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0:24:40

미츠코시 이세탄

미츠코시에서 넘어옴
三越伊勢丹
미츠코시 이세탄 | ISETAN MITSUKOSHI
파일:미츠코시 이세탄 로고.svg
<colbgcolor=#b28323><colcolor=#ffffff> 회사명 株式会社三越伊勢丹
주식회사 미츠코시 이세탄
Isetan Mitsukoshi Ltd.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업종 백화점업
설립일 1673년 (미츠코시 개업)
2003년 9월 1일 (미츠코시 법인 설립)
1886년 11월 5일 (이세탄 개업)
1930년 9월 30일 (이세탄 법인 설립)
2008년 4월 1일 (미츠코시 이세탄 홀딩스 설립)
2011년 4월 1일 (미츠코시 이세탄 설립)
대표자
대표이사 사장
호소야 토시유키(細谷 敏幸)[1]
유형 기업 집단
모회사 미츠코시 이세탄 홀딩스
자본금 100억 엔
소재지 신주쿠구 니시신주쿠 3-2-5 미츠코시 이세탄 니시신주쿠 빌딩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colbgcolor=#b28323><colcolor=#fff> 파일:이세탄 본점.jpg
이세탄 신주쿠 본점

1. 개요2. 역사3. 로고4. 백화점 사업
4.1. 미츠코시
4.1.1. 지점
4.2. 이세탄
4.2.1. 지점4.2.2. 전문관사업부문
4.3. 이와타야4.4. 마루이 이마이
4.4.1. 지점
4.5. 폐업 점포
5. 신용·금융 사업6. 부동산업7. 여담8. 논란 및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미츠코시와 이세탄이 2008년 합병하여 생겨난 일본 간토지방의 대형 소매업자. 일본 백화점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미츠코시와 이세탄의 각 지점을 경영하고 있다. 본사는 신주쿠3초메(三丁目)에 있다.

미츠코시 이세탄 그룹의 로고와 지주회사 로고를 다르게 사용 중이다.

2. 역사

삿포로, 센다이, 니가타, 시즈오카, 나고야, 히로시마, 타카마츠, 마츠야마, 후쿠오카, 교토점 등의 모든 점포는 본사가 아닌, 계열사[2] 내의 별도의 자회사들이 운영하고 있다. 특히 삿포로와 후쿠오카는 각각 마루이이마이, 이와타야를 인수해서 영업 중. 그 외에도 중화권에서도 점포가 있다. 대만에서는 1972년 신광그룹(新光集團)[3]이 유통업에 진출하면서 신광백화점(新光百貨)을 설립하여 1974년 타이베이시 중산구에 1호점을 개점. 1989년에 신광싼웨(新光三越)로 사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홍콩과 중국에도 점포가 있다.

미츠코시 니혼바시 본점이 한동안 일본 백화점 점포 매출 1위를 차지하다가 2005년, 2006년을 기점으로 이세탄백화점 신주쿠 본점에 1위를 넘겨줬다. 도쿄에서 미츠코시와 이세탄은 고급 백화점의 대명사지만, 간사이 지역에서는 한큐백화점[4]에 밀려서 지독하게 장사가 안 된다. 미츠코시도 2011년 오사카역에 이세탄과 합작 점포를 열어서 재진출했지만 결국 미츠코시 브랜드를 떼고 LUCUA 1100으로 리뉴얼한 동시에 백화점 매장 규모를 절반으로 축소시켰을 정도. 사실 오사카역이 있는 우메다 지역은 전국 백화점 계열의 전쟁터이긴 하지만 그래도 거대 브랜드인 이세탄이 정착하지 못한 건 의외라는 평이 많았다. 반면 큐슈에서는 한큐든 다이마루든 미츠코시든 장사 잘 된다.

미츠코시 시절인 1929년에 경성에도 지점을 낸 바 있는데 당시 한국 최초의 백화점이었다. 이 백화점은 8.15 광복 후에는 적산으로 분류되어 동화백화점으로 이름을 바꾼 뒤 운영되었고, 6.25 전쟁 때에는 미군PX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다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고 군사정권이 특정외래품판매금지법을 제정하자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동방생명이라는 곳에 매각되었다. 그리고 동방생명도 삼성그룹에 매각되면서 현재의 신세계백화점 본점이 되었다.

일본 백화점 업계 전반이 하락세를 보이는 상황이 업계 1위인 미츠코시 이세탄도 예외가 아닌지라 점포가 지속적으로 정리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롯데나 신세계 같은 한국 기업들은 성장세를 이어가자 2010년 7월 일본 백화점 업계 조사단이 한국 백화점의 경쟁력 분석을 위해 방한했다.

3. 로고

미츠코시 이세탄 로고
파일:미츠코시 이세탄 로고.svg 파일:미츠코시 이세탄 홀딩스 로고.svg
파일:Isetan Mitsukoshi Holdings 로고.svg
<rowcolor=#ffffff> 그룹 로고 지주회사 로고

4. 백화점 사업

4.1. 미츠코시

三越
미츠코시 | MITSUKOSHI
파일:미츠코시 로고.svg
<colbgcolor=#6c5e3b><colcolor=#ffffff> 창업 1673년 (미츠코시 개업)
[clearfix]

4.1.1. 지점

  • 니혼바시점 - 미츠코시 본점. 1600년대 포목점으로 시작하여 지금은 일본의 대표적인 고급 백화점이 되었다. 호화로운 인테리어를 자랑하며 여러차례 리모델링을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한때 일본 백화점 매출 1위를 차지한 곳으로 다카시마야 백화점 니혼바시 본점과 500m 정도 거리를 두고 경쟁하고 있다.[5] 아래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긴자점보다 현지인들이 더 자주 찾는 매장이라 오히려 긴자점보다 명품 매장수가 더 많으며 조용하게 쇼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쿄메트로 긴자선, 한조몬선 미츠코시마에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다. 백화점 이름을 넣는다는 조건으로 1932년 백화점 측에서 예산을 들여 개통하였다고 한다.
  • 긴자점 - 도쿄메트로 긴자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긴자 4초메 사거리 한복판에 있어 외국인 관광객들은 오히려 이 곳을 더 많이 찾는다. 주변 거리에 명품 부티크들이 몰려있는 만큼 오히려 최상급 고가 브랜드는 니혼바시점에 많이 있다. 또 매장 규모도 협소한 편. 일본 맥도날드 1호점이 1971년 이 곳에 열었다가 2007년에 폐업했다.
  • 센다이점 - 지역 자본의 백화점이 꽉 잡고 있는 도호쿠 지방에서 거의 유일하다시피 한 대기업 계열 백화점이다. 코토다이공원역 바로 앞에 점포가 있다.

4.2. 이세탄

伊勢丹
이세탄 | ISETAN
파일:이세탄 로고.svg
<colbgcolor=#003894><colcolor=#ffffff> 창업 1886년 11월 5일 (이세탄 개업)
[clearfix]

4.2.1. 지점

  • 신주쿠본점 - 이세탄 본점. 전세계 매출 1위점포로 2023년 4월-2024년 3월 기준 3,758억엔 (약 3조 254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세탄 맨즈'라는 남성 전문관으로 별관으로 두고 있다.[6]
  • 타치카와점
  • 교토점 - JR 서일본과의 합작으로 교토역 역사에 입주했다.

4.2.2. 전문관사업부문

4.3. 이와타야

4.4. 마루이 이마이

丸井今井
마루이 이마이 | Marui Imai
파일:마루이 이마이 로고.svg
<colbgcolor=#d71718><colcolor=#ffffff> 창업 1872년 5월 (마루이 이마이 개업)
[clearfix]
현재는 미츠코시 이세탄 홀딩스가 두 점포를 완전 자회사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삿포로 본점: 주식회사 삿포로 마루이 미츠코시, 하코다테점: 주식회사 하코다테 마루이 이마이)

4.4.1. 지점

  • 삿포로 본점
  • 하코다테점

4.5. 폐업 점포

  • 미츠코시 신주쿠점 - 2012년 3월 폐업. 현재 이 자리에는 빅카메라가 들어섰다.
  • 미츠코시 경성점 - 8.15 광복으로 1945년 폐업. 한국전쟁 때 미군 PX로 개조당했다가 이후 동방생명으로 넘어간 후 신세계백화점 본점으로 탈바꿈하여 현재까지 영업중.[7]
  • 미츠코시 이케부쿠로점 - 2009년 5월 폐업. 이 자리에는 현재 야마다 전기 이케부쿠로 지사가 들어섰다.
  • 미츠코시 치바점 - 2017년 3월 폐업.
  • 미츠코시 니가타점 - 전문관사업본부에서 운영했으며 2020년 3월 폐업.

5. 신용·금융 사업

대형 백화점 회사답게, 자사 고객들을 위한 카드사업도 하고 있다. 2015년에는 일본다이너스 클럽의 유일한 발행회사이자, 씨티그룹재팬의 카드계열사인 씨티카드재팬을 놓고 JCB, 미쓰이스미토모신탁은행과 입찰전을 벌였으나 인수에는 실패하였다.

6. 부동산업

7. 여담

  • 미츠코시의 전신이자 미쓰이그룹의 모체는 에치고야(越後屋) 포목점이다. 과거 상인으로 유명한 지역이었던 미에현 마츠사카시 출신의 미쓰이 다카토시가 1673년 개업한 것이 기원. 그런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미토 고몬사극에서 아쿠다이칸과 뇌물을 주고받는 악덕 상인의 대명사로 묘사되곤 한다.[8] 정작 미쓰이랑 미츠코시는 개의치 않나 보다
  • 미쓰이의 모태인 만큼 미쓰이그룹에 속해있지만, 이세탄과 합병하며 미쓰비시로 주거래은행을 변경[9]한 탓에 간혹 미쓰비시그룹으로도 언급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의 재벌은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하다보니 이렇게 분류되기도 하는데, 홍보위원회는 미쓰이 쪽에 있다.
  • 이세탄백화점의 최초 로고는 첫글자 '伊'를 초서체로 흘린 형태이다. 이 로고는 지금도 신주쿠 본점에 가면 볼 수 있다.
  • 해외 주권국에서 첫 지점은 싱가포르에서 열었다. 1970년대 이세탄 백화점이라는 개인 유한 회사로 설립되었다가 1981년 이세탄이라는 회사 명칭으로 싱가포르 최초 일본 백화점으로 명칭되었다. 해당 지점은 해외 본점으로 승격했었고, 오차드에도 지점을 두었다. 그러나 하락세를 보이다 결국 2015년 중순에 폐업하였다.
  • 중화권에도 현지기업과의 합작법인 형태로 문을 연 곳들이 있다. 중국 대륙 전역을 관할하는 단일법인이 존재하지는 않고, 각 지점별로 합작법인 형태로 진출했다. 예를들어 상하이에는 현지기업 화팅(华亭)과의 합작으로 화팅-이스탄(华亭-伊势丹)으로 등기되어 있다. 또한 지난선양에도 지점이 있다. 홍콩의 경우 코즈웨이 베이쪽에 지점이 있었다가 2000년대에 폐점했으며 대만에도 현지 금융사들과의 합작으로 굉장히 많은 수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10]
  • 1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함대 컬렉션과 콜라보레이션을 하고 있으며 미츠코시 쪽은 칸코레 캐릭터 굿즈를 팔며 칸코레 쪽에서는 칸무스심해서함들이 미츠코시의 제품을 사용하는 일러스트를 전시하고 관련 기간 한정 일러스트를 출시하고 있다.
  • 각 점포 정문 앞에 있는 사자 동상으로 유명하다. 여느 동상의 전설이 그렇듯, 사자 앞발을 만지면 원하는 대학교 입학에 성공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사자 앞발 쪽만 때가 탄 적도 있었다. 상당히 유명하다 보니 백화점의 마스코트로 통하고 있다.

8. 논란 및 사건 사고

  • 긴자 텐이치 표백제 생수 제공 사건
    긴자점에 입점한 고급 음식점에서 한국인 손님에게 세제가 섞인 식수를 제공했으며, 해당 식수를 마신 손님은 구토감과 목 통증을 호소하다 병원에 입원했다. 이후 긴자점에서 사과문을 게재했으나 그룹 차원의 입장문은 없었다.


[1]주식회사 미츠코시 이세탄 홀딩스 대표이사 사장 CEO[2] 신세계백화점대구신세계, 광주신세계를 생각하면 된다.[3] 1945년 설립. 금융업과 유통업을 중심으로 하는 대기업.[4] 철덕들에겐 한큐 전철로 유명하고 일본프로야구 오릭스 버팔로즈의 전신이었던 한큐 브레이브스를 운영했던 그 한큐그룹이 만든 백화점이다.[5] 서울 도심에서도 롯데백화점 본점신세계백화점 본점이 약 500m 정도 떨어져있다.[6] 참고로 일본 연매출 1, 2위를 다투는 오사카한큐백화점 역시 '한큐 맨즈'라는 별도의 남성 전문관을 가지고 있다.[7] 신세계 본점 본관이 옛 미츠코시 경성점 건물이다. 단 미츠코시 시절 본관에는 소공로와 남대문로에 면한 ㄱ자 부분만이 존재했고, 신세계는 문화재 등록을 안한채 오랫동안 증축과 개조를 지속해와서 현재의 본관은 사실 미츠코시 시절의 건축과는 파사드 이외에는 거의 상관이 없다. 현재 본관의 구조는 신관 오픈 직후 대수선을 통해 확립된 것이다.[8] "에치고야, 그대도 참 나쁜 자로구나" / "아니요. 대관님만 하겠습니까" (원문 越後屋、おぬしも悪よのう / いえいえ、お代官様ほどでは...)[9] 이세탄은 미쓰비시와 별개 역사를 가졌지만 미쓰비시 은행과 거래해서 관계사로 분류된다.[10] 사실 대만의 백화점들은 거의 대부분이 일본 자본이다. 그렇다보니 일본에서 고전하는 일본 백화점 업계들에게 대만은 최후의 보루 격으로 통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