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민족 | |
<colbgcolor=#fafafa,#1a1a1a> 동슬라브 | 루스인(역사적) |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인 | 루신인 | |
서슬라브 | 폴란드인 | 체코인 | 슬로바키아인 | 소르브인 | 카슈브인 | 실레시아인 | |
남슬라브 | 슬로베니아인 |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인 | 몬테네그로인 | 불가리아인 | 마케도니아인 | 보슈냐크인 | 포마크인 | 토르베시인 | 고라인 | |
국가 및 지역 | ||
독립국 | 러시아 | 몬테네그로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우크라이나 | 체코 | 크로아티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미승인국) | 폴란드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루사티아 | 이다비루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슬라브어파 | |
사상 | 범슬라브주의 | |
신화 | 슬라브 신화 | }}}}}}}}} |
1. 개요
Рꙋсь, Rus'[1]루스족은 현대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루신인들의 근간이 되는 민족으로 8세기말 ~ 9세기에 걸쳐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스웨덴 지역에서 동유럽 지역으로 이주해 온 북게르만계 민족인 노르드인(바이킹)의 일파였으며, 바랑족이라고도 한다. 어원은 '노를 젓는 사람'이라는 뜻의 고대 노르드어로 추정된다. 라틴어로는 루테니(Rutheni)라고 했고, 이들이 사는 땅을 가리키는 말이 바로 루테니아(Ruthenia)였다.
루스족은 9세기 경 유럽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일대에 키예프 루스를 건국했으며, 이후 세력을 확장하여 현지 토착 동슬라브인들을 정복하고 지배하면서 동유럽 전역에 여러 도시국가를 건설했다. 키예프 루스, 노보고로드 공화국을 비롯한 루스족의 도시국가들은 현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3국의 기원이 되었다.
2. 역사
학계에선 전통적으로 루스족이 흑해 쪽으로 진출한 노르드계 바이킹들인 바랑족의 일파였다고 보아왔다. 굳이 신뢰성이 낮은 《원초연대기》가 아니더라도 키예프 루스 문명의 지배층이 동슬라브족을 지배한 바이킹이었다는 역사적 정황은 차고 넘칠 정도로 많다.[2] 반면에 근대의 국수주의적인 러시아 학자들은 루스족이 틀림없는 동슬라브족이었다고 우겼다. 물론 현재도 국수주의 성향이 짙은 역사학자들은 이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물론 혈통이야 한때 북유럽 출신의 바이킹이었던 것이 확실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그들이 주도했던 중세 동슬라브 문명 번영의 배경에는 의외로 바이킹적인 요소가 별로 없다는 점이 주목된다.[3] 최소한 블라디미르 1세의 동방 정교회 국교화 이후에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키릴 문자를 갖추고 현지식 보야르 장원봉건체제와 포사드니크 시민사회를 이뤄, 일찍이 중세 문명의 기반을 이루었다.
즉 정교회 국교화 이후의 키예프 루스는 동슬라브권 역사상 제국주의 서구 열강의 반열에 들었던 러시아 제국 시절이나 핵물리학과 우주공학이 꽃피고 미국과 세계의 패권을 겨루던 소련 시절 만큼은 당연히 아니었지만, 문화적으로는 매우 번성했다. 그러나 이후 정치적인 분열과 튀르크계 쿠만족과의 끝없는 소모전에 이어진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키예프 루스가 멸망하면서 도시들이 깡그리 박살난 이후로는 몇백년 동안 한 번도 그 문화적 헤게모니를 되찾은 적이 없었다. 때문에 현대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들은 모두 루스족을 자신들의 자랑스러운 선조로 여기며,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국명은 이들의 이름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했다.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키예프 공국이 멸망하면서 루스족은 각각 세 정체성으로 나뉘기 시작했다.[4] 셋 중 러시아는 루스의 북부에서 몽골의 간접 지배를 받은 지역이었는데, 훗날 모스크바 대공국을 중심으로 자립해 강대국으로 성장하여 동유럽 역사의 중심이 되었다. 벨라루스는 몽골의 지배를 거의 받지 않고 키예프 공국의 해체 직후부터 리투아니아인의 지배를 받은 지역이었다.[5] 우크라이나는 몽골의 직접 지배를 받다가 벨라루스보다 좀 더 늦게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세력권에 들었다.
자세한 것은 대러시아, 소러시아 문서 참조.
3. 언어에 따른 명칭
러시아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연음(軟音) 부호 'ь' 를 'ㅣ' 로 쓰기 때문에 '루시'가 되긴 하나 보통은 '루스'라고 쓰고 읽는 경우가 더 많다. 'ь'를 'ㅣ'로 쓰는 것은 구개음을 표기하기 위한 고육지책이긴 하지만, 사실 단모음 [i] 그 자체가 소리나는 것은 아니고 자음이 구개음화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르고 들으면 '루스'에 가깝게도 들린다. 'царь' 역시 '차리'라고 쓰는 게 옳으나 보통은 '차르'라고 쓰고 읽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러시아어의 '자음+ь'는 자음 홀로 쓰일 때의 발음과 '자음+i' 발음 사이의 발음이 난다. 즉 Русь는 [rus]도 [rusi]도 아닌 [rusʲ]이다. 러시아어 한글 표기법 정비 이전에는 'ь'를 'ㅣ'로 표기하지 않고 '루스', '차르'로만 표기해 왔기에 이때의 표기 관습이 지금까지도 이어지는 셈인데, 표기법 확정 이전에는 미묘한 구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오히려 모음 'ㅣ'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보통 '대루스'(Великая Русь)로 사용된다. 타타르로부터 해방된 이후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통일된 현대 러시아 본토의 역사적인 통칭이다.
러시아어에서 '러시아의, 러시아 사람'이라는 뜻의 단어 '루스키'(русский)가 바로 'Русь'라는 단어에 형용사 어미 '스키'(ский)를 붙여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형용사는 역사적이거나 민족적 의미의 러시아를 뜻한다. 국가적 의미로 사용될 때는 다른 형용사인 '라시스키'(российский)를 쓰는데 이것은 러시아라는 뜻의 '라시야'(Россия)에다가 '스키'(ский)를 단 것이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는 '루스키 이지크'(русский язык)지만, 러시아 연방은 '라시스카야 페데라치야'(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이다. 이게 헷갈리면 '루스키'(русский)를 해석할 때 '러시아인의'라는 뜻이 깔려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러시아인의 문화(русская культура), 러시아인의 요리(русское блюдо) 등. 그러니까 시베리아 원주민 출신인 사람이라면 '러시아 국민'(российский гражданин)이라는 말은 사용할 수 있지만 여기에 '루스키'를 쓰면 어색하다. 러시아어에서 이렇게 구분되는 다른 나라 중 대표적인 것이 독일이 있다. 민족적일 경우에는 '니몌츠키'(немецкий), 국가적일 경우 '기르만스키'(германский)로 쓴다. 예를 들자면 독일어(немецкий язык), 독일 대사(германский посол) 등인데, 만약 '니몌츠키 포솔'(немецкий посол)이라고 지칭하면 '독일 사람인 대사'가 된다. 특히 '기르만스키 이지크'(германский язык)라는 단어는 독일어가 아니라 게르만어파를 나타낸다.[6]
영어로는 Rus'라 하는데, 뒤의 따옴표(apostrophe)는 오타가 아니고, 원어의 ь를 전사한 것이다. 키예프 루스도 영어로는 Kievan Rus'라 한다.
특이하게도 핀란드어에서 스웨덴을 가리키는 말인 Ruotsi(루오치)도 이 루스에서 나온 말이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스웨덴에도 웁살라 주 일대를 중심으로 루스인이 많이 살고 있다보니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하는 설이 있는가 하면, 루스인이 스웨덴의 기원인 바랑인의 일파였으므로 스웨덴에 이런 이름이 붙어졌다고 보는 설이 있다. 정작 핀란드어에서 진짜 루스족의 나라인 러시아를 가리킬 땐 Venäjä(베내얘)란 단어를 쓰는데, 게르만계 민족들이 슬라브계 민족들을 보고 '벤트족'(Vender)으로 부르던 것이 어원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 고대 | 슬라브 / 루스 | ||||
루스 카간국 | ||||||
키예프 루스 | ||||||
키예프 공국 | 스몰렌스크 공국 | 랴잔 공국 | 블라디미르 - 수즈달 | 노브고로드 공화국 | ||
중세 | 몽골의 침략 킵차크 칸국 (몽골-타타르의 멍에) | |||||
모스크바 대공국 | ||||||
근대 | 루스 차르국 류리크 왕조 혼란 시대 | |||||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 | ||||||
현대 | 러시아 공화국 | |||||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 러시아국 돈 공화국 남러시아 정부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러시아 SFSR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
러시아 연방 | }}}}}}}}}}}}}}} |
벨라루스의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대 | 중세 | 근세 | 근대 | 현대 | |||||||
슬라브 / 루스 | 키예프 루스 | <colbgcolor=#63936a,#6c9c73> 키예프 공국 | 몽골의 침략 | 리투아니아 대공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러시아 제국 지역령 바르샤바 공국 바라샤바 공국 |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리투아니아-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소련 소비에트 벨로루시 | 중앙 의회 | 소련 소비에트 벨로루시 | 벨라루스 공화국 | |
폴로츠크 공국 | 나치 독일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 |||||||||||
투로프 공국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5bbb> 고대 | 슬라브 / 루스 | |||||
루스 카간국 | |||||||
키예프 루스 | |||||||
페레야슬라우 공국 | 체르니히우 공국 | 키예프 공국 | |||||
중세 | 몽골의 침입 | ||||||
갈리치아-볼히니아(루테니아 왕국) 킵차크 칸국(몽골-타타르의 멍에) | |||||||
근세 | 폴란드-리투아니아 자포리자 코자키 / 코자키 헤트만국 | 오스만 제국 크림 칸국 | |||||
근대 | 오스트리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부코비나 공국 | 러시아 제국 남러시아 정부 |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국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마흐노우슈치나 오데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소비에트 공화국 베사라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갈리치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림 인민 공화국 타브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홀로드니야르 공화국 | |||||||
현대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 ||||||
우크라이나 국가정부 | |||||||
소련 군정청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 |||||||
소련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 |||||||
우크라이나 노보로시야 연방국(도네츠크·루간스크) 크림 공화국 | }}}}}}}}} |
[1] 왜 뒤에 따옴표가 붙는지는 아래 참조[2] 정확히는 류리크 이래로 몇 대에 걸쳐 동슬라브족을 지배하고도 스칸디나비아 반도와의 연계가 계속되었기 때문이다.[3] 이와 같은 사례로는 마찬가지로 노르드인의 후손인 노르만족이 있는데, 이들도 계보학상 노르드계 선조를 두고 있어 이를 정체성의 일부로 지니고 있었으나, 언어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유전적으로 서프랑크 왕국의 현지인에 동화되었으므로 북게르만계가 아니라 라틴계 민족으로 간주된다.[4] 다만 완전한 민족 정체성 확립은 소련 해체 후인 1991년이라고 할 정도로, 동슬라브족은 역사 내내 정체성의 상당 부분을 공유하는 관계였다.[5] 벨라루스의 의미가 '하얀 루스'인데, 흰색으로 비유하는 이유 중 하나가, 루스족 중에서 몽골의 지배를 받지 않은 '순수한 루스인'이라 보는 설도 있다.[6] 참고로 '독일의'라는 뜻의 '네메츠키'나 '독일 사람'이라는 뜻의 '네메츠'(немец)는 '벙어리'라는 뜻의 '네모이'(немой)와 같은 어근에서 나왔다. 다른 슬라브어파 언어들도 독일을 지칭할 때 '니엠치'(Niemcy, 폴란드어), '네메츠코'(Německo, 체코어)처럼 같은 어원의 단어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