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51A5, #1851A5 20%, #1851A5 80%, #1851A5);"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 |||||
초대 장도영 | 2대 박임항 | 3대 최경록 | 4대 김종오 | 5대 함병선 | |
6대 송석하 | 7대 최창언 | 8대 박중윤 | 9대 김익렬 | 10대 최대명 | |
11대 박현식 | 12대 문중섭 | 13대 이동화 | 14대 박현식 | 15대 임지순 | |
16대 조문환 | 17대 천주원 | 18대 배정도 | 19대 김기택 | 20대 최문규 | |
21대 전종배 | 22대 나병선 | 23대 정만길 | 24대 정인균 | 25대 김태섭 | |
26대 장석린 | 27대 한광덕 | 28대 이유수 | 29대 이호승 | 30대 김희상 | |
31대 서종표 | 32대 황규식 | 33대 권영기 | 34대 이상태 | 35대 정동한 | |
36대 방효복 | 37대 박창명 | 38대 임관빈 | 39대 이성호 | 40대 심용식 | |
41대 박삼득 | 42대 위승호 | 43대 김해석 | 44대 김성진 | 45대 이석구 | |
46대 김성일 | 47대 김종철 | 48대 정해일 | 49대 김홍석 | 50대 임기훈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2D53C>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2D53C>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21D2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송호성 | 제2대 이응준 | 제3대 김석원 | 제4대 유승렬 | 제5대 백선엽 | |
제6대 최영희 | 제7대 백선엽 | 제8대 강문봉 | 제9대 박임항 | 제10대 김동빈 | |
제11대 임충식 | 제12대 박경원 | 제13대 류흥수 | 제14대 박준윤 | 제15대 김종순 | |
제16대 이병형 | 제17대 윤태호 | 제18대 박영석 | 제19대 최석신 | 제20대 문흥구 | |
제21대 박학선 | 제22대 김봉수 | 제23대 우종림 | 제24대 전두환 | 제25대 최연식 | |
제26대 황관영 | 제27대 김을권 | 제28대 최평욱 | 제29대 김동진 | 제30대 김상준 | |
제31대 이충석 | 제32대 길형보 | 제33대 강종필 | 제34대 이강언 | 제35대 조남진 | |
제36대 송영근 | 제37대 송기석 | 제38대 김경덕 | 제39대 정승조 | 제40대 황중선 | |
제41대 이성호 | 제42대 신현돈 | 제43대 서형석 | 제44대 하창호 | 제45대 장경수 | |
제46대 이종화 | 제47대 박정환 | 제48대 김홍석 | 제49대 강호필 | 제50대 서진하 | |
제51대 최창수 | 제52대 양진혁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49대 국방대학교 총장 김홍석 金弘錫 | Kim Hongsuk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90년 ~ 2024년 | |
학력 | 광주인성고등학교 (졸업) 대전대학교 대학원 (군사학 / 석사[1]) |
임관 | 육군사관학교 (46기) |
최종 계급 | 소장 (대한민국 육군) |
최종 보직 | 제1군단 부군단장 |
주요 보직 | 국방대학교 총장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부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제1보병사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1처장 합동참모본부 통합방위과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1팀장 제1보병사단 제15보병연대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최종 계급은 소장이다.2. 생애
광주인성고등학교를 졸업[2]하고 1986년 육군사관학교 46기로 입교하여 1990년 졸업과 함께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3. 주요 직위
- 대령
- 소장 2019년 5월 2차 진급
4. 여담
-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대령), 작전1처장(준장), 작전부장, 작전기획부장(소장) 등 합동작전 분야의 최고 요직을 모두 거쳤음에도 중장 진급에 실패하였고 부군단장 직위에서 군생활을 마쳤다.
5. 관련문서
[1] 석사 학위 논문: 북한 군사정책 변화 및 전망에 관한 연구 (2006. 02.)[2] 서욱 국방부장관의 모교이기도 하다.[3] 전임 전동진 후임 강호필.[4] 합참 작전본부 수석과장으로 육군 대령 보직들 중에서 최고 요직이고, 역대 과장은 대부분 고위직으로 진급했다. 이 직위를 역임한 사람들로 정승조(육사 32기-대장 전역), 이홍기(육사 33기-대장 전역), 신현돈(육사 35기-대장 전역), 김종배(육사 36기-중장 전역), 신원식(육사 37기-중장 전역), 김왕경(육사 38기-준장 전역), 장경석(육사 39기-중장 전역), 구홍모(육사 40기-중장 전역), 박철희(육사 41기-준장 전역), 김승겸(육사 42기-대장 전역),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육사 46기-소장 전역), 강호필(육사 47기-현직 대장),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중장), 강현우(육사 50기-현직 소장), 안찬명 (육사 51기-현직 소장), 우석제 (육사 52기-현직 준장), 김홍식 (육사 53기-현직 준장), 정상진 (육사 53기-현직 준장)이 있다.[5] 전임 전동진, 후임 강호필. 여담으로 직속상관이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다.[6] 전임자 김태진 후임자 장세혁. 보통 비육사 출신 대령들의 요직이다. 이때도 직속상관은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었다가 직계선배인 서욱으로 바뀌었다.[7] 작전본부 소속답게 많은 소장을 배출한 보직이다. 2처장은 해군, 3처장은 공군이다.[8] 전임 전동진, 후임 손광제[9] 전임 박정환, 후임 강호필[10] 합참 작전본부의 정통 라인인 합동작전과장-작전1처장-작전부장을 모두 역임했다. 2021년 12월 인사에서 중장 1차 진급에 실패했다. 2021년 하반기 인사는 합참 작전라인에서 고배를 마신 인사로, 김홍석 작전부장뿐 아니라 휘하의 안찬명 합동작전과장도 진급에 실패했다.#[11] 전임 전동진, 후임 곽종근[12] 전임 박용준, 후임 곽종근[13] 전임 정해일, 후임 임기훈.[14] 전임 임기훈[15] 안찬명 장군은 2022년 연말이 되어서야 준장 진급을 2차에 할 수 있었다. 2023년 11월 초 준장이 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22보병사단장으로 부임하였고, 불과 5개월만에 사단장 이임 후 합참 작전부장으로 영전했다.[16] 김 장군과 안 대령이 진급 누락되던 시기는 문재인 정부 시기로서, 문재인 정부는 대놓고 육사 출신을 차별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 때문에 김 장군 본인은 물론 육사 동기인 심진선 장군 등 다른 유능한 작전 직능의 장군들도 결국 소장 계급으로 마무리해야 했다. 특히 김 장군의 경우는 육사 출신 보병 작전 직능 소장들의 진급 코스인 합참 작전부장과 작전기획부장을 모두 역임했는데도 진급을 못 했다. 반대로 이상철 등 합참이나 육본, 연합사 등 엘리트 보직에 있어보지도 않은 사람들은 진급했다. 그야말로 문재인 정부의 인사는 명백히 코드 인사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