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7:29:01

사공(성씨)

사공씨에서 넘어옴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를 본관으로 한 성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원도심 지역
대구 백씨 달성 서씨[지역] 대구 서씨 대구 이씨
수성구 지역
수성 빈씨[이칭] 수성 나씨
달성군 지역
달성 배씨 달성 하씨 하빈 이씨
현풍군(現.달성군) 지역
현풍 곽씨
군위군 지역
군위 오씨 효령 사공씨
의흥군(現.군위군) 지역
부림 홍씨 의흥 박씨 의흥 예씨

[지역] 달성군이 아닌 대구의 옛 이름인 달성을 지칭한다.[이칭] 달성 빈씨, 대구 빈씨라고도 불림.
}}}}}}}}}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230><tablebordercolor=#ece5b6>
효령 사공씨
孝令 司空氏
}}}
관향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시조 사공도(司空圖)
중시조 사공중상(司空仲常)
인구 4,476명

1. 개요2. 본관 및 인구3. 실존 인물4. 가상 인물

[clearfix]

1. 개요

司空

복성으로 벼슬인 사공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본관은 효령(孝令) 단본이나 역대 인구주택총조사 통계를 보면 본관 효령면의 상위 행정구역인 군위(軍威)를 본관으로 하는 인구도 늘 제법 많이 나오는 편이다. 《증보문헌비고》에는 효령 외에도 거평(居平)[1]이라는 본관이 더 나타난다. 《효령사공씨세보(孝令司空氏世譜)》에 따르면 시조는 당나라 사람인 사공도(司空圖)로 875년부터 884년까지 일어난 황소의 난을 피하여 신라로 왔다고 한다. 이후 사공도의 후손이자 고려 충숙왕 때 판사(判事)로 효령군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하고 관향을 효령으로 삼았다.

사공중상의 아들 사공실(司空實)[2]은 1353년(공민왕 2) 계사방(癸巳榜) 문과에 동진사(同進士) 1위로 급제해 벼슬이 대호군(大護軍)에 올랐고, 사공배(司空裴)는 조선시대 직장(直長)을 지냈다. 조선시대 생원 1명[3], 진사 3명[4]을 각각 배출했다.

2. 본관 및 인구

1930년도 조선총독부 국세조사 당시 전국에 232가구가 집계되었는데, 이 중 경상북도에 215가구, 경기도에 9가구, 강원도에 5가구 등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지역에는 단 한 가구도 없었다.[5] 남북 분단 후에는 순위가 크게 올라 198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전국에 3,656명(군위 730명, 효령 2,828명, 기타 86명, 미상 12명)으로 나타났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경상북도에 1,024명, 대구직할시에 1,336명 등 총 인구의 약 64.5%가 경상북도와 대구직할시에 집중되어 있었다.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전국에 4,307명(군위 1,639명, 효령 2,664명, 기타 1명, 미상 3명)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4,476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8년 12월 28일 조선일보 기사를 참조하면 잘못 기재된 성씨와 본관이 상당히 많다는 걸 알 수 있는데, 2015년 인구조사에서도 조사원 또는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 집계된 본관 및 성씨들이 상당히 많다. 사공씨의 경우 司'空'으로 표기해야 하는데, 2015년 조사 당시 司'公'으로 오기되어 집계된 인구가 12명(군위 8명, 기타 4명)이 나타났다. 여담으로 일본에도 약 40명 정도가 이 성을 쓴다.

한편, 효령(2,723명)과 군위(1,574명) 2개 본관 이외에도 군성(5명), 군의(35명), 소릉(20명), 평해(平海, 5명), 회녕(10명), 회령(7명), 효금(10명), 효녕(13명), 효영(44명) 등 1985년도와 2000년도 조사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8개의 본관이 새로 나타났다.[6] 그러나 평해를 제외한 다음 7개의 본관은 모두 군위 또는 효령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군성 - 군위(軍威)의 위(威)를 성(成) 등으로 잘못 판독한 것으로 추정
  • 군의 - 동남 방언의 영향으로 '군위'를 말한 것을 '군의'로 잘못 알아들은 것으로 추정
  • 소릉, 회녕, 회령 - 동남 방언의 영향으로 '효령'을 말한 것을 '소릉', '회녕', '회령' 등으로 잘못 알아들은 것으로 추정
  • 효금 - 효령(孝令)의 령(令)을 금(今)으로 잘못 판독한 것으로 추정
  • 효녕 - 효령의 령(令)은 영으로도 읽히나, 녕이라는 음은 없음. 아마도 효령의 령을 독음 중에 녕이 있는 령(寧)으로 오해한 것으로 추정
  • 효영 - 효령의 령(令)은 영으로도 읽히므로 단순 오기로 추정
이들 본관을 각각 군위와 본관에 합산하여 집계하면, 군위는 1,622명, 효령은 2,827명이 된다.

3. 실존 인물


이렇듯 희귀 성씨임에도 제33대 재무부장관뉴욕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등을 역임한 사공일 박사#덕분에 어느정도 알려진 성씨이다. 이 외에는 야구선수 사공엽,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사공용,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장을 지낸 사공호상 박사 등이 알려져 있다. 법조계에는 대구고등법원장을 지낸 사공영진(司空永振)을 비롯해 대구지방법원 판사 사공민(司空玟), 변호사 사공대(司空大)·사공현(司空賢) 등이 있다.

이 외에도 2020년 코로나 사태에서 국민의당 TF 위원장을 맡은 사공정규 교수도 있다. 안철수 대표와 의료 봉사를 함께 하면서 알려졌다. 아나운서 출신으로 SBS에서 기자로 활약하고 있는 사공성근 기자도 있다. 이영자의 새 매니저 사공민도 이 성씨이다. 사공가은#이라는 여성 보디빌더도 있다. 삼일회계법인 소속 사공병용 회계사도 활동 중인 것으로 확인된다.


4. 가상 인물



[1] 조선시대 전라도 나주목 거평면(居平面, 現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2] 자 백단(伯亶).[3] 사공도(司空鍍, 1769 ~ ?) : 1816년(순조 16) 식년 생원시 3등 34위 입격. 자 계명(季鳴), 본관과 거주지 모두 군위(軍威), 아버지 학생(學生) 사공원(司空垣), 형 사공전(司空鋑), 사공현(司空鉉).[4]사공간(司空榦, 1811 ~ ?) : 1835년(헌종 1) 증광 진사시 3등 6위 입격. 자 사영(士英), 본관과 거주지 모두 군위(軍威), 아버지 유학(幼學) 사공규(司空氵+奎), 형 사공표(司空杓), 동생 사공건(司空楗). / ② 사공억(司空檍, 1805 ~ 1841. 9. 29) : 1840년(헌종 6) 식년 진사시 2등 8위 입격. 자 만실(萬實), 호 다천(茶泉), 본관과 거주지 모두 군위(軍威), 아버지 학생(學生) 사공수(司空洙), 조부 사공준(司空焌), 증조부 사공장(司空墇), 외조부 홍하원(洪夏源), 처부 이상회(李尙晦), 동생 사공휘(司空金+彙), 사공헌(司空櫶), 사공순(司空栒), 사공구(司空構). / ③ 사공회(司空澮, 1800 ~ ?) : 1840년(헌종 6) 식년 진사시 2등 16위 입격. 자 여응(呂鷹), 본관과 거주지 모두 군위(軍威), 아버지 생원 사공도(司空鍍), 형 사공속(司空涑), 동생 사공호(司空灝), 사공익(司空瀷).[5] 비슷한 케이스로 가씨, 범씨, 화씨, 서문씨가 있고 북한지역에 소수 있는 감씨, 좌씨, 형씨 가 있으나 이 중 좌씨의 경우 제주출신(재일교포 조총련계) 북한인도 제법 되기에 좌씨가 조금 있을것이라 짐작된다. 대게 복성이 이북 지역에 많이 몰려있는 것과는 달리 사공씨와 서문씨는 이북 지역에 없는 특이한 케이스다. 반대 케이스로는 동일 조사에서 인구의 무려 98% 가량이 이북 지역에 몰려있던 독고씨가 있다.[6] 총 10개 본관 이외에 기타 본관 30명이 더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