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경찰청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경무국장 (1945~1946) | <nopad> 경무부장 (1946~1949) | ||||
<nopad> 미군정 | |||||
초대 로렌스 M. 쉬크 | 제2대 아더 참피니 | 제3대 윌리엄 매글린 | 제4대 조병옥 | 초대 조병옥 | |
내무부 치안국장 (1949~1974)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이호 | 제2대 김태선 | 제3대 장석윤 | 제4대 김태선 | 제5대 이익흥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6대 홍순봉 | 제7대 윤우경 | 제8대 문봉제 | 제9대 이성주 | 10대 김장흥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11대 김종원 | 제12대 서정학 | 제13대 이성우 | 제14대 이강학 | 제15대 조인구 |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6대 강서룡 | 제17대 박주식 | 제18대 조흥만 | 제19대 이소동 | 제20대 박태원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1대 박영수 | 제22대 한옥신 | 제23대 채원식 | 제24대 박영수 | 제25대 최두열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6대 정상천 | 제27대 장동식 | 제28대 정석모 | 제29대 최석원 | 제30대 박현식 | |
내무부 치안본부장 (1974~1991)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초대 박현식 | 제2대 장일훈 | 제3대 김성주 | 제4대 손달용 | 제5대 염보현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6대 유흥수 | 제7대 안응모 | 제8대 이해구 | 제9대 박배근 | 제10대 강민창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1대 이영창 | 제12대 권복경 | 제13대 조종석 | 제14대 김우현 | 제15대 이종국 | |
경찰청장 (1991~현재)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김원환 | 제2대 이인섭 | 제3대 김효은 | 제4대 김화남 | 제5대 박일용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6대 황용하 | 제7대 김세옥 | 제8대 김광식 | 제9대 이무영 | 제10대 이팔호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11대 최기문 | 제12대 허준영 | 제13대 이택순 | 제14대 어청수 | 제15대 강희락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16대 조현오 | 제17대 김기용 | 제18대 이성한 | 제19대 강신명 | 제20대 이철성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1대 민갑룡 | 제22대 김창룡 | 제23대 윤희근 | 제24대 조지호 | }}}}}}}}}}}}}}}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해양경찰대장 (1953~1955)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이상열 | ||||||||
해무청 해양경비대장 (1955~1962)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이상열 | 제2대 김옥경 | 제3대 최효용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
제4대 김석응 | 제5대 민흥기 | 제6대 김순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내무부 해양경찰대장 (1962~1991) |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김순일 | 제2대 신광영 | 제3대 신영철 | 제4대 신용관 | 제5대 이종학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6대 하삼식 | 제7대 박용전 | 제8대 장일훈 | 제9대 박병훈 | 제10대 염보현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1대 이광수 | 제12대 안응모 | 제13대 이균범 | 제14대 강민창 | 제15대 홍세기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6대 최영덕 | 제17대 안규학 | 제18대 조종석 | 제19대 김상조 | 제20대 권복경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21대 주병덕 | 제22대 정용득 | 제23대 허진원 | ||||||
경찰청 해양경찰청장 (1991~1996)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이강년 | 제2대 최재삼 | 제3대 박일용 | 제4대 정진규 | 제5대 유상식 | ||||
해양경찰청장 (1996~2014)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조성빈 | 제2대 김대원 | 제3대 김종우 | 제4대 이규식 | 제5대 박봉태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6대 서재관 | 제7대 이승재 | 제8대 권동옥 | 제9대 강희락 | 제10대 이길범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11대 모강인 | 제12대 이강덕 | 제13대 김석균 | ||||||
해양경비안전본부장 (2014~2017) |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14대 홍익태 | ||||||||
해양경찰청장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5대 박경민 | 제16대 조현배 | 제17대 김홍희 | 제18대 정봉훈 | 제19대 김종욱 | }}}}}}}}}}}}}}} |
姜旼昌[1]
1933년 3월 10일 ~ 2018년 7월 6일 (향년 85세)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경찰공무원으로 경찰청장과 해양경찰청장을 지냈다. 본관은 진주(晋州)[2], 자는 문옥(文玉), 호는 월곡(月谷).2. 생애
1933년 3월 10일 경상북도 안동군 동후면 주진동(現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3]에서 아버지 강기원(姜驥元, 1899. 4. 29 ~ 1952. 8. 16)과 어머니 안동 권씨(1896. 10. 12 ~ 1962. 8. 16)[4] 사이의 2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안동사범학교에 재학하다가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중퇴하고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이후 경찰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1980년 1월 10일부터 1982년 1월 5일까지 제41대 경상북도경찰국장(경무관)을 역임했으며, 1982년 1월 5일부터 1983년 4월 7일까지 내무부 치안본부 해양경찰대장(現 해양경찰청장)을 지냈다. 1986년 1월 9일 제10대 내무부 치안본부장(現 경찰청장)에 임명되었다.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일어나자 박종철 군의 사인에 대하여 박처원 대공수사처장이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라고 거짓 발표를 하였다.[5] 이후 반발이 커지자 1987년 1월 21일 경질되었고, 1988년 1월 직무유기 및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구속된 뒤 1993년 대법원에서 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석방 후에는 안동향우회장 등 최소한의 사회활동만 하면서 은둔생활을 했으며, 2001년 3월 30일에는 진주 강씨 중앙종친회장에 선임되었다. 그리고 이따금씩 경찰의 날 기념식이나 재향경우회 '경우의 날' 기념식 등에 참석하는 한편, 2006년 9월 11일에는 전직 경찰총수 25명과 함께 전시작전통제권 단독 행사 중단 촉구 시국선언 성명문에 서명한 바 있다.
2018년 7월 6일 사망하여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가족장이 치러졌다.
3. 어록
서울대 민추위 사건 주요 수배자 박종운의 소재를 알고 있음에도 진술을 거부하고 있으므로 박종철로부터 사실을 알아내기 위한 위협 수단으로 조사관 경위 조한경과 경사 강진규가 동인[6]의 머리를 한 차례 욕조물에 잠시 집어넣었다가 내놓았으나, 계속 진술을 거부하면서 완강히 반항하자, 다시 머리를 욕조 물에 밀어 넣는 과정에서 급소인 목 부위가 욕조 턱 높이 50cm 넓이 6cm에 눌려 질식 사망한 것으로 판명이 됬읍니다.
1987년 1월 19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관련 기자회견에서의 발언#
1987년 1월 19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관련 기자회견에서의 발언#
경찰이 사건 수사를 하면서 어떠한 경우에도 피해자에 대한 폭행은 물론, 가혹 행위를 용납할 수 없도록 제도적인 장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7] 일부 수사관들의 지나친 직무 의욕으로 인해 빚어진 불상사로서 매우 유감된 일이며, 전 경찰은 본인과 더불어 깊이 반성하고 있읍니다. 우리 경찰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앞으로는 어떠한 경우에도 이러한 불상사가 재발되지 않도록 엄청난 각오로서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참된 봉사자로서 책무를 다해 나갈 것을 이 기회를 향하여 다시 한번 다짐드리는 바입니다.
4. 여담
[1] 진주강씨박사공파대동보 2-7권 861쪽에는 姜玟昌으로 등재되어 있다.[2] 박사공파-통계공파(通溪公派)-판서공 이행(利行)파-낙은공(洛隱公) 종중 25세 창(昌) 항렬.[3] 진주 강씨 집성촌이다.[4] 권상태(權相泰)의 딸이다.[5] 강민창 치안본부장 역시 사건을 축소, 은폐하는데 관여하였다.[6] 同人: 요즘에는 잘 안쓰는 단어지만 '당사자', '그 사람'이라는 뜻이다.[7] 허나, 상식적으로 당시의 군대 못지않게 권위적인 경찰의 대공수사 부서에서 상급자의 명령이나 묵인 없이 고문을 했을리가 만무하다.[8]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우현은 6월 민주항쟁 당시 적극적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역사의 산증인이었다. 사실 배우가 본인의 성향과 정반대의 배역을 연기하는 것은 드물지 않은 일이다. 문성근도 이 영화에서 안기부장을 연기했는데 그 당시 안기부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