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16:27:48

미셸 아플라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e1126><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국가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미탄니 · 아람 · 신바빌로니아 · 알렉산드로스 제국셀레우코스 제국 · 팔미라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시리아 아랍 왕국 · 시리아-레바논 · 아랍 연합 공화국 · 시리아 아랍 공화국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자격정지
경제 경제 전반 · 시리아 파운드
국방 자유 시리아군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아람어 ·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가톨릭 · 요리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제노비아 · 이븐 타이미야 · 이븐 카시르 · 라시드 리다 · 미셸 아플라크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샤르 알 아사드 · 수헤일 알 하산 · 마헤르 알아사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골란 고원 · 로자바 · 레반트
민족 시리아인(아르메니아계) · 시리아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멕시코인 · 쿠르드족 · 아시리아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7a3b><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옛 국가 (1955~1981) (1981~2003) · 이라크/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 · 아카드 · 우르 제3왕조 · 바빌로니아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 우마이야 왕조 · 라흠 왕국 · 아바스 왕조 · 함단 왕조 · 부와이 왕조 · 우카일 왕조 · 장기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왕국 · 이라크 제1공화국 · 바트당 집권 이라크 · 걸프 전쟁 · 이라크 전쟁 ·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 이라크 내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정치·
치안·
사법
정치 전반 · 황금 광장 · 바트당 · 쿠르디스탄 민주당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이라크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김선일 피랍 사건
경제 경제 전반 · 이라크 디나르
국방 이라크군 · 특수 공화국 수비대 · 페슈메르가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칼데아 가톨릭 · 요리 · 마스코프 · 사문 · 클레이차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 아랍어 방언
인물 길가메시 · 이븐 알하이삼 · 사담 후세인 · 잘랄 탈라바니 · 푸아드 마숨 · 바르함 살리흐 · 압둘 라티프 라시드 · 마수드 바르자니 · 네치르반 바르자니 · 나디아 무라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티그리스강 · 자그로스 산맥 · 알자지라 · 이라크 쿠르디스탄 · 그린 존 · 마슈리크
민족 이라크인(아르메니아계) · 아시리아인 · 야지디족 · 이라크 흑인 · 이라크계 스웨덴인 · 투르코만 }}}}}}}}}

1. 개요

ميشيل عفلق

시리아, 이라크의 정치인, 아랍 내셔널리즘, 아랍 사회주의의 이론가로 1947년 바트당을 창당한 인물이다. 아랍계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무슬림들과 화합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모든 아랍인들이 종교를 떠나 단일 국가로 통일해야 하며 단일화된 아랍 국가는 사회 정의 원칙에 기초할 것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2. 생애

1910년 1월 9일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가정에서 태어났다. 시리아의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종파에 따라 서로 견해가 달랐는데 그의 가정은 정교회와 동일한 교리를 믿되 아랍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하는 안티오키아 총대교구에 속해 있었다.[1]

파리의 소르본 대학에서 유학한 그는 살라흐 앗딘 알비타르를 만나 친분관계를 쌓았으며 1932년 시리아로 돌아와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시리아-레바논 공산당이 프랑스 식민 당국에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자 아플라크는 공산당과의 관계를 끊고 소르본 대학에서 친분을 쌓았던 살라흐 앗딘 알비타르와 함께 1947년 바트당을 창당하였다.

1989년 6월 23일 사망했다.

3. 사상

그는 정치와 종교가 완전히 분리된 형태의 정부 형태를 지향하였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아랍 세계가 과거 우마이야 왕조, 압바스 왕조와 마찬가지로 종교를 초월하는 하나의 아랍 국가로 통합되어야만 본격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서구 자본주의공산주의에 모두 비판적이었으며 변증법적 유물론에도 회의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주장한 바트주의는 서구에서 정의한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일부가 아닌 아랍 문화를 반영한 고유의 사회주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4. 여담

이라크 바트당의 사담 후세인은 그가 사망하기 직전에 비공개적으로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하였으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그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는 설은 사담 후세인이 자신들을 지지하는 순니파 근본주의자들을 달래고 바트주의의 정당성을 무슬림들 앞에서 홍보하기 위해서 부풀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 마론파교황수위권을 인정한 중동의 기독교 종파들이 무슬림들에게 매우 적대적이었던 것과는 다르게 정교회는 무슬림들과 충돌이 적은 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