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11:17:52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 시즌 1)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the-last-of-us-logo.png
||
{{{#!wiki style="margin:-1px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본편 넘버링 <colbgcolor=#f5f5f5,#191919> 더 라스트 오브 어스 <colbgcolor=#f5f5f5,#191919>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
DLC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레프트 비하인드
리마스터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리마스터드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 리마스터드
리메이크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
멀티플레이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멀티플레이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온라인
미디어 믹스 외전 코믹스 아메리칸 드림 프리퀄 코믹스
실사 드라마 시즌 1 시즌 2
※ 시리즈 순서
}}}}}}}}} ||

역대 휴고상 시상식
파일:휴고상 로고.svg
최우수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 단편
제70회
(2023년)
제71회
(2024년)
제72회
(2025년)
익스팬스
"바빌론의 재"
더 라스트 오브 어스
"Long, Long Time"
-
<colbgcolor=#000><colcolor=#fff> HBO 오리지널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023)
The Last of Us
파일:The Last of Us.jpg
장르 <colbgcolor=#fff,#1f2023>포스트 아포칼립스, 액션, 호러, 드라마
방송 기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년 1월 15일 ~ 3월 12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3월 21일
방송 횟수 9부작
제작 플레이스테이션 프로덕션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
워드 게임즈[1]
너티 독
제작사 HBO


<colbgcolor=#000><colcolor=#fff> 제작 크레이그 메이진[2], 닐 드럭만, 카롤린 스트라우스[3], 에반 웰스, 아사드 퀴질배쉬, 카터 스완, 로즈 램
연출 크레이그 메이진, 닐 드럭만, 피터 호어, 제레미 웹, 야스밀라 주바니치, 리자 존슨, 알리 압바시
극본 크레이그 메이진, 닐 드럭만
음악 구스타보 산타올라야
출연 페드로 파스칼, 벨라 램지
원작 너티 독 - 게임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스트리밍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시청 등급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TV-MA_icon_us.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관련 사이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1.1. 예고편1.2. 포스터
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에피소드 목록5. 평가6. 원작과의 차이점7. 후속작8. 기타

1. 개요

Save who you can save.
구할 수 있는 사람을 구하라.
동명의 게임을 원작으로 HBO에서 제작·방영하는 드라마 시리즈. 정체불명의 팬데믹으로 인류 대다수가 죽거나 괴생명체가 되어버린 근미래, 황량해진 미국을 횡단하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다룬 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이다.

게임 원작자 닐 드럭만과 드라마 《체르노빌》의 극본가 크레이그 메이진이 제작 총괄 및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

==# 공개 전 정보 #==
  • 2020년 3월 5일, 해당 드라마의 제작 계획이 처음 공개되었다. 원작과 동일한 스토리 라인을 따라가며, 파트 2의 내용을 일부 차용할 수도 있다고 한다. #
  • 제작과 각본은 원작 게임을 제작한 닐 드럭만과 드라마 《체르노빌》의 극본가 크레이그 메이진이 공동으로 맡았다.
  • 원작의 OST를 담당한 구스타보 산타올라야[4]가 음악을 맡는다고 한다. #
  • 6월 8일, 《체르노빌》의 연출을 담당한 요한 렝크가 파일럿 에피소드를 맡는다는 기사가 나왔다. #
  • 11월 20일, HBO에서 정식으로 시리즈 제작 허가가 떨어졌다. 또한 코로나 19 사태의 여파로 일정 문제가 생긴 요한 렝크가 연출에서 하차하였다. #
  • 2021년 1월 15일, 칸테미르 발라고프[5]가 요한 렝크를 대신하여 파일럿 에피소드 연출을 담당한다는 발표가 나왔다. #
  • 2월 10일, 페드로 파스칼과 벨라 램지가 주연으로 캐스팅 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 #
  • 2021년 4월 촬영을 시작한다고 한다. #
  • 촬영이 7월로 연기되었다. 현재 일정은 2021년 7월 5일부터 2022년 6월 8일까지 캐나다 캘거리에서 촬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
  • 멀 댄드리지의 합류 소식이 보도되었다. 원작 게임에서 성우 및 모션 캡처를 맡은 마를린 역을 다시 한 번 연기하게 된다고 한다. #
  • 니코 파커[7]가 조엘 밀러의 딸 사라 역으로 캐스팅 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
  • 총괄 제작자 크레이그 메이진이 자신의 팟캐스트 방송에서 시즌 1은 10부작이라고 밝혔다. 또한 아직 미발표된 감독이 두 명 더 있다고 한다. #
  • 촬영이 예정보다 일주일 연기되었다. 7월 12일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
  • 제프리 피어스, 머레이 바틀렛, 콘 오닐이 캐스팅 되었다. 각각 페리, 프랭크, 빌 역을 맡는다. #
  • 한 화당 제작 비용이 천만 달러 이상이며, HBO 드라마 역대로 가장 비싼 《왕좌의 게임》을 넘어서는 제작비[8]가 예산으로 투입되었다고 한다. #
  • 애나 토브가 테스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
  • 주연 배우 페드로 파스칼의 한 화당 출연료가 60만 달러라고 한다. #
  • 칸테미르 발라고프가 파일럿 에피소드 촬영 종료 소식을 SNS에 게시했다. #
  • 피터 호어[9]가 연출에 합류하였다. 또한 제작 총괄을 담당하는 크레이그 메이진이 연출에도 참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 닐 드럭만이 연출에 합류하였다. #
  • 촬영장 사진이 공개되었다. 게임과 매우 흡사하다는 평이다. ###
  • 드라마 속 조엘과 엘리의 뒷모습이 공개되었다.
    파일:last of us drama joel and ellie.jpg
  • 빌 역으로 캐스팅 된 콘 오닐이 스케줄 문제로 하차하고 닉 오퍼맨으로 교체되었다. #
  • HBO와 HBO 맥스의 콘텐츠 최고 책임자 케이시 블로이스가 인터뷰에서 2023년에 방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파일럿 디렉터 칸테미르 발라고프에 따르면, 드라마 《더 라스트 오브 어스》는 2023년 초에 초연할 예정이다. # 하지만 2022년 10월 발라고프는 창작상의 견해차로 이 프로젝트에 관여하지 않는 걸로 밝혀졌다. 결과물도 폐기된 상태라고. 다만 공개 후로는 완전 폐기는 아니고 40% 정도는 남았다고 한다.
  • 2022년 9월에 첫 예고편이 공개된다고 한다. 플레이스테이션 쇼케이스나 9월 26일 라스트 오브 어스 데이에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1.1. 예고편

티저 예고편
트레일러 음악: 행크 윌리엄스 - Alone And Forsaken[10]
공개되자마자 실시간 트렌딩 1위, 미국 트위터 1위, 미국 유튜브 1위를 달성했으며, 약 24시간도 채 안돼서 트위터와 유튜브를 포함하여 약 2000만 조회수를 돌파하고 압도적인 좋아요 수를 받았다. #
공식 예고편
트레일러 음악: A-ha - Take On Me[11]

1.2. 포스터

파일:더 라스트 오브 어스.jpg
포스터

2. 시놉시스

오프닝 크레딧
2003년, 기생 곰팡이가 세상을 휩쓸고 감염자가 생겨난다. 20년 후, 조엘은 격리 구역에서 14살 엘리를 빼내는 일을 맡는다. 그러나 파이어플라이로 엘리를 데려가는 단순한 이 임무는 험난한 여정이 되고 마는데... 둘은 서로에게 의지하며 폐허가 된 미국을 횡단한다.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p22672667_b_h8_ac.jpg

주연
조연
  • 프랭크 - 머레이 바틀렛
    파일:HBO_Frank_infobox.webp
    감염자에게 물리자 변이하기 전에 목을 매달아 자살했던 원작 게임과 달리, 드라마에서는 빌과 함께 오랜 기간 행복하게 살다가 병으로 인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자 둘이서 함께 약물을 과다 복용하여 동반 자살한다. 끝이 좋지 않은 대부분의 등장인물들과 달리, 빌과 프랭크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에서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늙어갈 수 있는 기쁨을 누렸으며 이들의 마지막도 평화롭게 묘사된다.
  • 헨리 - 라마 존슨, - 케이본 우다드
    파일:TLOU_Ep5_5.jpg
  • 캐슬린 코글란 - 멜라니 린스키
    파일:melanie-kathleen-2-1675698186.jpg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 원작의 피츠버그 대신 등장한 캔자스시티의 저항군 리더로, 이들을 이끌어 FEDRA를 축출하는데 막 성공한 상황이다. 캔자스시티 FEDRA는 아웃브레이크 이후 20년간 주민들에게 약탈 및 강간 등을 자행한 개막장 집단이기에, 캐슬린을 필두로 한 저항군들은 FEDRA 소속이었던 이들을 린치하는데 거리낌이 없다. 하지만 캔자스를 수복한 이후에는 지하시설에 갇혀있는 감염자들이 지상으로 올라올 징후를 포착하였음에도, 개인적 원한에 휩싸인 캐슬린은 이를 방치한 채 헨리를 찾는데만 혈안이 된다(위의 헨리 문서 참조).[16]

    이게 결국 나비효과를 일으켜 감염자 떼가 지상으로 대거 올라오면서 캔자스에는 그야말로 지옥도가 펼쳐지는데, 캐슬린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수습할 생각은 안하고[17] 도주하려는 헨리를 막아서며 개인적 복수만 우선시한다. 이때 후방에서 접근한 어린 클리커에게 급습당하며 결국 최후를 맞는다. 감염자의 수가 워낙 많았기에 캔자스시티 또한 그대로 멸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페리 - 제프리 피어스
    파일:hbo-the-last-of-us-perry.jpg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 캐슬린의 측근으로, 캔자스의 해방을 이끈 그녀를 절대적으로 신뢰하고 있다. 저항군이 감염자들에게 급습당하자 캐슬린의 도주를 돕기 위해 직접 블로터를 상대하나, 곧 블로터에게 잡혀 머리가 통째로 뜯기면서 그대로 사망한다.[18] 페리는 캐슬린이 훌륭한 리더라고 말했지만, 결국 자신의 사적 복수를 우선시한 그녀로 인해 캔자스가 멸망했으니 그의 판단은 틀린 셈이다. 여담으로 페리를 연기한 제프리 피어스는 원작 게임에서 토미의 성우를 담당하였는데, 특유의 수염이 저항군 캐릭터와 잘 맞아떨어지며 인상적인 비주얼을 선보였다.
  • 마리아 밀러 - 루티나 웨슬리
    파일:S1_E6_Maria_2.webp
    원작 게임과 달리 흑인으로 등장하며, 아웃브레이크 이전에는 지방 검사였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또한 원작과 반대로 토미와의 사이에서 아이가 생긴 상태며, 잭슨 마을의 최고 수장이었던 게임과 달리 마을 의회의 일원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드라마의 잭슨 마을은 민주주의까지 재정착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 라일리 - 스톰 리드
    파일:773dd3a9082c62ee61f631cc10dd8ce5.jpg
    원작 게임의 DLC인 레프트 비하인드에서 등장했던 엘리의 옛 친구. 전체적으로는 큰 변경점 없이 DLC의 스토리를 따라가나, 마지막에 엘리가 라일리를 어떻게 했을지는 정확히 나오지 않았던 원작과 달리 드라마에서는 홀로 감염자가 된 라일리를 직접 쏴야했다고 엘리가 언급한다.
  • 제임스 - 트로이 베이커
    파일:Screenshot-2023-02-27-at-11.06-bd8a3d3.jpg
    데이비드의 측근. 원작 게임에서도 나오는 NPC이며,[20] 게임에서 조엘 성우를 담당했던 트로이 베이커가 연기하였다. 덕분인지 게임에 비해 비중이 늘어난 편이다. 원작과 마찬가지로 엘리에 의해 사망한다. 패륜을 당한 조엘
  • 안나 - 애슐리 존슨
    파일:MV5BMjY0ZjI3ZGItNzk1MC00OThkLWFjZWItODhiZGMwZDAzY2JjXkEyXkFqcGc@._V1_.jpg
    원작에서 이름만 언급되었던 엘리의 어머니. 드라마에서는 엘리 출산 당시의 상황을 좀더 자세히 보여준다. 출산이 임박한 몸 상태로 감염자 한명에게 쫓기던 안나는 급하게 집안으로 몸을 피하나, 결국 실내로 따라들어온 감염자와 사투를 벌인 끝에 잭나이프로 감염자를 처치한다. 이와 동시에 엘리까지 출산하나,[21] 자신이 상처를 입어 감염된 것을 확인한 안나는 급하게 잭나이프로 엘리의 탯줄을 자른다.[22]

    날이 저문 후 돌아온 마를렌은 그제서야 친구 안나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안나는 마를렌에게 엘리와 잭나이프를 맡기는 한편 자신이 감염자가 되기 전에 목숨을 거둬달라고 부탁한다.[23] 이에 마를렌은 처음에는 엘리만 데려가면서 내 손으로 친구를 죽일 수는 없다고 거절하지만, 고통스러워하는 친구의 모습에 결국 맘을 바꿔 안나의 고통을 끝내준 후 엘리를 데리고 보스턴으로 향한다.

    원작 게임에서 엘리 성우를 맡고 있는 애슐리 존슨이 연기하였다. 참고로 드라마에서는 안나가 편지를 쓸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에, 엘리 역시 어머니의 유품으로 잭나이프만 들고 다니며 게임에 나왔던 안나의 편지는 등장하지 않는다.
  • 수술 간호사 - 로라 베일리
    마지막화의 수술대 씬에서 엘리의 머리 쪽에 있는 간호사. 원작 게임 2편의 애비 앤더슨 성우를 맡았던 로라 베일리가 카메오 출연하였는데, 베일리는 애비를 담당하기 전 게임 1편에서도 제리 앤더슨과 같이 수술실에 있는 여성 간호사 성우를 맡은 바 있다. 드라마에서는 별다른 대사가 없다.
  • 죽은 시체 - 닐 드럭만
    2화 의사당 씬에서 조엘이 상태를 확인해보는, 뒤통수가 날아간 채 사망한 파이어플라이 대원의 시체. 닐 드럭만이 자신이 감독한 2화에 직접 카메오 출연하였다.
  • 뉴먼 박사 - 존 해나
    1화 초반 60년대 토크쇼에서 곰팡이의 위험을 알리는 대담에 특별 출연하였다. 영화 미이라로 유명한 배우.

4. 에피소드 목록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f2023><width=10%><|2> EP. ||<width=25%> 방영일 ||<width=50%><-2> 제목 ||<width=15%> 등급 ||
<rowcolor=#fff> 러닝 타임 감독 각본 링크
1 2023.01.15. 어둠 속에서 길을 잃고
When You're Lost in the Darkness
81분 크레이그 메이진 크레이그 메이진 & 닐 드럭만
2 2023.01.22. 감염
Infected
53분 닐 드럭만 크레이그 메이진
3 2023.01.29. 아주 오랫동안
Long Long Time
76분 피터 호어 크레이그 메이진
4 2023.02.05. 내 손을 잡아줘
Please Hold My Hand
45분 제레미 웹 크레이그 메이진
5 2023.02.10.[24] 견디고 살아남아라
Endure and Survive
59분 제레미 웹 크레이그 메이진
6 2023.02.19. 친족
Kin
59분 야스밀라 주바니치 크레이그 메이진
7 2023.02.26. 남겨지다
Left Behind
55분 리자 존슨 닐 드럭만
8 2023.03.05. 곤경에 빠진 자
When We Are in Need
51분 알리 압바시 크레이그 메이진
9 2023.03.12. 빛을 찾아서
Look for the Light
43분 알리 압바시 크레이그 메이진 & 닐 드럭만

5.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333><tablebordercolor=#333,#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스코어 84 / 100 점수 6.0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f93208><bgcolor=#f93208,#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6% 관객 점수 88%


<nopad> 파일:IMDb 로고.svg
(IMDb Top 250 TV 100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0 / 5.0

Retaining the most addictive aspects of its beloved source material while digging deeper into the story, The Last of Us is bingeworthy TV that ranks among the all-time greatest video game adaptations.
"사랑받는 원작 게임의 중독적인 매력을 고스란히 살리면서도 서사에 깊이를 더한《더 라스트 오브 어스》는 몰입감을 자아내는 TV 시리즈로, 역대 최고의 게임 원작 각색물 중 하나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게임 원작 실사화 드라마 최초의 할리우드 최고 권위상에 노미네이트 된 최초의 작품이 됐다. 올해 에미상에서 24개 부문 노미네이트 되었고 최종적으로는 8개 부문 수상을 했지만[25] 주요 상으로 꼽히는 작품상이나 주연, 연출 및 작가상은 수상하지 못했다.

평가는 매우 긍정적이다. 시즌 1까지 방영된 시점에서는 IMDB 유저 평가 9.0점, 로튼토마토 지수 96% 등 압도적인 호평을 받았고 평론가와 다수 매체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호평이 의미가 있는 이유는 그동안의 수많은 게임 원작 실사화 작품들 중에서 '평단의 호평, 관객의 호평, 거기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원작팬들의 호평까지 모두 잡아낸데다, 상업적 성공까지 하는' 사례가 사실상 처음이기 때문이다.[26]

다만 3화 방영 후 로튼 토마토 신선도는 97%로 유지된 반면, 평론가가 아닌 일반 시청자가 평점을 기입할 수 있는 IMDB에서는 8.0점으로 평가가 하락했다. 다만 현재는 소폭 상승해서 8.9점까지 반등하는데는 성공했다. 일부 시청자들이 평점 1점을 부여하며 비추 폭탄을 날리기 시작한 것. 2화 방영 이후 9점대였던 에피소드 별 평점에서 3편의 평점은 3월 15일 기준 8.0점을 기록하고 있다. 총 16만 명 가량의 투표자 중 28.1%인 4만여 명의 투표자가 1점을 줬다. 에피소드 3편에서는 생존자인 빌과 그의 파트너 프랭크의 이야기를 다뤘으며, 그 두 사람이 어떻게 만나 사랑에 빠지고 함께 죽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췄다. 그런데, 원래 이 두 사람의 비중이 원작에서는 극도로 낮다. 게임이 진행되면서 잠깐 다뤄지는 수준이다. 에피소드 한 편에서 두 사람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은 물론, 아주 수위가 높은 애정신이 다수 등장하면서 일부 시청자들이 반발한 것이다. 시즌 1이 총 9편으로 제작되는 만큼 방대한 모험의 분량을 소화하기가 쉽지 않을 텐데, 조엘과 엘리의 스토리는 뒷전에 둔 채 두 남성의 로맨스로 한 편을 낭비해버렸다는 지적이다. 점수 분포가 10점이 약 50%, 1점이 약 20%로 극과 극의 평가를 달리는데, 원작에서 암시 수준으로 지나간 동성애 묘사를 수위 높은 베드신으로 바꾼 것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한편으론 스티븐 스필버그를 비롯한 많은 드라마 시청자들이 3화를 최고의 에피소드로 호평한다. 3화 전체에 묘사된 빌과 프랭크의 이야기는 동성애 묘사로 호불호가 갈릴 수 있지만 두 배우가 보여준 절절한 사랑의 묘사, 테스와 조엘, 빌과 프랭크 둘의 지속적이었던 관계를 그려내면서 조엘이 왜 어려울 때 빌에게 향할 수밖에 없었는지가 잘 드러난다. 분량면에서 지나친 조명이라고 할 수 있지만 두 인물의 드라마타이즈는 수준급이며 동성애에 대한 이해가 단순히 LGBT를 내세우고자 하는 단계에서 나아가 두 연인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에서의 이야기를 아름답게 보여주고자 면밀하게 구성하고, 이후 조엘과 엘리의 관계와 오버랩된다는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27]

위와 같이 3화에서 호불호가 갈렸지만 이후 에피소드들이 시청률도 증가하고 평도 좋으면서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했다. 포브스 기사

피날레 후 작품의 전반적인 인상은 아케인, 사이버펑크: 엣지러너에 이어 성공적인 미디어 믹스이자 게임 원작의 드라마로서는 이례적인 성공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게임을 떼어놓고 봐도 연출면에서 작품을 아우르는 전체적인 분위기나 대사, 인물들의 연기까지 매우 탁월하다.[28]

특히 도입부인 1화와 피날레는 원작을 뛰어넘는 연출상의 깊이를 보여준다. 게임에서는 대사가 컷신과 게임 중간 이벤트를 통해 나타나지만 드라마에서는 대사가 사실상 장면 전체에 걸쳐서 나온다는 점에서 우려점이 있었으나 세세한 설정을 디테일하게 잡아가고 동충하초 바이러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그 시간까지 세세하게 묘사해냈다. 게임에서는 간단한 오브젝트 배치와 맵 디자인, 문서 등으로 처리한 인물들의 배경이라던지 밀수업을 하는 조엘의 루트를 치밀하게 구성해 현실감 있게 구성하고 인물들의 동기나 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스토리 라인은 유지하되, 많은 면에서 새롭게 설정을 부여했다. 꽤 짧은 도입부 역시 긴장감을 고조시키도록 게임의 장면은 유지하면서도 플롯을 새롭게 추가해 바이러스가 퍼져가는 초기 상황을 긴박하면서도 몰입감입게 그려냈다.

3화에서 지적된 것처럼 지나칠만한 인물들에게도 면밀하게 설정을 부여하다보니 과도하게 주변 인물에 포커싱을 주는 문제가 있으나 드라마 전체 줄기상 문제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게임이 드라마화 되면서 제작진들이 조엘이라는 다채로운 면을 가진 인물[29]을 다룰때 시청자들이 충분히 극에 몰입할 수 있도록 게임 원작의 감정선을 어떻게 유지시킬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한 흔적이 엿보인다. 상당 부분 대사를 새롭게 추가하고 게임의 전투씬을 생략하면서 균형을 유지시켰는데, 제작진의 게임과 드라마의 매체간 특성의 차이에 대한 이해도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게임은 플레이어가 인물에 완벽하게 몰입하는 게 가능하지만 드라마는 시청자가 게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위치에 놓여있다는 면에서 조엘이 지나치게 폭력적이면 안되기 때문에 게임 연출상 전투씬이 과도해지면 안되는 측면이 있다. 조엘이란 인물이 너무나 폭력적으로 그려지게 되면 게임을 접하지 않았던 시청자들의 경우, 거부감이 들 수 있기에 조엘이 엘리에 대한 애정을 후반부로 갈수록 많이 드러내고 딸 사라를 잃으면서 겪었던 상처와 고난에 대해서 엘리와 직접적으로 공유하며 인간적인 면을 더 많이 드러내게 되었다.

엘리의 경우 게임에서는 때때로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주는 사이드킥이 되었던 것을 참고해 극중에서 조엘이 어려움에 처할 때마다 마냥 보고만 있는 것이 아닌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러모로 게임의 엘리의 모습을 연출하려고 애쓴 흔적이 보이며, 헨리와 샘 형제[30]를 통해 엘리와 조엘이 서로 얼마나 조력하고 있는지 더욱 부각된다.

여담으론 닐 드럭만이 제작에 참여하면서 게임 원작을 제작할 때 참고한 영화 더 로드의 연출을 오마쥬한 부분이 꽤 나타난다. 특히 과거 이후 현재로 넘어올 때, 홀로 등장한 아이의 경우 오마쥬라고 해도 될 정도로 전체적인 미쟝센 구성에 있어 참고한 것이 드러난다.[31]

총평하자면, 본 드라마는 많은 우려점을 가졌으나 게임 원작 설정에 많은 디테일을 추가하여 게임의 작품성이나 플롯 전체의 의도는 충분히 존중하는 한편, 드라마로서의 완성도는 끌어올린 성공적인 미디어 믹스로 볼 수 있다. 게임 원작의 영상물, 특히 드라마로서는 이례적인 성공으로 앞으로 제작될 게임 원작 영상물들의 교본이 될만하다고 여겨진다.

6. 원작과의 차이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원작과의 차이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후속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 시즌 2)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 시즌 2)#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 시즌 2)#|]][[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 시즌 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 원래는 영화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진 작품이다. 그러나 이것이 불발된 결정적인 이유는, 영화화 과정에서 원작에 벗어난 많은 스펙터클한 액션을 다수 추가할 것을 요구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 사실 닐 드럭만이 조엘 역으로 가장 원했던 배우는 매튜 맥커너히였으며, 페드로 파스칼은 2순위였다. 하지만 맥커너히는 좀더 쉬고 싶다고 거절했으며, 이후 오퍼를 받은 파스칼 역시 일정이 바쁘다며 확답을 주지 못하면서 닐 드럭만은 좌절했다고 한다.# 하지만 파스칼이 조카들에게 오퍼 받은 사실을 말할 때, 작품 제목을 다 말하기도 전에 조카들이 반드시 하라고 말하는 걸 듣고는 출연을 결심했다고. #
  • 엘리 역을 맡을 배우의 캐스팅 과정에서 케이틀린 디버, 메이지 윌리엄스가 고려되었다고 한다. # 케이틀린 디버의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된 영화화 과정에서 실제 미팅까지 가졌었으나 영화가 무산되었고,[33] 이후 드라마의 후속 시즌에서 애비 앤더슨 역으로 캐스팅 되었다.
  • 벨라 램지는 온라인에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 많이 힘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메이진은 액션과 컷 사이에 벨라 램지보다 나은 사람은 거의 없으며 닐 드럭만 또한 오디션에서 나는 벨라 램지에게서 엘리 자체를 봤다고 말했다. 벨라 램지 캐스팅을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많은 사람들은 그녀의 훌륭한 연기에 매료되어 엘리에 가장 잘 어울리는 배우로 인정하였고 소셜네트워크에 너도나도 욕해서 미안했다는 글이 많이 올라오기도.
램지는 몇주 동안은 자신이 엘리라고 믿고 배역을 몰입하다 몇 주 동안 자신이 끔찍하다는 생각을 반복한다고 한다. #
  • 미국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지만, 실제 촬영은 캐나다 앨버타 주에서 진행되었다. 실내 세트장 역시 근방에 설치되었으며, 실내와 야외 로케이션을 오고 가며 촬영을 진행한 후 CG로 후반 작업을 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고.[34][35] 작중에서 보스턴에 위치한 메사추세츠 주 의사당이라고 나오는 건물 역시 실제로는 앨버타의 주 의사당이다.[36] 드라마 촬영지 정리글(영문)
  • 시리즈 초연은 470만 명으로 시작해 꾸준히 시청자수가 증가하며 최종화 방영 당시 820만 명의 시청자 수를 모아 시리즈 최고 당일 시청자수를 기록했고, 이는 초연보다 74% 증가한 수치이다. 총 평균 시청자수는 3040만 명을 기록하며 하우스 오브 드래곤의 전체 평균 시청자수[37]를 넘어섰고, 왕좌의 게임[38] 다음으로 HBO 시리즈 중 두번째로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 #
  •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의 2023년 1분기 스트리밍 흑자를 견인했다.
  • 미국 현지와 거의 동시에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공되었던 하우스 오브 드래곤과는 달리 본작은 Wavve에서 스트리밍을 제공해주지 않아, 국내에서는 한동안 블루레이를 구매하지 않는 이상 정식적인 루트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39] 후속 시즌 방영 직전인 2025년 3월이 되어서야 쿠팡플레이를 통해 국내 스트리밍에도 서비스되기 시작하였다.
  • 에피소드 1 엔딩 때 라디오에서 나오는 노래는 영국의 신스팝 밴드 디페시 모드의 1987년 노래인 Never Let Me Down Again이다. 80년대 노래이므로 문제가 생겼다는 암호인 셈인데, 이 노래가 흘러나온 정확한 이유는 에피소드 3에서 나온다. 또한 에피소드 6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이 노래를 편곡한 버젼이 나온다. 노래 가사가 묘하게 엘리 입장과 잘 맞아떨어져서 자주 활용한 듯.[40]
  • 에피소드 2는 닐 드럭만이 직접 연출을 하였다. 게임 개발자가 자신이 개발한 게임의 영상화 연출을 하는 것은 과거 유명 스페이스 오페라 게임 시리즈 윙커맨더의 개발자이자 해당 게임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를 직접 연출한 크리스 로버츠 이후 두번째이다.
  • 에피소드 6에서 조엘과 엘리가 설원을 지나는 와중에 영화 스탭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화면 구석에 찍히는 옥의 티가 발생했다. #
  • 에피소드 9에 등장하는 기린은 CG가 아닌 실제 기린이다!
    파일:screen-shot-2023-03-13-at-4-28-06-pm-640f87a711aa3.png
  • 일본에서는 스트리밍 사이트 U-NEXT에서 독점으로 방영하며 일본어 더빙도 게임에서의 캐스팅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홍보용으로 워너 브라더스 재팬에서 기간 한정으로 1화를 공개한 적도 있었다.
  • 시즌 1이 MTV 어워드 베스트쇼 & 최고의 듀오 상을 수상했다.
  • 스티븐 스필버그는 본작을 본 후 각본가 크레이그 메이진에게 편지로 찬사를 보냈다고 한다. 특히 에피소드 3를 가장 좋아했다고 하는데, 드라마에 참여한 스텝들은 우상인 스필버그에게 격려받아 크게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
  • 코지마 히데오는 게임 영상화의 기적같은 작품이라 평했으며, 원작 개발자가 제대로 조타했기 때문에 성공적인 작품이 나왔다고 평했다. #
  • 영화 월드워Z취소된 후속작 역시 원래는 동충하초와 연관된 스토리일 예정이었다고 한다. 후속작 감독을 맡을 예정이었던 데이비드 핀처는 한 인터뷰에서 드라마 덕분에 일종의 대리만족을 느꼈다는 소감을 밝히기도 하였다. #
  • 게임 원작의 공동 디렉터를 맡았던 브루스 스트렐리의 이름이 본작의 크레딧에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브루스 스트렐리는 한 인터뷰에서 "게임 개발에 참여한 사람이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거나 보상을 받지 못하는 일은 노조형성 이유가 된다. 우리는 게임 산업에서 개발자를 보호할 수 있는 노조가 필요할 것"이라 언급한 바 있다. # [42]
  • 편집오류인지 저항군 차량인지 모르겠으나 은행 사무실에서 대화할 때 고속도로에서 차가 몇대 다닌다.

[1] HBO 미니시리즈 《체르노빌》 제작.[2]체르노빌》 극본.[3]왕좌의 게임》, 《체르노빌》 제작.[4]브로크백 마운틴》, 《바벨》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음악상을 연속으로 수상했다.[5] 러시아 출신의 영화 감독으로 《가까이》와 《빈폴)》을 연출했으며, 2019년 칸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 감독상과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을 수상했다.[6] 보스니아 출신의 영화 감독. 2006년 영화 《그르바비차》로 베를린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이후 2020년에는 영화 《쿠오바디스, 아이다》를 연출,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국제영화상에 후보로 올랐다.[7]덤보》에 출연했다.[8] 참고로 해당 드라마의 파이널 시즌 제작비가 약 1억 달러다.[9]닥터후》, 《데어데블》, 《엄브렐러 아카데미》 등 다수의 드라마를 연출했다.[10] 원작 게임에서 빌의 차를 타고 가다 엘리가 가져온 테이프를 넣자 나오는 곡이기도 하다.[11] 파트 2에서 엘리가 시애틀 다운타운 악기점에서 기타로 연주한 노래이다. 현재는 음악이 바뀌었다. 아무래도 저작권 문제가 원인으로 보인다.[12] 드라마 《에이전트 오브 쉴드》의 고스트 라이더 역과 영화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Rev-9 역을 맡았다.[13]프린지》의 주인공 올리비아 더넘 역을 맡았다.[14] 원작 게임 캐릭터의 성우이자 모션 캡처 배우가 드라마에서 동일 배역으로 그대로 출연하였다. 멀 댄드리지는 게임 《하프라이프 시리즈》의 알릭스 밴스 성우로도 유명하다.[15] 본래는 콘 오닐이 역할을 맡을 예정이었으나 스케줄 문제로 배우가 교체되었다.[16] 물론 오빠가 헨리 때문에 죽었으니 집착할만 하지만, 문제는 이게 너무 심해서 본인들 부하가 조용히 지나가던 조엘을 공격하고 죽이려해서 일어난 일을"이게 다 헨리때문이다!"라면서 선동을 하고(본인이 직접 지나가는 사람들도 공격하라고 지시한 것인지, 일부의 일탈인지는 모르겠으나 재판을 약속한 협력자들을 죽이는등, 본인들이 해방된지 얼마 안됬음에도 본인들이 혐오한FEDRA처럼 되었다.) 입구들 다 막고 순찰도 돌고 있으니 기다려보자는 충언도 무시하고 당장 건물들을 다 수색하라고 명령하는등, 집착이 너무 심하다.[17] 그사마 부관인 페리가 차로 밀어버리라는등, 지시를 내리지만 감염자가 너무 많아서 택도 없었다.[18] 원작 게임에서 블로터에게 잡혀 게임 오버될 때 나오는 사망 컷씬과 유사하다.[19] 영화 제이슨 본에서 미국 국가정보장실 국장 역을 맡은 적이 있다.[20] 게임에서는 루벤 랭던이 성우를 맡았다.[21] 감염자를 상대하는 동시에 엘리까지 출산한거 맞다(...). 이미 양수가 터지고 있던 불가항력적인 상황이기는 했지만, 자식을 지켜야 한다는 안나의 모성애 역시 큰 동기부여로 작용했을 것이다.[22] 원작에서는 명확히 설명한 바 없는, 엘리가 면역력을 가지게 된 이유를 보여주는 장면이다.[23] 마를렌에게는 자신이 감염되기 전에 엘리의 탯줄을 먼저 잘랐다고 거짓말을 하였다. 이 거짓말 덕분에 엘리가 생존할 수 있었던 셈.[24] 슈퍼볼과 겹치지 않기 위해서 일찍 방영했다.[25] tv 프로그램의 프로덕션 영역을 시상하는 크리에이티브 아츠 에미상에서 수상했으며, 이중 빌을 연기한 닉 오퍼맨과 라일리를 연기한 스톰 리드는 각각 최우수 남우 게스트상과 여우 게스트상을 수상했다.[26] 수퍼 소닉 시리즈, 명탐정 피카츄, 램페이지, 언차티드 등은 상업적으로는 성공했으나 비평적으로는 평범했고, 워크래프트, 모탈 컴뱃, 툼 레이더, 레지던트 이블, 페르시아의 왕자 등은 상업적으로는 성과가 있었으나 평단으로부터 악평을 받았다. 헤일로같은 경우는 스트리밍으로서의 흥행은 괜찮았으나 평단에서의 애매한 평가와 함께 원작 팬들로부터 압도적인 혹평 세례를 받았다. 호평받은 드라마 위쳐는 엄밀히 말하면 소설 원작 드라마이지 게임 원작이 아니며 이 역시 원작 팬들에게는 단골 까임거리이다(...)[27] 닉 오퍼맨은 빌 역으로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즈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 당시 소감에서 "이것은 게이 이야기가 아니라 사랑 이야기"라며 3화 방영 당시 있었던 동성애 혐오적 반응을 비판했다. *[28] 특히 클리커의 첫 등장은 많은 유저들이 느꼈던 위압감을 꽤나 잘 묘사했다. 시청자들도 숨죽일 정도로 장면 전체의 긴장감이 넘친다.[29] 엘리의 보호자, 아버지, 한편으론 자신의 목적을 위해선 거리낌 없이 살인도 저지르는 위험한 인물[30] 샘은 원작보다도 더 어린데다가 청각 장애가 있고 때때로 칭얼거리는 모습도 나온다. 엘리에 비하면 훨씬 아이같은 모습을 보이는 편.[31] 이외에도 식인을 하는 무리들의 등장, 시체들이 늘어지거나 그들을 비추는 주인공의 구도, 색감 등 꽤 많은 부분에서 그 흔적을 보여준다.[32] 조엘과 엘리의 관계가 《만달로리안》의 딘 자린그로구의 관계를, 조엘의 최후는 《왕좌의 게임》의 오베린 마르텔을 연상케 한다는 것이 주요 소재다.[33] 이때는 아직 원작 게임 2편이 출시되기 전이었다고 한다.[34] 보스턴 격리구역의 경우에는 아예 대규모의 세트장을 만들어서 촬영을 진행하였다.[35] 심지어 인도네시아를 배경으로 하는 2화의 인트로 씬 역시 앨버타에서 촬영되었다![36] 드라마를 보면 실제 메사추세츠 주 의사당과 같은 느낌을 내기 위해서인지 CG를 활용하여 돔에 황금색을 입힌 것을 확인할 수 있다.[37] 전체 평균 시청자 수 2,900만 명 기록[38] 전체 평균 시청자 수 시즌 7은 3,250만 명, 시즌8은 4,400만 명을 기록했다.[39] 블루레이에는 한국어 자막이 포함되어있었다.[40] 참고로 에피소드 6에 나온 편곡 버젼을 부른 사람은 각본가 크레이그 메이진의 친딸이라고 한다.[41] 마리오 시리즈의 팬이라면 마음껏 웃을 수 있는 내용으로 꽉 채워졌다. 레인보우 로드로 데려가 달라는 대사나, 루이지는 맨션에서 나온다든지, 등껍질이 날아오자 피하라고 하는데 빨간 등껍질이라 못 피한다든지... 제일 압권인 건 피치가 길 밖으로 떨어지면 어떻게 되느냐고 묻자, 김수한무가 낚싯대 들고 와서 건져줄 거라고 하는 마리오.[42] 참고로 브루스 스트렐리는 너티독에서 18년 근무하였고, 이 외에도 10년 반 근무해 온 에이미 헤닉, 21년동안 근무해 온 조쉬 쉐어 등 너티독에서 오래 일해 온 여러 작가진들이 떠나 있는 상황이다. 특히 14년 퇴직한 에이미 헤닉은 브루스 스트렐리와 닐 드럭만의 압박이 퇴직 원인이라는 소문이 있었으며, 브루스 스트렐리는 17년에, 21년간 근무해 온 조쉬 쉐어는 비교적 최근인 22년 퇴직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