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부르겐란트 (아이젠슈타트) | 케른텐 (클라겐푸르트) | 니더외스터라이히 (장크트푈텐) |
오버외스터라이히 (린츠) | 잘츠부르거란트 (잘츠부르크) | 슈타이어마르크 (그라츠) | |
티롤 (인스브루크) | 포어아를베르크 (브레겐츠) | [[빈(오스트리아)| 수도 빈]]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문화유산 | 1996년 잘츠부르크 역사 지구 Historisches Zentrum der Stadt Salzburg | 1996년 쇤브룬 궁전과 정원 Schloss und Gärten von Schönbrunn | 1997년 잘츠카머구트 지방의 할슈타트 - 다흐슈타인 문화 경관 Kulturlandschaft Hallstatt-Dachstein / Salzkammergut |
1998년 제메링 철도 Die Semmeringeisenbahn | 1999년 그라츠 역사 지구와 에겐베르크 성 Stadt Graz - Historisches Zentrum und Schloss Eggenberg | 2000년 바하우 문화 경관 Kulturlandschaft Wachau | ||
2001년 빈 역사 지구 Historisches Zentrum von Wien | 2001년 페르퇴 노이지들러 호 문화 경관 Kulturlandschaft Fertö-Neusiedler See | 2011년 알프스 주변의 선사 시대 호상 가옥 Prähistorische Pfahlbauten um die Alpen | ||
2021년 로마 제국 국경 : 서부 다뉴브 경계 Grenzen des Römischen Reiches - Westlicher Abschnitt Donaulimes | 2021년 유럽의 거대 온천 도시들 Bedeutende Kurstädte Europas | |||
자연유산 | 2017년 카르파티아 및 유럽의 기타 지역에 생육하는 고대 및 원시 너도밤나무 숲 Alte Buchenwälder und Buchenurwälder der Karpaten und anderer Regionen Europas |
그라츠 Graz | |||
| |||
문장 | |||
그라츠의 위치 | |||
<colbgcolor=#006600><colcolor=#fff> 행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colcolor=#fff><colbgcolor=#006600> 국가 |
| |
주 | 슈타이어마르크 | }}}}}}}}}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colcolor=#fff><colbgcolor=#006600> 면적 | 127.57km² | |
인구 | 303,270명(2024년 1월) | ||
인구밀도 | 2,377명/km² | ||
홈페이지 | }}}}}}}}}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colcolor=#fff><colbgcolor=#006600> 시장 | 엘케 카어 | }}}}}}}}}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 ||
이름 | 한국어 | 그라츠 역사 지구와 에겐베르크 성 |
영어 | City of Graz – Historic Centre and Schloss Eggenberg | |
프랑스어 | Ville de Graz – Centre historique et château d’Eggenberg | |
국가·위치 |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 주 그라츠 |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
등재연도 | 1999년[1] | |
등재기준 | (ii)[2], (iv)[3] | |
지정번호 | 931 |
1. 개요
그라츠 관광정보 (오스트리아 관광청)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 주의 주도이자 오스트리아 제2의 도시. 무어 강과 접한 오랜 전통의 교육 도시며 그라츠 대학교를 중심으로 여섯 개의 대학에 수만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오랜 세월 동안 합스부르크 가문이 통치했던 곳으로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독일 등 중부 유럽과 지중해, 발칸반도의 경계에 있어 다양한 형태의 문화가 교류된 곳이다.
그라츠의 구시가지는 중부 유럽 안에서 가장 잘 보존된 도심 중 하나다. 수세기동안 슬로베니아인에게 그라츠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그들의 수도인 류블랴나보다 중요한 곳이었다.[4] 199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2003년에는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
2. 역사
그라츠는 로마 제국 시절 부터 인구가 밀집된 농업 지역이었다. 하지만 6세기 경 슬라브인들과 아바르인들이 인구가 희박한 이 일대를 쳐들어 왔고 성을 지었다. 그리고 이 일대를 고대 슬라브어로 Grad, 슬로베니아어로 작은 성 혹은 요새화된 장소를 뜻하는 그라데츠(Gradec)를 붙였고 이는 그라츠의 유래가 되었다. 8세기 이후 이 일대에 살던 슬라브인들은 점차 기독교화 되고 바이에른인과 프랑크인에 동화되어갔다. 그러나 10세기 초 마자르인들이 동프랑크 왕국을 침략하자 최전선이었던 그라츠 일대는 쑥대밭이 되었다. 955년 오토 대제가 레히펠트 전투에서 헝가리군을 무찌를 때 까지 이 일대에 살던 바이에른인에 대한 약탈과 추방 그리고 살해는 지속되었다. 그 후 1180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는 헝가리인과 슬라브인들의 침략을 막기 위해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을 만들었고 그라츠는 공국의 수도가 되었고, 1281년에는 루돌프 1세로 부터 특권을 얻었다.14세기 그라츠는 이너외스터라이히[5]의 중심지가 되었고 종교 개혁으로 부터 가톨릭을 보호하던 방벽 도시가 되었다.[6] 슈타미어마르크의 공국의 주도가 된 그라츠는 지역의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당시 강성하였던 오스만 제국과 마티아스 코르비누스가 지휘하는 헝가리인들이 여러 번 공격하면서 파괴가 되었다. 또한 나폴레옹 전쟁 당시 프랑스군이 5번 이상 공격하였다. 특히 1809년 바그람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패배하자 그라츠의 요새는 파괴되었다. 하지만 그라츠의 상징인 종탑과 시청 시계탑은 그라츠 시민들이 보존을 위해 몸값을 지불하였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그라츠는 급격한 발전을 이룩하기 시작했다. 철도가 들어서서 헝가리 서부 철도의 종착지이자 남부 철도의 중요한 교통 허브가 되었고 이에 따라 각종 공장이 들어서고 도심은 재개발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1차 대전의 패배로 슈타이어마르크의 3분의 1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양도하기 시작했다. 그라츠는 오스트리아에 잔류하였지만 국경 도시로 전락해버렸다. 그래서 대게르만주의가 전 독일을 강타하자 그라츠는 열렬하게 나치당을 지지하였고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천 명의 나치 당원들이 그라츠 시내를 행진하면서 독일과의 병합을 주장하였다. 나치가 오스트리아를 병합한 직후 아돌프 히틀러는 1938년 4월 3일 그라츠를 방문하였는데 이 때 수만명의 슈타이어마르크 주민들이 총통을 보기 위해 특별 열차, 버스, 트럭을 타고 왔다. 나치가 그라츠를 장악하자 그라츠에 살던 유대인 2,400명이 박해를 받거나 재산을 빼앗겼다. 그리고 수정의 밤이후 유대인 묘지와 회당은 폭파당했고 유대인들은 다하우와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로 이주당했다. 하지만 2차 대전에서 독일이 패망하고 안슐루스는 무효화되어 그라츠는 다시 오스트리아의 도시가 되었다.
3. 교통
그라츠 중앙역은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 교통의 핵심이다.4. 경제
자동차 부품업체 마그나 슈타이어의 공장이 있는데, 벤츠 G클래스를 이곳에서 위탁 생산한다. 또한 국제적인 엔지니어링 회사이자 산업 설비와 기계 시스템을 설계 제조하는 업체인 Andritz AG의 본사가 위치해있다.5. 관광
그라츠는 고풍스러운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중세 시대로 돌아간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이다.- 에겐베르크 성 (Schloss Eggenberg) : 그라츠 동쪽 시 경계선에 위치한 고성으로 에겐베르크 가문의 본거지로 그들의 수집품이 전시되어 있다. 로베르트 무질의 소설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의 영화화를 한 젊은 토르레스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슐로스베르크 (Schlossberg) : 그라츠 중심부에 있는 나무로 뒤덮은 언덕이자 요새가 있던 곳으로 현재 극장, 카페, 레스토랑이 위치해 있다. 해발 473m로 그라츠 시내를 조망할 수 있는 시계탑이 있다. 푸니쿨라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언덕 위로 갈 수 있다.
- 그라츠 대성당 (Grazer Dom) :1438년 프리드리히 3세에 의해 지어진 고딕 양식의 성당으로 슈타이어마르크 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다.
- 스타리안 무기고 (Landeszeughaus) : 병기 및 무기의 역사를 다루는 박물관으로 약 32,000개의 무기, 화기, 전투용 갑옷을 보관하고 있다.
- 무어인젤 (Murinsel) : 그라츠 출신의 미술전문 기획자 로버트 푼켄호퍼와 미국의 건축가 비토 아콘치가 설계한 건물로 그라츠 시가 유럽문화도시로 선정되면서 세운 인공섬으로 소규모 콘서트와 각종 문화행사가 열린다.
- 리거스부르크 성 (Riegersburg) : 그라츠 근방에 위치한 10세기 성으로 리히텐슈타인 공국이 소유하고 있다.
- 예수 성심 교회 (Herz-Jesu-Kirche) : 1887년 지어진 그라츠에서 가장 큰 건물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유명하다.
- 쿤스트하우스 그라츠 (Kunsthaus Graz) : 1960년 이후 현대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미술관으로 우주선이나 연체 동물과 비슷한 독특한 외관으로 유명하다.
6. 생활·문화
6.1. 교육
공대 출신이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크레이직(Erwin Kreyszig, 에르빈 크라이치히 - 공업수학의 저자)이 그라츠 공과대학에서 7년간 교수로 있었고, 그라츠 공대 교수 시절인 1962년 공업수학 1판을 발간했다.6.2. 스포츠
오스트리아의 축구 구단인 그라츠 AK와 SK 슈투름 그라츠가 그라츠를 연고지로 한다.7. 정치
정치적으로 오스트리아에서 좌파의 세가 가장 강한 동네다. 2021년 지방선거에서 오스트리아에서 유일하게 공산당(KPÖ)이 시장 자리를 차지한 도시였다. 그렇긴 하지만 현지 정가에서도 이변이라고 평가하는 결과였다.8. 사건 사고
9. 출신 인물
- 페르디난트 2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루트비히 볼츠만 :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물리학자. 그라츠 대학교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된 사라예보 사건의 피해자인 오스트리아의 대공으로 이 도시에서 태어났다.
- 칼 뵘 : 오스트리아의 지휘자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오스트리아의 첼리스트
- 아놀드 슈워제네거[7] : 오스트리아 출신 미국 배우 겸 주지사
- 군둘라 야노비츠 : 오스트리아의 소프라노 가수
- 마르셀 자비처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 랄프 하센휘틀 : 오스트리아의 축구 감독
- 요하네스 케플러 : 독일 슈투트가르트 출신의 천문학자. 그라츠에서 수학, 물리학 교수로 일했다.
- 에르빈 슈뢰딩거 :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물리학자. 그라츠 대학교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다.
- 에르빈 크라이치히 : 독일 작센 프리마 출신의 수학자. 위에 언급된 공업수학의 저자. 그라츠 공대 수학 교수를 역임했다.
- 알프레드 브렌델 : 오스트리아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자그레브에서 성장했으나 10대 시절 그라츠로 이주하여 그라츠 음악원에서 음악 공부를 하고 17세 때 그라츠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했다.
- 에두아르트 로슈만 : 나치 독일의 SS대위. 리가의 도살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 페터 한트케 : 201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의 첫 번째 왕비
- 콘스탄체 폰 외스터라이히 :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의 두 번째 왕비
10. 자매 도시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영국 코번트리
네덜란드 흐로닝언
독일 다름슈타트
크로아티아 풀라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헝가리 페치
루마니아 티미쇼아라
슬로베니아 마리보르
노르웨이 트론헤임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11. 여담
- 첫 번째 국제 여성의 날 행사가 1911년 그라츠에서 열렸다.
[1] 2010년 등록확장[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3]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4] 그라츠의 이름조차 슬로베니아어로 작은 성을 뜻하는 그라데츠(Gradec)에서 유래했다.[5]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스리던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6] 이 때 그라츠에 살던 수많은 개신교도들이 탄압당하였는데 당시 그라츠에 위치한 슈티프트슐레에 교편을 잡고 있던요하네스 케플러도 프라하로 쫓겨났다.[7] 정확히는 그라츠 서쪽에 있는 시골마을 탈(Thal)이 고향이지만 붙어 있는 동네고 워낙 가까워서 슈워제네거 본인도 그라츠를 고향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