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15:45:00

호주 시민권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2169,#383b40>
파일:호주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4002b>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교육(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복지 · 마일 트레인
국방 호주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 파인 갭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덴마크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리투아니아계 호주인
}}}}}}}}} ||

1. 개요2. 권리와 의무3. 호주 시민권을 얻는 방법
3.1. 호주 출생3.2. 인지3.3. 귀화
4. 신청 절차5. 시민권 시험6. 시민권 선서식
6.1. 시민권 선서6.2. 시민권 증서
7. 관련 문서

1. 개요

호주의 국민으로써 정부의 인정을 받은 상태.

Nationality and Citizenship Act 로 1948년에 처음 도입된 이래에 여러차례 개정되었다.[1]

2. 권리와 의무

국적 항목에 있는 사항들과 대동소이 하다.

특이사항으로 의무투표제배심원제 도입 국가 답게 투표와 배심원으로 소환될 시 응할 의무가 있다.

3. 호주 시민권을 얻는 방법

미국 시민권 등과 동일하게 출생(Birth), 인지(Descent), 귀화(Naturalization) 총 3가지가 있다.

3.1. 호주 출생

  • 1986년 8월 21일 이후 출생자 - 호주 출생이면서 부모 중 한명이 호주 영주권자이거나 호주 시민권자인 경우에 자녀가 호주 시민권을 받는다. 또는 부모의 국적과 관계없이 호주에서 태어나고 10살까지 쭉 거주하면 시민권을 받는다.

3.2. 인지

  • 1949년 이전에 대영제국 및 속령에서 태어난 사람
  • 해외 출생 자녀는 부모 중 한명이 영국 시민권자면 그 아기는 1세대에 한하여 자동으로 영국 시민권자가 된다.

3.3. 귀화

  • 호주에서 4년이상 거주하였고 그중 12개월 이상을 영주권자로 거주한 경우[2]
  • 호주에서 출생하고 호주에서 10년간 쭉 거주한 경우[3]

4. 신청 절차

다른 비자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고 필요 서류는 전부 스캔해서 업로드하면 된다.[4]

12개월 이상 알고 지낸 공인[5]의 신원보증을 받아야 한다.

취득 시 외국인에게만 발급되는 비자의 일종인 영주권은 취소된다.

선천적으로 호주 시민권을 취득한 사람은 원한다면 시험 등의 절차 없이 시민권 증서를 바로 신청해서 받을 수 있는데 출생증명서와 출생 시 부모가 시민권자임을 증명하는 서류로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돈을 내고 추가로 신청하는 사람은 드물다.[6]

5. 시민권 시험

후천적 취득의 경우 이민성 사무실이나 출장소에 정해진 날짜에 방문하여 서류들을 재확인 하고 사진을 찍은 뒤 시민권 시험을 치게 된다.

호주 역사와 민주주의 등에 대한 질문들을 물어보는데 영어에 문제가 없다는 전제하에 그리 어렵지 않다.[7]

다른 언어로는 제공되지 않으며 불합격일 경우 당일에 재시험 기회를 주기도 한다.

6. 시민권 선서식

역시 후천적 취득자에게만 해당된다.

시민권 시험을 치고 난 뒤 시민권이 승인되었다는 편지를 받고 수개월정도 기다리면 관할 지자체에서 선서식에 초대하는 편지가 온다.

주로 지역구 관리 차원에서 선출직인 지자체장이나 국회의원등이 참석하여 시민권 선서 후 시민권증서를 수여해준다.

반드시 이 과정을 거쳐야만 시민으로써 인정되며 불참시 자동으로 연기되고 해당사항이 편지로 통보된다. 3회정도 불참하면 취소 등의 불이익이 있다는듯.

의무투표제 시행 국가답게 선거관리위원회에서 파견된 인물들이 선거인명부 등록을 위해 있다.[8]

신청자의 미성년 자녀의 경우 부모와 함께 참석함으로써 본인의 시민권 증서를 받을 수 있다.

시민권 증서와 함께 선물로 호주 국기가 그려진 핀과 꽃다발이나 식수등을 주며[9] 호주 고유의 음식들을 제공한다.

6.1. 시민권 선서

도입 초기에는 다른 국가 및 세력등을 버리고 국왕 폐하께 충성을 맹세한다는 구절 등이 있었으나 세월이 흘러 1994년 부터는 다음 내용으로 교체되었다.
From this time forward, under God, I pledge my loyalty to Australia and its people, whose democratic beliefs I share, whose rights and liberties I respect, and whose laws I will uphold and obey.
지금 이 순간부터 내 충성을 나와 민주적 가치를 공유하며 내가 존중하는 권리와 자유 그리고 내가 지지하고 지키는 법을 가진 오스트레일리아와 그 국민들에게 바칠것을 신 앞에서 맹세한다.
'신 앞에서' 부분은 본인 선택에 따라[10] 생략이 가능하며 시민권 신청시에 해당 부분에 대해 물어본다.

6.2. 시민권 증서

캥거루에뮤가 있는 정부 공식 로고에[11] 본인의 이름, 생년월일, 문서 인증번호, 선서 일자와 이민성 장관의 이름과 서명이 들어가 있다.

호주 여권 신청 시에는 반드시 제시하여야 하며 그 외 신분증명 용도로도 일부 사용하나 사이즈도 크고 훼손되기도 쉬운 종이 재질이라 보통 집에 잘 모셔두는 편이다. 재발급 비용도 후덜덜 하다.

7. 관련 문서


[1] 현행은 Australian Citizenship Act 2007[2] 일단 영주권을 먼저 취득해야한다. 호주군에서 복무하였거나 한 경우 등 더 빠르게 신청이 가능한 예외조항들이 있다.[3] 부모나 본인의 비자상태에 관계없이 부여된다. 다만 자동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고 부모 또는 본인이 신청해야한다. 물론 호주에서 출생하고 10년간 쭉 거주한 것만 증명하면 미성년자도 시민권을 아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호주에서 태어난 한국인 아동이 거주 조건을 채워서 호주 시민권을 신청 및 취득한다면 한국 정부는 이를 귀화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중국적을 가질 수 없다.[4] 일부 고령자 등의 수수료 면제&할인건 신청 시 서류로 신청해야 함[5] notary public - 의사, 간호사, 약사, 변호사 등 국가에서 면허를 관리하는 직업들과 경찰, 국회의원 등[6] 부모가 영주권자인 경우는 여권 신청 시 필요하므로 신청하는 편[7] 삼권분립등에 대한 질문이 나온다. 시민권 안내 책자만 정독해도 쉽게 통과할 수준[8] 개인정보보호법상 기관간 정보교환이 제한되는 국가라 여기서 잘 도망가면 평생 투표 안해도 된다는 도시전설이 있다.[9] 지자체에 따라 다르다.[10] 무신론자[11] 정식 명칭은 Coat of arms of Australia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