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티베트 | 위구르 | 몽골 | ||||
오키나와 | 베트남 | 캄보디아 | 필리핀 | 미얀마 |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유럽 · 중부 유럽 |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네덜란드 | 독일 | ||||
폴란드 | 헝가리 | 오스트리아 | 체코 | |||||
동유럽 · 북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발트 3국 | ||||
남유럽 | ||||||||
스페인 | 이탈리아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
그리스 | 세르비아 | 코소보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바레인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예멘 | ||||
요르단 | 레바논 | 쿠웨이트 | 오만 | 이집트 | ||||
리비아 | 모로코 | 알제리 | 수단 공화국 | 튀니지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그린란드 | 과테말라 | 벨리즈 |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푸에르토리코 | 쿠바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바베이도스 | ||||
바하마 |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
에콰도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모리타니 | 라이베리아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
감비아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콩고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팔라우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나우루 | 솔로몬 제도 | 피지 | 사모아 | 통가 | ||||
다자관계 | ||||||||
파이브 아이즈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Quad | ||||
미국·캐나다·프랑스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아세안 | 미영일 | 한미일 | ||||
미중러 | 미중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미소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유럽·아메리카 | |||||
대한민국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독일 | 루마니아 | ||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 북마케도니아 | 그리스 | 튀르키예 | ||
아르메니아 | 미국 |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Съединени Американски щати | 불가리아 България Bulgaria |
1. 개요
미국과 불가리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미국과 불가리아는 19세기에 외교관계를 맺은 이후, 교류와 협력이 많은 편이다.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불가리아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당시 불가리아는 불가리아 왕국이었다. 그리고 불가리아는 독립한 뒤에 미국과 수교했다. 미국과 수교한 뒤에 일부 불가리아인들이 미국으로 건너가 불가리아계 미국인이 되었다.불가리아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을 당시에 일부 미국인선교사들이 불가리아에 가서 선교활동을 한 적이 있었다. 이에 일부 불가리아인 개신교신자들이 생겨났다.
2.2. 20세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나치 독일 편에 섰던 불가리아는 공산주의정권이 들어서면서 미국과는 정치적인 갈등이 존재했다. 미국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를 이끌면서 공산주의국가들을 견제했다. 불가리아는 당시에 공산주의 국가였고 친소정책을 실시하면서 미국을 견제했고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가입했기 때문에 양국은 정치적으로 갈등이 존재했다.80년대에 들어서면서 동구권 국가들에서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다. 불가리아도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받으면서 90년대초에 공산주의 정권이 몰락하고 양국관계는 개선되었다.
2.3. 21세기
불가리아는 러시아와 교류, 협력을 하면서도 미국과의 교류, 협력을 하고 있다. 2007년에 불가리아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했다. 군사적으로도 교류가 있다보니 미 해군의 함정이 불가리아의 흑해연안에 정박하면서 합동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불가리아는 공산정권이 몰락한 뒤에 영어가 주요 외국어가 되었다. 불가리아에서도 미국으로 유학하러 오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불가리아인들이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불가리아계 미국인이 되었다. 불가리아내의 경제적인 상황으로 미국으로 이주하는 불가리아인들이 많은 편이다.
2021년 6월 2일에 미국 재무부와 국무부는 부패를 이유로 불가리아에 대해 역대 최대 규모의 제재를 가했다.#
우연히 비슷한 날 미군이 불가리아의 민간 공장을 점령(?)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불가리아에 주둔한 미군 173공수여단 병력이 훈련 도중 장소를 착각해서 어느 민간 공장을 점령한 것. 불가리아 정부에서는 '군사 훈련은 긴장을 조성하는 게 아니라 집단 방위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라며 이 일에 대해 항의하였고 미군은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이 공장은 올리브유를 생산하는 공장이어서 '미군 애들 기름 찾다가 헷갈린 거 아냐?'라는 드립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