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플라스마(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플라스마(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플라스마(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플라스마(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플라스마(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플라스마(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규 ] {{{#!wiki style="margin: -5px -1px" | ||||
1st | 2nd | 3rd | 4th | |
diorama 2012. 05. 16. | YANKEE 2014. 04. 23. | Bremen 2015. 10. 07. | BOOTLEG 2017. 11. 01. | |
<nopad> |
5th | 6th |
STRAY SHEEP 2020. 08. 05. | LOST CORNER 2024. 08. 21. |
}}}
}}}
- [ 싱글 ]
- ## Line 11st2nd3rd4th
산타 마리아
2013. 05. 29.MAD HEAD LOVE / 팝핀 애퍼시
2013. 10. 23.Flowerwall
2015. 01. 14.언빌리버즈
2015. 09. 02.5th6th7th8thLOSER / 넘버 나인
2016. 09. 28.orion
2017. 02. 15.피스 사인
2017. 06. 21.Lemon
2018. 03. 14.9th10th11thFlamingo / TEENAGE RIOT
2018. 10. 31.말과 사슴
2019. 09. 11.Pale Blue
2021. 06. 16.12th13th14thM87
2022. 05. 18.KICK BACK
2022. 11. 23.지구본
2023. 07. 26.
- [ 디지털 ]
<colbgcolor=#FE0074,#FE0074><colcolor=#0AFF25,#0AFF25> 플라즈마 | ||
| ||
음원 재킷 | ||
노래 | 요네즈 켄시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발매일 | 2025년 1월 20일 | |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 | 57825 |
TJ미디어 |
1. 개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요네즈 켄시의 노래.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의 OP과 해당 애니메이션의 극장 선행판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비기닝」의 주제가로 타이업 되었다.플라스마(Plasma)와 발음이 같지만 알파벳 철자가 다르다.
2. 상세
「요네즈 켄시 2025 TOUR / JUNK」 첫 공연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1] 이후 2025년 1월 10일 0시에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비기닝」의 본 예고 영상을 통해 곡의 일부분이 공개되었고, 1월 20일 0시에 음원이 공개되었다.𝕏츠루마키 카즈야 감독의 작품 프리크리를 좋아했기에 감독이 츠루마키 감독임을 듣곤 망설임 없이 주제가를 담당했다고 밝혔으며[2], 주연 캐릭터인 마츄와 냐안, 슈우지 이토을 떠올리며 '만약 이랬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있을 수도 있는 가능성, 선택하지 않은 선택지에 대한 상상을 근간으로 삼아 극히 한정된 작은 시야에서 큰 시야로 비약하는 역동성 같은 것이 곡에 깃들도록 작업했다고 밝혔다.
2025년 1월 21일 20시, MV가 공개되었다.
2025년 2월 23일, TV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의 OP으로도 기용됨을 알렸다.𝕏
3. 영상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비기닝」 본 예고 |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논크레딧 OP |
공식 음원 |
MV |
4. 가사
もしもあの[ruby(改札, ruby=かいさつ)]の[ruby(前, ruby=まえ)]で |
5. 여담
- 라이브 투어 개최 전, 영화관 광고를 통해 요네즈 켄시가 주제가를 담당한다는 것이 사전에 알려졌었다.𝕏
- 이례적으로 앞서 공개되었던 BOW AND ARROW보다 먼저 음원이 발매되었다.
- 요네즈 켄시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건담 작품은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이며, 모빌슈트 캠퍼를 가장 좋아한다고 밝혔다.𝕏[3]
- 노래의 가사는 "만약 그때 ~하지 않았더라면"이라고 말하며 과거의 선택을 후회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지만, 이윽고 "하지만 그때 그러지 않았더라면 그 순간 밤하늘에 빛나던 별도 모르고 너도, 그리고 나도 없었을거다"라고 말하며 과거에 선택에 얽매이지 않고 현재의 자신을 긍정하는 내용으로 변한다.
- 상술할 가사 뿐 아니라 MV 속에 건담 시리즈에 대한 여러 오마주가 담겨 있다.
지쿠악스의 OP 영상의 마지막에서 주연 등장인물들이 달리는 장면이 나오는데, 각 캐릭터들마다 달리는 자세가 약간씩 다르다. 달리는 자세가 일치하는 캐릭터는 마츄, 슈우지, 샤리아 / 냐안, 이그자베, 코모리로 나누어지는데, 정황상 뉴타입과 일반인(혹은 능력이 부족한 뉴타입)[6]을 구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5.1. 밈화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의 주제가 閃光처럼 여러 밈 영상이 제작되어 일본 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제리드 메사와 카미유 비단의 첫만남을 곡에 맞춰 합성하는 음MAD 시리즈, 소위 'PlaZma 시리즈'가 유행하고 있다. # 최초의 PlaZma 영상
6. 관련 문서
[1] 주제가 담당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도 이 날 처음 이뤄졌다.[2] 다만 골수 건덕후로 알려진 요네즈의 성격 상, 츠루마키 감독의 네임 밸류가 없었어도 오퍼를 거절하지 않았을 거라는 것이 중론이다.[3] 요코하마 1일차 라이브 공연 후 올린 감사 트윗에 로봇혼 A.N.I.M.E. 캠퍼 사진을 올리기도 했다.𝕏[4] "만약 저 개찰구 앞에서 멈춰서지 않고 걷고 있었다면 너의 얼굴도 모르는 채로 행복하게 살고 있었을까"[5] Z 건담 1화 당시 화 유이리가 카미유를 부르는 소리를 들은 제리드는 개찰구 너머에서 카미유를 흘깃 보고는 카미유? 뭐야, 남자였네라고 중얼거렸다. 평소 자신의 이름에 콤플렉스가 있었던 카미유는 제리드의 혼잣말을 뉴타입 특유의 초감각으로 들어버렸고, 여기에 분노한 나머지 제리드한테 죽빵을 날려버리고 말았다. 이 사건은 두 인물 간의 악연의 시발점이 된다.[6] 이그자베는 뉴타입이긴 하지만, 앞의 세 사람에 비하면 부족하다고 묘사된다.[7] 작중에서 샤아와 샤리아 불이 쓴 2인 1조 연대 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