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Austronesian Languages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만 제어 | ||||
동부대만어파 | 바사이어† · 케타갈란어† · 사키자야어 · 시라야어† · 카발란어 · 아미어 · 나타오란어 · 마카타오어† | ||||
북서대만어파 | 사이시얏어 · 파제흐어† | ||||
서부평원어파 | 파포라어† · 타오카스어 · 호아냐어 · 바부자어† · 타오어 | ||||
아타얄어파 | 아타얄어 · 시디크어 · 트루쿠어 | ||||
초우어파 | 초우어 · 카나카나부어 · 사로아어 | ||||
부눈어 · 르카이어 · 푸유마어 · 파이완어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
세부어군 (세부아노어) · 중부비사야어군 \[와라이어군 (와라이어)] · 주변부중부비사야어군 (힐리가이논어) | |||||
만다야어군 (만다야어 · 만사카어) · 칼라간어 | |||||
필리핀어 | |||||
일로카노어 | |||||
마긴다나오어 | |||||
이바탄어 · 야미어 | |||||
북동미나하사어군 (톰불루어 · 톤다노어 · 톤세아어) · 톤템보안어 | |||||
톤사왕어 | |||||
이반어군 (이반어 · 스브루앙어 · 무알랑어) ·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브루나이 말레이어 · 빠따니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자카르타 구어체 인도네시아어 · 조호르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미낭카바우어 · 반자르어 · 무시어 · 븡쿨루어 · 쿠타이어 · 큰다얀어 | |||||
참어 · 아체어 | |||||
사삭숨바와어군 (사삭어 · 숨바와어) · 발리어 | |||||
순다어 · 마두라어 | |||||
자바어 · 팔라우어 · 차모로어 | |||||
테툼어 · 우압메토어 | |||||
마카사르어 | |||||
부기스어 | |||||
토바바탁어 · 카로바탁어 · 만다일링어 | |||||
가요어 | |||||
두순어군 (카다잔두순어) | |||||
찌아찌아어 | |||||
말라가시어 · 라왕안어 | |||||
나우루어 · 키리바시어 · 마셜어 | |||||
폴리네시아어군 \[통가어군 (통가어) · 동부폴리네시아어군 (중동폴리네시아어군 \[타히티어군 (타히티어 · 마오리어) · 하와이어] · 라파누이어) · 렌넬어] · 피지어 | |||||
바누아투어군 (시에어) · 사모아토켈라우어군 (사모아어) | |||||
아로시어 | |||||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81010 82%, #000 82%, #000 83%, #f8d000 83%, #f8d000 88%, #000 88%, #000 89%, #fff 89%, #fff 91%, #183070 91%, #183070 93%, #fff 93%, #fff 95%, #183070 95%, #183070 97%, #fff 97%, #fff 99%, #183070 99%)""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183070> 상징 | 국가 · 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틀:키리바시 의회의 원내 구성 | |
외교 | 외교 전반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 |
경제 |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
국방 | 키리바시군 | |
교통 | 에어 키리바시 | |
문화 | 요리 · 키리바시 축구 국가대표팀 · 키리바시어 | |
지리 | 미크로네시아 · 사우스타라와 | |
민족 | 키리바시인 |
Taetae ni Kiribati | |
키리바시어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지역 | [[키리바시| ]][[틀:국기| ]][[틀:국기| ]] |
원어민 | 약 11만 명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대양어군 중동대양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키리바시어 |
문자 | 로마자 |
언어 코드 | |
ISO-639-1 | - |
ISO-639-2 | gil |
ISO-639-3 | gil |
[clearfix]
1. 개요
키리바시어(Taetae ni Kiribati, Gilbertese language)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자 키리바시의 공용어이다. 유럽 최초로 존 마셜 선장과 함께 키리바시의 군도, 즉 길버트 군도(Gilbert Islands)에 방문한 '토머스 길버트'의 이름을 따서 길버트어라고도 부른다. 키리바시, 솔로몬 제도, 피지, 투발루 등지에서 사용된다.다음은 키리바시어로 쓰인 예문이다. source
I a butiiko ma kawiiremweko riki n taetae ao tai kaboonganai taeka aika a kaangaanga b'a I aonga ni waetata n rabakau. 제가 더 빨리 배울 수 있도록 천천히 말씀하시고 어려운 단어는 쓰지 말아 주세요. Please speak slowly, and don't use difficult words, so that I can learn more quickly. |
2. 음운
2.1. 자음
양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
<colbgcolor=#e9ecef,#15191d>파열음 | p | t | k |
마찰음 | (β) | s | (ɣ) |
비음 | m | n | ŋ |
탄음 | ɾ |
2.2. 모음
/a/ , /e/ , /i/ , /o/ , /u/ 밖에 없다.3. 문자
라틴 문자를 사용하지만 A~Z 중 13개 알파벳만 쓴다.A | B | E | G | I | K | M | N | O | R | T | U | W | |
IPA | a | p | e | -[1] | i | k | m | n | o | ɾ | t | u | βˠ[2] |
다음은 2글자로 한 발음을 나타내는 이중음자이다.
NG | TI | |
IPA | ŋ | s[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