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7:08

Europa Universalis IV/공략/사보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uropa Universalis IV/공략
<colbgcolor=#2a2e3a> 파일:유로파 로고.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게임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2e3a> 게임 진행
지도 <colbgcolor=#fff,#191919> 건물 | 기념물 | 기술 | 무역 | 문화 | 종교 | 프로빈스 (1 ~ 1000 | 1001 ~ 2000 | 2001 ~ )
국가 군사 (병종 분류) | 계층 | 시대 | 예속국 | 외교 | 전쟁 명분
선택 디시전 | 시나리오 | 시대관 | 신성 로마 제국 | 이념 (국가별) | 정부 | 정책 | 천명 | 국가 변환
공략 서구권 | 동구권 | 아나톨리안 | 무슬림 | 인도 | 중화권 | 아프리카 | 유목민 | 신대륙 원주민 | 독립 식민정부 | 형성 국가 | 해적 국가 | 기타 | 티어별 분류 (1 | 2 | 3 | 4)
기타 DLC 전반 (확장팩 및 업데이트) | 업적 | 콘솔 명령어
진행 외
모드 모드 전반 (MEIOU&Taxes | Anbennar)
게임 외 공식 보드 게임
}}}}}}}}} ||

개별 문서가 있는 Europa Universalis IV의 4티어 국가
파일:external/www.eu4wiki.com/660px-The_Papal_State.png
교황령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The_Knights.png
구호기사단
파일:external/www.eu4wiki.com/Granada.png
그라나다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Navarra.png
나바라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Ryukyu.png
류큐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Malaya.png
말라야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Mali.png
말리
파일:Europa 4 Mewar flag.png
메와르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Mutapa.png
무타파
파일:사보이아 공국 국기.svg
사보이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아르달란
파일:external/www.eu4wiki.com/Ireland.png
아일랜드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Aztec.png
아즈텍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Albania.png
알바니아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Trebizond.png
트레비존드
파일:external/www.eu4wiki.com/330px-Tibet.png
티베트
파일:Europa 4 Morocco flag.png
모로코
같이 보기 : 1티어 · 2티어 · 3티어 · EU4 틀
사보이아
국기 파일:사보이아 공국 국기.svg
프로빈스 파일:사부아1.28.3.png

파일:EU4 Savoy unit skin.png

유닛 스킨.

1. 운영 전략

1. 운영 전략

역사상 이탈리아의 전신이 되는 국가로 이탈리아어 발음대로는 사보이아 공국이 정상이나 한글 번역에서는 영어 명칭인 사보이 공국으로 표기된다.[1]

일단 게임 시작 시점에서는 꽤 초라한 위치에 있다. 국력 자체는 밀라노, 피렌체 등의 다른 북이탈리아 강소국들과 비등비등하지만 사보이아의 가장 큰 문제는 프랑스, 부르고뉴, 아라곤, 카스티야, 오스트리아 등의 게임 초반 깡패 국가들의 각축장이 되는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이 중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것은 역시 국경이 붙어 있는 프랑스로, 부르고뉴가 약해지거나 사라지면 사보이아는 사부아 정복 미션 때문에 바로 프랑스의 다음 타겟이 된다. 오스트리아 방향도 쉽지는 않은 것이 일단 사보이아는 신롬 소속이라서 그림자 왕국 이벤트로 신롬을 탈퇴하기 전까지는 전쟁 자체가 어그로를 끄는 행위가 된다. 따라서 사보이아가 살아남으려면 역사를 따라 철저한 외교술과 운빨[2]로 국력을 키우기 전까지 여러 국가들 사이를 잘 왔다갔다해야 한다. 이를 반영했는지, 사보이아의 기본 국가 아이디어는 외교력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사보이아 플레이의 기본은 일단 동맹을 만드는데 있다. 관계도 개선을 하지 않아도 오스트리아와 프랑스 두 국가와 동맹을 맺을 수 있으므로 동맹 후 호의작업을 해야 한다. 나중에 둘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오스트리아를 추천한다.[3] 초반 일정 시간은 프랑스도 필요하다. 일단 '굳건한' 동맹이 생긴다면 사보이아는 북이탈리아 소국 중에서도 규모가 큰 편이므로 큰 어려움 없이 확장이 가능하다. 카스티야와도 동맹이 가능하니 해주면 좋다.

플레이 기본 방향은 프로방스 지역이 1순위이고 그 다음은 수도 기준 남쪽 섬 지역인 서지중해 제도들이다.

제노바만 빼고는, 그림자 왕국 이벤트 뜨지도 않은 상태에서 괜히 이탈리아 지역 먹을려다가 AE폭발로 땅도 별로 못먹고 무리하게 먹다가 반국가연합 걸리기 딱 좋은지라 밀라노 이벤트라던지 교황의 파문이라던지 그림자 왕국 이벤트 전에 뜨는 것들은 무시하자. 샤르데냐-피에몬테 왕국 형성 디시전 조건을 보면 서지중해 섬들이 필요하기 때문.

극초반에 사보이아와 교황청의 시작 지도자가 요절하지 않으면 대립 교황을 세울 수 있는 이벤트가 나타나는데[4], 시작 군주가 죽을 때까지 육군 사기 +10%라는 달콤한 효과를 가지나, 이벤트 효과로 인해 파문을 확정으로 당하게 된다. 다른 국가로 플레이 중 사보이아가 초반에 파문을 당한다면 십중팔구 이 이벤트의 결과다. 사보이아의 육군 사기 버프에 '대립 교황을 정당화하다'라는 이름이 존재한다면 확정. 괜히 파문 당하지 말자.

사보이아는 초반 운영하는데 있어 영구 클레임 주는 미션을 생각하지 말고 첩보 돌리면서 클레임 획득으로 땅을 먹어야 한다. 아라곤 왕국 관련 이벤트에 의해 빠르게 샤르데냐-피에몬테 왕국 형성을 할 수 있으냐 없느냐 갈리기 때문에 아라곤 왕국 상황을 보면서 해야 한다.

첫 번째 주적은 프로방스 공국. 프로방스 땅을 차지할 경우 사기적인 무역 노드인 제노바 노드의 상당 부분을 장악할 수 있고 먼저 선점하지 않으면 곧 교황령에게 뺏기게 된다. 1.34 이후 프로방스는 시작 후 얼마 안 있어서 프랑스와 동맹이 파기된다. 이러면 부르고뉴가 공격하게 되는데 이때를 노려서 프로방스 지방을 먹어야 한다. 파문 걸리면 더 좋은 상황. 여기서 한가지 팁이라면 프로방스 지역을 점령하고 난 다음에 프로방스 반란군이 뜨도록 두어서 아비뇽을 프로방스가 반란군으로 획득하게 둔다면 교황령과 싸우지도 않고 파문도 되지 않으면서 손쉽게 아비뇽을 먹을 수 있다.

그 다음은 제노바를 공격하는데, 코르시카 섬 지역만 먹고 두캇 빼오고 휴전하는걸 추천. 아라곤 왕국 공격을 위한 포석이라 보면 된다. 정비 후 프랑스나 카스티야를 이용해 아라곤 왕국을 공격해 서지중해 지역 나머지 및 시칠리아 섬 지역을 먹어야 한다. 서지중해 지역은 코르시카 섬에서 병력 일부를 두고 넘어가면 된다.

그림자 왕국 이벤트를 본 후 이탈리아 지역을 공략하자. 당연히 패널티 받아도 신롬 소속으로 남도록 하자. 밀라노에서 공화정 이벤트가 뜨면 그 즉시 밀라노는 주변 군주국들의 주적이 되어버리므로 이를 이용하도록 하자. 만약 밀라노가 브레시아의 코어를 회복했으면 오스트리아와의 관계도도 폭락하니 금상첨화. 그런데 오스트리아가 가끔 동군연합으로 공격할 때가 있으니 참고. 이럴 땐 오스트리아 호의를 이용해 선 공격 후 휴전 쿨타임을 미리 돌리는 수밖에 없다. 스위스는 가끔 프랑스랑 동맹하는데 다른 동맹 누군지 보고 공격하면 된다.

보통 동맹이 어느정도 되고 이탈리아 지역국들과 휴전이 되면 부르고뉴 공국 지역을 공격하게 된다. 오스트리아 or 프랑스의 차지가 될 부르고뉴 땅을 빼앗아서 부르고뉴 상속 이벤트 전에 이득 볼 거 다 보자. 아라곤 왕국과 전투는 미션 때문에 시칠리아 섬 나머지 지역을 한번 더 공격을 해 빼앗아야 된다. 휴전 쿨타임 끝나면 바로 공격에 들어가자. 코르시카, 사르데냐, 시칠리아 지역을 다 먹었으면 아라곤 왕국과 볼 일은 없다. 보통 나폴리 왕국이 남은 시칠리아 섬 지역을 먹을 때가 많은데 외교 관계를 보고 나폴리 왕국과도 전쟁을 통해 빼앗자. 나폴리 왕국도 주변국 없으면 프랑스 or 오스트리아와 동맹 맺는다는걸 참고하자.

이탈리아 방면 확장에서 주의할 점은 한번에 많은 땅을 뺏으려고 하면 AE에 바로 걸리니 휴전기간을 짧게 하기 위해 승점 100점을 꼭 채울 필요없이 1~2개의 프로빈스만 뺏으면서 성장해야 한다. 이때쯤 되면 체급도 되고 오스트리아 호출하고 베네치아 공략하면 된다. 그리고 교황령과 피렌체는 보통 사이가 나쁘므로 서로 싸울 때 어부지리를 취하는 식으로 쉽게 공략할 수 있다.즉 샤르데냐-피에몬테 왕국 디시전 누르기 전까지 오스트리아에 호의 돌리면서 최대한 이용하면 좋다.

1.30 이후, 기존의 몬페라토 말고도 제네바를 속국으로 가지고 있다. 물론 제네바 자체가 1.30 이전에는 사보이아 공국의 프로빈스였던 곳에서 갈라져 나온 것. 살루초도 사보이아 공국의 프로빈스에서 떨어져 나왔으나 속국은 아니다.

살루초, 제네바, 몬페라토의 영토들을 모두 미션트리에서 요구하는지라 동맹 등을 구한 이후 첫 목표는 어지간하면 살루초가 된다. 살루초를 둘러싸고 있는 입지상 살루초의 동맹이 오기 전에 군을 박살 내고 공성을 시작할 수 있으니 손쉬운 먹잇감. 다만 극초반이라 신롬 소속이므로 클레임 조작에 첩보망이 30 소모된다. 몬페라토는 10년만 지나면 손쉽게 합병할 수 있으나, 스위스계 속국인 제네바는 빠르게 합병할 수가 없다. 보통 합병 가능한 시간인 1454년이 오기 전에, '제네바가 스위스 도시들과의 동맹을 요구하다'라는 이벤트가 뜨며, 사보이아로서는 여기서 '사보이아 영토 중 스위스 문화권인 지역 두 곳을 제네바에 주면서 제네바를 변경국으로 삼기'와 '게임 끝까지 제네바의 독립 열망 +50%, 게임 끝까지 제네바와의 관계도 -100'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초반, 미션트리를 따라 살루초와 몬페라토에 코어를 박게 되었다면 보상으로 제노바 영클과 토리노의 개발도 1/1/1을 주는데, 가장 오른쪽 트리에서 토리노의 개발도 20을 요구하므로 미리 17까지만 만들면 된다. 그러나 토리노의 시작 개발도가 17이라 개발할 필요는 없다! 르네상스 수용, 국가 총 개발도 120 도달 이후, 미션보상으로 'The City of Torino' 이벤트[5]를 띄우며 토리노로 수도를 옮길 수 있다. 기존의 수도 샹베리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옮기는 것이 이득이다. 선택지에 따라 주는 개발도도 토리노가 높으며,[6] 결정적으로 시작 수도는 상파뉴 노드 소속이지만 토리노는 제노바 노드 소속이기 때문. 여담으로 이 이벤트에서 샹베리를 수도로 유지하면 주문화를 프랑스 문화권의 옥시타니아인 문화로 바꿔준다. 물론 주문화가 바뀌어도 기존의 주문화였던 피에몬테 문화는 수용문화로 남는다.

사보이아는 이탈리아 정복, 프랑스와 스위스 정복의 두 정복 트리와 외교 트리, 번영 트리가 있다. 외교 트리는 사보이아의 역사적 방향이던 자신보다 강한 동맹을 가지는 것으로 시작하며, 두번째 미션에서 그 강한 동맹의 라이벌과 관계도 120 이상 혹은 동맹을 맺는 박쥐같은 행보로 달성할 수 있다. 현재 군주, 후계자의 외교력 +1과 공격적 확장 영향 -5%, 후계자의 외교력 +2 보정이 기간제로 주어진다. 번영 트리는 상술한 토리노 개발이 시작점이다. 다음으로 수도에 건물을 다섯개 지으면 되는데, 보상으로 수도에 1레벨 무역중심지를 준다! 제노바 노드에 무역 중심지를 갖게 되는 것의 효과는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번영 트리는 또 믿음의 중심지 - 키프로스 왕국[7]으로 이어지는데, 믿음의 중심지는 가톨릭이면 교황청과의 동맹 + 관계도 120 이상, 개신교라면 교회 파워 100 + 양상 3개 활성화를 요구한다. 이 미션 보상으로 키프로스 영구 클레임을 주기에 키프로스 정복으로 이어지는 것.

사보이아 공국으로는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이탈리아 왕국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한건 문서 참조.


[1] 사실 이건 번역자가 사보이아 공국 역사를 잘 몰라서 생긴 오류에 가깝다. 프로이센은 프러시아가 아니라 프로이센으로 잘만 나온다.[2] 역사적으로도 사보이아 가문은 중세부터 근대 이탈리아 왕국이 건립되기까지 단 한 번도 왕조가 바뀐 적이 없다. 중근세 유럽의 역사를 아는 사람들이라면 이게 얼마나 운이 좋은 것인지 잘 알 것이다.[3] 황제와 동맹이라면 불법 영토 반환 요구를 하지 않는다.[4] 사보이아 공작 아메데오 8세가 대립교황 펠릭스 5세로 세워진 것을 반영했다.[5] 사보이아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토리노 천도를 반영했다.[6] 기존 수도 샹베리 유지시 샹베리에 +1/1/0. 토리노로 이전시 토리노에 +2/1/1.[7] 뜬금없이 사보이아 공국이 키프로스로 이어지나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 사보이아 공작 아메데오 8세의 후계자 루도비코는 예루살렘 왕국의 후계자이자 키프로스 왕국의 계승권을 가졌던 안 드 뤼지냥(Anne de Lusignan)과 결혼했다. 1485년, 루도비코의 손자 카를로 1세가 키프로스 왕국의 계승권을 매입한 이후 사보이아 가문은 관습적으로 키프로스의 왕을 자처했고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