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고세구"><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66baf,#366baf"><tablebgcolor="#366baf,#366baf">
||고세구
관련 문서 ||
관련 문서 ||
- [ 참여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366baf><width=1000> ||<width=25%><:>||<width=25%><:>||<width=25%><:>||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66baf;"
2024. 01. 12.참여한 앨범 목록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tablebordercolor="#366baf,#366baf"><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6baf,#366baf"><colcolor=#fff><width=25%> 방송 정보 ||<width=1000>방송 역사 · 노래(오리지널 곡) · 세균단 ||
콘텐츠 쇠구컵(쇠구컵 한일전) · 버튜버 청백 가요대전 콘서트 희망 콘서트 · TOUR · GoReal · GOSEGU 미니 콘서트 기타 논란 및 사건 사고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고세구[1]고양이가 세상을 구한다"를 줄인 이름이다. 평소에 고양이를 좋아하던 친구가 지어줬다고 밝혔다. #1 #2] GOSEGU | |||
<nopad> | |||
출생 | 1998년 ([age(1998-12-31)]~[age(1998-01-01)]세)[2][3] | ||
거주지 | 인천광역시 | ||
국적 |
| ||
신체 | 300m[4]|B형[5] | ||
성별 | 여성 | ||
가족 | 부모님, 남동생 | ||
상징색 | 하늘색 | ||
소속사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 ||
소속 그룹 | 이세계아이돌 | ||
데뷔 | 2021년 이세계아이돌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5D85C"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데뷔일로부터 [dday(2021-12-17)]일, [age(2021-12-17)]주년) | ||
팬덤명 | 세균단 | ||
종교 | 무종교 | ||
학력 | 대학교 (이공계열)[6] | ||
MBTI | ENTP[7][8] | ||
별명 | 세구세구[9] 상세 내용은 별명 문단 참고. | ||
서명 | |||
관련 링크 | |||
플랫폼 | |||
SNS | |||
방송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방송 장르 | VRChat, 저스트 채팅, 노래, 게임 | |
첫 방송일 | 2021년 7월 27일 D[dday(2021-07-27)]일, [age(2021-07-27)]주년 | ||
유튜브 가입일 | 2021년 8월 28일 D[dday(2021-08-28)]일, [age(2021-08-28)]주년 |
플랫폼 현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유튜브 | 고세구 GOSEGU[메인] | ||
구독자 | 60.8만 명[기준] | |||
조회수 | 425,092,795회[기준] | |||
고세구의 좀더[서브] | ||||
구독자 | 10.3만 명[기준] | |||
조회수 | 112,530,171회[기준] | |||
밥친구 고세구[다시보기] | ||||
구독자 | 6.03만 명[기준] | |||
조회수 | 11,049,574회[기준] | |||
SOOP | 고세구! | |||
애청자 | 196,656명[기준] | |||
트위치 | 고세구___ (gosegugosegu) | |||
팔로워 | 33.9만 명[기준] |
1. 개요
|
[MV] 신시대 COVER by 고세구 |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fffff,#1c1d1f>하이 빵까루~~~!![26]
방송 시작 인사말 ||
방송 시작 인사말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소속 6인조 버츄얼 유튜버 그룹 이세계아이돌의 멤버. 동시에 SOOP 파트너 스트리머[27]이다.
고세구 유입 가이드 |
2. 데뷔 전
- 학업과 각종 아르바이트를 병행한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었다. 오디션이 열리자 친구가 적극적으로 격려해줬다고 한다.
- 편의점 아르바이트, 쿠팡, 대학생 시절 여행 경비 마련을 위한 공장 알바, 스터디 카페, 호텔 결혼식 서빙, 음식점 서빙 등. 이를 통해 모아둔 돈으로 오디션 시절 방송 장비를 구입하기도 했다. #
- 멤버 6명 중에서 유일하게 유튜브, 트위터, 인스타그램이 전혀 없는 일반인이었다. 개인 상담에서 우왁굳이 어디서 나오신 누구세요라고 물어보기도 했다.
3. 개인 활동
고세구의 단독 활동만 기록한 문단입니다. 2인 이상 그룹 활동은 이세계아이돌/활동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
<rowcolor=#fff> 날짜 | 활동 | 비고 |
2022년 | ||
3.21 | 희망 콘서트 | |
12.18 | TOUR 콘서트 | |
2023년 | ||
9.10 | GoReal 미니 콘서트 | |
2024년 | ||
1.12 | The Predator 2: FLEEKY SYNDROME 발매 (TOKYO 피처링) (오후 6시) | |
2.11 | GOSEGU 미니 콘서트 | |
3.1. 라이브 방송
고세구의 방송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021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날짜 | 상세 내용 |
2021.07.18 | 우왁굳의 이세계아이돌 오디션에 참가 | |
2021.07.27 | 첫 트위치 방송 시작 | |
2021.08.26 | 이세계아이돌에 최종 합격 | |
2021.08.28 | 고세구 유튜브 채널 개설 | |
2021.09.12 | 트위치 팔로워 1만명 달성 | |
2021.09.20 | 유튜브 구독자 1만명 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022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날짜 | 상세 내용 |
2022.01.17 | 유튜브 누적 조회수 1000만뷰 달성 | |
2022.02.19 20:35 | 트위치 팔로워 10만명 달성 | |
2022.02.19 23:18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100만뷰 돌파 | |
2022.02.20 20:19 | 유튜브 구독자 10만명 달성 고세구는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전날부터의 겹경사를 자축했다. | |
2022.02.25 | 유튜브 채널 인증 배지 수여 | |
2022.03.03 | 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 계약 유튜브 누적 조회수 2000만뷰 달성 | |
2022.04.10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200만 뷰 돌파 | |
2022.04.13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3000만뷰 달성 | |
2022.05.27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300만뷰 돌파 | |
2022.06.01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4000만뷰 달성 | |
2022.07.03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5000만뷰 달성 | |
2022.07.04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400만뷰 돌파 | |
2022.07.27 | 고세구 트위치 방송 1주년 | |
2022.08.05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6000만뷰 달성 | |
2022.08.13 | 유튜브 구독자 20만명 달성 | |
2022.08.18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500만뷰 돌파 | |
2022.09.08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7000만뷰 달성 트위치 팔로워 20만명 달성 | |
2022.10.11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600만뷰 돌파 | |
2022.10.18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8000만뷰 달성 | |
2022.11.23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9000만뷰 달성 | |
2022.12.09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700만뷰 돌파 | |
2022.12.18 | 유튜브 구독자 25만명 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023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날짜 | 상세 내용 |
2023.01.02 | 유튜브 채널 누적 회수 1억뷰 달성 | |
2023.01.31 | 서브채널 '고세구의 좀 더' 누적 조회수 1000만뷰 달성 | |
2023.02.20 13:53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800만뷰 돌파 | |
2023.04 | 서브채널 '고세구의 좀 더' 누적 조회수 2000만뷰 달성 | |
2023.05.14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900만뷰 돌파 | |
2023.06.01 | 서브채널 '고세구의 좀 더' 누적 조회수 3000만뷰 달성 | |
2023.07.27 | 고세구 트위치 방송 2주년 | |
2023.08.03 | 유튜브 구독자 30만명 달성 | |
2023.08.17 | 유튜브에 올린 커버 곡 '팬서비스'가 고세구 유튜브 최초 1000만뷰 돌파 | |
2023.08.29 | 트위치 팔로워 30만명 달성 | |
2023.11.11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2억뷰 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024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날짜 | 상세 내용 |
2024.01.07 | 유튜브 구독자 40만명 달성 | |
2024.02.11 | 아프리카TV로 이적[1] | |
2024.03.15 | 유튜브 구독자 50만명 달성 | |
2024.03.29 | SOOP 베스트 스트리머 달성 | |
2024.04.25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3억뷰 달성 | |
2024.07.03 | 서브채널 '고세구의 좀 더' 구독자 10만명 달성 | |
2024.07.27 | 고세구 방송 3주년 | |
2024.09.07 | 유튜브 구독자 60만명 달성 SOOP 파트너 스트리머 계약 | |
2024.12.28 | SOOP 스트리머 대상 신인상&보이는 라디오&게임 수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025년 보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 날짜 | 상세 내용 | ||
2025.01.04 | 유튜브 채널 누적 조회수 4억뷰 달성 | |||
|
방송에 대한 공지사항은 매일 우왁굳의 팬카페인 왁물원의 이세돌의 공지사항에 올라온다.
- [ 그림판으로 보는 방송 시간표 펼치기ㆍ접기 ]
3.1.1. 채팅 규칙
*벤서비스*
-다들 오늘 하루 파이팅~ 웃어요 ^ㅁ^
-신상정보 및 정치/종교 발언 금지
-친목, 과도한 요청 또는 도배 금지
-방송 분위기를 흐리는 언행 금지
-타스, 타 커뮤니티 언급 및 비교 금지
-중계(타스님께 중계도 포함), 선넘는 발언, 과몰입 금지
-스포 및 추측성 물타기, 훈수 금지
-병먹금 플리즈
-방송공지는 왁물원을 참고해주세요
-그외 알잘딱
-Avatar:「こまど」Twitter:@komado_booth
(캐릭터 제작자님의 허가를 얻어 활동하고 있습니다)
-다들 오늘 하루 파이팅~ 웃어요 ^ㅁ^
-신상정보 및 정치/종교 발언 금지
-친목, 과도한 요청 또는 도배 금지
-방송 분위기를 흐리는 언행 금지
-타스, 타 커뮤니티 언급 및 비교 금지
-중계(타스님께 중계도 포함), 선넘는 발언, 과몰입 금지
-스포 및 추측성 물타기, 훈수 금지
-병먹금 플리즈
-방송공지는 왁물원을 참고해주세요
-그외 알잘딱
-Avatar:「こまど」Twitter:@komado_booth
(캐릭터 제작자님의 허가를 얻어 활동하고 있습니다)
- 선을 넘는 채팅은 밴을 당하며 2023년 2월 11일 차단 기준 관련 공지가 올라오기도 했다. #
- 본래 채팅 매니저들을 여럿 두고 있었지만, 트위치 시절 한때 따로 채팅 매니저를 두지 않고 혼자 관리하고 있었으며 간혹 방송 중 채팅창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채팅창에서 일부 시청자를 임시 매니저로 선발해 관리시키기도 했었다.
- SOOP으로 이적하면서 새로운 유동과 채팅창 분위기 조성을 위해 현재 4명의 채팅매니저를 두고 있다.
3.1.2. 이모티콘 및 구독 배지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고세구의 개인 OGQ 이모티콘}}}에 대한 내용은 [[이세계아이돌/이모티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세계아이돌/이모티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세계아이돌/이모티콘#달려라! 세 세구티콘|달려라! 세 세구티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고세구의 개인 OGQ 이모티콘: }}}[[이세계아이돌/이모티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세계아이돌/이모티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세계아이돌/이모티콘#달려라! 세 세구티콘|달려라! 세 세구티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rowcolor=#ffffff> 구독자 아이콘 | |||||||
<rowcolor=#467ec6> | | | | | | | |
<rowcolor=#ffffff> 1개월 | 2개월 | 3개월 | 6개월 | 7개월 | 9개월 | 12개월 | 18개월 |
| | | | | | | |
<rowcolor=#ffffff> 24개월 | 27개월 | 30개월 | 36개월 | 42개월 | 48개월 | 54개월 | 60개월 |
| | ||||||
<rowcolor=#ffffff> 66개월 | 72개월 |
<rowcolor=#ffffff> 구독자 1티어 이모티콘 | |||||||
| | | | | | | |
<rowcolor=#ffffff> 품어 | 쩝쩝구 | 감자 | 팡이제로투 | 버퍼균 | 잘가 | 세구라이드 | 팝콘구 |
| | | | | | | |
<rowcolor=#ffffff> 어 | 난하 | 고단 | 고뱅알 | 땡강균 | 빙글구 | 세구무빙 | 고하 |
| | | | | | | |
<rowcolor=#ffffff> 센스봐라 | 깡 | 반짝눈 고세구 | 나이키 고세구 | ||||
| | | | | | | |
<rowcolor=#ffffff> 그 표정 고세구 | 놀란 고세구 | 고오오 | ㄱㅇㅇ | ||||
| | | | | | | |
<rowcolor=#ffffff> ㅇㅈ세구 | 하트구 | 극대노 | 빤 | 폭소 | 미인입니다 | 오열 | 응원구 |
3.1.3. 방송 환경 및 녹음 장비
- {{{#!folding [ 2021년 당시 게임용 컴퓨터 보기 · 접기 ]
- CPU: AMD Ryzen 7 5800X
- GPU: NVIDIA GeForce RTX 3060 Ti
- RAM: 16GB}}}
- 주변기기
- 2022년 5월 14일 아이네의 깃털라디오 0화에서 언급되기로는 이세계아이돌 모두 같은 레코딩 장비를 쓴다고 한다.
이세계아이돌 오디션 당시에는 마이크로는 LCT 440 Pure, 오인페로는 Audient iD14 MK2를 사용하였다.
3.1.4. 콘텐츠 및 플레이한 게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콘텐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콘텐츠#|]][[고세구/콘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5. 방송 밈
- 간사합니다: 감사합니다의 발음이 간사합니다로 들려서 생긴 밈이다.
- 킹~아!: '좋아'의 앞 글자를 킹으로 바꿔 부르는 것으로 원래 우왁굳의 유행어지만, 별다른 강세를 두지 않고 '아 킹아~'로 말하는 우왁굳과 달리 고세구의 발음이 워낙 독특해서 고세구의 밈으로도 자리잡았다. 방송 중에 킹아 발음법을 가르쳐줘서 우왁굳이 거꾸로 고세구의 발음을 흉내내기도 했다.
- 맛모랄: 음식 노가리 중, '맛알못'에서 '알못'의 순서를 말실수로 뒤집어서 부른 것이 밈으로 자주 쓰이게 되었다.
- 내끄다~: 우왁굳 마인크래프트 합방인 다이아 서바이벌 도중 #아이템을 먹으려는 찰나에 우왁굳에게 기습을 당하며 아이템을 뺏긴 장면에서 탄생한 밈으로, 후원 리액션으로도 쓰이게 되었다.
- 워요일/이요일: 월요일과 일요일의 발음을 '워요일', '이요일'로 하면서 생긴 밈이다.
- 무요!: 뭐요를 무요라고 발음하는 것에서 생긴 밈이다.
- 하이 빵가루: 하이 방가루를 하이 빵가루로 발음한 것으로 방송 시작 시 자주 사용한다.
- 킹아 댄스 TV: 본인의 유튜브 채널에 게시될 VRChat 댄스 영상들에 관한 이야기를 하던 도중, 채널명을 두고 우스갯소리를 하며 나온 밈이다.
- 고코더: 오디션 때부터 리코더를 연주하며 노래하기 시작했으며, 항상 책상 위에 두고 가끔씩 방송 중 연주한다.
- 이이이익(ㅣㅣㅣ익): 화가 났을 때 자주 내는 소리로, 22,200원의 도네이션 이펙트로도 쓰이게 되었다.
- 고하하하하하: 화통한 웃음소리를 내고 싶을 때 쓴다. VR 마크 건축 노동 콘텐츠를 진행하면서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 마이크 켜져 있었어요: 방송 중 흥얼거리는 것을 보고 시청자들이 던진 드립으로, 이상한 말이나 행동을 할 때 자주 쓰이게 되었다.#
- 세구세구야 미안해: 처음으로 눈나구 캐릭터로 방송을 했을 때 한 팬이 만들어 왁물원에 게시한 2D 캐릭터를 가져다 사용했는데, 시청자들이 불쾌한 골짜기라고 거부반응을 보이자 고세구가 "세구세구야 미안해~ 하면은, 다시 돌아올 수 있어요."라고 말하자 그 말을 따라 시청자들이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이 동시에 "세구세구야 미안해..."를 연발하여 그대로 밈으로 굳어졌다. 보통 고세구가 이상한 행동이나 말을 하여 말려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시청자들이 "세구세구야..."라고 채팅을 치는 식으로 사용된다.[32]
- 히죽구: 이것저것 건드리다가 우연히 탄생한 웃는 표정으로, 게슴츠레하게 뜬 초승달 모양의 눈과 활짝 웃고 있는 입이 기괴하게 느껴져 고세구의 공포특집에서도 사용됐으며, 이는 이모티콘에도 존재한다.
- 얼탱 X!!!: 어이없다는 뜻으로 고세구가 세균단의 채팅이나 이상한 상황을 두고 이 말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밈화되었다.
- 메인보컬, 메인래퍼: 방송 초기 시절 아이네와 릴파에게 나도 메인보컬을 노리고 있다며 긴장되냐고 하는 등 드립을 섞어 본인을 소개하면서 나온 밈.
- 갑니다~, 좀 더!: 커버 곡인 팬서비스의 가사 중 일부로, 해당 파트가 나올 때마다 시청자들이 따라서 채팅을 치곤 한다.
- 새 구운다: 광복절 밴 특사 콘텐츠 당시 다른 방에서 중계[33]를 한 피고인이자 악질 시청자가 우는 걸 중계해 버렸는데 하필이면 오타가 나서 세구운다가 아닌 \'새구운다'라고 쳤고 이에 대해 피고인 측 트선 변호사가 세구운다가 아니라 새구운다이기 때문에 '새를 구운다\'라는 소리를 할 의도였다고 변호한 것이 밈으로 자주 쓰이게 되었다.[34] 주로 고세구가 울 때나 우는 것 같을 때 사용한다.
- 구아악: 채팅창 내에 귀여워가 도배되는 일이 잦아진 것을 이유로 고세구가 귀여워 도배 금지[35]를 시키려 하자 귀여워 대신에 쓰이게 된 단어. 흔히 귀여워로 쓰이는 ㄱㅇㅇ에서 모음만 바꾼 단어다. 다만 이마저도 너무 많아지자 귀여워든 구와악이든 무지성 도배를 자제해달라는 말이 나오긴 했다. 물론 실질적으로 귀여워 금지가 불가능하다 보니 결국 원래대로 돌아가면서 구아악은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
- 니똥관: 메일로 방송에 대한 훈수를 두는 소위 메일단에 대해 이야기를 하던 중, '니 콧털이나 관리해' 대신 '니 똥꼬털이나 관리해'라고 말한 계기로 이후 방송에서 훈수를 두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니똥관'을 사용한다.
- 고댕사: 고세구가 장기 휴방 시절 딜레마를 겪은 일을 이야기한 뒤 세균단들이 '주르르 존나 사랑해'를 줄인 '주존사'에서 따온 '고존사'를 사용했으나, 어감이 별로라는 고세구의 의견과 '고댕사'로 바꾸는 게 좋겠다는 권고로 사용하게 되었다. 주로 고세구가 자리를 비울 때 세균들이 채팅창에 치곤 한다.
- 판타스틱 던: 미라클 모닝 운동에 반박하기 위해 내세운 고세구의 새로운 이론. 일찍 자서 아침 5시에 일찍 일어나는 미라클 모닝 운동과는 다르게 아침 5시까지 하루를 보낸 다음 오후 1시에 일어나 활동을 시작하는 운동이다.
- 세 세구 라이드: 어느날 갑자기 왁물원에 퍼진 정체불명의 꾸준글 숭 숭이 라이드#가 고세구의 캐릭터성과 맞물리면서 등장한 밈. 초기엔 세 세구다 라이드, 세구 세구시 라이드, 고고 세구 라이드 등 중구난방으로 쓰이다가, 해당 팬아트를 기점으로 세 세구 라이드로 확정되었다.[36] 23년 가을 무렵부터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밈이지만 23년 11월 12일에 올린 쇼츠가 인기를 끌면서 다시 사용되고 있다.
- 뒤집힌 세구: 아이네가 노가리에서 "세구의 생활패턴이 뒤집어져 있어서 걱정이다"라고 말하는 클립을 보면서 아바타를 뒤로 돌리며 "뒤집힌 세구~"라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 이 밈은 연공전 게임 빵떡라이드의 아이템 중 하나로[37] 채용되었다.
- 귀싱: 방송에서 무서운 꿈과 방음부스에서의 소름돋는 일 썰을 풀면서 귀신에게 나가라는 얘기를 했는데, "말하면 온다"는 채팅에 "저는 귀싱이라고 했는데 왜 그쪽이 오시냐. 나가라"고 대답했다. 이후 에어컨이 혼자 켜졌던 클립을 보며 다시 채팅창에 '귀싱'이 등장하자, 귀신을 말하면 올 수도 있으니 발음을 정확히 하면 안 된다고 하며, 이후 귀신을 귀싱으로 부르는 밈이 생겼다.
- 방구뿡뿡띠, 뿌직뿌직방구뿡뿡띠: 우왁굳의 밈에서 비롯됐으며, 쇼츠를 통해 종종 보인다. 방구뿡뿡띠 1 2, 뿌직뿌직방구뿡뿡띠 영상
3.2. 노래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세계아이돌 단체 오리지널 곡}}}에 대한 내용은 [[이세계아이돌/오리지널 곡]]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세계아이돌/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세계아이돌/오리지널 곡#단체|단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이세계아이돌 단체 커버 곡}}}에 대한 내용은 [[이세계아이돌/커버 곡]]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이세계아이돌/커버 곡#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이세계아이돌/커버 곡#단체|단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세계아이돌 단체 오리지널 곡: }}}[[이세계아이돌/오리지널 곡]]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세계아이돌/오리지널 곡#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세계아이돌/오리지널 곡#단체|단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이세계아이돌 단체 커버 곡: }}}[[이세계아이돌/커버 곡]]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이세계아이돌/커버 곡#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이세계아이돌/커버 곡#단체|단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고세구의 노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영상 목록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천양 다이노스 응원가 | 2021년 12월 12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영상 목록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INTERNET OVERDOSE | 2025년 3월 13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울면 안돼 | 2024년 12월 25일 | [서브]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별의 하모니 | 2024년 12월 25일 | [서브]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네모네모 | 2024년 12월 25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실・부・프레지던트 | 2024년 12월 23일 | [서브]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비밀의 화원 | 2024년 12월 7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Unbreakable | 2024년 11월 12일 | [주르르], [비챤]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신시대 | 2024년 2월 12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SO CURIOUS | 2023년 12월 25일 | [서브]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종소리(Twinkle) | 2023년 12월 24일 | [서브]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튜링 러브 | 2023년 12월 3일 | [주르르]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팬서비스 (Special Ver.) | 2023년 9월 11일 | | [GoReal][10]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잊어주지 않을 거야 | 2023년 9월 11일 | [서브][GoReal]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기타와 고독과 푸른 행성 | 2023년 9월 11일 | [서브][GoReal]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청춘 콤플렉스 | 2023년 9월 11일 | [서브][GoReal]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Super Shy | 2023년 9월 5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자다깨니 야자수 | 2023년 8월 11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약속해요 (I.P.U.) | 2023년 7월 28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참새 | 2023년 3월 29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홍련화 | 2023년 2월 22일 |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긍지높은 아이돌(Proud Idol) | 2022년 12월 3일 |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나만, 봄 | 2022년 5월 22일 |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시청자 24000명과 함께한 VR 콘서트! | 2022년 4월 4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팬서비스 | 2022년 1월 11일 |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별이 되지 않아도 돼 | 2021년 9월 26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노예 | 2021년 9월 19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사쿠란보 | 2021년 8월 29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영상 목록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난 먹고 싶다 | 2024년 6월 24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사슴색 데이즈 | 2024년 6월 14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부타 선더 | 2023년 11월 25일 |
이세계아이돌[17] | 커버 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영상 목록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TOMBOY | 2022년 5월 30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영상 목록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맘가는대로 | 2022년 9월 18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영상 목록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나는 아픈 건 딱 질색이니까 | 2024년 6월 9일 | [비챤]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GANADARA | 2023년 4월 15일 | ||||||
제목 | 업로드 일자 | 티저 | 비고 | ||||
붉은 노을 | 2022년 2월 7일 | [19] |
기타[2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영상 목록 | ||||||
제목 | 분류 | 링크 | 업로드 일자 | ||||
unravel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4년 1월 4일 | ||||
남극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3년 12월 12일 | ||||
연애 서큘레이션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3년 12월 8일 | ||||
아무것도 아니야(なんでもないや)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3년 9월 28일 | ||||
you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3년 9월 17일 | ||||
심해의 리틀 크라이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3년 9월 12일 | ||||
여우비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3년 8월 14일 | ||||
변하지 않는 것(変わらないもの) | 라이브 / #Shorts / 팬메이드 | | 2023년 8월 7일 | ||||
祝福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3년 8월 2일 | ||||
꽃에 망령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3년 7월 30일 | ||||
アイドル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3년 7월 16일 | ||||
오르트 구름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3년 4월 18일 | ||||
있잖아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3년 4월 4일 | ||||
가지 말아줘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3년 2월 26일 | ||||
ALWAYS (요구르팅 OST)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2년 10월 26일 | ||||
후라이의 꿈 | 라이브 / 팬메이드 | | 2022년 5월 2일 | ||||
대한민국 3대 돈까스 | 팬메이드 | | 2022년 5월 1일 | ||||
고세구의 롤모델송 | 팬메이드 | | 2022년 4월 2일 | ||||
야눈깔아 | 자체 믹싱 / #Shorts / 팬메이드 | | 2022년 3월 5일 | ||||
고세구의 출근송 | 팬메이드 | | 2022년 1월 26일 | ||||
왁버거 (고세구 ver.) | 자체 믹싱 / #Shorts / 팬메이드 | | 2021년 9월 20일 | ||||
|
- [ 싱글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eaeaea><colbgcolor=#e64371><rowbgcolor=#e64371><colcolor=#fff><rowcolor=#fff><width=10%> 앨범 ||<width=26.7%> 제목 ||<width=24.7%> 장르 ||<width=26.7%> 발매일 ||<width=12%> 링크 ||1st
댄스 / POP 2021년 12월 17일 MV
음원
2nd발라드 2022년 03월 11일 MV
음원
3rd댄스 / POP 2023년 08월 18일 MV
음원
4th밴드 / 록 2025년 04월 25일 MV
음원
5th2025년 05월 XX일 6th2025년 여름
- [ 참여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eaeaea><colbgcolor=#e64371><rowbgcolor=#e64371><colcolor=#fff><rowcolor=#fff><width=10%> 앨범 ||<width=26.7%> 제목 ||<width=24.7%> 장르 ||<width=26.7%> 발매일 ||<width=12%> 링크 ||OST
댄스 / EDM 2023년 06월 22일 MV
음원
OST댄스 / POP 2023년 07월 21일 MV
음원
ETC댄스 / POP 2023년 09월 24일 음원1
음원2
OST댄스 / POP 2025년 03월 20일 음원
ETC2025년 05월 XX일
<colcolor=#000,#fff> 참여 음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곡 목록 | ||||||||||
제목 | 아티스트 | 참여 분류 | 장르 | 링크 | 재생시간 | 발매일 | |||||
TOKYO (feat. 고세구, BIG Naughty) | Fleeky Bang | 피처링 | 힙합 | | 2분 49초 | 2024년 1월 12일 |
3.2.1. 오리지널 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오리지널 곡#|]][[고세구/오리지널 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 앨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앨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앨범#|]][[고세구/앨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이세계아이돌 활동
- 2021년 7월 18일 우왁굳의 이세계아이돌 오디션(이하 이세돌)에 참가하여 1차 합격을 하면서 방송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
- 2021년 7월 31일 이세돌 2차 합격자 발표명단(총 21명)에 올랐다. #, 합격반응
- 2021년 8월 7일 이세돌 3차 합격자 발표명단(총 12명)에 올랐다. #
- 2021년 8월 26일 이세돌 최종 합격자 발표명단(총 6명)에 올라 정식 멤버가 되었다. #, 합격반응
- 2021년 12월 17일 디지털 싱글 1집 RE : WIND가 발매되어 데뷔하였다.
4.1. 출연 영상
4.2. 멤버 간 케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계아이돌/멤버 간 케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계아이돌/멤버 간 케미#|]][[이세계아이돌/멤버 간 케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릴파 | 비챤 | |||||||||
<colbgcolor=#f5f5f5,#eaeaea>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3인 이상 케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5. 특징
5.1. 아바타
임시 아바타(민트) | |
<rowcolor=#ffffff> ▲ 기존 민트 아바타 | ▲ 1.5 민트 아바타 |
- 임시 아바타(민트)
기반 아바타 이름은 민트, 제작자는 코마도 (こまど)이다.[38] 제작자의 허가를 얻어 활동 중이므로 임시 아바타가 등장하는 영상에는 라이센스 표시가 들어가 있다. 원래 고양이 수인 아바타인 것을 이세돌 오디션 기간에 구매하여 그대로 사용하다가 고양이 귀를 떼고[39] 의상과 머리 크기, 신체 비율을 조금씩 수정한 것이다. 고양이 귀를 뗀 뒤에도 입모양은 한동안 고양이입 그대로였으므로 늘 웃는 상이었으나 페이셜 트래커 장착 후 표정이 다채로워졌다.[40] - 캐릭터에 맞는 옷을 구하기 어려운데, 그렇다고 얼굴만 떼서 다른 몸으로 교체하려 하면 캐릭터의 얼굴 생김새 때문에 어색하기 때문에 2021년 9월에 슈라는 아바타를 사용하여 바꾸길 시도하였으나 사장님에게 거절당하여 불발되었다.
- 2022년 5월 17일 이 아바타에 맞는 오리지널 의상이 왁물원을 통한 시청자 공모전에서 채택되었다.
- 2022년 7월 29일 생방송 중 새로운 아바타의 제작이 진행 중이라는 이야기를 하였으며, 살짝 바뀔 수도 있으나 아직 자세한 부분은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 뉴세구까지 꽤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해 머리카락 텍스처와 눈동자 색을 수정한 1.7세구를 제작, 공개하였다. 이것이 실질적인 현행 아바타이다.
이 이후로 1.5세구는 유튜브 썸네일이나 각종 콘텐츠의 고세구 표시용으로 주로 쓰인다.
방송 외 이세계 페스티벌 등의 상황에선 상업적 활동이 제한된 민트 대신 "임시구"라고 불리는 아바타를 사용한다.
<rowcolor=#ffffff> 1.7세구 | |
| |
<rowcolor=#ffffff> ▲ 1.7세구 단발 | ▲ 1.7세구 양갈래 |
<nopad> |
<rowcolor=#ffffff> ▲ 임시구 |
<colbgcolor=#467ec6><colcolor=#ffffff><nopad> |
▲ 오리지널 아바타의 캐릭터 시트 원안 |
<rowcolor=#ffffff> 오리지널 아바타(예정) | |
| |
<rowcolor=#ffffff> ▲ 뉴세구 양갈래 | ▲ 뉴세구 단발 |
- 오리지널 아바타(예정)
- 오리지널 아바타를 위해 2023년 2월 22일, 고세구의 새로운 아바타인 뉴세구 공모전이 시작되었다.
- 2023년 3월 21일, 고세구의 새로운 오리지널 아바타 디자인 공모전의 당선작이 발표되었으며, 발표 과정은 생방송에서 VR챗을 통해 개표 방송 콘셉트로 진행되었다. #
관련 영상
- 이후 4월 25일 방송에서 4월 30일에 공개될 징버거 오리지널 아바타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 중 뉴세구는 나오려면 한참 멀었고 아이네의 오리지널 아바타 공개 후 가장 마지막으로 나온다고 언급했다.[41]
- 2023년 8월 30일, 2D 디자인 공모전 당선작을 3D 아바타로 구현할 모델러 모집을 시작했다. #
- 8/31일 방송에서 진행 상황 및 방향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 코마도와 원만하게 계약을 진행하던 중 오리지널 아바타 제작을 관련하여 코마도는 일정 기간마다 비용을 내는 구독제로 오리지널 아바타를 제공해주려 했으나, 껄끄러운 저작권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여지를 남기기 싫었던 고세구는 아바타의 완전 소유를 원했고 이 과정에서 조율이 되지 않아 제작이 아쉽게도 불발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공모전을 열게 되었고 뉴세구에는 기존 민트 아바타 관련 요소를 전부 뺄 것이라 말했다. 대표적인 십자가 머리핀, 양쪽으로 뿔처럼 삐친 머리 등 기존의 아바타를 연상시킬 만한 요소들은 전부 배제할 예정이라 한다. 코마도와의 계약이 결렬되기는 했지만 좋게 끝내는 것이기에, 해당 원작자에게 실례가 되지 않도록 공모전을 통해 선정 디자인에 대한 허가를 받아낸 후 다른 모델러를 구해 제작할 예정이라고 하였다.
- 2023년 10월 5일, 오리지널 아바타의 진행 상황에 대해 언급하며 오리지널 아바타의 제작은 이세계 페스티벌에서 사용된 임시 아바타를 보고 고세구에게 직접 본인이 맡고 싶다고 적극적으로 어필한 히무라 유우야(火村ユウヤ)[42]가 담당해 작업을 진행했으나, 제작자의 건강상 이유로 인해 다른 제작자가 이어받아 작업하기로 했다.
- 2024년 5월에는 뉴세구의 당해 하반기 공개를 기정사실화하며 라스트 비키니 공모전을 열었다. #
- 2025년 3월 23일, 4월에 뉴세구 제작의 마무리를 짓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소식을 알렸다.
- [ 의상 보기 · 접기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467ec6><nopad>
||
<rowcolor=#ffffff> ▲ 데드캣 세구
- [ 서브 아바타 보기 · 접기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467ec6><nopad>
||<nopad>
||
<rowcolor=#ffffff> ▲ 햄세구 ▲ 눈나구
5.2. 별명
별명이 다양하다. 보통 고ㅅㄱ라는 틀 안에서 별명이 만들어지며, 맨 뒤에 '구'를 붙혀서 만들어지는 경우도 많다.
- 세구세구: 팬들이 부르는 애칭으로, 방송에서 본인을 지칭하는 호칭으로도 자주 사용하고 있다.7:501:19:3000:49
고갈통: '고세구 + 갈통'의 줄임말. 가끔 바보처럼 행동하는 모습 탓에 붙은 별명이다.[43] 트위치 시절 고세구가 자리를 비울 때 세균단이 채팅창에 도배하는 밈으로 자리잡았던 적도 있으나 고댕사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현재는 사용 시 즉시강퇴이니 사용하지 말자. # #- 고니: 주니고니 콘텐츠를 진행하며 불리는 별명이다. ##
- 고세9단: 우왁굳의 채널에서 진행한 '왁파고 vs 이세돌' 콘셉트 바둑 대결 방송에서 붙여진 별명이다.[44]##01:0608:21
- 고세구 단속반: 고세구가 팬아트를 감상할 때 숭한 팬아트를 지적할 때 대는 별명이다. 01:2600:12
- 배꼽단속반: 위의 과정에서 배꼽이 드러나는 모습에 유독 신경을 쓰면서 "검거", "배꼽단속반에서 왔습니다."라고 말해서 붙었다. # #
- 왜구: 방송 중이나 평상시에 일본어를 추임새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마다 시청자들이 부르는 별명이다. # #
- 쇠구쇠구, 고쇠구: 발로란트 첫 배치에서 아이언이 나오면서 생긴 별명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배치에서도 아이언이 나왔다.# 2024년 11월에는 이 별명을 활용하여 쇠구컵을 개최하였다.
- 왁충아: 데뷔 1주년을 맞아 영상 편지를 보내며 사용한 '왁굳님의 충성스러운 아이돌'이라는 의미의 줄임말이다. ##
- 코리안 쿠소가키(Korean kusogaki): 고세구의 방송 태그에 있던 별명으로, 2022년 8월 20일 나라카 합방 전, 멤버와 대화 중 본인을 '코리안 쿠소가키'라고 자칭했다. 영상.'2024년 11월 20일 타카나시 키아라와의 콜라보 방송 도중 고세구의 별명으로 언급되었다.
- 택구: 귀여운 척을 할 때 3인칭으로 본인을 언급하는데 세구를 자꾸 택구라고 발음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 #
5.2.1. 부캐
- BJ 곰팡이/팡이누나: 202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새벽 방송#을 통해 탄생한 새로운 부캐이자 별명. 아프리카TV (現 SOOP) 여캠 콘셉트다. 아프리카TV 이적 후 2024년 2월 19일 방송에서 눈나구 아바타와 합쳐서 다시 등장했다. # 여기서 "팡이누나"는 고세구의 친언니로 주로 2011년에 활동했으며, 쇼핑몰을 운영하여 한 번 망했다가 나중에 대박이 나서 방송을 은퇴했다는 설정이 생겼다. 방송에서 방귀 얘기를 자주 하는 동생 고세구와 달리, 누나도 방구 끼냐는 시청자의 질문에 '누나도 사람인데'라며 운을 띄웠다가 자신은 요정이라며 방구 안 낀다고 답변하는 센스를 보였다. 클립
- 눈나구: 징버거가 '밥버거' 콘텐츠 방송을 하면서 고세구를 어른으로 만든 캐릭터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고세구의 파생 캐릭터 중 하나로 정착됐다. 이후 마왕이 눈나구 전용 아바타를 만들어주어 종종 방송에 사용하고 있다.[45]
- 시부야 아주머니: 우왁굳의 고멤 아카데미 오디션에 시부야를 가고 싶어 하는 오벤또 사장님이 참가했는데, 이 사장님이 알고 보니 고세구였다. 뢴트게늄의 추천으로 전날 갑자기 참석하게 된 상황이라 분량을 많이 준비하지 못해 아쉬웠으나 재밌는 경험이었다고 한다.
- 염소희: 2023년 9월 7일 새로운 Live2D 캐릭터를 이용해 염소희라는 이름으로 콘셉트 방송을 진행하면서 생긴 부캐다. 관련 영상
- 킹구: 햄이네, 징나나 등과 동일한 결의 부캐. 이세돌 미니 부캐 중 가장 마지막으로 만들어졌으며 공모전을 열어 뽑은 캐릭터다. # 머리카락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늘릴 수 있으며 머리카락으로 걸어다닌다는 독특한 설정이 있다.
5.3. 기타
- 어몽어스 합방 때 크루원일 때와 임포스터일 때의 우왁굳의 태도 차이를 잡아내 임포스터인 우왁굳을 제대로 집어 당황시키기도 했으며, 2022년 5월 12일 왁타버스 합방으로 진행한 Prominence Poker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 크리스마스 기념 방송에서 랜덤한 아이돌 노래의 안무를 짧게 따라출 정도로 춤을 많이 알고 있다.
- 자신의 운이 좋다고 많이 언급하며[46] 블루 아카이브 방송에서는 한정 캐릭터인 수영복 호시노를 30연차만에 뽑았고 니케 방송에서는 픽업 캐릭터인 도로시를 50연차 동안 5명을 연속으로 뽑았다. 운을 이용한 콘텐츠인 원신 대리 뽑기 방송을 진행한 적이 있다. # # #
6. 어록
7. 다른 인플루언서와의 관계
- 닛몰캐쉬: 고세구의 팬이라고 밝혔다. 2023년 9월 5일 함께 촬영한 KIDDING 챌린지 영상[[https://youtube.com/shorts/fOtx0ApQfGk|]]을 공개했으며, 2023년 10월 13일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션 캡처와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유튜브 채널에서 함께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였으며, 고세구의 콘텐츠에 종종 출연하고 있다.
- 타카나시 키아라: filian이 개최한 2023년 The VTuber Awards에서 후보로 오른 고세구를 보고 관심이 생겨 찾아보며 서로 접점이 생겼다.[49] 동년 12월 20일, 자신을 언급한 것에 기뻐하는 고세구의 클립을 X에서 발견하고 "고세구를 입양하고 싶다"는 게시물을 영어와 한국어로 두 차례 작성했으며 고세구의 X 계정을 팔로우했다.
영어
한국어 이후에도 고세구의 소식에 꾸준히 관심을 보였으며, 2023년 12월 24일에는 고세구와 맞팔로우된[50] 사진과 함께 자신의 크리스마스 선물은 이것이라는 글을 올렸고
12월 26일 서로의 생방송을 시청하며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2024년 중으로 합방을 약속하였다.홀로라이브 그녀에게 간택당했습니다?!?!! 당초에는 2024년 2월 말이 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각자의 일정과 시간대 차이, 기술적 문제로 상당 기간 연기되었다.
키아라 쪽에서 왁타버스 세팅에 맞추는 듯하며, 고세구 측에서 도움을 주고 있다는 언급이 몇 차례 나온 바 있다.[51]
이윽고 2024년 11월 초에 합방이 예정되어 있음이 공식화되고, 동월 20일 한국 시각 오후 7시, 고세구의 고니티 프로그램을 이용해 함께 춤을 추고 게임을 하는 등 합동 방송을 진행했다. 이세돌과 홀로라이브 최초의 합방이었다.
이후 2025년 3월 4일 키아라의 오리지날 곡 MIRAGE 하이라이트 부분에서 키아라와 같이 춤추는 쇼츠가 공개됐다.[52]
- 악어: 악어의 놀이터 2에 초대한 장본인이자 같이 던전을 돈 것으로 인연이 시작되었다. 이후 악어의 놀이터 2 콘서트에서 MC를 맡기도 하였으며, 고세구는 악어의 프로페셔널함을, 악어는 고세구의 준비성을 리스펙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에도 악어는 고세구가 개최한 고징어 게임에 초대받아 플레이어로 참여하였으며, 같은 이세계아이돌의 멤버인 주르르와 함께 팀을 맺어 3인 모두 상위권으로 진출하는 돈독한 팀워크를 보여주었다.[53] 또한 이전 고세구는 개인 방송에서 악어가 참여한 피의 게임3이 재밌다는 평을 남겼고, 고징어 게임에서 재회했을 때는 피의 게임3 최신화를 언급하고 지속하여 피의 게임이 재밌음을 어필하였다. 합방이 끝난 이후, 고세구는 피의 게임3 파이널에 진출한 악어를 응원하며, 피의 게임3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 # # 또한 악어는 고징어 게임에 참여하여 즐기는 과정에서 감명받은 듯 보였으며, 추억으로 남을 것 같다고 하였다.[54] 이를 본 고세구는 감탄과 감동의 반응을 자아냈다. #
- 김계란: 악놀 2에서 처음 만나 핑맨을 포함해 셋이 함께 게임을 하며 핑계고라는 파티를 결성하였다. 이후 핑계고를 계승한 신세카이 길드에서 같이 활동하였으며, 2024년 10월 29일 현실 합방 콘텐츠에도 게스트로 잠시 출연했다. 이후 고세구가 주최한 고징어 게임에도 참여했으며, 평소에도 대화를 하며 조언을 얻고 있다. 그 외에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팀인 T1과의 인터뷰에 고세구를 데려가고,[55] 쇠구컵 한일전의 해설진인 클템과 전용준의 섭외를 도와주는 등 고세구에게 많은 도움을 줬다.
- 멋사: 비챤이 최애인 라니지만, 2021년 10월 고세구 리믹스 팬영상에 댓글을 달았었으며 #, 마찬가지로 2021년 10월 고세구 트위치 구독자였다. #[56][57] 악놀 2 서버 진행 중 신세카이 길드에서 같은 길드원으로 활동하였다.
- 감스트: 24년 4월 20일, 감스트의 방송에서 합동 방송을 진행하였다. 해당 방송에서 감스트는 ‘세구님과 합방 하고 싶었다’ , ‘고세구님의 팬서비스 커버가 결승이었다’ 고 밝혔으며 이에 고세구는 '제가 오히려 팬이다', ‘다른 분 방송에 나온 게 처음이다.’[58] 라고 말하는 등 3시간 가량의 방송 동안 좋은 케미를 선보였다.[59][60] 2024년 5월 19일 더 파이널스 광고를 함께 진행하기도 했다.#
8. 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세구/논란 및 사건 사고#|]][[고세구/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여담
- 근성과 운이 뛰어난 장면이 자주 목격되며, 장시간의 VR 춤 방송을 진행한다. 시청자들과의 티키타카가 잦고 장시간 새벽 방송도 종종 진행한다.
- 친구가 고세구란 닉네임을 추천해 주기 전까지는 본인이 이름을 정하고 있었는데, 그중 가장 유력한 후보가 '치카'였다고 한다. 한때 후지와라 치카 댄스에 빠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 객관성 테스트를 했을 때 결과는 91%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 나의 입덕포인트 테스트와 게임 속 나의 직업은?에서의 결과가 각각 찌면 부드러운 단호박st과 쾌활한 해적이 나왔다.[61]
- 퍼스널 컬러 진단 결과 여름 쿨톤이라고 한다.
- 미주신경성 실신을 자주 겪는다. 친구와 백신을 맞으러 갔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길거리에서 쓰러진 적이 있다. 그 덕분에 화이자 1차를 맞을 때 특별 대우받으며 간호사, 의사가 신경을 많이 써줬다고 한다.
- 주량은 소주 두 병이라고 한다.[62] 칵테일 하이볼을 좋아하며, 그 안에 든 라임이 맛있다고 한다. 또한 2022년 2월 5일 생방송 중 수제 막걸리를 마시고 싶다면서 고소한 술을 마시고 싶다고 말했다. 다만 밤 막걸리는 싫어한다고 한다.
- ASMR을 즐겨 듣는다. 처음에는 이상하다고 생각했지만 듣다 보니 좋아졌다고 한다. Ear Eating, Role Playing 등 소곤거리는 소리를 좋아한다고 한다. 중학생 때부터 ASMR를 한 번쯤 해보고 싶어서 100만 원 상당의 장비도 구매했었다고 한다.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인이니까 당연히 따야 한다고 생각해서 애국심에 땄다고 한다. 별별 한국사로 공부를 하였는데 강의가 너무 슬퍼서 강의마다 울었다고 한다.
- 게임 중 시야가 좁거나 채팅을 잘 못 보는 일이 종종 있는데 시력이 좋지 않아서 그렇다고 한다. 양안 시력차가 있고, 난시라서 렌즈나 안경을 착용하지 않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 이세돌 멤버 중 키를 밝히지 않아 시청자들이 캐릭터 콘셉트에 맞춰 140㎝이라고 놀렸지만, 나중에 같은 그룹인 아이네보다 키가 크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63] 또한 키가 170㎝가 되지는 않는다 언급했었다. [64]
- 다른 멤버들에게 실수를 하지 않을까 걱정을 많이 하는 소심한 성향이라 합방을 하면 평소와 달리 조용한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방송 초반에는 이미지와 달리 예의도 바르기에 다른 사람들에게 극존칭을 쓰며 깍듯하게 대했다고 한다. 현재는 멤버들 모두와 가까워진 만큼 서로 편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 IQ 테스트를 했을 때 결과가 107이 나왔다.[65] 같은 멤버인 징버거와 같은 수치이다 보니 둘을 묶어서 "107 듀오", 혹은 "107즈"라고 부르기도 한다.
- 친구와의 여행 계획을 세울 때는 상대가 믿음직스럽다면 여유를 갖고 맡기지만, 그렇지 않다면 본인이 능동적으로 여행 코스를 짜는 편이라고 한다. 여행지의 코인 락커 위치와 동선, 사진까지 미리 알아볼 정도로 디테일하게 준비하는 편이라고. 반면, 생방송으로 진행하는 콘텐츠를 기획할 땐 디테일하게 계획을 짜면 변수가 생길 때 당황하고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최대한 큰 틀만 잡아두고 자유롭게 진행하려 한다고 한다.
- 알바를 제법 많이 했었는데 지금까지 편의점 알바, 쿠팡 알바, 조립 공장 알바[66], 스터디 카페[67], 음식점 서빙[68], 호텔 결혼식 서빙[69], 전단지 알바[70]를 해보았다고 한다. 이를 통해 모아둔 돈으로 오디션 시절 방송 장비를 구입하기도 했다고 한다.
- 코인 노래방에 가면 본인은 물론 같이 간 친구마저도 앉지 못하게 할 정도로 재밌게 논다. 기분 탓일지도 모르지만, 옆방의 사람들이 창문을 통해 자기를 보고서 '누가 더 재밌게 노나?' 하며 더욱 신나게 노는 거 같다고도 했다.[71] 이와 관련된 썰을 이용한 영상도 유튜브에 게시되어 있다.
- 일본어를 할 줄은 알지만, 잘하는 편은 아니며 듣는 것은 가능하지만 말하는 것은 안 된다고 한다. #, #
- 주르르, 징버거 등 다른 멤버들에 비하면 우결로 엮이는 일이 거의 없어 본인이 직접 비즈니스킴, 새우튀김과 억결을 한 적도 있다. 그러다가 2022년 1월 말부터 뢴트게늄과 엮이는 일이 많아졌다. 사실 그렇게까지 많지는 않았고 본인도 이를 장난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였으나, 2022년 2월 27일 우왁굳이 뢴르르 억결을 그만 해 달라고 선언하면서 다른 억결들과 함께 폐지되었다.
- 어릴 땐 '으악! 너무너무 무섭다!'라는 만화책이 바닥에 펴져만 있어도 그 근처로 가지 못해서 부모님이 대신 치워 주셨다고 한다.
- 2022년 3월 12일 공지에서 2집 차트인 기념으로 팬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며 직접 쓴 손 편지를 올려주었다.
- 징버거와 함께 배설 관련 개그를 즐기는 멤버로 알려져 있다. 징버거는 방귀와 똥 얘기가 나올 때 폭소를 참지 못하는 일이 많다면, 고세구는 먼저 관련 농담을 던지는 쪽이다. 아이네에게 방구뿡뿡띠를 시전하는 영상 일례로, 자신이 재현한 방귀 소리를 '귀엽다'고 표현하거나, 다른 멤버들의 방귀 소리를 우스꽝스럽게 흉내 낸 적도 있다. 영상 또한 한 방송에서는 트림이 방귀보다 더 더러운 게 아니냐고 말하며, 해당 주제를 두고 시청자들과 유쾌하게 의견을 주고받았다.
- 2022년 3월 14일 생방송 중 말하기를 공포 게임을 할 때 무서워하는 요소가 몇 가지 있는데, 공포를 느끼게 되는 포인트가 본인의 예상과 다를 때가 무섭고 어지간한 경우는 살짝 무섭긴 해도 즐길 만하다고 한다.[72]
- 2022년 3월 14일 생방송 중 실제 폐가는 사람이 있거나 귀신이 들릴까 봐 안 가지만 인위적으로 꾸며진 방 탈출이나 귀신의 집 같은 경우는 무섭지 않다고 말했다. 어릴 적 테마파크에서 놀라지 않은 척 귀신의 집 직원과 눈싸움을 한 적이 있다고도 하였는데, 사실은 놀라게 해 주기를 바랐지만 직원이 하려다 말아서 아쉬웠다고 한다.
- 가수로서의 롤 모델은 AKMU의 이찬혁이라고 한다. 성격부터 많은 점을 닮고 싶다고.
- 팬 영상이나 팬아트 등에서 험한 취급을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로는 유튜브 영상 아웃트로이자 채널에도 게시된 세구깡 영상이 있다.
- 2022년 5월 12일 생방송 중 말하기를 어릴 적에 발레를 배웠었다고 하며, 2022년 5월 17일 생방송 중 아이패드를 이용해 피아노를 연주하며 초등학생 때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배워서 악보를 조금 볼 줄 안다고 말했다. 그 외엔 방송용으로 가끔 리코더를 불기도 한다.
- 과거 귀신 이야기를 들은 후 엎드려서 머리를 감으면 시선이 느껴지거나 이야기가 떠오르는 탓에 귀신이 나타나면 도망칠 자세로 서서 머리를 감았었는데, 이것이 습관으로 남아서 지금도 서서 머리를 감는다고 한다. 귀신 이야기도 무섭긴 하지만 그보단 진짜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에 관련된 이야기가 더 무섭다고도 했으며, 서양의 공포물보단 찝찝하게 여운이 남는 동양의 공포물이 더 무섭다고도 한다.
- VRChat을 할 때 바닥에 깔린 매트와 실내화가 마찰하면서 '뽀드득~' 소리가 나고는 한다.
- 길게 나열되어있는 큰 수를 세는 것[73]을 어려워하는 편으로, 쉼표로 자릿수 표시가 되어 있더라도 천천히 끝에서부터 한 자리씩 세야지 읽을 수 있다고 한다. 과거 이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림판에 10,000,000,000(백억)을 써놓고 한 자리씩 지워가며 천천히 세었으나, 억단위로 들어가면서 "억, 1억, 10억. 10억이네요."라는 명대사를 남겼다.
- 2022년 6월 20일 한 팬이 고세구의 글씨체를 딥러닝으로 제작한 폰트인 '고세구체'와 '세구세구체'가 있다.출처1 출처2 고세구가 손글씨로 직접 작성한 손편지[74]를 공개한 뒤로 폰트가 제작되었다.
- 2022년 9월 1일 왁물원을 통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음을 알렸다. 9월 6일 복귀했으며, 증상은 비교적 가벼운 편이었다고 한다.
- 어린 시절 투니버스와 보니하니 등을 즐겨봤다고 한다. 보니하니의 경우 방송 연결용으로 사용됐던 전화번호를 지금도 외우고 있을 정도인데, 문구 세트가 받고 싶어서 자주 전화를 걸었었다고 한다.
- 개인 태블릿 컴퓨터로 iPad Air(5세대) 스타라이트 색상을 사용 중이다.
- 방송 중의 일을 정리하는 왁물원의 "이세돌 유튭각" 게시판을 자주 사용하여 방송 일과를 기록으로 끝내는 경우가 잦으며, 이를 유튜브 편집에 자주 사용한다.
- 나무위키도 몰랐던 고세구의 100가지
- 방송 시작 시 노래에 맞춰 자주 몸을 흔들곤 한다. #
- 아바타의 외형이 이세돌 중에서 가장 왜소한 체형이다.
나도 다리 꼬아지나?
왜 반응이 다르지?
같은데 다른 느낌
- 고세구의 홍련화 커버 곡 뮤직비디오의 2D 애니메이션 파트가 연세대학교에서 사례 연구의 자료로 쓰인다고 한다. 출처
- 2024년 1월 7일 Fleeky Bang의 제안으로 1월 중 나올 신곡에 피처링으로 참여하게 됐음이 알려졌으며, 이후 1월 12일 The Predator 2: FLEEKY SYNDROME에서 BIG Naughty와 고세구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15번 트랙 TOKYO가 공개되었다.
- T1의 굉장한 팬이다. T1이 경기에서 이기자 운 적도 있을 정도로
- 연애 경험은 '8경 9천만 3백 20십천만' 번 있다고 한다. 클립
9.1. 방송 일화
====# 2021년 #====- 첫 방송은 2021년 7월 27일 우왁굳의 이세계아이돌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시작하였다. 방송 초기에는 섹큐버스섹시하고 큐티한 서큐버스와 주인님 콘셉트를 잡고 방송하였다. 그래서 고세구를 주인님이라 부르며 고세구는 시청자를 노예라 칭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콘셉트는 1~2달 정도 지속되다 오디션 도중 폐기됐고 이 콘셉트는 고세구의 흑역사로 남았다. 폐기된 이유는 밝히지 않아서 알 수 없으나, 이후 채팅창은 스트리머와 시청자가 티키타카를 주고받는 분위기로 바뀌게 된다. 첫 방송 이후 방송 초반에는 기반을 다지기 위해 외국 버츄얼 아이돌 분석하기 콘텐츠, 종합 게임, 노가리 방송 등을 했으며, 이후 각양각색의 콘텐츠로 방송을 진행했다.
- 데뷔곡 RE : WIND에서 가이드 보컬에 참여했다.
- 2021년 9월 16일 풀 트래커[75]가 배송되어 첫 풀 트래커 방송을 했다.
- 이제는 고세구의 대표적인 커버 곡이 된 팬서비스 커버는 원래 2021년 11월에 올라온 모 이파리가 올린 팬 MMD 영상을 보고 커버하기로 결심하게 된 사례다.
- 2021년 12월 23일 원칩 챌린지 컨텐츠를 진행하면서 생방송 시청자 수 1만 명 이상을 기록했다. 다만 나중에 밝히기로는 결국 이 컨텐츠의 여파 때문에 설사로 골골댔다고 한다.
====# 2022년 #====
- 2022년 3월 21일 생방송 중 '희망 콘서트'를 진행하였다.
- 2022년 3월 26일 성대결절 진단을 받아 치료를 위해 당분간 휴방 및 잔잔한 방송이 많아질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2022년 4월 21일에 올린 공지에서 본격적인 치료를 위해 3주 이상의 장기 휴방을 예고했으나 4월 30일 복귀했다.
- 2022년 3월 9일 생방송 중 릴파가 생일을 맞아 시청자들로부터 생일인 날짜와 똑같은 금액의 도네이션(309만 원)을 받는 클립을 보고 자신의 생일은 12월 31일, 9월 99일이라는 드립을 쳤으나 결국 진짜 생일을 밝히진 않았다. 클립라이트
- 2022년 5월 18일 생방송에서 일반인 친구를 집으로 초대하여 풀트를 입혀보는 콘텐츠를 진행했는데, 이 친구가 바로 닉네임을 지어준 친구[76]라고 한다. 이 친구에게 이세계아이돌 오디션에 지원하겠다고 이야기했을 때 꼭 지원해 보라는 말을 들었는데, 아르바이트하는 친구가 심심해하면 고세구가 성대모사나 노래를 녹음해서 보내주는 등 평소에도 끼가 많아서 적극적으로 격려해 줬다고 한다. 방송에서의 모습과 실제 모습이 크게 다르지 않으며, 평소에는 목소리가 좋고 조용하게 웃긴 말을 해서 재밌는 스타일이라고도 한다.
친구가 봤을 때 고세구의 성향이 J가 맞는 것 같냐는 시청자의 질문도 있었는데, 친구인 본인이 봤을 땐 J 성향이 강해서 무슨 일을 하든 작은 계획이라도 세우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스타일이라고 답변했다. 실제로 해당 콘텐츠를 진행하기 전에도 친구와 함께 방송에 대한 계획을 세워두기도 했다고 한다.
- 2022년 6월 10일 성대결절 재진단으로 인한 목 건강 관리 차원에서 당분간 휴방을 선언했다.
- 2022년 7월 10일 우왁굳의 채널에서 진행한 '왁파고 vs 이세돌' 콘셉트 바둑 대결 방송에 이세계아이돌 측 대표로 출연하며 복귀했다. 고정 멤버 왁파고와의 바둑 대결에서는 불계패했으며, 진행자인 우왁굳과 참가자들 모두 바둑에 대해 잘 모르는 채로 진행한 콘셉트 바둑 대결이었기에 기존 바둑 대결에서 볼 수 없는 엉뚱한 장면들이 많이 나왔다.
- 2022년 7월 27일 1주년 생방송에서 최종 수정이 완료된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방송을 진행했다.
- 2022년 9월 8일 새벽 방송 중 팬치력 테스트를 했으며 31~35점이 나왔다. 해당 테스트 결과에 불합격이라는 말이 덧붙어 이 때문에 우왁굳, 천양, 주르르에게 장난스레 짭치 소리를 듣기도 했다. 덧붙여 고세구가 노이로제 걸리겠다고 언급할 정도로 평소에 느닷없이 짭치라고 비아냥대는 행위를 두고 우왁굳이 '세구님은 팬치다.'라며 그렇게 괴롭히는 것은 혐팬치 짓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2022년 9월 19일 거짓말 탐지기 컨텐츠를 하면서 작년에 했던 컨텐츠인 원칩 챌린지 때 사실 썬칩을 먹고 매운 척을 했냐는 질문에 아니라고 대답했지만, 거짓말인지 손에 전기 찜질을 당했다. 클립 이에 고세구는 그날 원칩 때문에 결국 설사를 지려버렸다고 해명했다. #
- 2022년 10월 29일 생방송 중 자신의 버킷리스트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했다. 대부분 소박하거나 여유가 있다면 이루기 쉬운 목표들로, 그나마 어려운 거라면 호쇼 마린이 자신을 알게끔 만드는 것이라 한다.
{{{#!folding [ 접기/펼치기 ]
}}}
- 2022년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을 맞아 가래떡 복장과 함께 공개된 이세돌 단체 이벤트를 추진했다.
- 2022년 8월경 모션 캡처를 구매 중이라는 소식을 전했다.[80] 이후 11월 27일 방송에서 모션 캡처를 사용해 봤다며 확실히 가격이 엄청 비쌌지만, 확실히 부드럽고 좋다는 소감을 남겼으며, 2022년 12월 7일 진행한 고니티 Nintendo Switch 스포츠 콘텐츠에서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81]을 이용해 모션 캡처와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두 화면을 동시에 송출하며 이를 선보였다. 이후로도 유니티 프로그램과 모션 캡처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콘텐츠를 진행하고 있다.
- 2022년 8월 20일 생방송 중 링 피트 어드벤처를 진행하며 최초로 고동부[82] 기획으로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 일명 '고니티'를 이용해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두 화면을 동시에 송출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
- 2022년 12월 3일 19시 30분 긍지높은 아이돌의 커버 곡과 함께 댓글을 통해 gosegu.co.kr라는 도메인의 사이트가 공개되었다. 해당 사이트의 상단에서 12월 18일 20시까지의 카운트 다운 타이머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이트가 정식 오픈되어 12월 3일 공개된 커버 곡을 시작으로 9일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런칭될 게임 앱 "eGo", 10일 "To.UR AR App", 12일 "TOUR de Segu", 18일 고세구 단독 콘서트 TOUR[83]까지 순차적으로 공개될 특정 콘텐츠의 홍보 사이트임이 밝혀졌다.
- 2022년 12월 7일 진행한 고니티 Nintendo Switch 스포츠 콘텐츠에서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션 캡처와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두 화면을 동시에 송출하며 이를 선보였다.
- 2022년 12월 18일 두 번째 단독 콘서트 TOUR를 진행하였다.
====# 2023년 #====
- 2023년 2월 22일에 공개된 고세구의 커버 곡인 홍련화가 2월 24일에 처음으로 인기 급상승 동영상에 등재되었다.
- 2023년 2월 24일 이세계아이돌의 첫 오프라인 콘텐츠이자 오리지널 현실 접목 콘텐츠인 '고간다(고세구가 간다)' 시리즈의 첫 영상인
홍대 길거리 인터뷰를 유튜브를 통해 선보였다. 이와 같은 오프라인 콘텐츠는 주기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한다.
- 2023년 4월 1일 만우절 기념으로 '이세계F6' 콘셉트 '강세구'라는 남자 버전 캐릭터를 연기했으며, 당일 최고 시청자 32,250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4월 2일에는 만우절 2일 차라면서 시부야 아줌마 콘셉트로 귀족희(주르르)와 합방을 했다.
- 스즈메에 이어 2023년 4월 2일에 게시된 영상이 인기 급상승 동영상에 등재되었다.
- 2023년 5월 5일, 어린이날 기념으로 주르르와 함께 보니하니를 패러디한 "주니고니" 콘텐츠를 콘셉트에 맞는 새로운 의상과 함께 선보였다. 이후 인형처럼 보이는 일명 '빵떡' 아바타의 유치원생 버전 캐릭터로 방송했다. 2023년 9월 29일 추석 특집 생방송 톡! 톡! 주니고니에서도 주르르와 함께 메인 MC를 맡았다.
- 2023년 5월 15일, 고세구 단독 콘서트 TOUR가 유튜브 조회수 100만을 달성하였다.
- 2023년 6월 22일에 발매된 이세계아이돌의 카카오페이지 & 카카오웹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수록 OST LOCKDOWN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릴파와 함께 직접 모션 캡처를 담당하여 주르르, 고세구, 비챤의 몸연기를 맡았다.
- 2023년 9월 18일 진행한 이세계아이돌 24시간 릴레이 방송에서 다섯 번째 순서에 배정되어 '생생고갈통' 콘텐츠를 진행하였다.
- 2023년 11월 26일, 이세계아이돌의 첫 현실 합동 방송을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션 캡처와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주르르를 게스트로 초대해 함께 진행했다.[84]
- 2023년 12월 4일 고니티 신기능 '리얼엔진'을 공개한다는 콘셉트로 네오와 합동 방송을 진행하였다.
- 2023년 12월 17일 해외 버튜버와 시청자들을 기반으로 열린 2023년 The VTuber Awards에 노미네이트되어 인터뷰를 진행했다. filian의 채널에서 진행됐으며, 인터뷰엔 대월향이 함께 참여해 통역을 도왔다.
이때 홀로라이브의 타카나시 키아라가 자기 방송에서 "고세구 귀엽다"며 관심을 보였다. # 홀로라이브 멤버가 이세계아이돌 멤버를 방송 중에 거론한 것으로는 이것이 최초이다.
====# 2024년 #====
- 2024년 2월 11일 아프리카TV 첫 방송을 기념하여 GOSEGU 미니 콘서트를 진행하였다.
- 2024년 4월 20일 감스트 측의 섭외로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션 캡처와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합동 방송을 진행하였다.
- 2024년 5월 5일 악어의 놀이터 2에 스타팅 멤버로 초대되어 마인크래프트 방송을 시작했다. 핑맨이 마인크래프트 초보인 고세구와 김계란에게 이것저것 알려주며 친해지게 됐고, 셋이 함께 게임을 하며 핑계고라는 파티를 결성하기도 했다. 이후 이는 신세카이라는 길드로 계승되었다.
- 2024년 5월 22일 서현숙과 함께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션 캡처와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토크쇼와 치어리딩 배우기 콘텐츠를 진행했다.
- 2024년 8월 30일 이노닉스와 함께 배틀그라운드 광고를 받아 생방송에서 콘텐츠를 진행했다.
- 2024년 9월 8일 광고를 받아 PUBG Nations Cup 2024을 중계했다.
- 2024년 10월 4일에 광고를 받아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PS5판 체험판을 플레이했으며, 패러블 스토어를 통해 PS5 소닉 x 섀도우 제너레이션즈를 해당 게임의 구매자 선착순 300명에게 한정판 포토카드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 2024년 10월 8일부터 3일간 흑백요리사를 패러디한 흑백버튜버 콘텐츠를 진행했다. 백튜버는 이오몽, 아야츠노 유니, 허니츄러스, 흑튜버는 클라비스, 제갈금자, 또오냥과 함께했다.
- 2024년 10월 29일 비챤, 주르르와 함께 현실 합동 방송을 진행했으며 비챤과 함께 다녀온 제주도 여행에서 있었던 일들을 사전에 제작한 영상과 함께 이야기하고 셋이 모여 춤을 추기도 했으며, 게스트로 김계란이 출연해 짧은 콘텐츠를 진행하기도 했다.
- 2024년 11월 20일 오후 7시부터 약 3시간 동안 홀로라이브 EN 소속의 타카나시 키아라와 콜라보 방송을 진행하였으며, 자기소개와 서로의 춤 알려주기, 폭탄 해체 게임 등을 진행하였다.
- 2024년 12월 22일 버츄얼 연말 페스티벌 버.츄.페를 개최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잡음이 생기기도 했다.
9.1.1. 2025년
- 2025년 1월 12일 고징어 게임을 주최했으며, 김계란, 우왁굳, 악어, 너덜트, 우정잉, 주르르, 프응 등 많은 방송인들이 참여했다.
- 2025년 1월 17일 과학 유튜브 채널 안될과학에 게스트로 출연해 궤도와 함께 생방송을 진행했다.
- 2025년 2월 8일 현실 합동 방송을 자체 개발한 유니티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션 캡처와 페이셜 트래킹을 아바타에 적용한 후, 아이네를 게스트로 초대해 함께 진행했다.
- 2025년 3월 2일 SOOP과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에게 일부 지원을 받아 버튜버 청백 가요대전을 진행했다.
- 2025년 3월 30일 SOOP과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RAZER, BenQ에게 일부 지원을 받아 쇠구컵 한일전을 진행했다.
9.2. 이세계아이돌 선발 관련
- 오디션 전까지 이세돌 최종 멤버 6명 중 유일하게 방송이나 관련 매체 경험이 전혀 없었던 멤버다. 그런데도 방송 진행이 매우 능숙하여 방송이 처음이라는 사실에 많은 팬들이 놀라워했다. 이에 우왁굳도 합격자 비하인드 썰에서 방송 천재라고 언급한 바가 있으며 일면 본인과 닮은 점도 있다고 했다.
- 이세계아이돌 프로젝트 합격 전 우왁굳이 고세구 방송 중 채팅으로 마이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며 살짝 건드려보았는데 그때 죄송하다면서 울음을 터뜨렸다. 우왁굳이 훗날 생방송 중에 비하인드 썰을 풀면서 말하기를, 고집이 세 보여서 말을 잘 안 들을 것 같아 한번 찔러보고 반발하는 반응을 지켜보려 했는데 예상과는 반대로 매우 약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즉각 피드백하는 반응을 보고 데리고 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물론 그런 상황에서도 방송을 진행하는 걸 보면 확실히 고세구가 기본적으로는 에고(자아)가 탄탄히 확립된 친구인 것 같다고 했으며, 오디션 중반부터 풀 트래커를 착용하고 혼자 재미있게 놀면서 포텐이 터지기 시작해서 안정권이었다고도 한다. 이 시기에 고세구가 방송에서 울음을 터뜨린 채로 부른 노래는 '즙련화', '즙나기' 등으로 불리며 고세구 방송의 레전드 장면으로 남기도 했다.
- 그 날 방송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하는 일명 세균 관찰일지를 작성한 적이 있다.
- 이세돌에 지원할 때까지만 해도 VR 기기가 없었지만, 이세돌 연습생 시절에 HTC VIVE 2 PRO EYE 기기를 구매하였다. 300만 원짜리 명품 옷. 오디션 과정에서 방송 능력 등과 같은 이유가 아니라 장비 때문에 떨어지게 된다면 이후에 너무나도 억울할 것 같았다고. 그 외 컴퓨터도 방송을 위해 팬치들의 도움을 받아 최고 사양으로 맞췄다.[87] 9월 16일 트래커를 배송받아 너무 기쁜 나머지 온종일, 심지어 치킨을 먹을 때조차도 트래커를 착용하고 있었다. 트래커는 배터리가 필요 없는 줄 알고 있었다고 했다.
- 2집 차트인 공약으로 본인의 이세계아이돌 지원 글을 리뷰하는 콘텐츠를 진행한 바 있다.
- 이세돌 최종 선발 이후 다른 멤버들에 대한 첫인상을 이야기한 바 있다.
- 과거 고세구의 친구도 고세구 본인이 꼬셔서 같이 지원하려 했으나, 친구 본인이 싫다며 거절했다고 한다. 고세구가 이세계아이돌로 성공한 현재는 거절한 것을 땅을 치며 후회했다고.
9.3. 공식 인터뷰
2021년 9월 12일 이세돌 공식 인터뷰를 통해 공개된 정보에 해당한다. 왁타버스 - 고세구 공식 인터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67ec6><colcolor=#fff> 폰 기종 | iPhone[88], iPhone 12 mini[89] |
취미 | 없음. | |
특기 | 분석하기. | |
장점 | 긍정적이고, 매사에 열심히 하고, 열정적이고, 노래와 춤도 나쁘지 않고, 사회생활 괜찮고, 공부도 잘하고, 책도 잘 읽고, 요리 잘함. | |
단점 | 아마도 없음. | |
문과이과 | 고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이과 출신. | |
면허유무 | 수능 끝나고 면허 취득함. | |
습관 | 없음. | |
초등학교 시절 장래희망 | 선량한 시민, 대단한 사람이 되고 싶었음. | |
이세돌 지원이유 | 영상을 보자마자 심장이 떨렸고, 나를 부르는 것 같아서. | |
합격 후 주변반응 | 부모님께서 축하한다며 외식하자고 하셨지만, 아직 못함. | |
첫 방송 | 이세돌로 시작함. | |
우왁굳 첫 시청 계기 |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노가리 영상을 보게 됨. | |
가장 재밌게 본 영상 | 결혼식 썰푸는 노가리 영상. | |
잘하는 게임 | 롤.[90] | |
좋아하는 계절 | 느끼는 건 여름, 보는 건 봄. | |
좋아하는 요리 | 싫어하는 음식 빼고 다. | |
좋아하는 반찬 | 오징어 젓갈. | |
좋아하는 과일 | 씨없는 청포도, 샤인머스캣[91] | |
좋아하는 라면 | 김치 왕뚜껑 | |
싫어하는 음식 | 초코에몽, 튀긴 은행, 냄새나는 음식(곱창류), 콩밥, 도라지 무침 등등 | |
스트레스 해소법 | 슬프면 그 순간에 울고, 그냥 자기. | |
월 300백수vs월 800직장인 | 월 800 직장인. | |
좋아하는 햄버거 프랜차이즈 | 버거킹 와퍼 | |
주량 | 소주 두 병.[92] | |
카페에서 주문하는 음료 | 일할 때는 연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일을 안 할 때는 건강 주스. | |
무서워하는 것 | 나쁜 사람들. | |
연하vs동갑vs연상 | 연상, 연하 둘 다.[93] | |
키 vs 목소리 | 키. | |
이상형 | 인성이 좋아야 하고, 생각이 애 같으면 안 되고, 배려심이 있어야 하며, 본인과 개그 코드가 잘 맞는 사람 | }}}}}}}}} |
10. 둘러보기
고세구 관련 둘러보기 틀 | ||||||||||||||||||||||||||||||||||||||||||||||||||||||||||||||||||||||||||||||||||||||||||||||||||||||||||||||||||||||||||||||||||||||||||||||||||||||||||||||||||||||||||||||||||||||||||||||||||||||||||||||||||||||||||||||||||||||||||||||||||||||||||||||||||||||||||||||||||||||||||||||||||||||
|
[1] [2] #[3] 생일은 비공개.[4] 콘셉트(RP). 실제 키는 비공개.[5] 0:35, 0:39[6] ##[7] 고등학생 때는 ENTP, 전문 기관에서 진행한 검사에선 ENTJ, 2023년 9월 검사에서는 ENTP, 2024년 9월 진행한 검사에서는 다시 ENTJ가 나왔으며, 2025년 3월 10일 이세계아이돌 합방에서 다시 ENTP라고 밝혔다. 외향적인 부분은 계속해서 유지하는 중. 검사한 사이트는 16 Personalities.[8] #[9] # #[10] 모티브는 고양이. 이전 서명에는 아바타 민트에 있는 십자가 머리핀이 들어갔지만, 현재 서명은 새로운 고세구 아바타에 들어갈 고양이수염 머리핀으로 대체되었다.[11] 변경 전 명칭은 '고세구의 짧은거'[12] 변경 전 명칭은 '고세구 다시보기'[송출중단] 트위치 대한민국 서비스 종료로 인한 송출중단[14] 2023년 10월 31일 이후 사용 중단.[메인] [기준] 2025년 4월 27일[기준] [서브] [기준] [기준] [다시보기] [기준] [기준] [기준] [기준] [26] 가끔씩 하이요로 인사하기도 한다.[27] 스트리머 데뷔 이후 계속 트위치에서 활동하였으며, 2024년 2월 11일부터 SOOP에서 활동하고 있다.[28] 이세계 페스티벌을 계기로 우왁굳, 이세계아이돌 멤버들과 직접 만난 자리에서 우왁굳에게 선물받았다.[29] 이세돌 오디션 당시 사용하였다. 아직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Ableton Live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30] 송출 컴퓨터 연결용[31] 메인 컴퓨터 연결용[32] 현재는 본인과 팬들 모두 일반적으로 고세구를 칭할 때도 '세구세구'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기도 한다.[33] 쉽게 말해서 다른 방에서 본인 이름을 언급하는 것으로, 방송 흐름을 깨는 중계는 이세돌 전원이 금지하는 항목 중 하나이자 빼도박도 못하는 밴 사유다.[34] 절묘하게도 해당 중계 멘트 직전에 장작을 넣으라는 채팅을 먼저 쳤다. 변호사는 이를 이용해 치킨이 비싸니까 스스로 조리하려는 목적이었다고 했다.[35] 정확히는 무지성 도배 금지. 자신을 귀엽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문제되는 것보다는, 무슨 말을 해도 결국 귀여워로 귀결되어 티키타카 자체가 아예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36] 해당 팬아트 이전에도 세 세구 라이드라는 표현이 등장하지 않은 건 아니나, 해당 팬아트를 기점으로 방송과 팬카페에서의 사용빈도가 급격히 증가했다.[37] 세균 아이콘이며 피폭자의 조작이 반대로 된다.[38] VR챗 쪽에서는 꽤 유명한 아바타로 해외 버튜버인 filian 등도 사용하기도 했다. 다만 filian의 경우에는 고세구와 달리 저작권 침해 논란이 있다.[39] 이는 이세돌 지원자 전체에 대한 우왁굳의 전반적인 피드백이다. 동물 귀는 오타쿠가 아닌 일반인에게 어필하기에는 굉장히 큰 장벽이 된다며 동물 귀를 뗄 것을 권장했다.[40]
[41] 이후 4월 30일 아이네가 방송 중 뉴이네는 언제 나오냐는 시청자의 질문에 올해 못 나온다고 답변하여 23년 안에는 나오지 못하는 게 확정되었으며, 2024년 4월 27일 아이네의 아바타가 공개되며 오리지널 아바타 공개 마지막 주자가 확실시됐다.[42] 비챤, 릴파, 아이네의 아바타 제작자이기도 하다.[43] 예를 들어 35x35를 925로 계산하거나 "한 땀 한 땀 실..."을 땀한땀실로 읽는 등.[44] 바둑 학원을 1주일 정도 다녀 이세계아이돌 멤버 중에 바둑 경력이 가장 길어서 콘텐츠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우왁굳이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45] 2022년 3월 9일 선물 받은 눈나구 아바타를 보고 춤 방송에 사용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46] 이세돌 오디션 지원 서류에서도 당당하게 자신의 장점으로 운이 매우 좋은 것을 꼽았다.[47] 그래서 그런지 고세구의 이메일 또한 segugo.zip@*****.***, 세구 고집이다.[48] 가자, 고세구! 지금, 망상을 현실로! ^ㅁ^ #[49] 홀로라이브 멤버와 이세계아이돌의 멤버간의 직접적인 접점은 이것이 최초로, 이전까지는 커버 대표이사 YAGOO의 인터뷰룰 통한 간접적인 언급 외의 접점은 없었다고 알려져 있다.[50] 더불어 징버거와도 맞팔로우 상태이다. 고세구 다음으로 관심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51] 키아라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본인이 쓰는 모션 캡처 장비는 엑스센스로, 커버의 지원 없이 키아라의 사비로 마련한 장비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 보니 홀로라이브 EN의 다른 멤버들과는 다르고, 오히려 고세구를 비롯한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이 사용하는 장비와 같아서 고세구의 도움이 큰 힘이 되었다고 전해진 바 있다.[52] 제목의 한글 부분은 유튜브 원제목으로 유튜브 언어를 한글 이외의 언어로 해도 보여진다.[53] 다만 고세구는 프론트맨이었기에, 3~4위로 진출이 가능한 점수였음에도 제외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악어는 순위가 공개되었을 때 고세구를 의심하기도 했다. #[54] 당시 악어는 다른 일정으로 인해 고징어 게임을 참여할 경우 대규모 정규 콘텐츠인 라그나로크를 3주 가량 휴식하는 꽤 리스크가 큰 일정임에도 고징어 게임에 참여하여 일정을 소화하였다.[55] 고세구는 T1의 굉장한 팬이다. T1이 경기에서 이기자 운 적도 있을 정도로.[56] 고세구의 서브채널에 올라온 멋사[57] 멋사의 서브채널에 올라온 고세구[58] 닛몰캐쉬와의 촬영은 자신의 방송에 닛몰캐쉬가 온 것이라 말했다.[59] 감스트 유튜브고세구 유튜브[60] 해당 합방 영상은 조회수 총 합 95만회를 달성하였다.[61] 이는 우왁굳의 결과와 똑같아 고세굳, 왁딸이라고 불리며 비슷한 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2] 이세돌 1차 오디션 때도 너무 긴장돼서 청심환을 먹는 대신 소주 한 병을 마시고 들어갔다고 한다. 청심환은 비싼데 소주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기분까지 좋아지니 가성비가 좋아서 소주를 마셨다고 한다.[63] 아이네의 키는 맴버 중 최단신인 158㎝이다.[64] 천양은 고세구의 키와 생일을 알고 있는데, 같이 PUBG: BATTLEGROUNDS를 하는 와중에 무의식적으로 이야기했다고 한다. 잠시의 정적 후에 비밀이니까 말하지 말라고 했다고. 2021년 9월 14일 방송에서 사쿠란보 노래에 살짝 점프를 했는데, 천장에 손이 닿으면서 키를 가늠해 보는 일이 생기기도 했으나 층고와 컨트롤러 덕분에 작은 키도 점프를 하면 닿을 수 있어서 정확한 정보는 알 수 없다. 2023년 9월 7일에 염소희 콘텐츠를 진행할 때 염소희의 키를 161㎝로 설정하였다.[65] 어디까지나 공신력이 보장되는 검사가 아니니 재미로 보는 게 맞다(레이븐스 메트릭스).[66] 친구와 일본 여행 경비를 위해 마련하였다고 한다.[67] 너무 지루해서 자기랑은 제일 안 맞았다고 한다.[68] 이세돌 지원 직전까지 했던 알바라고 했다.[69] 제법 좋은 호텔이었는지 연예인 고객들도 실물로 몇 번 본 적이 있다고 한다.[70] 무려 초딩 때 했다고 한다.[71] 일본 노래를 부를 땐 창문 바로 옆 사각지대에서 부르면 부끄럽지 않다는 팁을 전하기도 했다.[72] 예시로 마네킹이 저기 있었는데 여기에 있는 경우를 들어주었다.[73] 가령 100,000,000,000과 같은 수 말이다.[74]
[75] 밸브 인덱스와 바이브 트래커 2개를 조합해 사용 중.[76] 허스키좌[77] 23시 20분경[78] VR 소리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 방송을 켰으며, 아쉬워하는 시청자들을 위해 풀 트래킹을 착용한 채 VRChat에서 휴방 기간 동안 연습한 춤을 선보이기도 했다.[79] 성대결절에는 복합적인 이유가 있으며, 아쉽지만 재발 방지를 위해 콘텐츠 진행 중에만 텐션을 높이고, 그 외에는 텐션을 낮춰 편안하게 이야기하겠다고 했다. 2022년 8월 24일 생방송에서 성대가 많이 호전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80] 이 과정에서 릴파의 도움을 받아 수월하게 구매했다고 했다.[81] 일명 고니티.[82] 고세구의 유튜브 편집자, 썸네일러 등을 일컫는 말.[83] 긍지높은 아이돌 커버 뮤비에서도 소품으로 놓인 포스터와 영상 말미에 이 이름이 삽입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84] 고세구의 집으로 초대해 함께 토크와 게임을 진행했으며, 사전에 준비한 튜링 러브 커버에 맞춰 함께 춤을 추기도 했다.[85] 생방송 시청자 수와 방송 시간을 늘린 악어의 놀이터 2의 영향으로 보인다.[86] (설명문) A South Korean VTuber, 고세구! (gosegu), ranked in ninth-place with 4.54M Hours Watched. A South Korean streamer ranking so highly in the VTubing industry is an oddity, and also a testament to the growth of the South Korean sector. Part of ISEGYE IDOL, she was the only Korean VTuber to rank among this most-watched creators, and the only representative of AfreecaTV. The entire ISEGYE IDOL squad moved to AfreecaTV once Twitch exited from South Korea, and their influence has since been the key for Afreeca’s VTuber section growth.
(설명문 번역) 한국의 브이튜버인 고세구(gosegu)가 454만 시간의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9위에 올랐습니다. 한국 스트리머가 브이튜버 업계에서 이토록 높은 순위에 오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며, 한국 브이튜버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ISEGYE IDOL의 소속인 그녀는 이 최다 시청 크리에이터 중 유일한 한국인 스트리머이자 아프리카TV를 대표하는 유일한 스트리머입니다. 트위치가 한국에서 철수한 후 ISEGYE IDOL 팀 전체가 아프리카TV로 이적했고, 이후 이들의 영향력은 아프리카TV의 브이튜버 부문 성장의 핵심이 되었습니다.[87] 지원하기 전에 아르바이트해서 저금해 뒀던 돈을 썼으며, 부족할 땐 부모님께 필요한 이유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며 돈을 빌리기도 했다고. 현재는 몇 배로 갚았다고 한다. 우왁굳은 고세구가 컴퓨터에 이어 VR까지 구매하는 것을 보고 "얘는 떨어지면 어쩌려고 막 사나..."라는 걱정을 하기도 했으나, 이후 VR 기기를 착용하고 놀면서 포텐이 터졌다고 한다.[88] 확실한 모델명은 모르고, 무슨 플러스라고 한다. 페이셜 트래킹은 아이폰의 TrueDepth 센서를 활용하는 기술인데,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서브폰을 구매한 것이므로 사용하던 기종은 TrueDepth 센서가 탑제되지 않은 iPhone X 출시 이전의 플러스 모델인 6+, 6s+, 7+, 8+ 중 하나로 추정할 수 있다.[89] 페이셜 트래킹용 서브폰이다.[90] 티어는 브랜드마스터(브론즈)[91] 망고스틴은 먹어보고 싶은 과일이라며 덧붙임.[92] 맥주는 마시지 않는다. 소주 한 잔부터 안 들리기 시작하지만 들리는 척하면서 계속 마시고, 두 병쯤 되면 아예 안 들린다고 한다.[93] 동갑은 연인보다 너무 친구 느낌일 것 같다고 한다. 굳이 따지자면 2가지인 것이지 각자의 매력이 있다고 한다.
(설명문 번역) 한국의 브이튜버인 고세구(gosegu)가 454만 시간의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9위에 올랐습니다. 한국 스트리머가 브이튜버 업계에서 이토록 높은 순위에 오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며, 한국 브이튜버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ISEGYE IDOL의 소속인 그녀는 이 최다 시청 크리에이터 중 유일한 한국인 스트리머이자 아프리카TV를 대표하는 유일한 스트리머입니다. 트위치가 한국에서 철수한 후 ISEGYE IDOL 팀 전체가 아프리카TV로 이적했고, 이후 이들의 영향력은 아프리카TV의 브이튜버 부문 성장의 핵심이 되었습니다.[87] 지원하기 전에 아르바이트해서 저금해 뒀던 돈을 썼으며, 부족할 땐 부모님께 필요한 이유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며 돈을 빌리기도 했다고. 현재는 몇 배로 갚았다고 한다. 우왁굳은 고세구가 컴퓨터에 이어 VR까지 구매하는 것을 보고 "얘는 떨어지면 어쩌려고 막 사나..."라는 걱정을 하기도 했으나, 이후 VR 기기를 착용하고 놀면서 포텐이 터졌다고 한다.[88] 확실한 모델명은 모르고, 무슨 플러스라고 한다. 페이셜 트래킹은 아이폰의 TrueDepth 센서를 활용하는 기술인데,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서브폰을 구매한 것이므로 사용하던 기종은 TrueDepth 센서가 탑제되지 않은 iPhone X 출시 이전의 플러스 모델인 6+, 6s+, 7+, 8+ 중 하나로 추정할 수 있다.[89] 페이셜 트래킹용 서브폰이다.[90] 티어는 브랜드마스터(브론즈)[91] 망고스틴은 먹어보고 싶은 과일이라며 덧붙임.[92] 맥주는 마시지 않는다. 소주 한 잔부터 안 들리기 시작하지만 들리는 척하면서 계속 마시고, 두 병쯤 되면 아예 안 들린다고 한다.[93] 동갑은 연인보다 너무 친구 느낌일 것 같다고 한다. 굳이 따지자면 2가지인 것이지 각자의 매력이 있다고 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타카나시 키아라|타카나시 키아라]]}}}{{{#!if external != "o"
[[타카나시 키아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타카나시 키아라?uuid=7b0bd4a3-eca6-4896-a384-1f8ca34d6993|r116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타카나시 키아라?uuid=7b0bd4a3-eca6-4896-a384-1f8ca34d6993#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타카나시 키아라?from=116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타카나시 키아라|타카나시 키아라]]}}}{{{#!if external != "o"
[[타카나시 키아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타카나시 키아라?uuid=7b0bd4a3-eca6-4896-a384-1f8ca34d6993|r116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타카나시 키아라?uuid=7b0bd4a3-eca6-4896-a384-1f8ca34d6993#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타카나시 키아라?from=116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