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7 13:34:53

제노비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제노비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color: #4A3800,#FFF; margin: -5px 0px"
초대 임시 제2대 제3대
오다에나투스 마에오니우스 바발라투스 안티오쿠스
하이란 1세 제노비아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3800; margin: -5px 0px"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리비아 드루실라 소(小) 안토니아 리비아 오레스틸라 롤리아 파울리나 밀로니아 카이소니아 메살리나 소(小) 아그리피나 클라우디아 옥타비아 포파이아 사비나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스타틸리아 메살리나
네 황제의 해 갈레리아 푼다나
플라비우스 왕조 소 도미틸라 도미티아 롱기나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폼페이아 플로티나 울피아 마르키아나 살로니아 마티디아 비비아 사비나 대(大) 파우스티나 소(小) 파우스티나 루킬라 브루티아 크리스피나
다섯 황제의 해 플라비아 티티아나 만리아 스칸틸라 디디아 클라라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돔나 풀비아 플라우틸라
마크리누스 노니아 켈사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코르넬리아 파울라 아퀼리아 세베라 안니아 파우스티나 율리아 마이사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 살루스티아 오르비아나
군인 황제 시대 카이킬리아 파울리나 파비아 오레스틸라 안토니아 고르디아나 트란퀼리나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 헤레니아 에트루킬라 코르넬리아 수페라 에그나티아 마리니아나 코르넬리아 갈로니아 코르넬리아 살로니나 술피키아 드리안틸라 빅토리아 제노비아 울피아 세베리나 마그니아 우르비카
사두정치 아우렐리아 프리스카 에우트로피아 갈레리아 발레리아 발레리아 막시밀리아
콘스탄티누스 왕조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미네르비나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 플라비아 발레리아 콘스탄티나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의 딸 플라비아 에우세비아 파우스티나 헬레나
요비아누스 차리토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마리나 세베라 유스티나 알비아 돔니카 플라비아 막시마 콘스탄티아 레타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일리아 플라킬리아 플라비아 갈라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마리아 테르만티아 아일리아 풀케리아 갈라 플라키디아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레오 왕조 아일리아 마르키아 에우페미아 플라키디아 율리우스 네포스의 아내 아일리아 베리나 아일리아 아리아드네 아일리아 제노니스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에우페미아 테오도라 아일리아 소피아 아일리아 아나스타시아 콘스탄티나
포카스 레온티아
이라클리오스 왕조 파비아 에우도키아 마르티나 아우구스티나 아나스타시아 그레고리아 파우스타 아나스타시아 에우도키아 하자르의 테오도라
아나스타시오스 2세 이리니
이사브리아 왕조 마리아 안나 하자르의 이리니 마리아 에우도키아 이리니 암니아의 마리아 테오도테
니키포로스 왕조 테오파노 프로코피아
레온 5세 테오도시아
아모리아 왕조 테클라 에우프로시나 테오도라 에우도키아 데카폴리티사 테클라 안나 아나스타시아
마케도니아 왕조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테오파노 마르티나키아 조이 자우치나 에우도키아 베아나 조이 카르보노프시나 테오도라 엘레니 레카피니 소피아 안나 가발라 엘레니 테오파노 마마스 베르타 테오파노 테오도라 엘레니 알리피아 조이 테오도라
콤니노스 왕조 불가리아의 예카테리나
두카스 왕조 에브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 알라니아의 마리아
콤니노스 왕조 안나 달라시니 이리니 두케나 헝가리의 이리니 키예프의 도브로데이아 줄츠바흐의 베르타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프랑스의 아녜스
앙겔로스 왕조 헝가리의 머르기트 에우프로시나 두케나 카마테리나 에우도키아 앙겔리나
라스카리스 왕조 안나 앙겔리나 아르메니아의 필리파 마리 드 쿠르트네 이리니 라스카리나 호엔슈타우펜의 안나 불가리아의 엘레나 아세니나
팔레올로고스 왕조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헝가리의 언너 몬페라토의 이리니 아르메니아의 마리아 브라운슈바이크의 이리니 사보이아의 안나 이리니 아사니나 엘레니 칸타쿠지니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불가리아의 케라차 마리아 엘레니 드라가시 이리니 가틸루시오 안나 바실리예브나 몬페라토의 소피아 트라페준타의 마리아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color: #4A3800,#FFF; margin: -5px 0px"
키리아데스 포스투무스 소 포스투무스 라엘리아누스
빅토리누스 소 빅토리누스 마리우스 잉게누우스
레갈리아누스 아우레올루스 마크리아누스 소 마크리아누스
퀴에투스 오다에나투스 헤로데스 마에오니우스
발리스타 발렌스 대 발렌스 피소
아이밀리아누스 사투르니누스 테트리쿠스 1세 테트리쿠스 2세
트레벨리아누스 헤렌니아누스 티몰라우스 켈수스
제노비아 빅토리아 티투스 켄소리누스 }}}}}}}}}}}}}}}

||<tablewidth=400><tablealign=right><-3> 파일:Herbert_Schmalz-Zenobia1.jpg ||
이름 팔미라어 𐡡𐡶𐡦𐡡𐡩(Bat-Zabbai)[1]
고전 그리스어 Ζηνοβία
라틴어 Zenobia
아랍어 زنوبيا(Zanubiya)
생몰년도 240년경~274년 이후
지위 팔미라의 왕후 260년~267년
팔미라의 섭정 왕태후 267년~272년
이집트의 여왕 270년~272년
팔미라의 공동 여제 272년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팔미라 제국의 여성 통치자.

제노비아 여왕이라는 호칭이 유명하고, 사실상의 단독 통치자였지만, 공식적으로는 아들의 섭정이라는 직위로 통치했고 통치 막바지 짧게나마 아들 바발라투스와 공동으로 로마 황제[2]를 칭했다.[3] 270년에 팔미라군이 아이깁투스(로마 속주 이집트)를 빼앗았을 때는 평소 프톨레마이오스 왕조클레오파트라 7세에 심취했던 제노비아가 이집트의 여왕 칭호를 가졌다. 그래서 섭정, 여왕, 여제 등 다양한 칭호를 보유했다.

로마 제국 쇠망사》의 묘사에 따르면 제노비아는 피부색이 구릿빛이었으며, 치아는 진주와 같이 희고, 커다란 검은 눈은 반짝 빛났으며, 목소리는 맑고, 힘은 강했으며, 껴안고 싶어지는 상냥함을 가진 오리엔트에서 가장 아름답고 고귀한 여성이었다고 한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제노비아는 아름다웠지만 남성적이었다고 한다. 여성용이 아닌 남자 황제의 복장을 입었고, 시녀 대신 환관이 시중을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직접 말을 타서 필렌툼(귀부인용 마차)은 드물게 탔고, 병사들과 함께 행군을 했으며, 취미로 사냥을 즐겼다고 한다.

2. 생애

팔미라의 사막 호족의 딸로 태어나 수렵에 능숙했고, 도시에서 여러 국가의 언어를 배웠으며, 고전을 배우는 동안 클레오파트라 7세에 심취하여 자신을 클레오파트라 7세의 후손이라고 믿었다. 팔미라를 통치하면서 신플라톤 학파의 학자인 롱기노스를 재상직에 두어 플라톤호메로스에 정통했다.

그녀의 남편은 팔미라 출신의 오다에나투스(Odaenathus)였다. 그는 사산 왕조의 황제였던 샤푸르 1세에게 로마 제국의 황제인 발레리아누스가 생포되어 로마 제국이 혼란에 빠졌을 당시, 샤푸르 1세를 기습하여 그를 도망가게 만들어 로마 황제로부터 동방 총독의 직위를 받았을 만큼 유능하고 기민한 인물이었다. 하지만 오다에나투스가 조카 또는 사촌인 마에오니우스(Maeonius)에게 암살된 후, 마에오니우스의 궁정 쿠데타를 제압한 제노비아가 오다에나투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바발라투스(Vaballathus)를 팔미라의 왕중왕으로 앉히고 자신은 섭정으로서 실권을 잡았다. 오다에나투스가 암살될 때, 첫째 아들이었던 하이란 1세도 같이 죽었는데, 그는 오다에나투스의 전처의 아들이었다. 그때문에 제노비아가 자신의 아들인 바발라투스를 왕중왕으로 내세워 권력을 얻기 위해 마에오니우스를 부추겼다는 설도 있다.

당시, 팔미라의 종주국이었던 로마 제국은 군인 황제들의 난립과 잇따른 내전으로 인해 서방인 브리타니아와 갈리아, 히스파니아에 걸쳐 갈리아 제국이라는 지방정권이 들어섰을 만큼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이 틈을 노려 제노비아는 중계무역을 통해 벌어들인 돈을 투자하고, 군사력을 증강하여 아나톨리아이집트까지 점령해 팔미라를 동방의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제노비아 자신은 '아우구스투스'의 여성형 칭호인 '아우구스타'를 자칭하고, 아들 바발라투스에겐 아우구스타의 남성형인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내려줬는데, 이는 로마 황제의 칭호였다.

파일:제노비아동전.jpg

바발라투스의 주화와는 별개로 주조된, 제노비아가 단독으로 묘사된 주화. 앞면에는 제노비아의 얼굴과 함께 'S ZЄNOBIA AVG'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셉티미아 제노비아 아우구스타'(Septimia Zenobia Augusta)라는 뜻이다. 뒷면에는 신들의 여왕 유노(헤라)가 나타나 있다.

팔미라를 정복하러 온 로마군을 몇 번이나 격파하고, 유럽으로 쫓아보냈을 정도로 군사적인 능력도 걸출했다. 물론 직접적인 군사 지휘는 그녀가 아니라 자브다스(Zabdas)라는 장군이 맡아서 했다. 하지만 유능한 인물을 알맞는 자리에 배치하는 것도 통치자의 능력이다. 더구나 악티움 해전에 참가했다가, 바로 겁을 먹고 도망가버린 클레오파트라 7세와 비교하면 훨씬 용감했다.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 제국 쇠망사》에 의하면, 당시 팔미라의 군대는 기수와 말이 모두 갑옷을 입은 중장기병과 가볍게 무장을 한 상태로 활을 쏘는 보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팔미라의 기병대는 동시대에 활약했던 사산 왕조의 중무장 기병인 카타프락토이와 유사했던 모양이다.

그러나 서기 272년, 로마 재통합 전쟁이 시작되고, 장군 출신으로 로마 황제가 된 아우렐리아누스가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왔다. 팔미라의 군대는 결사적으로 항전했지만 참패를 거듭하고 끝내 팔미라까지 함락되었다. 그렇게 팔미라는 로마군에게 철저하게 파괴당해 폐허로 전락하고 만다.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팔미라에 있는 벨 신전에서 저명한 원로원 의원이자 벨 신전의 최고 제사장이었던 셉티미우스 하두단(Septimius Haddudan)이라는 인물이 아우렐리아누스 카이사르에게 협력했다는 기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팔미라 내부의 고위층에서도 제노비아의 세력에 반대하여 로마에 협력하는 세력도 있었음이 밝혀지기도 했다.

제노비아 본인은 로마군에게 포로로 사로잡혀 로마로 압송된 후 아우렐리아누스의 개선식에서 사슬로 묶인 채 행진하는 일종의 조리돌림을 당했다. 이후 그녀의 행적은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는데 죽었다는 말도 있고, 그녀와 그녀의 딸들이 로마 원로원의 귀족과 결혼해서 오랫동안 잘 살았다는 말도 있다. 제노비아가 처형당했다는 기록보다 살아 남았다는 기록이 더 많고, 개선식에 끌려 온 포로의 목숨은 살려주는 게 일반적인 로마 풍습이라[4] 개선식 후 살아남아 로마에서 여생을 보냈다는 의견이 주류다. 제노비아가 로마에서 살던 집이 이후 관광지가 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녀의 고향인 시리아에서는 역사적인 위인으로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과거 시리아 파운드 지폐의 도안에 그녀의 초상이 사용되었을 정도다.

3. 대중매체

  • 제노비아의 생애를 다룬 역사소설로 비트리스 스몰(Bertrice Small)의 《제노비아》(원제: Beloved)가 있다.[5]
  • <도미네이션즈>에서 제노비아 여왕의 목걸이 유물과 협의회 고문관으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협의회/제노비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𐡦𐡡𐡩(Zabbai)의 딸이라는 뜻이다. 제노비아의 진짜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2] 아우구스투스아우구스타.[3] 왕중왕 칭호와 로마 황제 칭호 모두 한국어로 황제로 번역되기 때문에, 왜 황제가 또 황제가 되는지 헷갈릴 수 있다.[4] 베르킨게토릭스 처럼 개선식에서 조리돌림을 당한 후 결국 처형당한 포로도 있긴 하지만, 이런 일은 예외적이었다. 클레오파트라의 자식들 또한 살려두기엔 너무 위험했던 카이사리온을 빼고는 개선식에 끌려와 모욕을 당하긴 했어도 죽지 않았다.(다만 그 중 하나가 로마에 당도하기도 전에 요절했다.)[5] 다만 이 소설은 1997년 작품이라 국내에서는 완전히 절판되었으며, 인터넷 중고서점이나 헌책방에 가서야 구할 수 있다. 또한 소설 중간중간에 묘사되는 성애 묘사가 꽤나 선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