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14:07:31

홍익대학교/학부/공과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홍익대학교/학부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학부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감리교신학대학교/학부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학부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학부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학부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학부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학부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학부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학부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학부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학부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학부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학부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학부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학부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학부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학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학부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학부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학부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학부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학부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학부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학부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학부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학부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학부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학부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학부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학부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학부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학부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학부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학부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학부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학부 }}}}}}}}}

파일:홍익대학교 흰색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1f44,#002c6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학정보
역사 캠퍼스 도서관
입시 학교법인 사건사고
교육
학부 대학원 학사제도
학생정보
학생활동(학생회/동아리) 출신 인물
}}}}}}}}}}}}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의 단과대학
서울캠퍼스
미술대학 공과대학 경영대학
문과대학 법과대학 사범대학 경제학부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공연예술학부 미래융합학부
세종캠퍼스
과학기술대학 조형대학 상경대학
광고홍보학부 게임학부 }}}


1. 개요

공과대학
工科大學/College of Engineering
학부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연구소
- 건설환경공학과
-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전자전기공학부
-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부
(신소재공학/화학공학)
- 산업데이터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기초과학과
- 기계공학과
- 물리학과
- 수학과
- 신소재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 산업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토목공학과
- 화학공학과
없음 - 과학기술연구소
- 환경개발연구원
-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0학년도 기준
<rowcolor=#fff>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WISE)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국립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공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국립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

공과대학(무적공대) / 工科大學, College of Engineering

공과대학 홈페이지

홍익대학교공과대학이다. 서울캠퍼스 소속의 단과대학이다. 미술대학, 건축도시대학과 함께 홍대를 대표하는 3대 축이라고 할 수 있다.

홍익대학교 공과대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1954년에 신설된 미술학부 건축미술학과를 그 시작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이 발생하면서 문교부가 대학정비령을 내리면서 홍익대학은 미술학부(공예과ㆍ회화과ㆍ조각과ㆍ건축미술학과)를 제외한 모든 학과들을 강제로 폐과해야 했고, 이로 인해 이학부 소속이었던 물리학과와 화학과는 사라지게 되었다. 당시 미술학부 소속이었던 건축미술학과는 살아남아서 1964년 건축학부 건축과로 독립했으며, 1966년에 건축학부 건축과가 공학부 건축공학과로 개편되면서 홍익대학 공학부가 신설되었다. 이후 공학부에 도시계획과(1967), 전자공학과(1970), 전기공학과(1971)가 차례로 신설되었으며, 한국전력공사가 운영하던 수도공과대학을 1971년에 홍익대학교가 인수ㆍ합병하면서 홍익대학 공학부와 합류하여 이공대학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1978년에 이공대학을 공과대학으로 개편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홍익대학이 수도공과대학을 합병하면서 홍익대의 공과대학은 크게 성장했는데 명실공히 지금도 인정을 받고 있는 단과대학이다.

이후 초창기부터 공과대학의 역사를 함께한 건축학과가 2006년에 건축대학을 신설하여 공과대학으로부터 독립하였다. 2020년에는 도시공학과(도시계획과)가 건축대학 편제로 넘어가고, 건축대학이 건축도시대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로 인해 수도공과대학 합병 전의 홍익대학 공학부를 구성하던 학과들 중 대부분이 건축도시대학으로 넘어가면서 홍익대학교 공과대학에는 홍익대학 공학부 출신(전자)을 제외하면 수도공대 출신(기계시스템디자인, 신소재, 전기, 토목, 화학)및 그 이후 신설 공학과(컴퓨터, 산업)만 남게 되었다. 아무래도 한국전력공사가 운영하던 수도공과대학을 계승하는 단과대학이다보니 오늘날 공과대학에서는 전자전기공학부가 가장 규모가 크다.[1]

만일 홍익대학교 공과대학의 시작을 지금은 다른 단과대로 독립해 나간 건축학부가 아닌 수도공과대학으로 본다면, 수도공대가 개교한 1962년을 그 시작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1962년 당시 홍익대학은 대학정비령의 여파로 미술학부 내의 공예과ㆍ회화과ㆍ조각과ㆍ건축미술학과만이 남아있던 시절이다. 건축미술학과가 건축학부 건축과로 개편되면서 미술학부로부터 독립하는 것은 1964년의 일이며, 건축학부가 개편돼서 홍익대학 공학부가 신설되는 것은 1966년의 일이다.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측의 공식적인 연혁에서는 1964년 2월에 건축학부 건축과가 미술학부로부터 독립하여 신설된 것을 공과대학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굳이 따진다면 미술학부만 남기고 모든 학과가 강제로 사라진 홍익대학 입장에서는 하루라도 빨리 3개의 단과대학을 만들어서 종합대학이 되고자 했을 것이고, 그 일환으로 살아남은 학과들 중 그나마 공학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는 건축 분야를 활용해서 공과대학을 신설하고자 했을 것이다. 그리고 훗날 수도공과대학을 합병하면서 3개의 단과대학을 완성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는데 성공했다.
홍익대학교 공과대학의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자세히 보기 ]
1946 04.25. 재단법인 홍문대학관을 설립
1948 08.10. 재단법인 홍익학원 설립 인가, 홍문대학관 설립
12.10. 교사를 용산구 문배동 24의 8로 이전
1949 홍익대학(Hongik College)으로 개편 인가
- 6월 27일 법학부, 문학부, 초급 대학부의 4년제 홍익대학으로 인가
- 8월 교사확장을 위해 건국실천원양성소를 매입하여 그곳에 미술과를 설치
- 10월 교세확충을 위해 인천시 만석동에 분교를 설치
1950 06.25. 한국전쟁 발생
- 부산시 부평동과 대신동 및 대전시 성남동에 각각 분교를 설치하고 전시대학 운영
- 환도 후에는 종로구 누상동에 대학 본부를 두고 중구 남산동과 종로구 인사동에 분산하여 운영
1954 03.09. 증과ㆍ증원조정
- 문학부(국문학과ㆍ영문학과ㆍ사학과ㆍ경상학과)
- 미술학부(회화과ㆍ조각과ㆍ건축미술과)
- 법정학부(법률학과ㆍ정치학과)
- 이학부(물리학과화학과)
1955 05.19.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으로 교사 이전 (현 위치)
1958 건축미술학과 1회 졸업생 배출
03. 대학원 건축학과 개설, 대학원 석사과정 설치 인가
1960 강원도 원주시에 제2부(야간) 설치(3개학과)
1961 문교부 대학정비령에 의해 미술학부 4개과(공예과ㆍ회화과ㆍ조각과ㆍ건축미술학과)만 존치하고 기타 학과는 강제폐과
홍익미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
1962 홍익대학으로 교명을 다시 환원
수도공업초급대학 개교
- 공기업한국전력공사가 설립한 공과대학
-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
1964 수도공업초급대학이 수도공과대학으로 개편됨
02.03. 홍익대학 미술학부를 미술학부/공예학부/건축학부로 분리 개설
증과ㆍ증원조정
- 미술학부(동양화과ㆍ서양화과ㆍ조각과)
- 공예학부(공예과ㆍ도안과)
- 건축학부(건축과)
- 상경학부(상학과ㆍ경영학과ㆍ경제학과ㆍ무역학과)
1966 12. 건축학부 건축과를 공학부 건축공학과로 개편
1967 12. 공학부 도시계획과 신설
1970 공학부 전자공학과 신설
1971 공학부 전기공학과 신설
12.31. 수도공과대학(8개학과, 정원1,040명) 인수합병
- 전기공학, 기계공학, 토목공학, 정밀기계공학, 화학공학, 금속공학, 공업교육
종합대학교로 승격 (당시 종합대학이 되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단과대학이 필요했음)
- 3개 단과대학(이공대학ㆍ상경대학ㆍ미술대학), 20개 학과, 1개 대학원 구성의 편제
- 이공대학 신설(홍익대학 공학부 및 수도공과대학을 계승, 건축공학과 외 11개 학과)
- 홍익대학(Hongik College)에서 홍익대학교(Hongik University)로 교명 변경
이공대학 신설
- 12개학과, 입학정원 428명 인가
- 물리학과, 전자계산학과, 건축공학과, 도시계획과,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 정밀기계공학과, 토목공학과, 화학공학과, 금속공학과, 공업교육과
이공학관 준공(4,077평)
1973 12.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과정 설치 인가, 2부 대학에 건축공예과 신설
1978 10. 이공대학을 공과대학으로 개편
- 건축공학과를 건축학과로 개편
1980 환경대학원 설립 인가
1981 10. 기계공학과와 정밀기계공학과를 기계공학과로 통합
1982 10. 산업공학과 신설
1985 05. 와우관(1,755평) 준공, 건축학과 건물로 사용
2부 대학 건축공예과 폐지
1987 10. 전기공학과를 전기제어공학과로, 금속공학과를 금속재료공학과로 명칭변경
1988 조치원 캠퍼스 산업대학(11개학과) 신설
1991 10. 전파공학과 신설
1992 07. 전자계산학과를 컴퓨터공학과로 명칭 변경
1993 03. 전기제어공학과와 전자공학과를 전자전기제어공학과로 통합
09. 도시계획과를 도시공학과로 명칭변경
1995 10. 학과 통합하여 학부제로 변경
1996 환경대학원이 건축도시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제2신관 준공(2,956평) : 컴퓨터공학, 정보산업공학
1997 건축학과 해외 활동
- 건축학과 주최로 오스트리아 건축전 개최
- AA School(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 교류 협약 채결
- IIT(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와 자매결연
1998 10. 컴퓨터산업공학부를 정보컴퓨터공학부로 명칭변경
2001 제2공학관 준공(2,960평)
전자전기공학부, 토목공학, 기초과학, 정보통신센터 준공(3,871평)
대학로 캠퍼스 개설
2002 03. 건축학과 5년제 시행
2004 홍익대학교 미술학부(회화과, 조각과, 건축미술과)/건축학과 50주년
공학교육인증제(ABEEK) 실시
2005 07. 삼성전자 정보통신트랙 협약 체결
08. 공학교육인증지원센터 개소
10. PACE 센터 개소
12. 서울메트로와 산학협력체결
12. 신촌밸리 산학협력포럼 개최
2006 03. 건축대학 발족(초대학장 장미셀 빌모트 취임)
- 건축학과가 공과대학으로부터 분리
- 공과대학 건축학과를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으로 개편
- 건축학부 실내건축학전공 신설
06. 디스플레이 인력양성 사업 실시
2007 06. 공학교육혁신센터 개소(구-공학교육인증지원센터)
07. 건축학과 건축학교육인증(KAAB) 최초 취득 (2006~2012)
2008 02. 삼성전자 기구/금형트랙 협약체결
2014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60주년(1954~2014)
2016 01. 서울캠퍼스 제2기숙사 준공
2017 12. 서울캠퍼스 제3기숙사 준공
2020 건축대학을 건축도시대학으로 개편
- 건축대학 건축학부(건축학전공+실내건축학전공)을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로 개편
- 공과대학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전공을 건축도시대학 도시공학과로 개편
- 공과대학 건설·도시공학부 토목공학전공을 공과대학 토목공학과로 개편
- 건축도시대학 내 건축학부와 도시공학과 편제
2021 토목공학과를 건설환경공학과로 명칭 변경
}}}}}} ||
연혁

2. 학부

2.1. 건설환경공학과

건설환경공학과(혁신토목) / 建設環境工學科,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965: 수도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1971: 홍익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공학과
- 197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1995: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건설·도시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2020: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202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건설환경공학과
建設環境工學科/Dept. of Civil Engineering
선진산업사회의 기반시설인 도로, 항만, 공항, 교량, 철도, 댐, 상하수도 등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토목구조물의 설계, 시공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 등을 하는데 필요한 학문분야를 개설하고, 이를 통한 토목분야의 고급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교육의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전공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인증프로그램인 토목공학 심화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고속도로와 철도 등 교통망의 전국적인 확충, 홍수 등 자연재해 예방 및 조절과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다목적 댐의 축조, 세계적 규모의 항만 및 공항 시설은 물론 상하수도 관련 정수 및 하수처리 시설의 건설 등 SOC의 확충에 필요한 각종 전문지식을 교육하고 있다.

졸업생들은 국가기관, 건설업체, 엔지니어링업체 및 대학에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해당분야 최고의 전문가를 의미하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후 기술사로서 설계, 감리, 자문 등의 개인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관련된 전문기술사로는 구조, 토질 및 기초, 수자원, 항만, 도로 및 공항, 철도, 상하수도, 측지, 품질관리, 건설안전, 시공 등이 있다.

미래의 토목분야 진로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 건설시장에도 적극 참여하게 될 것이며, 러시아, 중국, 중동 및 동남아 등 개척 또는 미개척지로의 진출이 확산되어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토목기술자의 고급인력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토목분야의 전망은 매우 밝다.

건설환경공학과 홈페이지

K동(제1공학관)을 이용하고 있는 도시공학과와 P동(제2공학관)을 이용하는 토목공학과가 1995년부터 건설·도시공학부 내 세부전공으로 합쳐진 한 지붕 두 가족으로 운영되었다. 사실 토목공학과 도시공학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비슷한 분야에서 활동하지만 다루는 학문은 다르다. 학부 중 아웅다웅하는 정도가 심하다. 도시공학과는 남녀성비가 공대치고는 괜찮은 편이지만 토목공학과는 우락부락한 그런 느낌이다. 물론 둘을 합친 건설도시공학부의 이미지는 술 잘 마시는 이미지다. 인원은 제일 적지만 응원때나 OT때의 응원이나 함성은 제일 크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이전에는 공대 상위권 입결을 자랑했다. 여담으로 로이킴의 아버지가 이 곳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시다.

2020년에 도시공학전공이 학부제 내 세부전공에서 도시공학과로 개편되고, 도시공학과공과대학에서 건축대학으로 넘어가고 건축대학이 건축도시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수도공과대학에서 계승된 토목공학과와는 달리 도시공학과는 홍익대학교가 수도공대를 합병하기 전에 건축학부를 개편해서 만든 공학부 소속으로 신설된 도시계획과를 그 시작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오늘날의 홍익대학교 공과대학에는 수도공과대학 출신의 학과들과 수도공대 합병 당시 신설된 학과들만을 남겨두고 기존의 공학부(건축학부)를 구성하던 학과들은 다시 건축대학으로 넘어간 셈이다.

한편 건설·도시공학부 내의 토목공학전공도 다시 토목공학과로 재편되었다. 토목공학과는 여전히 공과대학 소속으로 남아있으머 2021년부터는 토목공학과가 건설환경공학과로 이름이 바뀌었다.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2.2.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机械·系统设计工程学系, Dept. of Mechanical & System Design Engineering
- 1965: 수도공과대학 기계공학과
- 1968: 수도공과대학 기계공학과/정밀기계공학과
- 1971: 홍익대학교 이공대학 기계공학과/정밀기계공학과
- 197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정밀기계공학과
- 198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 200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机械·系统设计工程学系/Dept. of Mechanical & System Design Engineering
본 학과는 국내 수많은 기계공학 분야의 학과들과 차별화된 교육 목표와 교과과정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내 제조업에서 중공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고 전자, 통신, 의료, 바이오시스템 등 작고 가벼운 사용자중심 제품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맞는 기계공학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큰 교육성과를 내고 있다.
이와 같은 학과 특성화는 2001년 1학기부터 학과명을 “기계공학과”에서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로 개명하고 교과과정의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하면서 시작되었다.

교과과정 개편의 근본 취지는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기계공학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하는 다양한 능력을 통합적으로 교육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역학적 해석 뿐 아니라 제품을 실제로 디자인하는 능력, 제품을 부품들의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설계하는 능력, 생산된 제품의 성능 및 경제성을 분석하는 능력, 또한 그 결과를 발표하고 보고서로 작성하는 능력 등을 두루 가르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첨단 복합기술을 교육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춘 미래 지향형 교육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

학부 교과과정 내용은 열공학, 유체공학, 동역학, 제어공학, 고체역학, 생산공학, 디자인, 융합공학 분야로 나누어진다.
열 및 유체공학 분야에서는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자동차엔진공학, 열?유체시스템디자인, 컴퓨터응용유체기계, 트라이볼로지, 에너지시스템과환경이 개설되고 있으며, 동역학 및 제어공학 분야의 교과목은 메카니즘디자인, 동역학, 진동 및 방진시스템설계, 자동제어, 유압시스템설계, 초소형기전공학, 메카트로닉스개론, 자동차새시 및 디자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체역학, 생산공학 및 디자인 분야의 대표적 과목으로는 공학CAD 및 형상모델링, 고체역학, 기계공작법, 소성가공, 정밀가공, 기계요소설계, 재료거동학, 메카닉스응용, 디자인프로세스, 기술융합제품개발, 심미적공학설계, 디자인가시화 및 시뮬레이션, 친환경제품디자인 및 설계 등이 있다. 특히, 디자인 분야에서는 애플, HP 등 국제적 기업의 제품 디자이너로 오랜 기간 활동한 미국인 교수를 초빙하여 다양한 제품디자인 과목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계측 및 신호처리, 기계공학실험 등의 실험실습 과목을 통해 교과 내용을 체험적으로 습득할 뿐 아니라, 기계시스템종합설계 과목을 통하여 실질적인 문제에 대한 졸업논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기계공학 지식을 종합하는 시스템 설계를 체험하고 있다.
본 학과 교수진은 국내외 일류대학의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매우 활동적이고 진취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산업체, 정부관련 단체 및 연구소와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얻은 경험과 지식을 교육내용에 반영함으로써 활기와 생동감이 넘치는 강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우수 교수진의 연구 활동에 학부 및 대학원생의 참여를 극대화하여 기초적인 교육 외에도 최첨단 연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졸업생들은 기업체, 연구소, 관련 전문기관과 대학원 진학, 유학 등을 통해 사회에서 호평을 받으며 활동하고 있다.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홈페이지

외국인 교수의 디자인 수업도 있고 독일 아헨 공대와의 디자인 협업 수업도 있다. 학과 단결력은 자기하기 나름이다. 10개 내외의 학과 소모임이 있고 대부분 학생들은 적어도 하나의 소모임을 강제로 배정 받게 된다.

"산업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홍익대의 모토를 가장 잘 보여주는 학과이다.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2.3. 전자·전기공학부

전자·전기공학부(최강전전) / 電子電氣工學部, School of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 1965: 수도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신설)
- 1970: 홍익대학 공학부 전자공학과 (신설)
- 1971: 홍익대학 공학부 전기공학과 (신설)
- 1971: 홍익대학교 이공대학 전자공학과/전기공학과 (대학합병)
- 197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전기공학과
- 198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전기·제어공학과
- 1993: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전기·제어공학과
- 1995: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전자·전기공학부
電子電氣工學部/School of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전자.전기공학부는 전자, 전기공학 전반에 걸친 기초 및 응용 학문을 종합적으로 교육한다.

본 학부는 미래 정보화 시대를 선도하고 고도 산업 사회를 이끌어 갈 고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 걸친 학과목을 고르게 개설하고 심도 있는 강의를 통하여 높은 수준의 교육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체계는 한국공학교육 인증원의 인증프로그램인 전자.전기공학 심화과정 운영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되고 있다.
전자.전기공학부는 광범위한 전공 분야의 교수진을 확보하여 국내 굴지의 규모와 수준을 갖춘 학부로 성장하였으며 세부적으로 반도체 소자 및 재료, 집적 시스템 설계 부문, 제어 및 전력시스템 부문, 통신 부문, 초고주파 부문 등으로 구성된다.
반도체 부문은 메모리 및 반도체 소자 제작을, 집적시스템 설계 부문은 반도체 회로, 내장형 집적 System on Chip 설계 및 설계 전산화 프로그램 등의 분야를 포함한다.
전기재료 분야는 광소자 혹은 LCD, LED 및 AMOLED등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전기적/광학적 특성 및 제작 공정 분야를 포함한다.
제어 및 전력 시스템 부문은 자동화, 로봇 및 지능 처리 등과 관련한 제어 시스템 분야와 전력에너지 시스템, 전력경제와 관련된 전력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통신 부문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 기술과 영상 및 음성 신호처리와 같은 멀티미디어 관련 분야 등을 포함한다.
초고주파 분야는 이동통신이나 광통신 등에 필요한 전자파 및 광파 관련 분야와 레이더 및 원격 탐사 관련 분야 등을 포함한다.

전자.전기공학부를 졸업한 이후에는 가전기기, 이동통신 및 정보통신기기 관련 기업, 공장 자동화 기기 등 산업 전자 기기, 전력용 시스템 및 장비, 반도체 부품 및 시스템, 집적시스템 설계, 컴퓨터 시스템 및 응용, 인공지능, 로봇 관련 제품 등을 생산하고 연구하는 기업체 및 연구소 등에 진출하여 활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원에 진학하여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기회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전자공학 및 컴퓨터 관련 응용 기술의 넓은 활용범위로 인하여 정부 기관 및 출연 연구소, 방송국 및 인터넷 관련 업체 등에서의 다양한 취업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전자·전기공학부 홈페이지

제2공학과(P동) 지하1층과 8층을 제외한 건물 대부분을 사용하고 있다. 지하1층에는 토목공학과 강의실이, 8층에는 토목공학과 사무실과 연구실이 있다. 재학생 수가 약 980명 정도로 단일학부 기준 학교 내에서 가장 거대한 곳 중 하나로 꼽힌다.[2] 전공 특성상 학내에서는 전화기의 하나로 취업률 면에서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부와 같이 취업깡패로 통한다. 대부분의 학교가 전기전자공학이라는 명칭을 쓰는데 비해 전자전기공학부라는 명칭을 고수한다. 전기계통 교수들은 수업하면서 은연중 이에 대한 문제제기를 슬금슬금 하는 편. 학회라는 이름으로 밴드, 여행, 풍물, 운동 등 10개 가량의 학과 동아리격인 소모임이 운영되는데, 보통 오티 같은조의 조장의 학회를 따라가게 된다. 학회를 하지 않는 비학회와 학회의 비율은 반반정도이며, 교류는 거의 없는 편. 여담으로 한때 인터넷에서 잠시 떠돌았던 학점폭격기 교수가 재직하는 곳이기도 하다.# 다만 이 사건 이후 학점규칙을 조금 완화하여 F비중이 상당히 줄어들긴 했다. 이 사건 이후로도 시간이 많이 지나면서 유해지셨는지 예전과 다르게 평균적인 학점보다 짠 정도이지 폭격기 수준까지는 아니게 되었다. 재직 교수 중에서는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K-IDS) 수석부회장을 역임 중인 최종선 교수가 있다. 물론 학점이 매우 짜서 수업들이 자주 폐강되신다.

홍익대 공과대학 연혁에 따르면 1971년에 홍익대학이 수도공과대학을 합병하기 직전의 홍익대학 공학부에는 건축공학과(1954), 도시계획과(1967), 전자공학과(1970), 전기공학과(1971)가 존재했다. 애초에 수도공과대학이 세워진 목적 자체가 한국전력공사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서였기 때문에 수도공과대학에도 이미 전기공학과가 존재했었고, 홍익대학 공학부와 합쳐지는 과정 속에서 학과 통폐합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2006년에는 건축학과가, 2020년에는 도시공학전공이 공과대학에서 나와 건축도시대학으로 옮겨갔기 때문에 전자·전기공학부가 수도공과대학 합병 전의 홍익대학 공학부의 흔적이 남아있는 마지막 공과대학 학부가 된 셈이다.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2.4.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부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부 / 新材料化工系统工程学部,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 Materials Science

I동 4층부터 6층까지 사용하는 화학공학과와 K동을 사용하는 신소재공학과가 있는 학부이다. 2학년 때 전공 선택을 하여 화학공학과와 신소재공학과로 나뉜다. 화학공학과 강의실은 총4개로 열악한 환경의 과다. 학생 수 대비 교수진 수는 나은 편이며 3학년 1학기에 고통의 최고치를 찍는다. 사실 물달은 3학년 2학기 커리큘럼이다.
2.4.1. 신소재공학전공
신소재공학전공 / 新素材工學專攻,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Major
- 1969: 수도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1971: 홍익대학교 이공대학 금속공학과
- 197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1987: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금속·재료공학과
- 1995: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재료·화학공학부 재료공학전공
- 200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과 신소재공학전공

신소재공학전공 홈페이지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2.4.2. 화학공학전공
화학공학전공 (전진화공) / 化學工學專攻, Chemical Engineering Major
- 1968: 수도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1971: 홍익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공학과
- 197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1995: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재료·화학공학부 화학공학전공
- 200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과 화학공학전공

화학공학전공 홈페이지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2.5. 산업·데이터공학과

산업·데이터공학과 (선봉산공)/産業数据工學科, Industrial and Data Engineering Major
- 1982: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 1995: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산업공학부 산업공학전공
- 1999: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컴퓨터공학부 정보·산업공학전공
- 2002: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컴퓨터공학부 산업시스템전공
- 2004: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컴퓨터공학부 정보산업공학전공
- 2009: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컴퓨터공학부 산업공학전공
- 202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데이터공학부 산업·데이터공학전공
- 2022: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산업·데이터공학과

산업·데이터공학과 홈페이지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산업데이터공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산업데이터공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2.6.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공학과/情報工學科, Computer Engineering Major
- 1971: 홍익대학교 이공대학 전자계산학과 [3]
- 197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계산학과
- 199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계산학과/전파공학과
- 1992: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전파공학과
- 1992/07: 전자계산학과를 컴퓨터공학과로 명칭 변경
- 1995: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산업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 1996: 제2신관 준공(2,956평. 컴퓨터공학, 정보산업공학)
- 1998/10: 컴퓨터·산업공학부를 정보·컴퓨터공학부로 명칭변경
- 1999: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 2021: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데이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 2022: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홈페이지[4]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김선일 정교수 시스템소프트웨어 컴퓨터공학(공학박사)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김은삼 정교수 분산멀티미디어시스템 컴퓨터공학(공학박사) 플로리다 대학교
김한규 정교수 컴퓨터네트워크 컴퓨터공학(공학박사)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
표창우[5] 정교수 프로그래밍 컴퓨터공학(공학박사) 서울대학교
}}}}}} ||

2.7. 기초과학과

기초과학과/基礎科學科, Dept. of Applied Science
- 1954: 홍익대학 이학부 물리학과/화학과
- 1961: (폐과)
- 1971: 홍익대학교 이공대학 물리학과/과학교육과
- 1978: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기초과학과[6]

기초과학과 홈페이지

학부과정에 있는 학과이지만 학부생은 없다. 물리학, 수학, 화학의 공학에 필요한 기초과목을 담당하는 학과이다.

연혁을 살펴보면 1954년에 미술학부와 이학부가 신설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미술학부에 속해있던 건축미술과는 강제폐과 당하지 않고 살아남아 홍익대학교 공과대학의 시초가 된 반면, 이학부에 속해있던 물리학과와 화학과는 1961년 문교부 대학정비령에 의해 강제로 폐과되고 말았다. 훗날 1971년에 홍익대학이 수도공과대학을 합병하면서 이공대학을 신설할 때 물리학과로 부활하고, 수도공과대학으로부터 물려받은 공업교육학과 역시 이공대학에 편제되어 있었으나, 1978년에 이공대학을 공과대학으로 개편하면서 이학(자연과학)은 더이상 학부 전공생을 모집하지 않고 공학만이 남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공과대학 기초과학과로 남아서 공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학의 기초가 되는 수학, 과학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기초과학과 교육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개설 교과목 ]
분야 과목명
}}}}}} ||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기초과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분야 전공(학위) 학위취득대학
}}}}}} ||

[1] 사실 대부분 공과대학에서는 전기전자 계열이 가장 규모가 크다.[2] 경영대학 경영학 전공이 1600명 정도로 가장 많고, 정보컴퓨터공학부(+컴퓨터공학과, 산업공학과)가 1060명 선이다.[3] 대한민국에서 숭실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다음으로 2번째로 만들어진 컴퓨터공학과이다.[4] 학과 공식 홈페이지에는 학과 연혁이 안내되어 있지 않다. 일부 연혁은 http://eng.hongik.ac.kr/about/history.php 에서 참고 가능하다.[5] 2022년 은퇴[6] 학부 전공생 모집 중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