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역대 최장 도로터널 | |||
<rowcolor=#fff> 연도 | 도로명 | 터널명 | 연장 |
2017~ | | 인제양양터널 | 10,965m |
2016~2017 | | 문무대왕1터널 | 7,543m |
2012~2016 | [[46번 국도| 46 ]] 춘양로 | 배후령터널 | 5,057m |
2001~2012 | | 죽령터널 | 4,600m |
1999~2001 | | 둔내터널 | 3,300m |
1994~1999 | [[1020번 지방도| 1020 ]] 창원대로·금관대로 | 창원터널 | 2,345m |
문무대왕1터널 文武大王1터널 Munmudaewang 1 Tunnel | ||
부산 방면 남경주IC ← - km | 동해선터널 | 포항 방면 동경주IC - km → |
위치 | ||
기점: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종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송전리 | ||
연장 | ||
7,543m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폭 10.7m) | ||
관리기관 | ||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 ||
시공사 | ||
SM경남기업 | ||
개통 | ||
2016년 6월 30일 |
|
문무대왕1터널 |
[clearfix]
1. 개요
동해고속도로의 울산~포항 구간(재정사업)에 있는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와 문무대왕면을 잇는 터널.남경주IC와 동경주IC 사이에 있다.
토함산터널과 함께 토함산을 관통하며 총연장 7,543m로 한국의 도로터널 중 4번째로 긴 터널이다.[1] 원래 3위였으나 2025년 1월 1일,세종포천고속도로의 남한산성터널이 개통되면서 4위로 밀려났다.
2. 역사
- 양북1터널 시절
- 2016년 6월 30일 목요일 - 동해고속도로 경상도 구간 상 23개 중 열두 번째, 남경주IC ~ 동경주IC 구간 상 유일한 터널[2]로 개통되었다.
- 11:00 - 양북1터널 남단에서 개통식이 개최되었다.[3]
- 18:00 - 양북1터널 개통.
- 문무대왕1터널
- 2021년 4월 1일 목요일 - 터널 북단이 속한 곳이자 터널 이름의 모티브가 된 양북면이 문무대왕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2~5터널과 함께 개칭.
3. 상세
개통 전에는 양남터널, 토함산터널 등으로 불렸고, 개통 이후에 양북1터널로 변경되었으나, 경주시 양북면이 경주시 문무대왕면으로 변경되면서 터널 명칭도 문무대왕1터널로 변경되었다.동해고속도로 울산~포항 구간 중 문무대왕1터널이 지나는 곳에 있는 토함산이 퇴적암, 셰일 등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지반이 약해 터널을 짓기 부적절한 곳이었다.
결국 공사가 늦어져서 울산~남경주, 동경주~포항 구간만 2015년 12월 29일에 먼저 개통했으며, 이 곳만 6개월 후인 2016년 6월 30일에 개통했다.
개통 이후 양 방향 모두 문무대왕1터널 앞뒤 약 10km 구간에서 구간단속을 실시 중이다.
한때 초장대터널임에도 불구하고 차선이 실선이어서 차로 변경이 허용되지 않았지만, 2022년부터 점선으로 바뀌어서 차로 변경이 가능하게 되었다.
터널 내에 4.5퍼밀의 구배가 있다.
4. 같이 보기
대한민국 현재 최장 도로터널 | |||||||||
<rowcolor=#fff> 순위 | 도로명 | 터널명 | 연장 | 비고 | |||||
1 | | 인제양양터널 | 10,965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하 순위 보기 ] | <rowcolor=#212529,#e0e0e0> 2 | 서부간선지하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 10,330m | 일반도로 최장 | ||||
<rowcolor=#212529,#e0e0e0> 3 | | 남한산성터널 | 8,345m | ||||||
<rowcolor=#212529,#e0e0e0> 4 | | 재약산터널 | 7,982m | ||||||
<rowcolor=#212529,#e0e0e0> 5 | | 문무대왕1터널 | 7,543m | ||||||
<rowcolor=#212529,#e0e0e0> 6 | 신월여의지하도로 | 신월여의지하도로 | 7,530m | ||||||
<rowcolor=#212529,#e0e0e0> 7 | | 금정산터널 | 7,087m | ||||||
<rowcolor=#212529,#e0e0e0> 8 | [[77번 국도| 77 ]] 원산대로 | 보령해저터널 | 6,927m | 해저터널, 국도 최장 | |||||
<rowcolor=#212529,#e0e0e0> 9 | | 신불산터널 | 6,466m | ||||||
<rowcolor=#212529,#e0e0e0> 10 | 진해산업로 | 진해터널 | 6,085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