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티베트 | 위구르 | 몽골 | ||||
오키나와 | 베트남 | 캄보디아 | 필리핀 | 미얀마 |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독일 | 폴란드 | 헝가리 | 영국 | 아일랜드 | ||||
프랑스 | 네덜란드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몬테네그로 | 코소보 | ||||
세르비아 | 알바니아 | 그리스 | 튀르키예 | 노르웨이 |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바레인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예멘 | ||||
요르단 | 레바논 | 쿠웨이트 | 오만 | 이집트 | ||||
리비아 | 모로코 | 알제리 | 수단 공화국 | 튀니지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그린란드 | 과테말라 | 벨리즈 |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푸에르토리코 | 쿠바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바베이도스 | ||||
바하마 |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
에콰도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모리타니 | 라이베리아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
감비아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콩고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팔라우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나우루 | 솔로몬 제도 | 피지 | 사모아 | 통가 | ||||
다자관계 | ||||||||
파이브 아이즈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Quad | ||||
미국·캐나다·프랑스 | 미국-발트 3국 관계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아세안 | 미영일 | ||||
한미일 | 미중러 | 미중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미소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아프가니스탄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서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몽골 | 중국 | 인도네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
유럽·아메리카·오세아니아 | |||||||
러시아 | 독일 | 영국 | 튀르키예 | 미국 | |||
캐나다 | 호주 | ||||||
다자관계 | |||||||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امريكا متحده ايالات | 아프가니스탄 افغانستان Afghanistan |
1. 개요
미국과 아프가니스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아프가니스탄의 바라크자이 왕조는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을 지원했다.그러나 1978년 아프가니스탄이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이라는 공산주의국가가 되자 아프가니스탄은 자연스럽게 소련에 가까워졌고, 미국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무자헤딘에게 무기를 지원하는 등 소련과 아프간 공산정권을 견제했다.1989년에 소련측이 아프간에 주둔한 군대를 철수시켰지만, 미국은 아프간 공산정권을 견제했다.
1992년 아프가니스탄 공산정권이 붕괴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이 들어서자 양국관계는 회복되었으나, 1996년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세우면서 양국간의 갈등이 다시 심화되기 시작했다. 미국은 북부동맹을 아프가니스탄의 합법 정부로 보았다. 또한, 탈레반 정권이 바미안 석불을 파괴하자 미국 정부는 탈레반 정권을 비판했다.
2.2. 21세기
2001년에 9.11 테러가 일어나고 부시 정권은 탈레반 정권에 선전포고를 했다. 2001년에 탈레반 정권이 붕괴되고 새로운 정권이 들어선 뒤에 양국은 외교관계를 수립했다.[1] 이후에 아프간에 미군이 주둔했고 아프간내 미군은 2021년 9월까지 주둔했다. 미군의 주둔하에서 아프간은 미국의 지원을 많이 받았고 영어는 주요 외국어가 되었다.하지만 아프간에서 미군에 의해 저질러지는 범죄가 발생되고 탈레반이 미군을 공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미국내에선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게다가 2010년대 중반에는 다에쉬가 아프간에 영향력을 끼치기도 했다.
2.2.1. 2020년대
2021년에 바이든 행정부가 아프간에 주둔하던 미군을 9월까지 철수한다고 밝혔다. 2021년 4월 28일에 미국 정부는 카불 주재 미국 대사관의 비필수 직원들에게 철수를 권고했다.#미국내에는 아프간 내전과 탈레반의 독재를 피하기 위해 이주한 일부 아프가니스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미국으로 이주한 아프간인들중에는 미국으로 귀화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2021년 5월부터 미국측이 미군을 철수시키기 시작하자 탈레반측이 공격을 강화하는 등 혼란스런 상황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주민들의 탈출도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미군과 협력했던 아프간인들의 안전 문제가 생겨나고 있다.#
6월 21일에 미국 국방부는 상황에 따라 아프간 주둔 미군 철수가 더딜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측은 철군이후에도 일부 병력을 남겨 대사관을 지킨다고 밝혔다.# 그리고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의 방미전에 얀센 백신 300회분을 보냈다.#
미군에 협력했던 통역인 등 현지인들이 미국 비자 심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자 시위를 벌였다.#
아프간 주둔 미군 사령관은 미군 철군 이후, 상황이 나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바그람 기지에서 미군과 나토군이 완전 철수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8월말에 아프간 주둔 미군이 완전 철군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탈레반 재집권이 우려되고 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나토군의 아프간 철군은 실수라고 비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아프간을 계속 지원한다고 밝혔다.# 통역사 등 수천명의 아프간인들의 미국 이주가 이뤄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대피한 통역사 2500명과 가족들이 미국에 도착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아프간에서 미군에 협력한 아프간인들을 미국에 받아들이기 위한 새로운 난민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8월 3일에 주 아프간 미국 대사관과 주 아프간 영국 대사관은 칸다하르주 스핀 볼다크 지역에서 최근 자행됐다고 보고된 탈레반의 민간인 학살 의혹에 대해 전쟁 범죄라는 표현까지 동원하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8월 15일부로 탈레반이 아프간 전역과 카불을 점령하자 미국측은 대사관 폐쇄조치를 취했다. 그리고 미국내 아프간 자금 수십억 달러를 동결조치했다.# 미 연방항공국이 자국의 모든 민항기를 대상으로 아프가니스탄 영공 비행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폴리티코-모닝컨설트가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등록 유권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아프간 철군 자체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차관은 탈레반을 향해 이전과 달라진다면 얻을 게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9월 3일에 미국 재무부가 아프간으로 개인 송금은 허용한다고 밝혔다.#
카불 시민들이 미국에 대한 실망과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미국과 탈레반 정권이 카타르 도하에서 회담을 가졌다.# 탈레반측은 미국과 양자회담을 가지면서 동결된 금융자산과 제재해제를 요구했다.#
9.11테러 희생자 유족들이 법원에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예치된 아프간 정부의 자금을 배상금으로 압류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 민주당내에서 아프간 동결 자금을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군이 철수한지 4달만에 미국측이 아프간 여성, 인권 특별대사를 임명했다.#
2022년 2월 19일에 탈레반 정권이 미국과 영국 출신 민간인들을 구금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으로 이주한 아프간 전 재무장관이 택시기사로 일하며 자신들은 실패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아프간 난민 90%의 미국 입국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탈레반의 돈줄을 차단하고 아프간을 인도적으로 지원하는 투트랙 방안을 검토했다.#
8월 15일, 바이든 행정부가 70억 달러 규모의 아프간 동결 자금을 해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9월 16일, 미국이 아프간 동결 자금으로 구호재단을 출범시키자 탈레반이 반발했다.#
3. 교통 교류
미국과 아프간은 80년대 소련-아프간 전쟁, 90년대 탈레반 정권 시절에는 외교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항공노선이 존재하지 않았다. 2001년에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뒤,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잠시 생겨났다. 카불의 카르자이 국제공항에는 미국-아프간 노선이 존재했다. 아프간 주둔 미군도 카르자이 국제공항을 통해 병력들을 주둔시켰다.2021년 8월 15일부로 탈레반이 아프간 전역을 재장악하자 미국과 아프간을 잇던 항공노선은 단항됐다. 2021년 12월 27일에 영국의 더타임스는 탈레반이 카타르항공 소속 미국 전세기의 좌석을 카타르 측에 요구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4. 대사관
카불에 주 아프가니스탄 미국 대사관, 워싱턴 D.C.에 주 미국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이 있었으나 탈레반이 아프간 전역을 장악하자 아프가니스탄 철수를 진행하면서 주 아프가니스탄 미국 대사관을 2021년 8월 31일자로 폐쇄하면서 주 카타르 미국 대사관에서 겸임하게 되었고#, 주 미국 아프가니스탄 대사관도 2022년 3월 16일자로 폐쇄하였다.#5. 관련 문서
- 미국/외교
- 아프가니스탄/외교
- 미국/역사
- 아프가니스탄/역사
- 해외 주둔 미군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1] 90년대 탈레반 정권은 사우디 등 일부 극소수 국가들과의 외교관계만 수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