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외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5 구자욱 [[주장| C ]] · 8 김재혁 · 13 이성규 · 25 김태훈· 31 윤정빈 · 32 김헌곤 · 39 김성윤 · 40 함수호 · 58 김지찬 · 104 주한울 · 107 박승규 · 108 김태근 · 117 이진용 · 121 홍현빈''' | ||
최종 편집: 2024년 12월 2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1군 엔트리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08번 | ||||
홍승원 (2021~2024) | → | 김태근 (2025~) | → | 현역 |
<nopad>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108 | |
김태근 Kim Tae-Geun | |
출생 | 1996년 8월 10일 ([age(1996-08-10)]세) |
서울특별시 광진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서울광진초 - 건대부중 - 배명고 - 건국대 |
신체 | 175cm | 74kg |
포지션 | 외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9년 2차 5라운드 (전체 49번, 두산) |
소속팀 | 두산 베어스 (2019~2024) 삼성 라이온즈 (2025~)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0년 6월 8일~2021년 12월 7일) |
등장곡 |
|
에이전트 | HSB CORPORATION[2] |
|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투우타 외야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고등학교 때는 유격수로 뛰었고, 대학에 들어오고서도 2년간은 유격수로 활약했다. 그러나 대학교 3학년 시즌부터 중견수로 컨버전했다.[3] 김태근의 장점은 빠른 발이다. 펀치력도 괜찮은 편이나 리드오프 유형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수비력이 좋은 선수라고 평가받고 있고, 공의 포구 능력과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한 송구능력도 탁월하다.2.2. 두산 베어스
|
김대한과 송승환의 임팩트에 밀려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베어스포티비에서 자체 체력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데, 근지구력 측면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플랭크를 무려 7분 이상, 셔틀런을 140회 이상을[4] 선보이며 두산 팬들과 코치진을 놀라게 했다. 또한 동기들이 바라본 김태근 편에서 수준급의 인터뷰와 겸손함, 그리고 팬들을 생각하는 발언까지 보였다.
2.2.1. 2019 시즌
|
8월 30일, 정식선수 전환과 동시에 1군으로 콜업되었다.
8월 31일 삼성전 8회말 페르난데스의 대주자로 데뷔 첫 1군 출장해서 김재호의 적시타로 데뷔 첫 득점까지 올렸다.
9월 19일 SK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 8회 대주자로 나서 도루를 성공시켰고, 2차전에서도 9회 대주자로 출전해 정수빈의 안타 때 전력질주로 3루로 들어가서 허경민의 희생플라이로 득점을 올렸다.
2.2.2. 상무 피닉스 야구단 (군 복무)
2021 시즌 상무 야구단의 1번 타자 중견수로 출전하며 78경기 310타수 93안타 4홈런 47타점 80득점 9도루 50사사구 타율 0.300 출루율 0.426 장타율 0.392 OPS 0.818을 기록했다.12월 1일, 베어스포티비에 올라온 전역 인터뷰 영상에 모습을 드러내며 제대했음을 알렸다.
2.2.3. 2022 시즌
|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 포함되었다. 김태형 감독은 박건우의 빈자리를 놓고 경쟁할 잠재적 자원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의 내복사근 부상으로 인해 재활 중에 있었으나, 후반기를 앞두고 컨디션을 끌어올리면서 훈련을 받는 모습이 자주 포착되었으며 연습 경기에도 출전하는 중이다. 수비에서는 여러모로 아쉬운 반응이 많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타격에서 좋은 현장 평가를 받고 있다고.
7월 26일, 마침내 3년 만에 1군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고, 등록되자마자 9번 타자 겸 중견수로 선발 출전하게 되면서 데뷔 후 처음으로 선발 출장하게 되었다. 양찬열이나 김대한처럼 눈도장을 찍을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되는 중.
7월 26일 롯데와의 홈 경기에서 1회 말에 데뷔 첫 타석에 들어섰고, 나균안을 상대로 좌중간에 떨어지는 1타점 2루타를 기록하며 데뷔 첫 타석에서 첫 안타, 첫 장타, 첫 타점을 기록했다.
전날 경기의 성과를 인정받았는지 7월 27일 경기에서도 9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 2회말 첫 타석에서는 이인복의 공을 집요하게 커트해내며 12구 승부 끝에 볼넷으로 출루하였고, 5회말 김재호와 안재석이 연달아 안타 출루하며 2, 3루를 만든 상황에서 김재호를 홈으로 불러들이는 한 점 따라붙는 적시타를 치며 3:2 스코어를 만들어내는 등 활약하고 있었지만, 8회초 수비 과정에서 중견수 앞으로 날라오는 황성빈의 타구를 잡기 위해 스타트를 거는 과정에서 아킬레스건 쪽이 놀라면서 넘어졌고, 결국 더 이상 걸을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다음 날 병원치료 및 정밀 검진 결과 아킬레스건 파열이라는 중상을 입으면서 결국 시즌 아웃되었다.# 검진 당일 바로 수술을 받았으며, 재활 기간은 1년 정도라 빨라도 내년 후반기에 뛰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외야진에 희망으로 급부상하고 있었는데, 곧바로 부상을 입고 시즌 아웃된 탓에 많은 팬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5]
이후 베어스티비에서 근황이 공개되었는데, 걷고 웨이트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재활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2.2.4. 2023 시즌
부상으로 인해 2군 재활조에 포함되면서 스프링캠프를 시작했다.후반기 시작과 동시에 1군에 콜업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고 7월 20일, 라울 알칸타라와 함께 1군 엔트리에 등록되면서 약 1년 만에 1군에 합류했다.
7월 21일 광주 KIA전에서 9회초 호세 로하스의 대주자로 투입되었으나, 도루자를 기록했다.
7월 25일 잠실 롯데전에서 8회말 정수빈의 대타로 출장해 삼진으로 물러났다.
7월 28일 잠실 LG전에서 정수빈의 부상으로 인해 8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했고, 2타수 1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8월 2일 대전 한화전 3회 무사 1루에서 희생번트를 깔끔하게 성공했지만, 7회 무사 1, 2루에서 번트를 띄워버리는 치명적인 번트 실패를 기록했다. 하지만 12회초 무사 1루에서는 다시 깔끔한 희생번트를 보여줬고 이는 후속 타자 정수빈의 결승 1타점 적시타로 이어졌다.
양찬열, 호세 로하스, 조수행 등과 우익수 자리를 두고 플래툰으로 나온다. 타격은 약한 편이지만 똑같이 대수비 및 대주자롤을 맡는 조수행은 김태근보다도 타격이 약해서 작전 수행 능력과 수비력의 우위를 살리면 앞으로 기회를 많이 받을 수 있을 듯.
8월 5일 kt전 4회말에 선두타자 2루타를 때려낸 후 장승현의 번트에 이어 허경민 타석에서 폭투가 나오면서 득점을 올렸다. 8회말에도 선두타자 안타를 기록하면서 멀티히트를 달성했다. 데뷔 첫 멀티히트.
8월 8일 잠실 삼성전 9회에 대수비로 투입되었는데 호세 피렐라의 좌전 안타를 뒤로 흘려버리는 어이없는 장면을 만들면서 실책을 기록했다.
호세 로하스와 김재환의 타격감이 점점 올라가자 대주자나 대수비로만 나오게 되면서 출장 기회가 줄어들었고 8월 12일자로 1군에서 말소되었다.
8월 22일 양의지와 함께 다시 1군 콜업됐다.
|
10월 8일 롯데전에 오랜만에 1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해 4타수 3안타를 때려내며 소금같은 활약으로 승리를 이끌었다. 생애 첫 3안타 경기.
와일드카드 결정전 1차전 5회말 우익수 대수비로 투입되었으나 마틴의 빚맞은 타구에 소극적인 콜플레이로 강승호와 크게 충돌해 잡아내지 못하는 실책을 기록했고 그 여파로 인해 이영하가 서호철의 타석에서 폭투를 기록하며 실점으로 이어지고 말았다.
2.2.5. 2024 시즌
4월 5일 헨리 라모스가 부진으로 말소되면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4월 11일 한화전 류현진을 상대하기 위해 1번 타자로 나섰으나 4타수 무안타로 부진하고 수비에서도 슬라이딩 캐치를 실패했다.
경기 막판 대주자나 대수비로 조수행과 함께 자주 나오고 있다.
5월 6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6, 7월에도 1군에 올라와 간간히 경기에 출장을 하고 있는데, 타격 기회는 거의 못 받는 중이다. 대수비, 대주자 정도로만 출장하는 중. 빠른 발은 나름 장점이기 때문에 대주자로 쓰고 있다.
8월 24일 한화전 9회초 평범한 플라이를 전민재에게 잡으라고 콜플레이해놓고서 갑자기 자신이 잡으려고 공을 쫓아가다 전민재와 충돌하는 역대급 무뇌 플레이를 선보이며 김택연의 신기록도 날리고 9회초 팀의 경기를 승리로 끝낼 수 있는 기회를 날려먹었다. 또한 2사 주자 1, 2루 상황에서 어이없는 땅볼을 치며 팀의 승리도 날려먹었다. 이 여파로 두산은 연장 끝에 패배하며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결국 8월 28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그리고 11월 4일, 방출선수 명단에 포함되며 퇴단했다.
2.3. 삼성 라이온즈
방출된 후인 2025년 1월 16일,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야구부에서 진행한 재능기부 행사에 삼성 라이온즈 소속으로 참여했음이 알려지면서 삼성에 입단한 것이 알려졌다. #2.3.1.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타격과 주루[7] |
|
호수비[8] |
|
보살[9] |
빠른 발과 좋은 작전 수행 능력, 준수한 수비력을 보유한 외야수다. 다만 타격은 약점으로 꼽히는데, 부족한 장타력과 평균이하인 컨택. 볼삼비도 별로 좋지 않아 타출갭은 5푼 정도로 높지 않다.
수비력은 빠른 발, 좋은 송구 능력, 넓은 수비 범위 덕에 중견수로도 안정적인 수비를 소화할 수 있는 수준으로 준수한 편이다. 타구 판단 능력도 경험 대비 좋은 편이고 주루 센스도 생각보다 괜찮은 편이다.
4.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2019 | 두산 | 9 | 0 | 0 | 0 | 0 | 0 | 2 | 0 | 1 | 0 | 0 | - | - | - | - | - | -0.05 |
2020 | 1군 기록 없음 | |||||||||||||||||
2021 | 군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2 | 2 | 6 | 2 | 1 | 0 | 0 | 0 | 2 | 0 | 1 | 1 | .500 | .667 | .750 | 1.417 | 307.7 | 0.02 | |
2023 | 41 | 55 | 11 | 3 | 0 | 0 | 9 | 3 | 0 | 0 | 21 | .212 | .226 | .269 | .495 | 28.5 | -0.74 | |
2024 | 43 | 27 | 2 | 0 | 0 | 0 | 7 | 1 | 0 | 0 | 10 | .087 | .192 | .087 | .279 | -32.5 | -0.72 | |
KBO 통산 (4시즌) | 95 | 88 | 15 | 4 | 0 | 0 | 18 | 6 | 1 | 1 | 32 | .190 | .247 | .241 | .488 | 22.0 | -1.50 |
5. 여담
- 대학교 시절 엄청난 주력으로 슈퍼소닉이라는 별명도 있었다.
- 조수행과 건국대 선후배 사이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김태근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107번 | ||||
배창현 (2018) | → | <colbgcolor=#ed1c24><colcolor=#fff> 김태근 (2019~2019.8.30.) | → | 지원근 (2020)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44번 | |||||
반슬라이크 (2018.7.6.~2018) | → | 김태근 (2019.8.31.~2019) | → | 장규빈 (2020~2021)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번 | |||||
송승환 (2019) | → | 김태근 (2020~2020.6.7.) | → | 오명진 (2020.6.25.~2020)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92번 | |||||
김도경 (2021) | → | 김태근 (2022~2023) | → | 조성환 (2024)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8번 | |||||
송승환 (2023) | → | 김태근 (2024) | → | 케이브 (2025~) |
[1] 2024년 8월 17일 kt전에서부터 틀고 나온 등장곡이다.[2] KBO공인선수대리인(2018년~현재), 프로스포츠협회 공익에이전트(2019년~현재)[3] 베어스포티비에서 말하길 같은 대학 선배 조수행을 보며 자신도 포지션을 바꿔보았는데 외야가 더 잘 맞았다고 한다.[4] 참고로 셔틀런 140회는 프로 야구 선수들도 달성하지 못한다. 일반인의 경우 80회만 뛰어도 잘하는 거다.[5] 가뜩이나 두 차례나 내복사근 손상을 입은 이후라 회복이 완벽하다고 보기엔 시간이 짧았는데, 긴장된 몸 상태에서 의욕적으로 플레이하다 무리가 온 듯하다.[6] 프로 입단이나 데뷔 모두 곽빈이 빨라서 오해받기도 하는데 김태근이 3년 선배다.[7] 2023년 8월 25일 잠실 SSG전[8] 2023년 8월 25일 잠실 SSG전[9] 2023년 8월 25일 잠실 SSG전[10] 여담으로 김태군은 획을 하나 빼서 김별멍으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