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23년 25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지미 헨드릭스 | 척 베리 | 지미 페이지 | 에디 밴 헤일런 | 제프 벡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시스터 로제타 사프 | 나일 로저스 | 비비 킹 | 조니 미첼 | 듀언 올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65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카를로스 산타나 | 지미 노렌 | 토니 아이오미 | 프린스 | 키스 리처즈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로버트 존슨 | 메이벨 카터 | 톰 모렐로 | 프레디 킹 | 스티비 레이 본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랜디 로즈 | 앨버트 킹 | 커크 해밋 & 제임스 헷필드 | 제임스 버튼 | 존 프루시안테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세인트 빈센트 | 버디 가이 | 데이비드 길모어 | 에디 헤이즐 | 닐 영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조지 해리슨 | 잭 화이트 | 브라이언 메이 | 제리 가르시아 | 에릭 클랩튼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엘리자베스 코튼 | 피트 타운젠드 | 앵거스 영 & 말콤 영 | 쳇 앳킨스 | 존 페히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보 디들리 | 버논 레이드 | 조니 그린우드 & 에드 오브라이언 | 조니 라몬 | 스티브 크루퍼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프랭크 자파 | 디 에지 | 커티스 메이필드 | PJ 하비 | 엘모어 제임스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톰 베를렌 | 존 리 후커 | 트레이 아나스타시오 | 보니 래잇 | 믹 테일러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조니 마 | 서스턴 무어 & 리 라날도 | 알렉스 라이프슨 | 로버트 프립 | 스코티 무어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존 메이어 | 피터 그린 | 리처드 톰슨 | 스티브 크루퍼 | 캐리 브라운스타인 | |||||
66위부터는 링크 참조. |
같이 보기: 롤링 스톤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 }}}}}}}}} |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15년 10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지미 헨드릭스 | 에릭 클랩튼 | 지미 페이지 | 키스 리처즈 | 제프 벡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비비 킹 | 척 베리 | 에디 밴 헤일런 | 듀언 올맨 | 피트 타운젠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75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조지 해리슨 | 스티비 레이 본 | 앨버트 킹 | 데이비드 길모어 | 프레디 킹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데릭 트럭스 | 닐 영 | 레스 폴 | 제임스 버턴 | 카를로스 산타나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쳇 앳킨스 | 프랭크 자파 | 버디 가이 | 앵거스 영 | 토니 아이오미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브라이언 메이 | 보 디들리 | 조니 라몬 | 스코티 모어 | 엘모어 제임스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라이 쿠더 | 빌리 기븐스 | 프린스 | 커티스 메이필드 | 존 리 후커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랜디 로즈 | 믹 테일러 | 디 에지 | 스티브 크로퍼 | 톰 모렐로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믹 론슨 | 마이크 블룸필드 | 휴버트 서믈린 | 마크 노플러 | 링크 레이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제리 가르시아 | 스티븐 스틸스 | 조니 그린우드 | 머디 워터스 | 리치 블랙모어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조니 마 | 클라렌스 화이트 | 오티스 러쉬 | 조 월시 | 존 레논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앨버트 콜린스 | 로리 갤러거 | 피터 그린 | 로비 로버트슨 | 론 애시튼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디키 베츠 | 로버트 프립 | 조니 윈터 | 듀언 에디 | 슬래시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레슬리 웨스트 | T-본 워커 | 존 맥로플린 | 리처드 톰슨 | 잭 화이트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로버트 존슨 | 존 프루시안테 | 커트 코베인 | 딕 데일 | 조니 미첼 | |||||
76위부터는 문서 참조. |
같이 보기: 최신 버전,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Duane Allman 듀언 올맨 | |
<colbgcolor=#000><colcolor=#fff> 본명 | 하워드 두웨인 올맨 Howard Duane Allman |
출생 | 1946년 11월 20일 |
미국 테네시 내슈빌 | |
사망 | 1971년 10월 29일 (항년 24세) |
미국 조지아 메이컨 | |
국적 | 미국 |
직업 |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 |
소속 | 아워 글래스 (1961~1968) 올맨 브라더스 밴드 (1968~1971) |
부모님 | 아버지: 윌리스 올맨 어머니: 제랄딘 올맨 |
배우자 | 도나 루스만 |
자녀 | 갈라드리엘 올맨 |
형제자매 | 그레그 올맨 |
학력 | 시브리즈 고등학교(중퇴) |
신체 | 185 cm |
활동 기간 | 1961년 ~ 1971년 |
사용 악기 | 일렉트릭 기타, 보컬 |
장르 | 서던 록, 블루스, 블루스 록, 소울, 재즈 |
레이블 | Liverty, Mercury, Capricorn |
링크 | https://duaneallman.com/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기타리스트, 가수.
2. 상세
지미 헨드릭스, 에릭 클랩튼, 지미 페이지, 에디 밴 헤일런 등에 비해 대중들에게 인지도는 살짝 낮지만 결코 그들에게 꿀리지 않는 기타 실력과 영향력을 가진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중 한 명이다. 특히 슬라이드 기타 실력은 가히 독보적인 수준이었으며, 데릭 앤 더 도미노스의 불후의 명곡 Layla의 흐느끼는 듯한 슬라이드 기타 솔로도 바로 이 사람의 솜씨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롤링 스톤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순위에 무려 9위에 오르기도 하였다. 이는 피트 타운젠드, 스티비 레이 본, 데이비드 길모어 등 록 음악하면 바로 생각나는 명기타리스트들 보다도 높은 순위이다.블루스와 서던 록을 기조로 하여 수많은 명곡과 명연, 명반들을 보여주었지만 안타깝게도 고작 24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오토바이 사고로 요절하였다.
3. 생애
듀언 올먼은 1946년 11월 20일 테네시 내슈빌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윌리스 올맨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장교로 복무하였으나 1949년 12월 26일 불행히도 살해되었다. 이후 그의 가족은 플로리다 데이토나 비치로 이사하였고 올맨은 시브리즈 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이후 그의 할머니와 함께 여름을 보내기 위해 내슈빌로 돌아온 듀언과 그의 남동생 그레그 올맨은 이웃에게서 기타 연주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그는 돈을 모아서 테이스코 실버톤(Teisco Silvertone) 기타를 샀는데, 기타를 두고 그레그 올맨와 자꾸 싸우자 올맨의 어머니는 그에게 레스폴 주니어를 사주었다. 당시 내슈빌에는 전설적인 블루스 기타리스트 비비 킹이 공연을 하였는데, 이 공연을 지켜보면서 듀언은 음악적으로 크나큰 영감을 받았다.
1961년 듀언과 그레그는 마침내 공개적으로 여러 밴드에 가입하여 음악 활동을 시작하였고, 듀언은 음악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학교를 중퇴하였다. 그의 초기 밴드인 더 에스코츠(The Escorts)는 얼마 못 가 해체 되었고 듀언과 남은 멤버들은 올맨 조이스(Allman Joys)를 결성하였다. 1965년 그레그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밴드에 합류하였고, 올맨 조이스는 아워 글래스(The Hour Glass)로 개편되었고 로스앤젤레스로 무대를 옮겼다. 아워 글래스는 리버티 레코드에서 두 장의 앨범을 녹음하였으나 레코드의 사장이 블루스 중심의 음악을 하고 싶어하였던 밴드의 열망을 무시하고 그들을 팝 밴드로 마케팅 하려 하자 아워 글래스는 1968년에 해체되고 만다. 듀언과 그레그는 플로리다로 돌아갔는데, 듀언은 다른 밴드에 가입하지는 못 하였다.
같은 해 듀언은 그의 생일날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슬라이드 기타를 배우게 되는데, 당시 말에서 떨어져 왼쪽 팔꿈치에 부상을 입었었던 듀언은 코리시딘 알약 병으로 슬라이드 기타를 연습하였는데, 놀라운 점은 당시 그가 슬라이드 기타를 배운 적이 전혀 없었는데도 매우 능숙하게 기타를 연주하였다고 한다.
같은 시기 듀언은 세션으로도 활발한 활동을 하였는데, 그중에서도 R&B 가수 윌슨 피켓의 Hey Jude 커버에 참여한 것은 듀언에게 가히 신의 한 수가 되었다. 곡 후반부의 휘몰아치는 기타 연주는 많은 음악 괸계자들을 놀라게 하였는데, 유명 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튼은 듀언의 실력에 경악하였으며, 그가 누구인지 당장 알아보았다고 한다. 애틀렌틱 레코드의 사장 제리 웩슬러도 그의 실력에 주목하여 듀언과 계약하여 킹 커티스, 아레사 프랭클린, 퍼시 슬레지 등의 유명 R&B 가수들의 세션으로 참가시켰다. 아레사 프랭클린의 세션으로 활동하기 위해 뉴욕으로 간 듀언은 유명 기타리스트 조니 윈터의 공연을 보기 위해 필모어에 관중으로 참석하였다. 이때 듀언은 1년 안에 저 무대에 오를 것이라고 말했고 같은 해 12월, 올맨은 정말로 필모어에서 라이브를 하게 된다.
1968년 듀언은 그레그 등과 함께 올맨 브라더스 밴드(The Allman Brothers Band)를 결성하게 된다. 1969년 그들의 1집 The Allman Brothers Band가 발매되었고 1970년 2집 Idlewild South가 발매되었는데 빌보드 200에서 각각 188위, 38위를 차지하는등 상업적으로 꽤 성공을 하였다. 1970년 듀언은 에릭 클랩튼의 밴드 데릭 앤 더 도미노스의 콘서트를 보고 마이애미에 위치한 크리테리아 스튜디오에서 데릭 앤 더 도미노스의 1집 Layla and Other Assorted Love Songs의 녹음에 객원 세션으로 참가 하였다. 그의 실력을 맘에 들어한 에릭 클랩튼은 아예 듀언을 데릭 앤 더 도미노스의 고정 멤버로 섭외하였으나 듀언은 올맨 브라더스 밴드로서 계속 활동하기 위해 이를 거절하였고 그 대신 합동 공연을 두어번 해주었다고 한다.
1971년 3월 12일,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필모어에서 라이브 공연을 하였고 이 라이브는 같은 해 6월 At Fillmore East라는 이름의 라이브 앨범으로 발매가 된다. At Fillmore East는 발매된후 많은 리스너와 평론가들에게서 큰 호평을 들었으며 현재까지도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라이브 앨범 중 하나로 평가 받는다.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1970년대 초반에 가장 영향력 있는 밴드 중 하나가 되었으며 롤링 스톤은 '지난 5년간 미국에서 나온 최고의 밴드'라는 표현으로 올맨 브라더스 밴드를 극찬하였다. 이 시기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음악은 서던 록의 형성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29일, 듀언은 비극적인 죽음을 맞고 만다. 할리데이비슨을 타고 도로를 질주하던 듀언은 한 트럭이 갑자기 교차로에서 정지를 하자 급회전을 하였고 트럭 뒤편에 적재된 크레인에 부딪혀 오토바이에서 튕겨져나왔다. 안타깝게도 튕겨져나온 오토바이는 듀언의 바로 위에 떨어져 심각한 내상을 주었으며 병원으로 옮겨진 듀언은 즉각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고 후 몇 시간 뒤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결국 사망하였다. 고작 24살의 젊다못해 어린 나이였다.
11월 1일 월요일 조지아주 마콘에 있는 스노즈 메모리얼 채플에서 올맨의 장례식이 거행되었으며 많은 음악가들이 참석하였다. 추도사는 제리 웩슬러가 맡았다.
4. 이후
듀언의 죽음 후 며칠 후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남은 5명은 사망 이전 듀언의 녹음을 활용하여 Eat a Peach 앨범을 발매한다. 1972년 2월 더블 앨범으로 발매된 이 앨범은 올먼과 함께 라이브와 스튜디오 트랙을 포함하고 있으며, 3월 At Fillmore East와 동시에 듀언과 녹음한 "Mountain Jam"의 양면, 그리고 밴드의 생존자 5명의 트랙을 포함하고 있었다.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베이시스트 베리 오클리는 13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듀언과 같은 24세의 나이로 올먼의 사망 사고 현장에서 3블록 떨어진 시내버스와 비슷한 오토바이 충돌로 사망했다. 오클리는 조지아주 마콘의 로즈 힐 묘지에 있는 올먼 옆에 묻혔다.
서던 록의 또다른 거물 밴드 레너드 스키너드는 그들의 명곡 Free Bird를 듀언 올맨에게 바쳤다.[1] 해당 곡은 기타월드에서 선정한 100대 기타 솔로 명곡에서 레드 제플린의 Stairway to Heaven과 밴 헤일런의 Eruption에 이은 3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올맨 브라더스 밴드의 남은 멤버들은 그레그를 리더로 하여 계속 활동하며 몇 번의 해체와 재결합을 반복하다 2014년에 완전히 해체하였다.
1998년 조지아 주 의회는 마콘에 있는 미국 41번 국도와 19번 국도를 '듀언 올맨 대로'로 지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013년 듀언의 음악 인생을 담은 7CD 박스 세트 Skydog가 듀언의 딸 갈라드리엘 올맨의 도움으로 발매되었다.
2017년 5월 27일 그레그 올맨이 조지아주 리치몬드 힐에 위치한 자택에서 간암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6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닉 카사베츠가 전기 영화로 연출을 가질 예정이다.
5. 디스코그래피
5.1. 아워 글래스 명의
5.1.1. 정규 앨범
- Hour Glass (1967)
- Power of Love (1968)
- Early Allman – Featuring Duane and Gregg Allman (1973)
5.1.2. 컴필레이션 앨범
- The Hour Glass (1973)
- Southbound (2004)
5.2. 올맨 브라더스 밴드 명의
5.2.1. 정규 앨범
- The Allman Brothers Band (1969)
- Idlewild South (1970)
- Eat a Peach (1972)
5.2.2. 라이브 앨범
- At Fillmore East (1971)
- Live at Ludlow Garage: 1970 (1991)
- The Fillmore Concerts(1992)
- Fillmore East, February 1970 (1996)
- All Live! (1998)
- American University 12/13/70 (2002)
- Live at the Atlanta International Pop Festival: July 3 & 5, 1970 (2003)
- S.U.N.Y. at Stonybrook: Stonybrook, NY 9/19/71 (2003)
- Boston Common, 8/17/71 (2007)
5.2.3. 컴필레이션 앨범
- The Road Goes On Forever (1975)
- Dreams (1989)
- A Decade of Hits 1969–1979 (1991)
- Mycology: An Anthology (1998)
- 20th Century Masters – The Millennium Collection: The Best of the Allman Brothers Band (2000)
- Southbound (2004)
- Gold (2005)
5.3. 솔로 앨범
- An Anthology (1972)
- Dialogs (1972)
- An Anthology Volume II (1974)
- The Best of Duane Allman (1979)
- Skydog: The Duane Allman Retrospective (2013)
5.4. 참여 앨범
- Boz Scaggs (보즈 스캐그스) (1969)
- Hey Jude (윌슨 피켓) (1969)
- The Dynamic Clarence Carter (클라렌스 카터) (1969)
- Instant Groove (킹 커티스) (1969)
- More Sweet Soul (아서 콘리) (1969)
- Southern Fried (존 P. 해먼드) (1969)
- Two Jews Blues (배리 골드버그) (1969)
- Mourning in the Morning (오티스 러쉬) (1969)
- New Routes (룰루) (1970)
- Ronnie Hawkins (로니 호킨스) (1970)
- Spirit in the Dark (아레사 프랭클린) (1970)
- To Bonnie from Delaney (델라니 & 보니) (1970)
- Ton-Ton Macoute! (조니 젠킨스) (1970)
- This Girl's in Love with You (아레사 프랭클린) (1970)
- Christmas and the Beads of Sweat (로라 니로) (1970)
- Layla and Other Assorted Love Songs (데릭 앤 더 도미노스) (1970)
- 5'll Getcha Ten (카우보이) (1971)
- Sam, Hard and Heavy (샘 사무디오) (1971)
- Motel Shot (델라니 & 보니) (1971)
- Push Push (허비 만) (1971)
- Duane & Greg Allman (듀언 & 그레그 올맨) (1972)
- The Layla Sessions: 20th Anniversary Edition (데릭 앤 더 도미노스) (1990)
[1] 다만 Free Bird는 처음부터 듀언을 추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다. 곡을 만든 것도 듀언이 죽기 몇개월 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