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5:05:46

발리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만 제어
동부대만어파
바사이어† · 케타갈란어† · 사키자야어 · 시라야어† · 카발란어 · 아미어 · 나타오란어 · 마카타오어
북서대만어파
사이시얏어 · 파제흐어
서부평원어파
파포라어† · 타오카스어 · 호아냐어 · 바부자어† · 타오어
아타얄어파
아타얄어 · 시디크어 · 트루쿠어
초우어파
초우어 · 카나카나부어 · 사로아어
부눈어 · 르카이어 · 푸유마어 · 파이완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세부어군 (세부아노어) · 중부비사야어군 \[와라이어군 (와라이어)] · 주변부중부비사야어군 (힐리가이논어)
만다야어군 (만다야어 · 만사카어) · 칼라간어
필리핀어
일로카노어
마긴다나오어
이바탄어 · 야미어
북동미나하사어군 (톰불루어 · 톤다노어 · 톤세아어) · 톤템보안어
톤사왕어
이반어군 (이반어 · 스브루앙어 · 무알랑어) ·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브루나이 말레이어 · 빠따니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자카르타 구어체 인도네시아어 · 조호르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미낭카바우어 · 반자르어 · 무시어 · 븡쿨루어 · 쿠타이어 · 큰다얀어
참어 · 아체어
사삭숨바와어군 (사삭어 · 숨바와어) · 발리어
순다어 · 마두라어
자바어 · 팔라우어 · 차모로어
테툼어 · 우압메토어
마카사르어
부기스어
토바바탁어 · 카로바탁어 · 만다일링어
가요어
두순어군 (카다잔두순어)
찌아찌아어
말라가시어 · 라왕안어
나우루어 · 키리바시어 · 마셜어
폴리네시아어군 \[통가어군 (통가어) · 동부폴리네시아어군 (중동폴리네시아어군 \[타히티어군 (타히티어 · 마오리어) · 하와이어] · 라파누이어) · 렌넬어] · 피지어
바누아투어군 (시에어) · 사모아토켈라우어군 (사모아어)
아로시어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동남아시아 주요 언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중국티베트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라다이어족 서파푸아어족 크리올어
미얀마어 라후어 베트남어 크메르어 태국어 라오어 트르나테어 차바카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필리핀어 테툼어 자바어 순다어 세부아노어 발리어 아체어
관련 문자
라오 문자 · 라틴 문자 · 버마 문자 · 쯔꾸옥응으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타이탐 문자 · 타이비엣 문자 · 자위 문자 · 자바 문자 · 순다 문자 · 발리 문자 · 바이바이인 문자 · 쯔놈
}}}}}}}}} ||

Basa Bali
발리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지역 인도네시아 발리섬
원어민 약 300-400만 명
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순다술라웨시어군
말레이숨바와어군
발리사삭숨바와어군
발리어
문자 라틴 문자, 발리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
ISO-639-2 ban
ISO-639-3 ban

1. 개요2. 음운3. 문법
3.1. 경어법
4. 들어 보기

[clearfix]

1. 개요

발리어(Basa Bali)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발리섬 거주민의 대부분(약 90%)을 차지하는 발리인의 언어이다. 발리섬 동남쪽의 누사프니다섬(Nusa Penida)에서도 쓰이며, 롬복섬 서부 및 자바섬 동부에서도 약간 쓰인다. 롬복섬에서 쓰이는 사삭어와 가깝다. 기원후 10-11세기부터 카위 문자에 영향을 받아 발리어를 표기하는 고유의 발리 문자가 생겨나 독자적인 문학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더불어 발리섬이 마자파힛 제국 등 자바 지역의 간섭을 받았을 때 자바어와 자바 문화의 영향도 크게 받았다.

발리 문학은 마자파힛 말기와 겔겔 왕국(16세기-1651) 시대에 크게 발전하여 수많은 고전 작품을 남기고 있다. 발리 문자는 자바 문자와 함께 현대에도 간혹 실질적인 용도(문헌작성, 서예 등)로 쓰이는 몇 안 되는 인도네시아 지역의 고유 문자이다. 물론 로마자 표기법도 있으며 로마자로도 표기된다.

2. 음운

모음마인어와 같은 6모음 체계이다. 자음도 마인어와 유사하며 자바어마두라어처럼 d, t, n, s 등의 음운을 치경음이 아닌 치음으로 발음한다는 정도를 제외하면 특별히 언급할 만한 점은 없다. 다만 단어의 강세는 마인어와 달리 주로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3. 문법

말레이숨바와어군에 속하는 교착어이며, 마인어와 유사한 교착적 접사 범주를 갖추고 있다. 기본 어순은 SVO이며, 시제와 상은 동사의 굴절로 표현하지 않고 부사(완료상: suba, 진행상: sedeng, 미래: lakar 등)를 동사 앞에 놓아 표현한다.

3.1. 경어법

자바어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경어법이 존재한다. 크게 세 개의 발화 등급이 존재하며, 크타체(basa ketah, 낮춤말), 마디아체(basa madia, 중간), 싱기체(basa singgih, 높임말)로 나뉜다. 싱기체에서 쓰이는 어휘 중에는 자바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빌려온 고풍스러운 낱말이 많다.

4. 들어 보기

발리 음악 하면 발리식 가믈란이 유명하지만, 발리 음악에 가믈란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발리는 자바의 여러 도시들과 함께 팝, 록 등의 대중음악이 발달한 지역 중 하나이다. 물론 발리어로 된 음악은 특성상 그 향유층이 발리어권에만 국한되며 전국적 인기를 얻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발리어로 노래하는 일부 인디 밴드는 훌륭한 음악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음악 시장 자립이 가능한 자바어권, 순다어권 정도를 제외하면 다른 지방어 음악계에서는 흔한 일로, 인도네시아어나 영어로 노래하는 아티스트가 가끔씩만 모어인 발리어로 노래하는 경우도 있다.


Seven Ceblock - Setara Betara


Jun Bintang & Lebri Partami - Jod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