 성대면(星垈面)
    • 관할 리 : 평(平), 보성(寶星), 수서(水西), 승동(勝洞), 양평(楊平), 조양(朝陽), 창성(昌星)
    • 북청군의 북부 산악 지역(2). 영역이 좌우로 길게 늘어져 있다. 북청선 철도가 면의 중부를 지나가며 관내에 양승역, 도평역이 있다. 명승지로 검덕산의 성대금강(星岱金剛)이 있다. 창성리에는 1338년 세워진 여진문자비(女眞文字碑)가 있었다.[12]
  • 속후면(俗厚面)
    • 관할 리 : 서호(西湖), 간평(間坪), 강상(江上), 광천(廣川), 나호(羅湖), 남호(南湖), 상창(上倉), 서도(西島), 서원(西園), 연주(蓮珠), 오매(梧梅), 용전(龍田), 의호(義湖), 창성(蒼城), 하천(下天), 현금(絃琴)
    • 북청군의 중부 해안 지역. 본래 북청군 소속후면(小俗厚面)·대속후면(大俗厚面)·중산면(中山面)·중평면(中坪面) 지역으로 1914년에 각각 속후면과 평산면(坪山面)으로 개편되었고 1939년에 평산면을 폐지하고 면 대부분 지역(광천리·서도리·서원리·용전리)을 속후면에 편입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강상리역, 속후역, 양지역이 있다. 여기서 1990년대에 KEDO 경수로 사업을 했고 그 영향으로 금호지구로 분리되었었지만, 지금은 사업이 중단되었다. 다만 금호지구라는 행정구역은 폐지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금호군으로 바뀌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금호군 소재지. 명승지로 속후해수욕장[13]이 있다.
  • 신북청면(新北靑面)
    • 관할 리 : 신북청(新北靑), 동상(東上), 동중(東中), 무우대(無憂擡), 보천(寶泉), 신상(新上), 양천(楊川), 초(初), 하(下)
    • 본래 북청군 양가사(良家社), 양천사(楊川社) 지역로 1896년 면제 실시로 양가면과 양천면이 되었다. 이후 1937년 양가면, 양천면과 평산면 동상리, 동중리를 합병하여 신설되었다. 1939년 평산면 폐지 과정에서 평산면 무우대리를 편입하였다. 평라선북청선신북청역에서 분기하는 교통 취락이며 이외에 량가역(북청선)이 있다.
  • 양화면(陽化面)
    • 관할 리 : 동(東), 남안대(南安擡), 방가대(芳佳臺), 부창(富昌), 양화(陽化), 유호(楡湖), 창상(昌上), 호만포(湖滿浦), 후호(厚湖)
    • 북청군의 서부 해안 지역. 본래 북청군 대양화면(大陽化面)이었으나 1914년에 양화면으로 개칭되었다. 1939년에는 신포읍의 부창리와 창상리를 편입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양화역이 있다.
  • 이곡면(泥谷面)
    • 관할 리 : 초(初), 상(上), 인동(仁洞), 제상(濟上), 제중(濟中), 제초(濟初), 중(中)
    • 북청군의 북부 산악 지역(3). 군의 가장 북쪽이며, 후치령, 통팔령을 넘어 풍산군으로 통한다. 북청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삼기역, 송중역, 상일역, 상리역이 있다. 상리에는 북청선 철도를 부설한 이유인 북청광산[14]이 있다.
  • 하거서면(下車書面)
    • 관할 리 : 임자동(荏子洞), 덕우대(德友擡), 상신흥(上新興), 월근대(月近擡), 월상(月上), 하신흥(下新興)
    • 본래 북청군 거서사(車書社)로 1896년에 상거서와 하거서, 2개 면으로 분할되었다.
  • 후창면(厚昌面)
    • 관할 리 : 이(二), 당우(唐隅), 동평(東坪), 부동(富洞), 오평(梧坪), 일(一), 통이(通耳)
    • 1914년 인후면(仁厚面)과 인창면(仁昌面)이 합쳐져 신설되었다. 북청읍, 신북청면과 가까우며 남쪽으로 양화면과 통한다.
    • 여담으로 평안북도 후창군과 한자표기가 동일하다.

2.9. 이원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리원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원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원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경남도 이원군기.png

파일:이원군.jpg
  • 이원면(利原面)
    • 관할 리 : 교동(校洞), 남문(南門), 대오(大吾), 대하전(大荷田), 문동(文東), 문평(文坪), 봉현(鳳峴), 북문(北門), 서문(西門), 성동(城洞), 소하전(小荷田), 송강(松江), 송로대(松老臺), 송산(松山), 아당(阿堂), 앙시동(仰時洞), 용포(龍浦), 용흥(龍興), 원동(院洞), 원상(院上), 원전(院前), 원천(院川), 이덕(梨德), 하류정(下柳亭), 한당(閑堂)
    • 면사무소와 군청이 교동리에 있었다. 부군면 통폐합 당시 서면(西面)이었으나 1941년에 이원면으로 개칭되었다. 하지만 소련군정 하에서 군청을 빼앗기면서 다시 서면으로 바뀌었다. 남쪽 봉현리에 함경선 철도가 지나지만 관내에 역이 없다. 이원역은 옆쪽 동면 상선리에 있다.
    • 원전리 대덕산에 발해 함화(咸和) 8년(838) 일신(日信)이 창건한 고찰 정광사(定光寺)가 있다.
  • 차호읍(遮湖邑)
    • 관할 리 : 상차호(上遮湖), 용항(龍項), 유성(楡城), 유진(楡津), 창흥(昌興), 포진(浦津), 포항(浦項), 하차호(下遮湖)
    • 1941년 남면이 폐지되어 차호읍과 남송면이 분리신설되었다. 주요 산업은 철광산과 어업이다. 차호항은 천연의 좋은 항구이다. 함경선이원선 철도가 병주하며, 창흥리 나흥역에서 분기하여 북쪽에 이원철산역이 있다. 동쪽의 상차호리 쪽으로는 이선 차호역이 있다.
  • 남송면(南松面)
    • 관할 리 : 염분(鹽盆), 각종(角宗), 덕성(德城), 문호(文湖), 선분(仙盆), 송단(松端), 수항(壽巷), 안시(安市), 용성(龍成), 용원(龍源), 원평(原坪), 율지(栗枝), 장동(長洞), 장성(長城), 중흥(仲興), 증산(曾山), 창성(昌城), 풍성(豐城)
    • 1941년 남면이 폐지되어 차호읍과 남송면이 분리신설되었다. 4km 길이의 남송정 해변은 백사장과 선조 시절인 1583년 현감이 식수하여 형성된 방풍림이 어울린 해수욕 명소이다. 함경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증산역(이원선 분기), 염분역, 송단역이 있다.
  • 동면(東面)
    • 관할 리 : 상선(上仙), 고암(古巖), 관동(館東), 관서(館西), 대평(大坪), 대화(大禾), 대흥(大興), 동류정(東柳亭), 문성(文星), 방축(防築), 신풍(新豐), 쌍암(雙巖), 양평(楊坪), 와자(瓦字), 용산(龍山), 용암(龍巖), 용평(龍坪), 위계(渭溪), 의덕(儀德), 장문(場門), 장원(長遠), 좌역(左驛), 창평(昌坪), 청곡(淸谷), 청동(淸洞), 하선(下仙), 효우(孝友)
    • 면소재지는 일명 군선(群仙)이라 불렸으며 이원면보다 더 번화한 곳이었다. 결국 소군정 치하에서 이원군청이 군선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동쪽 용산리 마운령진흥왕 순수비(568)[15]가 있었으며, 문성리 해안에는 기암괴석의 경승지인 학사대(學士臺)가 있다. 함경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이원역, 쌍암역, 곡구역이 있다.

2.10. 단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단천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천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천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경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단천군 상징.png
단천군
端川郡
Dancheon County
}}}
<colbgcolor=#141937><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단천읍 서상리
상위 행정구역 함경남도
하위 행정구역 1 8
면적 2,385km²
인구 160,130명[16]
인구밀도 67.14/㎢
파일:단천군기.png
端川郡 / Dancheon County
파일:단천군.jpg
광복 당시 인구 19만여 명으로 함경남도의 군들 중 2번째로 많았다(1위는 21만여 명이었던 북청군, 3위는 16만여 명이었던 함주군). 북한 치하에서 분리된 허천군을 포함하면 2008년 기준 인구는 49만여 명에 육박한다.
  • 단천읍(端川邑)
    • 관할 리 : 서상(西上), 고령(古靈), 기평(碁坪), 내문(內門), 대성(大成), 대흥(大興), 덕천(德川), 독평(獨坪), 동상(東上), 동하(東下), 동현(東峴), 동호(東湖), 두언대(豆彦臺), 문호(文湖), 복천(福川), 봉양(鳳陽), 사동(社洞), 상서(上西), 상직절(上直節), 송동(松洞), 송평(松坪), 신창(新昌), 영산(靈山), 오몽(吾夢), 외문(外門), 용성(龍城), 용암(龍巖), 용현(龍峴), 은호(銀湖), 주남(州南), 증산(曾山), 하서(下西), 하직절(下直節)
    • 면적 50㎢. 부군면 통폐합 당시 파도면(波道面)이었으나 1937년 단천읍으로 승격되었다. 1943년 복귀면 두언대리와 오몽리, 1944년 복귀면 용암리를 편입했다. 1943년 일제가 단천읍 두언대리와 오몽리 일원에 신도시를 건설하려 했으나 기초 공사가 진행되던 도중 광복이 되었다. 1945년 당시 인구 4만을 돌파한 상태였으며 만일 남북분단이 안 되었으면 최소 1949년에 단천부→단천시로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던 읍 중 하나였다. 평라선을 중심으로 오몽리역에서 우회철도인 두언선이 분기하며 두언역(구 두언대역)이 있다. 단천역에서 단풍선이 분기하며 동대역이 있다.
  • 광천면(廣泉面)
    • 관할 리 : 용잠(龍岑), 덕산(德山), 덕천(德泉), 동암(東巖), 동원(東元), 영평(永坪), 운천(雲川), 와동(瓦洞), 용전(龍田), 장항(獐項), 창흥(昌興)
    • 북한 행정구역상 한때 존재했던 광천군 소재지.
    • 금골선(함남선) 철도가 지나며 관내에 가응역(구 용령역), 광천역(구 용잠역), 운천역, 동덕역, 동암역이 있다.
  • 남두일면(南斗日面)
    • 관할 리 : 보거(堡巨), 신평(新坪), 신풍(新豊), 신흥(新興), 운송(雲松), 이상(梨上), 이파(梨坡), 이하(梨下), 증산(甑山)
    • 금골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수촌역, 신평역, 리파역, 신증산역, 돈산역(구 운송역)이 있다.
  • 복귀면(福貴面)
    • 관할 리 : 용포(龍浦), 기암(奇巖), 노동(路洞), 대로동(大蘆洞), 복상(福上), 송오(松塢), 복평(福坪), 용강(龍崗), 용연(龍淵), 장내(場內)
    • 단천군의 남부 해안지역으로 최남단이다. 작봉에 둘러싸여있는 형상이었다. 복대천을 경계로 단천읍, 신만면과 접하고 남쪽에 이원군이 있다. 주요 인프라는 단천읍에 의존했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기암역, 신단천역(구 용강역)이 있다.
  • 북두일면(北斗日面)
    • 관할 리 : 대신(大新), 남별(南別), 대흥(大興), 덕응(德應), 신덕(新德), 양천(陽川), 용양(龍陽), 용천(龍川), 학선(鶴仙)
    • 단천군의 북부 산악지역으로 현재의 검덕 지역이다. 용양리에서 국도 제 76호선국도 제 73호선이 만나 학선리에서 갈라진다. 금골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백금산역(구 용양역)[17], 금골역, 상금골역, 신덕역, 대신역, 대흥역, 무학역(시종착역, 양천리 부근)이 있다.
  • 수하면(水下面)
    • 관할 리 : 고성(古城), 내촌(內村), 만덕(滿德), 상농(上農), 상운승(上雲承), 용원(龍源), 은흥(殷興), 응덕(鷹德), 인풍(仁豊), 중평(仲坪), 하농(下農), 하운승(下雲承), 황곡(黃谷)
    • 단천군의 서부 산악지역(1)으로, 북한 행정구역상 허천군 소재지. 단풍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하운승역, 상농역, 중촌역, 농촌역, 추동역, 허천역(구 수하역), 수의역이 있다. 장파역부터 시종착역인 홍군역까지는 풍산군 천남면 소재. 또한 허천역에서 산업철도인 만덕선이 분기하며 부동역, 만덕역이 있다.
  • 신만면(新滿面)
    • 관할 리 : 정동(貞洞), 개평(開坪), 석우(石隅), 신동(新洞), 안시동(安時洞), 용천(龍川)
    • 단천군의 서부 산악지역(2)으로 북한 행정구역상 허천군의 남서부에 해당한다.
  • 이중면(利中面)
    • 관할 리 : 답동(畓洞), 가산(嘉山), 가응(加應), 낙인(樂仁), 덕주(德州), 돌산(乭山), 동평(東坪), 두연(斗淵), 두우(斗牛), 문암(門巖), 신덕(新德), 영천(永川), 용산(龍山), 인산(仁山), 창동(昌洞), 천곡(泉谷), 하전(荷田), 화장(華藏)
    • 단천군의 남동부 해안지역으로 단천읍의 동북부 교외지역이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문암역, 여해진역이 있다. 여해진역에서 두언선금골선이 분기하며 금골선 천곡역답동역이 있다.
  • 하다면(何多面)
    • 관할 리 : 연대(蓮臺), 가원(加元), 개장(開墻), 고읍(古邑), 달전(達田), 백자동(栢子洞), 송파(松坡), 쌍룡(雙龍), 쌍상(雙上), 양평(陽坪), 원동(元洞), 좌역(佐驛), 풍화(豊和)
    • 단천읍의 서쪽 교외지역으로 단풍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장덕역이 있다.

2.11. 신흥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신흥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흥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흥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경남도 신흥군기.png

파일:신흥군.jpg

광복 당시 8개 면을 관할했다.
  • 신흥면(新興面)
    • 관할 리 : 흥경(興京), 동덕(東德), 동상(東上), 상(上), 서흥(西興), 신성(新成), 신정(新井), 신중(新中), 신풍(新豐), 여사(汝沙), 이전(梨田), 인흥(仁興), 중(中), 중흥(中興), 풍덕(豐德), 풍동(豐東), 풍양(豐陽), 흥덕(興德), 흥평(興坪)
    • 면사무소와 군청이 흥경리에 있었다. 본래 함흥부 상동고천면(上東古川面)과 하동고천면(下東古川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두 면을 통합하여 동고천면(東古川面)을 신설하였고, 1930년에 신흥면으로 개칭하였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신흥역이 있다.
  • 가평면(加平面)
    • 관할 리 : 풍상(豐上), 관수(觀水), 능(陵), 동흥(東興), 상(上), 장풍(長豐), 중(中), 중상(中上), 중양(中陽), 지동(芝洞), 풍서(豐西), 화장(花藏), 흥남(興南)
    • 1910년 함흥부 동가평면(東加平面)과 서가평면(西加平面)이 합병하여 신설하였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풍상역이 있다.
  • 서고천면(西古川面)
    • 관할 리 : 창서(昌瑞), 기양(岐陽), 길(吉), 길봉(吉峰), 길흥(吉興), 도상(道上), 동덕(東德), 삼상(三上), 신상(新上), 신하(新下), 요중(蓼中), 주양(周陽), 중흥(中興), 풍향(豐鄕)
  • 영고면(永高面)
    • 관할 리 : 흥경(興慶), 경흥(慶興), 구상(舊上), 당복(塘福), 당하(塘荷), 동평(東坪), 동흥(東興), 복흥(福興), 부전(富田), 서흥(西興), 송하(松下), 송흥(松興), 신덕(新德), 신평(新坪), 신풍(新豐), 연동(淵洞), 연흥(淵興), 인평(仁坪), 중(中), 중흥(中興), 창평(昌坪), 흥남(興南), 흥동(興東), 흥복(興福)
    • 1931년 영천면(永川面)과 고산면(高山面)이 합병하여 형성되었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동흥역, 경흥역, 송하역, 송흥역이 있다. 바로 위 동상면 부전령역으로는 강삭철도로 이동한다. 송흥리에 부전강1~3수력발전소가 있다.
  • 원평면(元平面)
    • 관할 리 : 풍서(豐西), 남(南), 남양(南陽), 남평(南坪), 동상(東上), 서(西), 서상(西上), 신상(新上), 신성(新成), 오상(五上), 우상(右上), 우하(右下), 중(中), 중상(中相), 풍남(豐南), 풍상(豐上), 장상(長上), 장전(長典), 장하(長下), 중양(中陽), 최상(崔上), 풍동(豐東), 흥덕(興德), 흥성(興成)
    • 1914년 동원평면(東元平面)과 서원평면(西元平面)이 합병하여 신설하였다. 서고천면과의 경계에 명승지로 천불산이 있다. 신흥선 철도가 지나며 관내에 전동역, 천불산역이 있다.
  • 상원천면(上元川面)
    • 관할 리 : 구중(舊中), 구창(舊倉), 구하(舊下), 내동(內洞), 문성(文成), 복흥(福興), 신성(新成), 신풍(新豐), 원상(元上), 원풍(元豐), 중양(中陽), 중흥(中興), 풍동(豐東), 풍상(豐上), 흥동(興東), 흥봉(興鳳), 흥평(興坪)
  • 하원천면(下元川面)
    • 관할 리 : 신풍(新豐), 당풍(塘豐), 대흥(大興), 문성(文城), 반석(盤石), 복거(福巨), 부흥(富興), 서양(西陽), 서하(西下), 송흥(松興), 축상(杻上), 축전(杻田), 흥경(興慶), 흥덕(興德)
    • 금패령이 있다.
  • 동상면(東上面)
    • 관할 리 : 원풍(元豐), 광대(廣大), 달아(達阿), 도안(道安), 신성(新成), 연동(囦洞), 한대(漢垈)
    • 원래 장진군 동상사(東上社)로 1896년에 동상면으로 되었다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신흥군으로 이관되었다. 부전령 이북에 있는 개마고원 지역으로 인공 호수인 부전호(赴戰湖)가 있다. 신흥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부전령역, 함지원역, 부전역(구 원풍역), 도안역, 부전호반역이 있다. 바로 아래 영고면 송흥역으로는 강삭철도로 이동한다. 북한 행정구역상 부전군 소재지.

2.12. 장진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장진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진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진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장진군기.png
파일:장진군.jpg

가장 넓은 도인 함경남도 중에서도 가장 넓은 군으로, 최대도 중 최대군(最大道中最大郡)[18]이라고도 했다.
  • 장진면(長津面)
    • 관할 리 : 경하(京下), 고토(古土), 대남(大南), 대흥(大興), 도내(島內), 만풍(萬豐), 병무(丙武), 부성(富盛), 상갈우(上碣隅), 상평(上坪), 서흥(西興), 송정(松亭), 신하(新下), 신흥(新興), 연상하(囦上下), 연직(囦直), 용흥(龍興), 중흥(中興), 하마대(下馬垈), 홍문(紅門)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신남면(新南面)이었으나, 1938년에 군청이 이전해 오면서 원래의 장진면(현 동문면)으로부터 이름을 가져와 개칭되었다. 이때 고흥리(古興里)·소민태리(小民泰里)·수남리(水南里)·재원리(在院里)·화피리(化被里)가 고토리, 신상리(新上里)·신중리(新中里)가 신하리, 서치리(西峙里)·수철리(水鐵里)가 신흥리, 면소재지인 하갈우리(下碣隅里)가 경하리에 흡수합병되었다. 군청소재지지만 장진군의 최남단이다. 장진호의 남쪽에 있다. 장진면 시가지는 약 1,100m 고도에 위치해 있지만, 부근 지형이 비교적 평탄하여 산지에 있는 군청소재지답지 않게 바둑판식 시가지에 가깝다. 장진선 철도가 지나며 관내에 황초령역, 고토역, 부성역, 상평역, 장진역이 있다.
  • 동문면(東門面)
    • 관할 리 : 동문거(東門巨), 거무소(巨武所), 삼포(三浦), 서상(西上), 서중(西中), 서초(西初), 설관(雪館), 속사(束沙), 연당(連堂), 영상(嶺上), 오만(烏蔓), 용평(龍坪), 월상(越上), 읍상(邑上), 읍하(邑下), 잠탄(潛灘), 장성(長城), 재아(才阿), 주파(周坡)
    • 원래 이름은 군내면(郡內面)이었다가 1923년 장진면으로 개칭되었으며, 이름대로 조선 후기부터 장진군의 중심지였다. 원래 읍상리가 군청소재지였으나, 장진호 수력발전소 건설로 수몰되면서 1938년 신남면(현 장진면) 경하리로 이전되었다. 이와 함께, 장진면이란 이름을 신남면에 넘겨주고 동문면으로 개칭되었다. 낭림호(제2장진호)의 서북쪽에 있다. 강계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상신원역, 하신원역, 오만동역, 랑림역(구 동문거리역)이 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랑림군 소재지.
  • 동하면(東下面)
    • 관할 리 : 능구(陵口), 대통기(大通氣), 반석(盤石), 사득(泗得), 서어수(西於水), 소통기(小通氣), 신부(新富), 신원동(新院洞), 신흥(新興), 안기(安基), 양부(良富), 여운상(如雲上), 여운작(如雲作), 여운중(如雲中), 운산(雲山), 원동(院洞), 입석(立石), 자진(紫眞), 진파(眞坡), 황철(黃哲), 후동(後洞)
    • 장진군에서 유일하게 장진강 본류 수계가 아닌 부전강 수계인 곳이며, 북한 치하에서 신설된 부전군에 편입됐다. 참고로 동상면(東上面, 북한 행정구역상 부전군 소재지)도 있는데, 원래 장진군이었으나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반석리·서어수리·여운상리·여운작리·여운중리·운산리·입석리·자진리·황철리를 동하면에 편입하고 남은 동상면을 신설되는 신흥군에 넘겼다.
  • 북면(北面)
    • 관할 리 : 대흥(大興), 갈전(葛田), 갈점(葛店), 고암(高巖), 교동(橋洞), 구전(口田), 구정(九丁), 동안(東安), 동심(東深), 사백(沙栢), 산양(山羊), 서안(西安), 수침(水砧), 신방(新防), 안도(安堵), 연화(蓮化), 원갈(元葛), 이상(梨上), 인산(仁山), 잠파(潛坡), 장동(長洞), 장항(獐項), 장흥(長興), 중강(中江), 직동(直洞), 진목(眞木), 향청(香淸), 형제(兄弟)
    • 낭림호의 동북쪽에 있다.
  • 상남면(上南面)
    • 관할 리 : 덕실(德實), 갈전(葛田), 대남(大南), 마등(馬登), 몌물(袂物), 몌물중(袂物中), 몌물측(袂物側), 문악(文岳), 삼흥(三興), 서덕(西德), 속사(束沙), 양거수(梁巨水), 연화(蓮花), 와갈(臥碣), 운수(雲水), 창평(倉坪), 천의수(天宜水), 황포중(黃浦中), 황포초(黃浦初), 황포측(黃浦側)
    • 장진호의 북쪽, 낭림호의 남쪽에 있다. 몌물리·몌물중리·몌물측리의 몌는 소매 몌(袂)를 쓴다. 지금도 장진군에 속해 있는데 북한에서는 물리라고 부른다.[19]
  • 서한면(西閑面)
    • 관할 리 : 유담(柳潭), 교동(校洞), 구읍(舊邑), 문암(門巖), 북수(北水), 서목(西木), 서중(西中), 신포(新浦), 신흥(新興), 연수(囦水), 적수(赤水), 청담(淸潭), 한상(閑上), 한하(閑下)
    • 장진호의 서쪽에 있다. 장진군의 조선 중기 중심지로, 원래 구읍면(舊邑面)이었다가 1939년 개칭됐다. 이와 함께 수몰지역인 매향리(梅香里)가 폐지되었다.
  • 중남면(中南面)
    • 관할 리 : 사수(泗水), 고별우(高別隅), 내동(內洞), 뇌동(雷洞), 문천(文川), 백암(白巖), 복동(福洞), 신흥(新興), 장항(獐項), 장흥(長興), 통지수(通知水), 풍류(豐流)
    • 장진호의 동쪽에 있다. 1939년 수몰지역인 구진리(舊津里)·신대리(新垈里)·하평리(荷坪里)가 폐지되었다. 장진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사수역이 있다.

2.13. 풍산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풍산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풍산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풍산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삼수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삼수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삼수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삼수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경남도 삼수군기.png

파일:삼수군.jpg
  • 삼수면(三水面)
    • 관할 리 : 중평장(仲坪場), 관동(館洞), 교암(轎巖), 나산(羅山), 남풍(南豊), 남회(南淮), 독산(獨山), 동수(東水), 무학(務學), 별흥(別興), 북수(北水), 석우(石隅), 신창(新昌), 신풍(新豊), 신풍중(新豊中), 신흥(新興), 운봉(雲峰), 원덕장(院德場), 유동(柳洞), 유평(楡坪), 은포(隱浦), 중석(中石), 중평상(仲坪上), 중평하(仲坪下), 천평(川坪), 하석(下石), 화계(花溪), 화산상(華山上), 화산중(華山中), 화양(華陽), 회동(檜洞), 회산(檜山)
    • 면소재지와 군청이 중평장리에 있었다. 원래 군청은 금수면 성내리에 있었으나 의병장 차도선의 대일항쟁으로 인해 이전했다. 원래 삼남면(三南面)이었으나 1942년에 개칭하였다.
  • 관흥면(館興面)
    • 관할 리 : 삼덕(三德), 간령(間嶺), 개운성(開雲城), 고암포상(高巖浦上), 고암포하(高巖浦下), 대서(大西), 대장(大藏), 대청계(大淸溪), 동화(東和), 복서(福西), 사품(寺品), 삼포(三浦), 상두릉(上杜陵), 상은산(上銀山), 상청계(上淸溪), 생양(生陽), 서덕(西德), 석곡(石谷), 소장(小藏), 소청계(小淸溪), 수인(守仁), 인순(仁淳), 장수(藏修), 중두릉(中杜陵), 채가(彩佳), 청학(靑鶴), 하두릉(下杜陵), 하은산(下銀山), 흑연(黑硯)
    • 1914년 관동면(館東面) 일부와 관서면(館西面), 흥남면(興南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 금수면(襟水面)
    • 관할 리 : 성내(城內), 가매덕(佳梅德), 간천(間川), 관동(館洞), 남산(南山), 농막(農幕), 반룡기(盤龍基), 봉덕(鳳德), 상삼흥(上三興), 속사(束沙), 수차(水遮), 신성(新成), 신촌(新村), 신흥(新興), 양응(兩應), 억두(億斗), 용수(龍水), 용천(龍川), 인동(仁洞), 일건(日乾), 장항(長項), 중(中), 탑동(塔洞), 하삼흥(下三興), 함포(咸浦)
    • 원래 읍관면(邑館面)이었으나 1942년에 개칭하였다. 조선시대 및 북한 행정구역상 삼수군 소재지.
  • 삼서면(三西面)
    • 관할 리 : 보성(堡城), 간포(間浦), 강응계(江應界), 계양(啓陽), 구지(龜地), 금천포(金川浦), 동동(銅洞), 사평(沙坪), 상니구지(上泥龜地), 상진목(上眞木), 성기(城基), 신창(新昌), 연평(淵坪), 용암(龍巖), 자지(紫芝), 장재기(長在基), 장항(獐項), 지야덕(芝野德), 하진목(下眞木), 희사봉(希沙峰)
    • 원래 어면면(魚面面)이었으나 1914년에 개칭하였다. 면 남서쪽의 강응계리·희사봉리·신창리는 장진군 쪽으로 툭 튀어나와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참으로 검열삭제스러운 지명이 있다(…).
  • 신파면(新坡面)
    • 관할 리 : 신갈파(新乫坡), 구갈파(舊乫坡), 두지(斗地), 만항(晩項), 민탕(珉湯), 박주평(泊舟坪), 보(堡), 보파(寶坡), 소농(小農), 연덕(淵德), 이방(利方), 지응(地應), 차항(遮項), 천대(川臺), 토평(兎坪)
    • 원래 강진면(江鎭面)이었으나 1942년에 개칭하였다. 삼수군의 서부 국경지대. 북한 행정구역상 김정숙군(신파군) 소재지.
    • 북부내륙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강하역, 신파청년역, 민탕역, 량강신상역, 풍양역, 상대역이 있다.
  • 자서면(自西面)
    • 관할 리 : 상동구(上洞口), 고영(高永), 광암(廣巖), 광암덕(廣巖德), 내목척(內木尺), 내평(內坪), 도룡덕(道龍德), 동동(東洞), 백산(白山), 복수(福守), 부내(釜內), 사덕(沙德), 상거(上巨), 생양(生陽), 서가(西佳), 석촌(石村), 석평(石坪), 송전(松田), 수침(水砧), 신암동(新巖洞), 신전(新田), 신풍(新豊), 아안(阿安), 연화(蓮花), 외목척(外木尺), 용교(龍橋), 용수(龍水), 용천(龍川), 원동(院洞), 을산덕(乙山德), 이만(李萬), 족교(足橋), 차보(車堡), 차천(遮川), 태양(太陽), 태평(太平), 하거(下巨), 하동구(下洞口), 하원동(下院洞), 화룡(化龍), 황철(黃鐵)
    • 1914년 자작면(自作面)과 서별면(西別面)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 호인면(好仁面)
    • 관할 리 : 보성(堡城), 고거(高巨), 관흥(館興), 국은(國恩), 농평상(農坪上), 농평하(農坪下), 대암(大巖), 박씨대(朴氏垈), 봉삼(峰三), 삼형제(三兄弟), 상대복(上大福), 상병풍(上屛風), 성암(城巖), 신덕(新德), 신성(新星), 신풍(新豊), 신흥(新興), 영성(嶺城), 왕가(王哥), 운곡(雲谷), 운전(雲田), 인산(仁山), 입암(立巖), 장령(長嶺), 재전(財田), 재함(財咸), 조전(笊田), 중위(中位), 중평(仲坪), 직동(直洞), 최가(崔哥), 춘방(春芳), 하대복(下大福), 하병풍(下屛風), 한평(漢坪), 화전(樺田), 효동(孝洞)
    • 삼수군의 동부 국경지대. 1914년 호재면(好財面)과 인차외면(仁遮外面)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철도는 북부내륙선이 지나가며 관내에 인산역, 삼수청년역이 있다.

2.15. 갑산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갑산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갑산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갑산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경남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함경남도 갑산군 휘장.svg
갑산군
甲山郡
Gapsan-gun
}}}
<colbgcolor=#7D5F9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갑산면 북부리
상위 행정구역 함경남도
하위 행정구역 5
면적 1,398km²
인구 46,442명[20]
인구밀도 33.22/㎢
명예군수 정윤식
명예면장 5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갑산군 소개
파일:함경남도 갑산군 군기.svg

파일:갑산군.jpg

광복 당시 5면. 갑산군은 관내에 철도가 전혀 지나지 않는다.
  • 갑산면(甲山面)
    • 관할 리 : 북부(北部), 고암(古巖), 남부(南部), 대성(大盛), 대흥(大興), 도중(都中), 도하(都下), 도흥(都興), 동부(東部), 동흥(東興), 몽충(夢忠), 부연(富淵), 부흥(富興), 부흥측(富興側), 사기(士起), 서부(西部), 세동(細洞), 쌍대(雙大), 쌍소(雙小), 억년(億年), 용림(龍林), 입덕(笠德), 장평(長坪), 중평(仲坪), 지경(地境), 통상(通上), 통하(通下)
    • 면사무소와 군청이 북부리에 있었다. 1393년에 완공된 갑산읍성의 남문인 진북루(鎭北樓)가 남아 있다.
  • 동인면(同仁面)
    • 관할 리 : 신흥(新興), 구연(舊淵), 내산(內山), 대상(大上), 대흥(大興), 동서(東西), 박달(朴達), 반교(泮橋), 사정(射亭), 성개(成開), 소상(小上), 신성(新城), 신창(新昌), 신풍(新豊), 어연(魚淵), 연안(連安), 연풍(連豊), 연흥(連興), 외산(外山), 유정(柳亭), 잠동(岑洞), 장동(壯洞), 종포(終浦), 중흥(中興), 창평(倉坪), 풍산(豊山), 함정포(含井浦), 후양(厚暘)
  • 산남면(山南面)
    • 관할 리 : 상(上), 고소(古小), 단순(丹唇) 동천(同遷), 두림(杜林), 상가림(上加林), 석막(石幕), 석우(石隅), 송우(送友), 시화(時化), 신성(新成), 신흥(新興), 어은(於隱), 용평(龍坪), 원봉(圓峰), 유상(楡上), 유하(楡下), 은린(隱麟), 중화(中和), 초평(草坪), 포치(浦淄), 풍양(豊陽), 하가림(下加林), 회복(會福)
    • 단순리의 순(唇)은 한글 윈도우에서는 '진'으로 찾아서 입력해야 한다.
  • 진동면(鎭東面)
    • 관할 리 : 양유(楊柳), 간진동(間鎭東), 건장(乾庄), 남대(南大), 내유포(內楡浦), 노적(露積), 노평(蘆坪), 대복(大福), 동점(銅店), 상(上), 석우(石隅), 성후(城後), 신양(新陽), 신풍(新豊), 신흥(新興), 연흥(蓮興), 유포(楡浦), 은사평(隱士坪), 주막(周幕), 중(中), 창평(倉坪)
    • 동점리에 구리 광산인 갑산동산(銅山)이 있다.
  • 회린면(會麟面)
    • 관할 리 : 석우(石隅), 강초(姜草), 교항(橋項), 남향(南向), 대평(大坪), 삼포(三浦), 상(上), 상포항(上浦項), 서당(書堂), 송계(松溪), 연풍(連豊), 용수(龍水), 우상(尤上), 우하(尤下), 위계(渭溪), 이태(利泰), 장가(壯佳), 전기(田基), 조양(朝陽), 중(中), 중초(中草), 중포항(中浦項), 중흥상(中興上), 중흥하(中興下), 직동(直洞), 진둔(榛屯), 천수(泉水), 판장(板章), 하측(河側), 하포항(下浦項), 화장(化墻), 후지(厚地)
    • 천수리, 위계리 등 허천강 일부 지역은 댐으로 수몰됐고 면소재지인 석우리 부근까지 물이 들어왔다.

2.16. 혜산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혜산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혜산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혜산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혜산군.jpg
파일:혜산군기.png
이북5도위원회 기준으로는 량강도 신설과 시 승격을 인정하지 않으므로 여전히 함경남도 혜산군이다.
  • 혜산읍(惠山邑)
    • 관할 리 : 혜산(惠山), 강구(江口), 석덕(石德), 송봉(松峯), 여달(呂達), 연평(囦坪), 요동(要洞), 위연포(渭淵浦), 중(中), 춘동(春洞)
    • 원래 갑산군 혜산사(社)였다가 보천사와 통합되어 보혜면이 되었다가, 1932년에 보혜면이 분할되면서 신설되었고 1934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북부내륙선, 백두산청년선, 삼지연선이 지나는 교통의 요지. 혜산청년역에서 혜산만포청년선과 백두산청년역이 분기하며, 위연역에서 백두산청년선과 삼지연선이 분기한다. 이외에도 관내에 강구역이 있다.
    • 혜산진성 남문 문루였던 괘궁정(掛弓亭)이 남아있다. 1937년에 현재 위치로 옮겼으며 북한의 보물급 문화재다.
  • 대진면(大鎭面)
    • 관할 리 : 대진평(大鎭坪), 대평(大坪), 대흥(大興), 보흥(保興), 여수(麗水)
    • 1942년 혜산군 출범과 동시에 보천면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보천선 철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내에 대진역, 려수역, 량강대평역이 있다. 남한 지도에는 대진역까지 표시된 지도가 있다.
  • 보천면(普天面)
    • 관할 리 : 보전(保田), 가림(佳林), 내곡(內曲), 녹수(綠水), 농산(農山), 보태(寶泰), 산위(山衛), 신흥(新興), 의화(儀化), 축전(杻田), 통남(通南), 포태(胞胎), 화전(樺田)
    • 원래 갑산군 보천사였다가 혜산사와 통합되어 보혜면이 되었다가, 1932년에 보혜면이 분할되어 신설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보천군삼지연시 소재지. 삼지연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화전역, 봉수역, 가림역, 산위평역, 구시물동역, 간상봉역, 농산역, 차가수역, 독산역, 삼포역, 양수역, 리명수청년역, 건창역, 베개봉역, 삼지연역이 있다. 즉, 삼지연선은 기점역인 위연역과 종점역인 못가역을 제외한 나머지는 보천면 구간을 지나간다. 남한 지도에는 리명수역까지 표시된 지도가 있다. 참고로 화전역에서 간상봉역까지는 북한 행정구역상 보천군, 농산역부터 삼지연역까지는 삼지연시 소속이다. 특히 베개봉(침봉) 동쪽, 허항령 남쪽은 삼지연 시내 소재지다. 또한 가림역에서 보천선이 분기하며 관내에 보천역, 곤장덕역, 내곡역, 온수역이 있다.
    • 함경북도 무산군 삼장면, 함경남도 풍산군 웅이면에 이어 이북 5도 행정구역상 전국에서 3번째로 넓은 면이다. 면의 북쪽 끝은 백두산이다.
    • 면소재지인 보전리는 조선시대 국경 방어시설인 보천보(普天堡)가 있었으며, 북한 정권이 선전 및 우상화하는 보천보 전투가 있던 곳이다.
  • 봉두면(鳳頭面)
    • 관할 리 : 봉두(鳳頭), 동흥(東興), 백암(白巖), 별남(別南), 보안소(甫安所), 생장(生長), 신덕(新德), 심포(深浦), 용암(龍巖), 용천(龍川), 운령(雲嶺), 장항(獐項)
    • 1942년 혜산군 출범과 동시에 운흥면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운흥군 소재지. 길주군 방면에서 온 백두산청년선 열차가 지나가며 관내에 심포리역, 보안역, 운흥역, 생장역, 남중역, 령남역, 령하역이 있다.
  • 운흥면(雲興面)
    • 관할 리 : 대오시(大五是), 검산(劍山), 남산(南山), 대문(大門), 대상(大上), 대전평(大田坪), 대중(大中), 대하(大下), 모정(毛亭), 봉서(鳳棲), 산당(山堂), 상산양천(上山羊川), 상장성(上長城), 속신(束薪), 송암(松巖), 신복(新福), 신흥(新興), 오산(五山), 오시천(五是川), 옹동(甕洞), 운룡(雲龍), 일건(日建), 장포(長浦), 중봉(中峰), 중평(仲坪), 하산양천(下山羊川), 하장성(下長城), 호동(芦洞)
    • 백두산청년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검산리역, 대오천역이 있다.
  • 별동면(別東面)
    • 관할 리 : 통목(桶木), 광생(光生), 내동(內洞), 대동(大洞), 동동(銅洞), 동중(東中), 동하(東下), 번포(蕃浦), 보파(寶坡), 부변(桴邊), 삼흥(三興), 상발(上發), 상어(相於), 상초평(上草坪), 선소(船所), 신거(新巨), 안계(安溪), 양문(養文), 장강(長江), 장동(長洞), 장수(長壽), 창포(菖蒲), 천석(千石), 하면(下面), 회사(回沙), 효장(孝長), 흘립(屹立)
    • 혜산군에서 유일하게 구 삼수군 지역이다(나머지는 구 갑산군 지역이다.). 1914년 별해면(別海面)과 하동면(下東面), 상동면(上東面)을 병합하여 신설된뒤 1942년 혜산군으로 이관되었다. 철도로는 북부내륙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늪평역이 있다.
    • 면소재지 통목리를 비롯한 강변 지역이 허천강을 막은 댐의 건설에 따라 수몰됐다.


[1] 1944년 호구조사[2] 대화면은 야마토와 한자가 같지만 일본과 전혀 연관이 없고 조선 초기부터 쓰인 지명이다.[3] 區, 같은 시기 남한에서는 정목을 街로 개칭했다.[4] 이반 치스차코프를 가리킨다.[5] 법령에는 '사나제동'이라 기재되어 있으나 오타로 보인다.[6] 1944년 호구조사[7] ライジングサン石油株式会社. 일본 셸 그룹의 전신으로 1900년 창업했으며, 한국에는 1922년 진출.[8] 즉 문천군 풍상면, 풍하면 일대는 무려 한강수계에 들어간다.[9] 1944년 인구총조사[10] 38.5㎢밖에 안 되는 좁은 면적에 58개 리가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11] 항구인 전진항이 있다.[12] 현재까지 알려진 여진 문자 비석은 총 12기로 그 중 2기가 한반도에 있었는데, 나머지 하나는 경원군 아산면 수정동에 있었던 비석으로 1918년 일제에 의해 경성으로 반출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13] 길이가 무려 10km를 넘고 울창한 송림(松林)을 낀 해변이다.[14] 철광산[15] 실물은 함흥역사박물관에 보관 중.[16] 1944년 인구총조사[17] 일제강점기에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으며 남한에서 발행된 지도에는 백금산역까지만 표기되어 있다. 나중에 북한 당국이 노선을 연장한 것으로 추정.[18] 이와 대치되는 개념인 최소도 중 최소시(最小道中最小市)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이다. 이쪽은 예하 시가 2개뿐인데다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면적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아서 큰 의미는 없지만.[19] 북한에서는 '몌(袂)'와 '폐(廢)'를 각각 '메', '페'로 읽기로 하였다. 그래서 '폐지(廢止)'도 '페지'라고 한다.[20] 1944년 인구총조사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함흥시|함흥시]]}}}{{{#!if external != "o"
[[함흥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함흥시?uuid=버전 uuid1|r39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함흥시?uuid=버전 uuid1#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함흥시?from=39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함흥시|함흥시]]}}}{{{#!if external != "o"
[[함흥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함흥시?uuid=버전 uuid1|r39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함흥시?uuid=버전 uuid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함흥시?from=39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원산시|원산시]]}}}{{{#!if external != "o"
[[원산시]]}}}}}}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원산시?uuid=버전 uuid2|r548]]}}}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원산시?uuid=버전 uuid2#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원산시?from=548|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함주군|함주군]]}}}{{{#!if external != "o"
[[함주군]]}}}}}}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함주군?uuid=버전 uuid3|r82]]}}}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함주군?uuid=버전 uuid3#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함주군?from=82|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정평군|정평군]]}}}{{{#!if external != "o"
[[정평군]]}}}}}}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정평군?uuid=버전 uuid4|r63]]}}}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정평군?uuid=버전 uuid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정평군?from=63|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고원군|고원군]]}}}{{{#!if external != "o"
[[고원군]]}}}}}}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고원군?uuid=버전 uuid5|r67]]}}}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고원군?uuid=버전 uuid5#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고원군?from=67|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문천시|문천시]]}}}{{{#!if external != "o"
[[문천시]]}}}}}}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문천시?uuid=버전 uuid6|r107]]}}}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문천시?uuid=버전 uuid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문천시?from=107|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안변군|안변군]]}}}{{{#!if external != "o"
[[안변군]]}}}}}}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안변군?uuid=버전 uuid7|r114]]}}}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안변군?uuid=버전 uuid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안변군?from=114|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홍원군|홍원군]]}}}{{{#!if external != "o"
[[홍원군]]}}}}}}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홍원군?uuid=버전 uuid8|r54]]}}}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홍원군?uuid=버전 uuid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홍원군?from=54|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북청군|북청군]]}}}{{{#!if external != "o"
[[북청군]]}}}}}}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북청군?uuid=버전 uuid9|r141]]}}}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북청군?uuid=버전 uuid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북청군?from=141|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리원군|리원군]]}}}{{{#!if external != "o"
[[리원군]]}}}}}}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리원군?uuid=버전 uuid10|r56]]}}}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리원군?uuid=버전 uuid1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리원군?from=56|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단천시|단천시]]}}}{{{#!if external != "o"
[[단천시]]}}}}}}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단천시?uuid=버전 uuid11|r143]]}}}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단천시?uuid=버전 uuid1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단천시?from=143|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신흥군|신흥군]]}}}{{{#!if external != "o"
[[신흥군]]}}}}}}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신흥군?uuid=버전 uuid12|r76]]}}}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신흥군?uuid=버전 uuid12#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신흥군?from=76|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장진군|장진군]]}}}{{{#!if external != "o"
[[장진군]]}}}}}}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장진군?uuid=버전 uuid13|r102]]}}}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장진군?uuid=버전 uuid13#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장진군?from=102|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삼수군|삼수군]]}}}{{{#!if external != "o"
[[삼수군]]}}}}}}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삼수군?uuid=버전 uuid14|r107]]}}}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삼수군?uuid=버전 uuid1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삼수군?from=107|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갑산군|갑산군]]}}}{{{#!if external != "o"
[[갑산군]]}}}}}}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갑산군?uuid=버전 uuid15|r135]]}}}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갑산군?uuid=버전 uuid15#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갑산군?from=135|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혜산시|혜산시]]}}}{{{#!if external != "o"
[[혜산시]]}}}}}}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혜산시?uuid=버전 uuid16|r265]]}}}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혜산시?uuid=버전 uuid1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혜산시?from=265|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