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00:22:28

삼국지/지명/사례교위부

사예교위부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국지/지명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사례(중국)
, 사예교위
,
,
,
,

삼국지 | 三國志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colbgcolor=#980000>삼국 조조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조위정통론
유비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촉한정통론
손권실존 인물 · 가공 인물
관련 정보인물 · 연표 · 지명 · 관직 · 이름 표기 · 삼국지연의/수혜자 · 삼국지연의/피해자 · 삼국지연의/미등장인물
관련 작품소설 · 만화 · · 영화 · 애니메이션 · 드라마 · 라디오 드라마 · 게임}}}}}}}}}

후한 13주
사례
司隸
연주
兗州
예주
豫州
기주
冀州
유주
幽州
병주
幷州
옹주
雍州
양주
涼州
익주
益州
청주
靑州
서주
徐州
형주
荊州
양주
揚州
교주
交州

파일:260년사례지도.png
1. 개요2. 하남윤(河南尹)
2.1. 형양군(滎陽郡)2.2. 원무군(原武郡)
3. 하내군(河內郡)
3.1. 야왕군(野王郡)3.2. 급군(汲郡)
4. 하동군(河東郡)5. 평양군(平陽郡)6. 홍농군(弘農郡)7. 위군(魏郡)8. 광평군(廣平郡)9. 양평군(陽平郡)
9.1. 돈구군(頓丘郡)
10.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대체적으로 현재의 허난성 중서부에 해당한다.

낙양 주변의 수도권으로, 사례교위가 관장하는 구역[部]이라 '사례교위부(司隸校尉部)'라고 한다. 사례(司隸)란, 원래는 도형(徒刑)을 받는 죄수들인 '도례(徒隸)'를 담당[司]한 관직을 의미한다. 진나라 때에는 수도인 함양이 위치한 관중(關中) 지방에는 군(郡)을 설치하지 않아, 관중의 현(縣)은 중앙의 조정에서 직접 관할했다. 군이 설치된 곳에서는 군에서 직접 도형을 집행했기에, 군이 없는 중앙 직할지에서는 중앙에 도형을 집행하는 관리를 따로 두어야 했다. 기원전 89년에 그들의 총감독관 격인 사례교위를 새로 설치했는데, 질(秩) 2천석 이하의 중앙 관리를 감찰하는 임무를 부여하여, 자사(刺史)가 파견되지 않는 장안과 낙양 주변 일대에서 자사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관중 지역의 치안 활동까지 맡게 했다. 기원전 4년에 사례교위를 폐지했으나 경시제가 다시 설치했다. 후한 때 하남태수가 하남윤으로 격상되면서 옛 하남도위 역할은 사례도위에게 이관되어, 후한의 사례교위는 하남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게 되었다.

사례교위는 중앙 관료들까지 감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기에, 매우 큰 요직으로 통했다. 하진이 죽기 전까지 원소가 맡던 벼슬이었다. 조조가 협천자에 성공한 뒤로는 종요가 이 벼슬을 맡으면서 독관중제군(督關中諸軍)을 겸임했다. 촉한은 사례 지방을 장악한 적이 없었지만, 중앙 관료 감찰관으로는 의미가 있었는지 장비가 이 벼슬을 맡았다. 장비 사후에는 제갈량이 사례교위를 겸임했다.우리나라로 치면 이북 5도 도지사?

213년에 조조구주를 회복한다는 구실로 사례교위를 폐지했다. 삼보와 홍농군·한안군·신평군은 옹주로 소속이 변경되었고, 하남윤은 예주 소속이 되었다. 하내군과 하동군은 관념상 기주 소속이 되었으나, 위공(魏公)의 식읍으로 주어진 곳이었기에 실질적으로 별개의 구역이 되었다. 220년에 조비가 선양을 받고 나서 낙양현을 다시 수도로 정하고 사례교위를 재설치했다.

자사부(刺史部)에 포함되지 않는 사례교위부 지방은 원래 '경사(京師)'라고 지칭했으나, 한나라 전역에 자사부가 형성됨에 따라 자사부가 그 고유 명칭인 '○주(州)'로 약칭되었듯이, 사례교위부는 '사례'로도 약칭되어 현대 한국에 비유하자면 '수도권'과 비슷한 뜻으로 쓰였다. 하남군·하내군·하동군은 공통적인 앞 글자인 '하(河)'를 따와 삼하(三河)로 통칭하였다. 221년에 위군을 분할해 광평군·양평군을 설치하였는데, 이 3군을 통칭하여 삼위(三魏)라고 부른다.

삼국시대 위나라에선 사례 지방의 별칭으로 '사주(司州)'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그 말엽에는 공식적인 조서에서도 쓰이는 표현이 되었다. 사마염이 280년에 삼국통일을 달성하자, 사례교위를 폐지하고 사주자사를 임명하여 사례교위부가 공식적으로 '사주'로 개편되었다.
  • 치소(治所)[1]: [전한]경조윤 장안현→[후한]하남윤 낙양현→[190]경조윤 장안현, [220]하남윤 낙양현
  • 기원전 89년: 사례교위 설치.
  • 기원전 4년: 사례교위 폐지.
  • 9년: 왕망이 경조대윤(京兆大尹)과 하남대윤(河南大尹)의 관할 구역으로 재편.[2]
  • 23년: 경시제가 사례교위를 복구.
  • 213년: 사례교위 폐지.[3]
  • 220년: 사례교위 복구.[4] 기주 위군이 이속됨.[5]
  • 221년: 위군 서부도위부를 승격하여 광평군 설치. 위군 동부도위부를 승격하여 양평군 설치.
  • 223년: 하내군을 분할해 기주 조가군 설치.
  • 226년: 기주 조가군을 폐지하여 환원함.
  • 242년: 하남윤 형양도위부를 승격하여 형양군 설치.
  • 247년: 하동군을 분할해 평양군 설치.
  • 253년?: 형양군을 폐지하여 하남윤에 합병.
  • 264년: 둔전제가 폐지되어 하남윤 원무전농교위부가 원무군으로 승격.
  • 266년: 형양군 재설치. 원무군을 폐지하여 형양군으로 합병. 옹주 상락군이 이속됨.

2. 하남윤(河南尹)

하남윤은 정확히는 지역 이름이 아니라 관직명이다. 전한 때는 수도 지역에서 태수와 비슷한 역할을 맡는 관직으로 경조윤(京兆尹)을 두었는데, 그 예에 따라 후한 때 낙양으로 수도를 정하면서 낙양현을 관할하는 하남태수를 하남윤으로 격상시킨 것이다. 현대 한국의 서울특별시장과 비슷한 개념. 하남윤의 관할구역은 그냥 '하남'으로 부르는 것이 보편적이었기에 당시에는 이곳을 따로 '하남군'으로 부른 예는 보이지 않는다. 조조가 허도(許都)로 천도한 이후에도 하남윤을 따로 하남태수로 격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허도가 속해있는 영천태수를 윤으로 격상시키지 않았는데, 허도가 어디까지나 임시수도 개념이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성도를 임시수도로 여기고 있던 촉한 또한 촉군태수를 윤으로 격상시키지 않았다. 원술이 칭제하면서 자신이 머물고 있던 구강태수를 격상시켜 회남윤(淮南尹)으로 만든 사례가 있다.

하남 지역은 전국시대에 한선혜왕이 삼천군을 설치하여 최초로 군이 형성되었다. 진(秦)이 그대로 삼천군으로 유지했다가, 기원전 205년에 한왕(漢王)이 하남군으로 고쳤고, 기원후 39년에 하남윤으로 개편되었다. 280년에 사례교위를 폐지할 때 정식으로 다시 하남군이 되었다.
지명 삼천군(三川郡)→[-205]하남군(河南郡)→[39]하남윤→[서진]하남군
소속 한(韓)→진(秦)→[-89]사례교위부→[-4]경사→[9]보충신향→[23]사례교위부→[213]예주→[220]사례교위부→[서진]사주
치소 낙양현
형양군: 형양현
원무군: 원무현
분합 [삼국]형양도위→[242]형양군→[253]하남윤에 합병→[266]형양군: 형양현·중모현·개봉현·원릉현·경현·밀현
[삼국]원무전농교위→[264]원무군→[266]형양군에 합병: 원무현·권현·양무현
전입 [삼국]홍농군 육혼현 및 예주 영천군 양책현·양성현·윤지현, [서진]홍농군 신안현
폐지 [264?]평현, [서진]곡성현·언사현·신정현·윤지현 및 형양군 원무현
출신 낙양현: 맹광
언사현: 극정
중모현: 반욱, 임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삼천군: 낙양현, 권현, 신안현, 의양현, 노지현, 구지현, 평음현, 신성현, 섬현, 하남현, 형양현, 경현, 성고현, 양무현, 양현, 중모현, 공현, 곡성현, 면지현, 윤지현, 화양현(華陽縣·연혁 미상), 초현(焦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전한 하남군(22현 276,444호 1,740,279구): 낙양현, 형양현, 언사현, 경현, 평음현, 중모현, 평현, 양무현, 하남현, 구지현, 권현, 원무현, 공현, 곡성현, 고시현, 밀현, 신성현, 개봉현, 성고현, 원릉현, 양현, 신정현
하남군→보충신향 기수군(祈隊郡), 낙양현→의양현(宜陽縣), 언사현→사성현(師成縣), 평현→치평현(治平縣), 양무현→양환현(陽桓縣), 구지현→중정현(中亭縣), 원무현→원환현(原桓縣), 원릉현→좌정현(左亭縣)
후한 하남윤(21성 208,486호 1,010,827구): 낙양현, 하남현, 양현, 형양현, 권현, 원무현, 양무현, 중모현, 개봉현, 원릉현, 평음현, 곡성현, 구지현, 공현, 성고현, 경현, 밀현, 신성현, 언사현, 신정현, 평현
서진 하남군(12현 114,400호): 낙양현, 하남현, 공현, 하음현, 신안현, 성고현, 구지현, 양성현, 신성현, 육혼현, 양현, 양책현
형양군(8현 34,000호): 형양현, 경현, 밀현, 권현, 양무현, 원릉현, 중모현, 개봉현 }}}}}}}}}
영제가 184년에 낙양 주변의 함곡관·광성관·이궐관·대곡관·환원관·선문관·소평진·맹진 8곳에 도위를 두었는데, 이를 통칭해 '낙양 8관'이라 부른다.
  • 낙양현(洛陽縣): 사례교위 및 하남윤 치소
    190년까지 후한의 수도였으며, 동탁이 수도를 장안현으로 옮기고 낙양성을 파괴하였으나, 다시 복구되어 220년부터 위(魏)·진(晉)의 수도가 되었다.
    • 지명: [진]낙양현(雒陽縣)→[220]낙양현(洛陽縣)
      흔히 후한의 광무제가 수도로 삼으면서 '洛陽'을 '雒陽'으로 고쳤던 것을 조비오행에 맞춰 원래대로 돌린 것이라 전하는데, 전국시대에도 '雒陽'으로 쓰이는 것이 확인된다. 주고왕 무렵부터 수도로 쓰인 낙양은 원래의 수도인 낙읍(洛邑)과는 별개의 도시였다. 조비가 별칭으로도 쓰였던 '洛陽'을 오행에 맞춰 공식화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72867, 112.62253》 허난성 뤄양시 멍진현(河南省洛阳市孟津县) 한·위낙양(汉魏洛阳)고성유지
    • 금용성(金鏞城): 《34.74263, 112.61532》
      낙양성 서북 쪽에 있던 별성(別城)으로 주로 고위층 인사를 유폐시킬 때(...) 등장하는 지명이다. 조환사마염에게 쫓겨난 이후 한동안 살았다.
    • 북망산(北芒山): 《34.79787, 112.72427》
      낙양성 북부의 산줄기를 가리키는데, 당나라 때까지 공동묘지(...)로 유행했다. 유선손호가 이곳에 묻혔고, 인근에서 조휴의 무덤(《34.77290, 112.59991》)이 발굴되기도 했다.
    • 관림(關林): 《34.60870, 112.47729》
      조조관우의 머리를 받자 제후의 예로 장례를 치르면서 조성한 무덤. 참고로 '林'은 성인(聖人)의 무덤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이다.관성대제ㄷㄷ
    • 이궐관(伊闕關): 《34.55325, 112.47048》
    • 대곡관(大谷關)·태곡관(太谷關): 《34.51110, 112.65068》
  • 하남현(河南縣)
    원래 주나라 때의 낙읍(洛邑)이 있던 곳이었으나 주고왕 때부터 하남으로 불렸고, 수양제가 이 인근에 다시 낙양성을 세우면서 현대 뤄양시의 중심부가 되었다.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67085, 112.41653》 허난성 뤄양시 젠시구(河南省洛阳市涧西区)
  • 양현(梁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16553, 112.74347》 허난성 핑딩산시 루저우시(河南省平顶山市汝州市) 서측
    • 양인취(陽人聚): 《34.23789, 112.64649》
      양인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실제 역사에선 손견이 이곳에서 화웅을 죽이고 여포를 패주시켰다.
  • 하음현(河陰縣)
    • 지명: [진]평음현(平陰縣)→[220]하음현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81961, 112.64783》 허난성 뤄양시 멍진현 훼이멍진 라오청촌(河南省洛阳市孟津县会盟镇老城村)
    • 맹진(孟津)·부평진(富平津): 《34.81871, 112.76120》
  • 곡성현(穀城縣): 서진 폐지(신안현에 합병)
    • 지명: [전한]곡성현(穀成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폐지
    • 위치: 《34.70346, 112.33608》 허난성 뤄양시 시궁구(河南省洛阳市西工区) 서북측
    • 함곡관(函谷關): 《34.72051, 112.16587》
      전국시대초한전쟁 때의 함곡관이 아니다. 기원전 114년에 한무제가 관중(關中)의 범위를 확장하려는 목적으로, 기존의 함곡관에 홍농현을 설치하고, 신안현 동쪽 경계에 새로운 함곡관을 지어 그곳까지를 관중으로 정했는데, 바로 이때 설치된 함곡관이다. 이에 기존의 함곡관과 구분하고자 '신안함곡관'으로 부르기도 한다. 전한 때까지는 홍농군 신안현 소속이었으나, 후한 때 하남윤 곡성현 소속이 되었다.
  • 구지현(緱氏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58003, 112.84392》 허난성 뤄양시 옌스시 푸뎬진(河南省洛阳市偃师市府店镇)
    • 환원관(轘轅關): 《34.53000, 112.92900》
  • 공현(鞏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76676, 112.92985》 허난성 정저우시 궁이시 캉뎬진 캉베이촌(河南省郑州市巩义市康店镇康北村) 고성
  • 성고현(成皐縣·成睾縣)
    초·한 전쟁 중 등장하는 성고로 진나라 때 성고현이 설치되기 이전까진 호뢰관(虎牢關)[6]이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실제 역사인 양인 전투가 나오지 않고, 대신 사수관(汜水關) 전투와 호뢰관 전투가 치러진다. 그런데 그 사수관 또한 성고현이 폐지되어 다시 호로관으로 불리게 되었을 때, 당나라의 시조인 이호(李虎)의 이름을 피휘하고자 호뢰관 인근에 흐르는 하천인 사수(汜水)에서 이름을 따와 대체한 것이므로, 호뢰관과 동일한 곳이다.(...)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84736, 113.19887》 허난성 정저우시 싱양시 쓰수이진 후라오관촌(河南省郑州市荥阳市汜水镇虎牢关村)
    • 선문관(旋門關): 《34.81526, 113.17007》
      삼국지 콘텐츠는 중국 현지에서도 잘 먹히는 관광 상품 중 하나고, 특히 『삼국지연의』의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다. 현지에서는 성고현이 사수관이고 선문관이 호뢰관이라며 약을 팔기도 하는데, 사실은 사수관 전투와 호뢰관 전투 자체가 창작 장면이다.
  • 신성현(新城縣)
    • 지명: [전한]신성현(新成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39771, 112.39502》 허난성 뤄양시 이촨현 핑덩향 구청촌(河南省洛阳市伊川县平等乡古城村)
    • 광성관(廣成關): 《34.26057, 112.59767》
      양인 전투 직전 호진은 이곳에 주둔하고자 했으나, 강행군을 주장한 여포 때문에 그대로 양인으로 진격하였고, 그렇게 광성관은 뚫렸다.(...)
    • 고평릉(高平陵): 《34.33539, 112.57153》
      조예의 무덤. 조방조상이 이곳을 참배한 틈을 타서 사마의가 일으킨 정변이 바로 고평릉 사변이다.
  • 언사현(偃師縣): 서진 폐지
    • 지명: [후한]언사현(匽師縣)
    • 소속: [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폐지
    • 위치: 《34.72062, 112.80500》 허난성 뤄양시 옌스시(河南省洛阳市偃师市) 동측
  • 신정현(新鄭縣): 서진 폐지
    • 소속: [진]영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서진]폐지
    • 위치: 《34.39732, 113.71909》 허난성 정저우시 신정시(河南省新郑市)
  • 평현(平縣): 264년 폐지
    둔전 시행 때 현령 대신 전농도위(典農都尉)가 임명되었다. 둔전제가 폐지될 때 현으로 복귀하지 못한 듯.
    • 소속: [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64?]폐지
    • 위치: 《34.81825, 112.94897》 허난성 정저우시 궁이시 캉뎬진 페이위촌(河南省郑州市巩义市康店镇裴峪村)
    • 소평진(小平津): 《34.83390, 112.95280》?
      낙양현 정북 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보아, 평현과 함께 멍진현 화위안촌(孟津县花园村·《34.80395, 112.73843》) 인근으로 비정한 의견도 있다.
  • 육혼현(陸渾縣)
    • 소속: [한]사례교위부 홍농군→[삼국]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28033, 112.22488》 허난성 뤄양시 쑹현 톈후진 구청촌(河南省洛阳市嵩县田湖镇古城村)
    • 육혼관(陸渾關): 《34.42870, 112.26380》
  • 양책현(陽翟縣)
    '翟'을 '적'으로도 읽을 수 있어 '양적현'으로도 읽히는데, 고을 이름을 지칭할 때는 '책'으로 읽는다. 『태평환우기』에 따르면 266년에 하남윤을 분할해 양책군(陽翟郡)을 설치했고, 밀현도 이에 소속되었다고 전하는데, 정확한 연혁을 상고할 수 없어 그 근거가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삼국]사례교위부 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16249, 113.46706》 허난성 쉬창시 위저우시(河南省许昌市禹州市) 고성
    • 봉작
    • 양관(陽關): 《34.21800, 113.36980》
  • 양성현(陽城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삼국]사례교위부 하남윤→[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40044, 113.14677》 허난성 정저우시 덩펑시 가오청진(河南省郑州市登封市告成镇)
    • 봉작
    • 악판관(崿阪關): 《34.33947, 113.07678》
  • 윤지현(輪氏縣): 서진 폐지
    • 지명: [진]윤지현(倫氏縣)→[전한]윤지현(綸氏縣)→[후한]윤지현(輪氏縣)
    • 소속: [진]삼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삼국]사례교위부 하남윤?→[서진]폐지
    • 위치: 《34.42054, 112.74514》 허난성 정저우시 덩펑시 잉양진(河南省郑州市登封市颍阳镇)
  • 고시현(故市縣): 후한 폐지
    관도대전 시점에 등장하는 '故市'와는 다른 곳이다.(연주 진류국 산조현 참조)
    • 위치: 《34.80750, 113.50429》 허난성 정저우시 중위안구 거우자오향 수이니우장촌(河南省郑州市中原区沟赵乡水牛张村)

2.1. 형양군(滎陽郡)

조조가 213년 이전에 하남윤에 형양도위(滎陽都尉)를 설치하여 형양현·중모현·개봉현·원릉현·경현·밀현·원무현·권현·양무현을 관할하게 했다. 242년에 정식으로 형양군으로 승격했으나, 253년 무렵에 폐지되어 다시 하남윤에 합쳐졌다. 서진 때인 266년에 다시 형양군으로 승격했다.
  • 형양현(滎陽縣): 형양도위-형양군 치소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4.85800, 113.45120》 허난성 정저우시 싱양시(河南省郑州市荥阳市) 동북측
    • 수롱성(垂隴城): 《34.85700, 113.56860》
      농성(隴城)이라고도 한다. 둔전 시행 때 전농도위(典農都尉)가 운영되었다.
    • 광무성(廣武城): 《34.95292, 113.46427》
      광무 대치로 유명한 곳. 위의 좌표는 유방이 주둔했다고 전해지는 서쪽 성 위치로 '한왕성(漢王城)'으로 불리는 곳이다. 동쪽으로 200m 떨어진 지점에 일명 '패왕성(覇王城)'이 위치한다.
    • 오창(敖倉)·오정(敖亭): 《34.95189, 113.48248》
  • 중모현(中牟縣)
    『삼국지연의』에선 진궁이 이곳의 현령으로 있다가 조조를 체포했는데, 초군 소속으로 나온다. 그러나 당시에 초군은 없었으며, 중모현은 하남윤 소속이다.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4.73158, 114.05869》 허난성 정저우시 중무현(河南省郑州市中牟县) 동측
    • 봉작
      • 조해: 중모왕(223~224·242~243)
    • 관성(管城·筦城): 《34.75730, 113.65050》
    • 관도(官渡): 《34.75145, 114.05092》
      관도대전이 치러진 곳이다.
  • 개봉현(開封縣)
    • 지명: [진]계봉현(啓封縣)→[전한]개봉현
    • 소속: [진]탕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4.59517, 114.29403》 허난성 카이펑시 샹푸구 주셴진(河南省开封市祥符区朱仙镇) 고성
    • 봉작
  • 원릉현(苑陵縣)
    • 지명: [후한]원릉현(菀陵縣)
    • 소속: [진]영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4.47675, 113.84572》 허난성 정저우시 신정시 룽왕향 구청스촌(河南省郑州市新郑市龙王乡古城师村)
  • 경현(京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4.71545, 113.43846》 허난성 정저우시 싱양시 위롱진 징샹청촌(河南省郑州市荥阳市豫龙镇京襄城村)
  • 밀현(密縣)
    • 소속: [진]영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4.44397, 113.49292》 허난성 정저우시 신미시 다웨이진(河南省郑州市新密市大隗镇)
    • 봉작
      • 정무: 밀릉백(密陵伯·264~265)→후(265~)

2.2. 원무군(原武郡)

둔전 시행 때 전농교위가 관할하던 구역으로 260년 시점에선 원무전농교위부(原武典農校尉部)가 정식 명칭이나, 당대에도 사실상 원무군으로 통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242년에 형양군에 소속되었으나, 253년 무렵 하남윤으로 복귀했다. 264년에 둔전제가 폐지되면서 정식으로 원무군으로 승격했으나, 서진 때인 266년에 폐지되어 형양군에 합병되었다.
  • 원무현(原武縣): 원무전농교위-원무군 치소→서진 폐지
    • 소속: [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4]원무군→[266]형양군→[서진]폐지
    • 위치: 《35.05195, 113.96297》 허난성 신샹시 위안양현(河南省新乡市原阳县)
  • 권현(卷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4]원무군→[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5.03897, 113.78767》 허난성 신샹시 위안우진 취안러우촌(河南省新乡市原武镇圈娄村)
  • 양무현(陽武縣)
    • 소속: [진]삼천군→[전한]사례교위부 하남군→[후한]하남윤→[242]형양군→[253]하남윤→[264]원무군→[266]형양군→[서진]사주 형양군
    • 위치: 《34.98309, 114.09830》 허난성 신샹시 궈좡향 마좡촌(河南省新乡市郭庄乡马庄村)

3. 하내군(河內郡)

소속 진(秦)→[-89]사례교위부→[-4]경사→[9]보충신향→[23]사례교위부→[213]기주 위국(魏國)→[220]사례교위부→[서진]사주
치소 회현→[265]야왕현→[서진]회현
조가군(급군): 조가현→[226?]급현
야왕군: 야왕현
분합 [223]기주 조가군→[226]하내군에 병합→[삼국]급군전농중랑장부→[266]급군: 급현·획가현·수무현·공현 및 기주 위군 조가현·임려현
[삼국]야왕전농중랑장부→[264]야왕군→[265]하내군에 병합: 야왕현·심수현
전입 [226]조가군 조가현·임려현
전출 [213]조가현·임려현·탕음현→위군
폐지 [삼국]파현, [서진]무덕현
출신 지현: 서상
온현: 사마방·사마의 등 하내 사마씨
현 미상: 한호
봉작 조조-위공(213~216)→왕(216~22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하내군: 회현, 온현, 지현, 무덕현, 수무현, 야왕현, 공현, 산양현, 조가현, 급현, 하양현, 탕음현, 융려현, 안양현, 주현, 내황현, 번양현, 형구현, 곡양현(曲陽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전한 하내군(18현 241,246호 1,067,097구): 회현, 급현, 무덕현, 파현, 산양현, 하양현, 주현, 공현, 평고현, 조가현, 수무현, 온현, 야왕현, 획가현, 지현, 심수현, 융려현, 탕음현
하내군→보충신향 후수군(後隊郡), 회현→하내현(河內縣), 하양현→하정현(河亭縣), 조가현→아가현(雅歌縣), 야왕현→평야현(平野縣)
후한 하내군(18성 159,770호 801,558구): 회현, 하양현, 지현, 파현, 심수현, 야왕현, 온현, 주현, 평고현, 산양읍, 무덕현, 획가국, 수무현, 공현, 급현, 조가현, 탕음현, 임려현
서진 하내군(9현 52,000호): 야왕현, 주현, 회현, 평고현, 하양현, 심수현, 지현, 산양국, 온현
급군(6현 37,000호): 급현, 조가현, 공현, 임려현, 획가현, 수무현 }}}}}}}}}
  • 회현(懷縣): 하내군 치소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5.09044, 113.32951》 허난성 자오쭤시 우즈현 양청향 투청촌(河南省焦作市武陟县阳城乡土城村)
  • 하양현(河陽縣)
    • 지명: 하옹현(河雍縣)→[진]하양현
    • 소속: 삼천군→[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4.92004, 112.59557》 허난성 자오쭤시 멍저우시 지리구 지리향 둥양촌(河南省焦作市孟州市吉利区吉利乡东杨村)
  • 지현(軹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5.04504, 112.58481》 허난성 지위안시 즈청진 시탄신촌(河南省济源市轵城镇西滩新村)
    • 지관(軹關): 《35.09600, 112.50450》
    • 기관(箕關): 《35.11513, 112.34061》
  • 온현(溫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4.91056, 112.95068》 허난성 자오쭤시 원현 자오시안향 구청촌(河南省焦作市温县招贤乡古城村)
    • 봉작
  • 주현(州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5.03095, 113.14046》 허난성 자오쭤시 원현 우더진(河南省焦作市温县武德镇)
  • 평고현(平皐縣·平睾縣)
    • 지명: 형구(邢丘)→[진]형구현(邢丘縣)→[한]평고현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4.95191, 113.18050》 허난성 자오쭤시 원현 자오바오진 베이핑가오촌(河南省焦作市温县赵堡镇北平皋村)
  • 산양국(山陽國)
    • 지명: [전한]산양현(山陽縣)→[후한]산양읍(山陽邑)→[220]산양국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5.24854, 113.30096》 허난성 자오쭤시 산양구(河南省焦作市山阳区)
    • 봉작
    • 탁록성(濁鹿城): 《35.32573, 113.46142》
      산양공에게 실제 수여된 탕목읍(湯沐邑)이다. 헌제의 무덤인 선릉(禪陵·《35.36360, 113.43572》)도 그 인근에 있다.
    • 사견취(射犬聚): 《35.17750, 113.34170》
  • 무덕현(武德縣): 서진 폐지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서진]폐지
    • 위치: 《35.06432, 113.44887》 허난성 자오쭤시 우즈현 무롼가도 다이청촌(河南省焦作市武陟县木栾街道大城村)
    • 봉작
  • 파현(波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사례교위부 하내군→[삼국]폐지
    • 위치: 《35.04200, 112.71825》 허난성 지위안시 리린진 페이청촌(河南省济源市梨林镇裴城村)

3.1. 야왕군(野王郡)

둔전 시행 때 전농중랑장이 관할하던 구역으로 260년 시점에선 야왕전농중랑장부(野王典農中郞將部)가 정식 명칭이나, 당대에도 사실상 야왕군으로 통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264년에 둔전제가 폐지되면서 정식으로 야왕군으로 승격했으나, 서진 때인 265년에 폐지되어 하내군에 합병되었다.
  • 야왕현(野王縣): 야왕전농중랑장-야왕군 치소
    • 지명: [전한]야왕현(壄王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264]야왕군→[265]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5.08930, 112.93699》 허난성 자오쭤시 친양시(河南省焦作市沁阳市)
    • 봉작
  • 심수현(沁水縣)
    • 소속: [한]사례교위부 하내군→[264]야왕군→[265]하내군→[서진]사주 하내군
    • 위치: 《35.13372, 112.72716》 허난성 지위안시 우룽커우진 화촌(河南省济源市五龙口镇化村)
    • 석문(石門): 《35.11810, 112.69730》

3.2. 급군(汲郡)

223년 무렵에 기주 위군 조가현·임려현과 하내군 급현·획가현·수무현·공현을 분할해 조가군(朝歌郡)을 설치하고 기주에 소속하게 했으나, 226년 무렵 폐지되어 하내군에 합병되었다. 당시 조가군에 소속되었던 현들은 하내군 소속의 급군전농중랑장부(汲郡典農中郞將部)로 재편된 것으로 보이는데, 정식으로 군으로 분리된 것이 아님에도 이미 급군으로 쓰이고 있음이 확인된다. 둔전제가 폐지된 264년에 군(郡)으로 전환되지 못한 것을 보면 264년 이전에 전농관이 폐지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이나, 266년에 급군(汲郡)이 정식으로 분할되었다.
  • 조가현(朝歌縣): 조가군 치소
    • 지명: 매읍(沬邑)→조가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213]기주 위군→[223?]조가군→[226?]사례교위부 하내군→[266]급군→[서진]사주 급군
    • 위치: 《35.60645, 114.19437》 허난성 허비시 치현(河南省鹤壁市淇县)
  • 급현(汲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223?]기주 조가군→[226?]사례교위부 하내군→[266]급군→[서진]사주 급군
    • 위치: 《35.38237, 113.96857》 허난성 신샹시 신샹현 쑨싱춘진 지청이촌(河南省新乡市新乡县孙杏村镇汲城一村)
  • 임려현(林慮縣)
    • 지명: [진]융려현(隆慮縣)→[후한]임려현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213]기주 위군→[223?]조가군→[226?]사례교위부 하내군→[266]급군→[서진]사주 급군
    • 위치: 《36.06880, 113.81281》 허난성 안양시 린저우시(河南省安阳市林州市)
  • 획가현(獲嘉縣)
    • 지명: [후한]획가국(獲嘉國)→[157]획가현
    • 소속: [한]사례교위부 하내군→[223?]기주 조가군→[226?]사례교위부 하내군→[266]급군→[서진]사주 급군
    • 위치: 《35.18605, 113.78211》 허난성 신샹시 신샹현 샤오지진(河南省新乡市新乡县小冀镇)
  • 수무현(修武縣)
    • 지명: 남양성(南陽城), [전한]수무현(脩武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223?]기주 조가군→[226?]사례교위부 하내군→[266]급군→[서진]사주 급군
    • 위치: 《35.26813, 113.66022》 허난성 신샹시 훠자현(河南省新乡市获嘉县)
    • 수무(修武): 《35.27240, 113.72250》
      수무의 본읍. 수무현 치소가 위치한 남양성과 구분하기 위해 소수무(小修武)라고도 한다.
  • 공현(共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223?]기주 조가군→[226?]사례교위부 하내군→[266]급군→[서진]사주 급군
    • 위치: 《35.45868, 113.79414》 허난성 신샹시 후이셴시(河南省新乡市辉县市)

4. 하동군(河東郡)

둔전이 시행된 시기에는 전농중랑장(典農中郞將)이 임명되었다.
지명 하동군→[222]하동국(河東國)→[224]하동군
소속 진(秦)→[-89]사례교위부→[-4]경사→[9]보충신향→[23]사례교위부→[213]기주 위국(魏國)→[220]사례교위부→[263]진국(晉國)→[265]사례교위부→[서진]사주
치소 안읍현
분합 [247]평양군: 평양현·양현·임분현·피지현·강읍현·영안현·양릉현·북굴현·포자현·호섭현
설치 [삼국]호섭현
전출 [서진]확택현·단지현→평양군
출신 해현: 관우
문희현: 관구검 일족
양현: 서황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조림: 하동왕(222~224)
사마소: 진공(263~)→왕(264~26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하동군: 안읍현, 포판현, 분음현, 피지현, 임분현, 강현, 체현, 좌읍현, 평양현, 신양릉현, 호택현, 원현, 양현, 포자현, 북굴현, 의지현, 토군현, 풍현(風縣·연혁 미상), 지주현(底柱縣·연혁 미상)[7] 이외 미상
전한 하동군(24현 236,896호 962,912구): 안읍현, 대양현, 의지현, 해현, 포판현, 하북현, 좌읍현, 분음현, 문희현, 확택현, 단지현, 임분현, 원현, 피지현, 장수현, 평양현, 양릉현, 체현, 양현, 북굴현, 포자현, 강현, 호섭현, 기국
하동군→보충신향 조수군(兆隊郡)[8], 안읍현→하동현(河東縣), 대양현→근전현(勤田縣), 포판현→포성현(蒲城縣), 좌읍현→조정현(兆亭縣), 피지현→연평현(延平縣), 평양현→향평현(香平縣), 양릉현→간창현(幹昌縣), 체현→황성현(黃城縣), 양현→연정현(年亭縣), 북굴현→짐북현(朕北縣)
후한 하동군(20성 93,543호 570,803구): 안읍현, 양현, 평양국, 임분현, 분음현, 포판현, 대양현, 해현, 피지현, 문희읍, 강읍, 영안현, 하북현, 의지현, 동원현, 양릉현, 북굴현, 포자현, 확택국, 단지현
서진 하동군(9현 42,500호): 안읍현, 문희현, 동원현[9], 분양현, 대양현, 의지현, 해현, 포판현, 하북현 }}}}}}}}}
  • 안읍현(安邑縣): 하동군 치소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5.18027, 111.16012》 산시성 윈청시 샤현 위왕향(山西省运城市夏县禹王乡)
    • 봉작
  • 분양현(汾陽縣)
    • 지명: [진]분음현(汾陰縣)→[삼국]분양현(汾陽縣)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5.34609, 110.48199》 산시성 윈청시 완룽현 룽허진 먀오첸촌(山西省运城市万荣县荣河镇庙前村)
    • 봉작
      • 곽정(郭正): 분양자(264~)
      • 조○: 분음현공(265~)
  • 포판현(蒲坂縣)
    • 지명: [진]포판현(蒲反縣)→[후한]포판현(蒲坂縣)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4.83513, 110.33231》 산시성 윈청시 융지시 푸저우진(山西省运城市永济市蒲州镇)
    • 포판진(蒲坂津): 《34.84492, 110.29143》
  • 대양현(大陽縣)
    • 소속: [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4.81654, 111.18514》 산시성 윈청시 핑루현(山西省运城市平陆县)
  • 해현(解縣)
    • 소속: [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5.06910, 110.64342》 산시성 윈청시 린이현 먀오상향 청시촌(山西省运城市临猗县庙上乡城西村)
  • 문희현(聞喜縣)
    원래는 좌읍현이었으나 후한 때인 106년에 문희현과 통합되었다. 둔전 시행 때 현령 대신 농도위(農都尉)가 임명되었다.
    • 지명: [진]좌읍현(左邑縣)→[후한]문희읍(聞喜邑)→[168]문희국(聞喜國)→[168]문희현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5.35772, 111.21721》 산시성 윈청시 원시현(山西省运城市闻喜县)
    • 주양읍(周陽邑): 《35.46020, 111.50290》
  • 하북현(河北縣)
    • 소속: [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4.68539, 110.63691》 산시성 윈청시 루이청현 쉐장향(山西省运城市芮城县学张乡)
  • 의지현(猗氏縣)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5.05384, 110.77972》 산시성 윈청시 린이현 니우두진 톄지앙잉촌(山西省运城市临猗县牛杜镇铁匠营村) 의지고성(猗氏故城)
  • 동원현(東垣縣)
    • 지명: [진]원현(垣縣)→[후한]동원현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하동군
    • 위치: 《35.14897, 111.81263》 산시성 윈청시 위안취현 왕마오진 베이허촌(山西省运城市垣曲县王茅镇北河村)
  • 확택현(濩澤縣)
    '濩'은 '호'·'확'으로 읽을 수 있는데, 『설문해자』의 반절(反切) '胡郭'에 따라 '확'을 우선한다.
    • 지명: [후한]확택국(濩澤國)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5.52187, 112.27937》 산시성 진청시 양청현 구룽향(山西省晋城市阳城县固隆乡)
  • 단지현(端氏縣)
    • 소속: [진]상당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5.75734, 112.36669》 산시성 진청시 친수이현 정좡진 난랑촌(山西省晋城市沁水县郑庄镇南郎村)
  • 문희현(聞喜縣): 후한 폐지(106년 좌읍현에 합병)
    • 지명: 곡옥(曲沃)→[진]좌읍현 동향(桐鄕)→[-111]문희현
    • 위치: 《35.42612, 111.33392》 산시성 윈청시 원시현 허우춘향 런허촌(山西省运城市闻喜县侯村乡仁和村)
  • 장수현(長脩縣): 후한 폐지
    • 위치: 《35.65744, 111.08460》 산시성 윈청시 신장현 취안장진 취안장촌(山西省运城市新绛县泉掌镇泉掌村)
  • 기국(騏國): 후한 폐지
    • 위치: 《35.87358, 111.10152》 산시성 린펀시 샹닝현 관왕먀오향(山西省临汾市乡宁县关王庙乡)

5. 평양군(平陽郡)

247년에 하동군에서 분할되었다.
소속 [247]사례교위부 평양군→[263]진국(晉國)→[265]사례교위부→[서진]사주
치소 평양현
전입 [213]하동군 평양현·양현·임분현·피지현·강읍현·영안현·양릉현·북굴현·포자현·호섭현, [서진]하동군 확택현·단지현
봉작 사마소: 진공(263~)→왕(264~26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서진 평양군(12현 42,000호): 평양현, 양현, 단지현, 영안현, 포자현, 호섭현, 양릉현, 강읍현, 확택현, 임분현, 북굴현, 피지현 }}}}}}}}}
  • 평양현(平陽縣): 평양군 치소
    • 지명: [후한]평양국(平陽國)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6.05806, 111.41473》 산시성 린펀시 야오두구 진뎬진(山西省临汾市尧都区金殿镇)
    • 봉작
      • 장제: 평양후(192~196)
      • 조종(曹琮): 평양공(246~265?)
    • 서평성(西平城): 《36.11310, 111.35040》
  • 양현(楊縣)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6.22077, 111.71672》 산시성 린펀시 훙둥현 취팅진 판촌(山西省临汾市洪洞县曲亭镇范村)
    • 봉작
    • 고량읍(高梁邑)·고량정(高梁亭): 《36.09490, 111.63640》
  • 임분현(臨汾縣)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5.68586, 111.30286》 산시성 윈청시 신장현 룽싱진 시무짠촌(山西省运城市新绛县龙兴镇西木赞村)
    • 봉작
      • 조○: 임분현공(265~?)
  • 피지현(皮氏縣)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5.57609, 110.66239》 산시성 윈청시 허진시 양광향 융안촌(山西省运城市河津市阳光乡永安村)
    • 경향(耿鄕): 《35.54480, 110.74500》
  • 강읍현(絳邑縣)
    • 지명: [진]강현(絳縣)→[후한]강읍(絳邑)→[삼국]강읍현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5.62865, 111.43405》 산시성 린펀시 허우마시 펑청향(山西省临汾市侯马市凤城乡)
  • 영안현(永安縣)
    • 지명: [진]체현(彘縣)→[후한]영안현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6.56382, 111.72808》 산시성 린펀시 훠저우시(山西省临汾市霍州市)
    • 당성(唐城): 《36.55040, 111.69410》
  • 양릉현(襄陵縣)
    • 지명: [진]신양릉현(新襄陵縣)?→[전한]양릉현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6.00104, 111.57758》 산시성 린펀시 야오두구 지아더향 시시아좡촌(山西省临汾市尧都区贾得乡西下庄村)
    • 봉작
      • 조○: 양릉현공(265~?)
  • 북굴현(北屈縣)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6.18897, 110.68763》 산시성 린펀시 지현 처청향 쌍촌(山西省临汾市吉县车城乡桑村)
    • 채상진(采桑津): 《36.04380, 110.48410》
  • 포자현(蒲子縣)
    215년 이후 흉노남부(匈奴南部)에 소속된 남흉노 부락이 현 주변에 거주했다.
    • 소속: [진]하동군→[한]사례교위부 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6.68720, 110.94000》 산시성 린펀시 시현(山西省临汾市隰县)
  • 호섭현(狐讘縣): 삼국시대 중 재설치
    • 소속: [전한]사례교위부 하동군→[후한]폐지, [삼국]하동군→[247]평양군→[서진]사주 평양군
    • 위치: 《36.57517, 110.51746》 산시성 린펀시 융허현(山西省临汾市永和县) 서남부?

6. 홍농군(弘農郡)

둔전이 시행된 시기에는 이 지역에 낙양전농중랑장(洛陽典農中郞將)이 임명되었다.
지명 [-113]홍농군→[189]홍농국(弘農國)→[190]홍농군
소속 [-89]사례교위부→[-4]경사→[9]보충신향→[23]사례교위부→[213]옹주→[220]사례교위부→[263]진국(晉國)→[265]사례교위부→[서진]사주
치소 홍농현
낙양전농중랑장: 의양현 양시읍
전출 [266]노지현→상락군, [삼국]육혼현→하남윤, [서진]신안현→하남군
출신 화음현: 양표·양수 부자
봉작 유변: 홍농왕(189~199)
사마소: 진공(263~)→왕(264~26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한 홍농군(11현 118,091호 475,950구): 홍농현, 노지현, 섬현, 의양현, 면지현, 단수현, 신안현, 상현, 석현, 육혼현, 상락현
홍농군→보충신향 우수군(右隊郡), 노지현→창부현(昌富縣), 섬현→황미현(黃眉縣), 면지현→섬정현(陝亭縣), 석현→군정현(君亭縣)
후한 홍농군(9성 46,815호 909,113구): 홍농현, 섬현, 면지현, 신안현, 의양현, 육혼현, 노지현, 호현, 화음현
서진 홍농군(6현 14,000호): 홍농현, 호현, 섬현, 의양현, 면지현, 화음현 }}}}}}}}}
  • 홍농현(弘農縣): 홍농군 치소
    원래 진(秦)이 설치한 함곡관(函谷關)이었으나, 한무제가 홍농현으로 개편하면서 신안현에 새로운 함곡관을 설치하였다.(하남윤 곡성현 참조)
    • 소속: [한]사례교위부 홍농군→[서진]사주 홍농군
    • 위치: 《34.65502, 110.92898》 허난성 싼먼샤시 링바오시 한구관진 멍촌(河南省三门峡市灵宝市函谷关镇孟村)
    • 봉작
    • 두진(郖津): 《34.70380, 110.91669》
    • 조양정(曹陽亭): 《34.69540, 110.97930》
  • 섬현(陝縣)
    • 지명: 초성(焦城)
    • 소속: [진]삼천군→[한]사례교위부 홍농군→[서진]사주 홍농군
    • 위치: 《34.79180, 111.15139》 허난성 싼먼샤시 후빈구(河南省三门峡市湖滨区)
    • 섬진(陝津): 《34.78877, 111.14438》
  • 면지현(黽池縣)
    '黽'은 '민'·'맹'으로도 발음되므로 '민지현'으로 읽을 수도 있으나, 지명에 쓰일 때는 '면'으로 읽는다.
    • 소속: [진]삼천군→[한]사례교위부 홍농군→[서진]사주 홍농군
    • 위치: 190년에 현 치소를 여성(蠡城)으로 옮겼다.
      • ~190: 《34.76645, 111.71260》 허난성 싼먼샤시 몐츠현(河南省三门峡市渑池县) 서측
      • 190~: 《34.38139, 111.60287》 허난성 뤄양시 뤄닝현 청지아오향 우시촌(河南省洛阳市洛宁县城郊乡坞西村)
  • 신안현(新安縣)
    • 소속: [진]삼천군→[한]사례교위부 홍농군→[서진]사주 하남군
    • 위치: 《34.74057, 111.83010》 허난성 이마시(河南省义马市)
  • 의양현(宜陽縣)
    • 소속: [진]삼천군→[한]사례교위부 홍농군→[서진]사주 홍농군
    • 위치: 《34.74057, 111.83010》 허난성 싼먼샤시 이마시(河南省三门峡市义马市)
    • 양시읍(陽市邑): 《34.51200, 111.80620》
      둔전 시행 때 낙양전농중랑장의 치소였다.
    • 일천오(一泉塢)·우보읍(于父邑): 《34.46050, 111.85020》
  • 노지현(盧氏縣)
    • 소속: [진]삼천군→[한]사례교위부 홍농군→[266]상락군→[서진]사주 상락군
    • 위치: 《34.05261, 111.04092》 허난성 싼먼샤시 루스현(河南省三门峡市卢氏县)
  • 호현(湖縣)
    • 지명: [진]호현(胡縣)→[-140]호현(湖縣)
    • 소속: [진]관중→[전한]사례교위부 경조윤→[후한]홍농군→[서진]사주 홍농군
    • 위치: 《34.59143, 110.73206》 허난성 싼먼샤시 링바오시 시얀향 주지아잉촌(河南省三门峡市灵宝市西闫乡祝家营村)
    • 문향(閺鄕): 《34.58520, 110.43000》
  • 화음현(華陰縣)
    • 지명: 음진현(陰晉縣)→[-333]영진현(寧秦縣)→[-199]화음현
    • 소속: [진]관중→[전한]사례교위부 경조윤→[후한]홍농군→[서진]사주 홍농군
    • 위치: 《34.56770, 110.09560》 산시성 웨이난시 화인시(陝西省渭南市华阴市)
    • 동관(潼關): 《34.60591, 110.28510》
      입지상 후한 말에는 삼보(三輔)의 관문 역할을 한 곳으로, 마초관중제장이 여기에서 조조격돌했다.

7. 위군(魏郡)

둔전이 시행된 시기에는 전농중랑장(典農中郞將)이 임명되었다. 조비가 선양을 받은 이후, 220년에 사례교위를 재설치하면서 사례교위부에 소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221년에 위군을 분할해 새로 광평군·양평군이 설치되자 위군과 함께 '삼위(三魏)'로 통칭하였다.
소속 [한]기주자사부→[213]기주 위국(魏國)→[220?]사례교위부→[서진]사주
치소 업현
분합 [213]서부도위→[221]광평군: 곡량현·평은현·섭현·무안현·임현·남화현·광평현·척장현·곡주현·열인현·광년현·한단현·역양현·양국현·비향현
[213]동부도위→[221]양평군: 관도현·원성현·청연현·동무양현·발간현·낙평현·양평현
설치 [249?]안양현, [264]장락현
전입 [213]하내군 조가현·임려현·탕음현 및 거록군 임현·남화현·광평현·척장현·곡주현·열인현·광년현 및 조군 한단현·역양현·양국현 및 연주 동군 동무양현·발간현·낙평현·양평현·돈구현
전출 [223]조가현·임려현→조가군
폐지 [삼국]양기현
봉작 조조: 위공(213~216)→왕(216~22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한 위군(18현 212,849호 909,655구): 업현, 관도현, 척구현, 사현, 내황현, 청연현, 위현, 번양현, 원성현, 양기현, 여양현, 즉비국, 무시현, 감회국, 음안현, 평은국, 감구국, 무안현
위군위성군(魏城郡), 척구현→이구현(利丘縣), 위현→위성정현(魏城亭縣), 여양현→여증현(黎蒸縣), 즉비국→즉시현(卽是縣), 평은국→연평현(延平縣), 무안현→환안현(桓安縣)
후한 위군(15성 129,310호 695,606구): 업현, 번양현, 내황현, 위현, 원성현, 여양현, 음안읍, 관도현, 청연현, 평은현, 사국, 척구현, 무안현, 곡량국, 양기현
서진 위군(8현 40,700호): 업현, 장락현, 위현, 척구현, 안양현, 탕음현, 내황현, 여양현 }}}}}}}}}
  • 업현(鄴縣): 기주목(189~220?) 및 위군 치소
    업성이라고도 하며, 204년에 기주목에 취임한 이후 조조의 본거지가 되었다. 213~220년 동안 위국(魏國)의 수도로 쓰였다.
    • 소속: [진]한단군→[한]기주자사부 위군→[서진]사주 위군
    • 위치: 《36.27238, 114.41195》 허베이성 한단시 린장현 샹차이잉향 예전촌(河北省邯郸市临漳县香菜营乡邺镇村)
    • 봉작
    • 동작대(銅雀臺): 《36.27497, 114.39950》
    • 양평정(陽平亭)·평양성(平陽城): 《36.29066, 114.49239》
    • 오성(汙城): 《36.30170, 114.18950》
    • 무성(武城): 《36.27780, 114.31880》
    • 구후성(九侯城)·귀후성(鬼侯城): 《36.28132, 114.23141》
    • 남구(濫口): 《36.15599, 114.00242》
  • 번양현(繁陽縣)
    • 소속: [진]하내군→[한]기주자사부 위군→[서진]사주 돈구군
    • 위치: 《36.07414, 114.86162》 허난성 안양시 네이황현 추왕진(河南省安阳市内黄县楚旺镇)
    • 봉작
      • 조목(曹穆): 번양왕(228~229)
  • 내황현(內黃縣)
    • 소속: [진]하내군→[한]기주자사부 위군→[서진]사주 위군
    • 위치: 《35.98288, 114.66470》 허난성 안양시 탕인현 런구진 치옌구청촌(河南省安阳市汤阴县任固镇前故城村)
  • 위현(魏縣)
    • 소속: [진]한단군→[한]기주자사부 위군→[서진]사주 위군
    • 위치: 《36.26758, 115.12156》 허베이성 한단시 다밍현(河北省邯郸市大名县)
  • 여양현(黎陽縣)
    • 소속: [한]기주자사부 위군→[서진]사주 위군
    • 위치: 《35.68427, 114.59687》 허난성 허비시 쉰현 리양진(河南省鹤壁市浚县黎阳镇) 동측
  • 음안현(陰安縣)
    • 지명: [후한]음안읍(陰安邑)
    • 소속: [진]한단군→[한]기주자사부 위군→[서진]사주 돈구군
    • 위치: 《35.98888, 115.08187》 허난성 푸양시 칭펑현 구청향(河南省濮阳市清丰县古城乡)
  • 척구현(斥丘縣)
    • 지명: 건후읍(乾侯邑)→[전한]척구현
    • 소속: [한]기주자사부 위군→[서진]사주 위군
    • 위치: 《36.40456, 114.75715》 허베이성 한단시 청안현 바이쓰잉향 시아허퇀촌(河北省邯郸市成安县柏寺营乡下河疃村)
  • 탕음현(蕩陰縣)
    • 소속: [진]하내군→[한]사례교위부 하내군→[213]기주 위군→[서진]사주 위군
    • 위치: 《35.92552, 114.35269》 허난성 안양시 탕인현(河南省安阳市汤阴县)
  • 안양현(安陽縣): 전한 폐지→249년 무렵 재설치
    • 소속: [진]하내군→[전한]폐지, [249?]사례교위부 위군→[서진]사주 위군
    • 위치: 《36.09834, 114.34550》 허난성 안양시(河南省安陽市)
    • 위치: 《36.09981, 114.56477》 허난성 안양시 안양현 융허향(河南省安阳市安陽县永和乡)
  • 양기현(梁期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기주자사부 위군→[삼국]폐지
    • 위치: 《36.40314, 114.42727》 허베이성 한단시 한산구 가오위진(河北省邯郸市邯山区高臾镇) 남측
  • 장락현(長樂縣): 264년 설치
    • 소속: [264]사례교위부 위군→[서진]사주 위군
    • 봉작
      • 사마부: 장락공(264~265)
        『진서』 종실열전에선 사마부가 장락공에 책봉되었다고 나오나, 같은 책 지리지에선 264년에 안평군공(安平郡公)이 되었다고 나온다. 군공·군후는 서진이 건국된 이후에 책봉되었던 것을 감안하면, 아마도 지리지가 251년에 조방사마의를 안평군공으로 책봉하려 했으나 거절당하고 사마부가 265년에 안평군왕으로 책봉된 사실 등을 혼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 무시국(武始國): 후한 폐지
    • 지명: [진]무시현(武始縣)
    • 소속: [진]한단군→[전한]사례교위부 위군→[후한]폐지
    • 위치: 《36.42184, 114.21381》 허베이성 한단시 펑펑쾅구(河北省邯郸市峰峰矿区)
  • 감회국(邯會國): 후한 폐지
    • 위치: 《36.51992, 114.86787》 허베이성 한단시 페이샹구 위안구향(河北省邯郸市肥乡区元固乡)
  • 감구국(邯溝國): 후한 폐지
    • 위치: 《36.59868, 114.73946》 허베이성 한단시 페이샹구 신안전진 스좡촌(河北省邯郸市肥乡区辛安镇镇史庄村)

8. 광평군(廣平郡)

원래 기원전 144년에 설치된 군인데, 후한 때인 31년에 폐지되었다. 60년에 광평왕이 책봉되면서 다시 설치되었다가, 82년에 광평왕이 전봉(轉封)되면서 환원되었다. 221년에 위군서부도위부(魏郡西部都尉部)가 군으로 승격될 때 옛 지명에서 따와 광평군이 되었다.
지명 [-144]광평군→[전한]광평국(廣平國), [213]서부도위부(西部都尉部)→[221]광평군→[222]광평국→[223]광평군
소속 [전한]기주자사부→[31]거록군에 합병, [60]기주자사부→[82]거록군에 합병, [213]기주 위국(魏國) 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치소 [전한]광평현, [213]곡량현→[서진]광평현
전입 [213]위군 곡량현·평은현·섭현·무안현·임현·남화현·광평현·척장현·곡주현·열인현·광년현·한단현·역양현·양국현·비향현
설치 [221]비향현(한단현·열인현 분할), [222]임수현(무안현 분할)
폐지 [서진]곡주현
봉작 조엄(曹儼): 광평왕(222~2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한 광평국(16성 27,984호 198,558구): 광평현, 장현, 조평현, 남화현, 열인현, 척장현, 임현, 곡주현, 남곡현, 곡량국, 광향현, 평리현, 평향현, 양대국, 광년현, 성향현
광평국부창군(富昌郡)
서진 광평군(15현 35,200호): 광평현, 한단현, 역양현, 무안현, 섭현, 양국현, 남화현, 임현, 곡량현, 열인현, 비향현, 임수현, 광년현, 척장현, 평은현 }}}}}}}}}
  • 곡량현(曲梁縣): 위군서부도위-광평군 치소
    • 지명: [전한]곡량국(曲梁國)→[196]곡량현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70119, 114.72447》 허베이성 한단시 융녠구 광푸진(河北省邯郸市永年区广府镇)
  • 평은현(平恩縣)
    • 지명: [전한]평은국(平恩國)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70308, 115.07701》 허베이성 한단시 취저우현 허우춘진 시청멍촌(河北省邯郸市曲周县侯村镇西呈孟村)
  • 섭현(涉縣)
    • 지명: [진]섭현(涉縣)→[전한]사현(沙縣)→[후한]사국(沙國)→[190?]섭현
    • 소속: [진]상당군→[한]기주자사부 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56414, 113.67039》 허베이성 한단시 서현(河北省邯郸市涉县)
    • 모성(毛城): 《36.718898, 113.510833》
    • 서교읍(黍窖邑): 《36.36087, 113.88150》
  • 무안현(武安縣)
    • 소속: [진]한단군→[한]기주자사부 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63715, 113.95383》 허베이성 한단시 우안시 예타오진 마촌(河北省邯郸市武安市冶陶镇马村)
    • 봉작
  • 임현(任縣)
    • 소속: [진]거록군→[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거록군→[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7.11118, 114.71616》 허베이성 싱타이시 런현 구청향 허우다쑹촌(河北省邢台市任县固城乡后大宋村)
    • 원향(苑鄕): 《37.20170, 114.72940》
  • 남화현(南和縣)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거록군→[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99957, 114.68731》 허베이성 싱타이시 난허현(河北省邢台市南和县)
  • 광평현(廣平縣)
    • 소속: [진]한단군→[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거록군→[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83619, 114.93336》 허베이성 한단시 지쩌현 샤오자이진 멍관좡촌(河北省邯郸市鸡泽县小寨镇孟贯庄村)
  • 척장현(斥章縣)
    '斥漳縣'으로 표기된 사례가 있다.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거록군→[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73280, 114.94870》 허베이성 한단시 취저우현 바이자이진 쑤후자이촌(河北省邯郸市曲周县白寨镇苏胡寨村)
  • 곡주현(曲周縣): 서진 폐지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거록군→[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폐지
    • 위치: 《36.90960, 115.09149》 허베이성 한단시 추현 구청잉향 루좡촌(河北省邯郸市邱县古城营乡路庄村)
    • 상백(上白): 《36.90769, 115.35041》
  • 열인현(列人縣)
    둔전 시행 때 전농도위(典農都尉)가 운영되었다.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거록군→[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64355, 114.86673》 허베이성 한단시 페이샹구 위안구향 위안좡촌(河北省邯郸市肥乡区元固乡袁庄村)
  • 광년현(廣年縣)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광평국→[후한]거록군→[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79166, 114.64535》 허베이성 한단시 융녠구 지앙우향 상구촌(河北省邯郸市永年区讲武乡尚古村)
    • 봉작
      • 정희(程憘): 광년현후(264~)
      • 곽덕: 광안현공(廣安縣公·264~)
      • 주정: 광흥후(廣興侯·265 이후~)
  • 한단현(邯鄲縣)
    • 소속: [진]한단군→[한]기주자사부 조국→[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봉작
      • 조옹(曹邕): 한단왕(224~232)
        『삼국지』에는 조옹이 한단왕이 된 것이 황초 6년(225)으로 되어있으나, 왕의 식읍이 현 단위가 된 것이 224년의 일이므로 이를 정정하였다.
    • 위치: 《36.59348, 114.47204》 허베이성 한단시 푸싱구(河北省邯郸市复兴区)
  • 역양현(易陽縣)
    • 소속: [진]한단군→[한]기주자사부 조국→[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77038, 114.50987》 허베이성 한단시 융녠구 린밍관진 웨좡촌(河北省邯郸市永年区临洺关镇岳庄村)
  • 양국현(襄國縣)
    • 지명: 형(邢)→[진]신도현(信都縣)→[-206]양국현
    • 소속: [진]거록군→[한]기주자사부 조국→[213]위군→[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7.01094, 114.52393》 허베이성 싱타이시 왕콰이진 바이취안촌(河北省邢台市王快镇百泉村)
    • 저양(渚陽): 《37.11130, 114.52710》
  • 비향현(肥鄕縣): 후한 폐지→221년 재설치
    • 지명: [전한]즉비국(卽裴國·揤裴國)
    • 소속: [전한]기주자사부 위군→[후한]폐지, [221]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55014, 114.68638》 허베이성 한단시 페이샹구 다쓰상진 둥좡상촌(河北省邯郸市肥乡区大寺上镇东庄上村)
  • 임수현(臨水縣): 222년 설치
    • 소속: [222]사례교위부 광평군→[서진]사주 광평군
    • 위치: 《36.35904, 114.37424》 허베이성 한단시 치현(河北省邯郸市磁县)
  • 장현(張縣): 후한 폐지
    • 위치: 《37.09640, 114.62602》 허베이성 싱타이시 런현 런청진 허터우촌(河北省邢台市任县任城镇河头村)
  • 조평현(朝平縣): 후한 폐지
    • 위치: 《37.02201, 114.73460》 허베이성 싱타이시 난허현 허양진 양파이촌(河北省邢台市南和县和阳镇杨牌村)
  • 남곡현(南曲縣): 후한 폐지
    • 위치: 《36.83533, 115.16550》 허베이성 한단시 추현 신마터우진 류구촌(河北省邯郸市邱县新马头镇留固村)
  • 광향현(廣鄕縣): 후한 폐지
    • 위치: 《37.12474, 114.62705》 허베이성 싱타이시 샹두구 주춘진 둥쑨차이촌(河北省邢台市襄都区祝村镇东孙彩村)
  • 평리현(平利縣): 후한 폐지
  • 양대국(陽臺國): 후한 폐지
  • 성향현(城鄕縣): 후한 폐지

9. 양평군(陽平郡)

221년 위군동부도위부(魏郡東部都尉部)가 승격하면서 설치되었다.
지명 [213]동부도위부(東部都尉部)→[221]양평군
소속 [213]기주 위국(魏國) 위군→[221]사례교위부→[서진]사주
치소 관도현→[서진]원성현
돈구군: 돈구현
분합 [266]돈구군: 돈구현·위국 및 위군 번양현·음안현
전입 [213]위군 관도현·원성현·청연현·동무양현·발간현·낙평현·양평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서진 양평군(7현 51,000호): 원성현, 관도현, 청연현, 발간현, 동무양현, 양평현, 낙평현
돈구군(4현 6,300호): 돈구현, 번양현, 음안현, 위국 }}}}}}}}}
  • 관도현(館陶縣): 위군동부도위-양평군 치소
    관도대전의 그 관도(官渡)가 아니다.(하남윤 중모현 참조)
    • 소속: [한]기주자사부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서진]사주 양평군
    • 위치: 《36.52509, 115.31809》 허베이성 한단시 관타오현 둥고청진(河北省邯郸市馆陶县东古城镇)
    • 봉작
      • 조림: 관도왕(224~232)
        『삼국지』에는 조림이 관도왕이 된 것이 황초 6년(225)으로 되어있으나, 왕의 식읍이 현 단위가 된 것이 224년의 일이므로 이를 정정하였다.
  • 원성현(元城縣)
    • 소속: [한]기주자사부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서진]사주 양평군
    • 위치: 《36.33702, 115.29563》 허베이성 한단시 다밍현 훙먀오향 둥런좡촌(河北省邯郸市大名县红庙乡东任庄村)
    • 봉작
      • 조례(曹禮): 원성왕(224~232)
        『삼국지』에는 조례가 원성왕이 된 것이 황초 6년(225)으로 되어있으나, 왕의 식읍이 현 단위가 된 것이 224년의 일이므로 이를 정정하였다.
    • 쇄양성(瑣陽城): 《36.29750, 115.35240》
  • 청연현(淸淵縣)
    • 소속: [한]기주자사부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서진]사주 양평군
    • 위치: 《36.70026, 115.35797》 허베이성 한단시 관타오현 서우산쓰향 가오좡촌(河北省邯郸市馆陶县寿山寺乡高庄村)
  • 동무양현(東武陽縣)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213]기주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서진]사주 양평군
    • 위치: 《36.17192, 115.64565》 산둥성 랴오청시 선현 스바리푸진(山东省聊城市莘县十八里铺镇)
    • 봉작
      • 조감(曹鑒): 동무양왕(225)
  • 발간현(發干縣)
    • 소속: [한]연주자사부 동군→[213]기주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서진]사주 양평군
    • 위치: 《36.45839, 115.59058》 산둥성 랴오청시 관현 쌍아진 샤오인좡촌(山东省聊城市冠县桑阿镇小尹庄村)
  • 낙평현(樂平縣)
    • 지명: [전한]청현(淸縣)→[97]낙평국(樂平國)→[159]낙평현
    • 소속: [한]연주자사부 동군→[213]기주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서진]사주 양평군
    • 위치: 《36.41499, 115.80816》 산둥성 랴오청시 둥창푸구 장루지진 시마좡촌(山东省聊城市东昌府区张炉集镇细马庄村)
    • 봉작
  • 양평현(陽平縣)
    • 지명: [후한]양평국(陽平國)→[143]양평현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213]기주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서진]사주 양평군
    • 위치: 《36.23671, 115.66508》 산둥성 랴오청시 선현(山东省聊城市莘县)
    • 봉작
      • 서황: 양평후(220~?)
      • 조유(曹蕤): 양평왕(226~232)
    • 신정(莘亭): 《36.31960, 115.69280》

9.1. 돈구군(頓丘郡)

266년에 양평군 돈구현·위국과 위군 번양현·음안현을 분할해 설치했다.
  • 돈구현(頓丘縣): 돈구군 치소
    조조가 낙양북부위(洛陽北部尉) 역임 후 현령으로 부임한 곳이다.
    • 소속: [진]동군→[한]연주자사부 동군→[213]기주 위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266]돈구군→[서진]사주 돈구군
    • 위치: 《35.86877, 115.03650》 허난성 푸양시 칭펑현 구청향(河南省濮阳市清丰县固城乡)
  • 위국(衛國)
    • 지명: [전한]관현(觀縣)→[37]위국
    • 소속: [한]연주자사부 동군→[221]사례교위부 양평군→[266]돈구군→[서진]사주 돈구군
    • 위치: 《35.88519, 115.11117》 허난성 푸양시 칭펑현(河南省濮阳市清丰县)
    • 봉작
      • 희○: 위공(37~)
        이왕삼각에 따른 예우를 받는 왕조의 후예인 위공(衛公)의 식읍이다. 후한 초기에 주승휴공(周承休公)에서 전봉(轉封)되었다.

10. 같이보기

파일:실제 지도 후한 13주.png

[1] 사례교위는 본래 중앙관이기 때문에 수도에서 근무했다. 조조가 종요를 사례교위로 임명한 뒤로 사례교위가 폐지될 때까지 계속 장안현에 주둔시켰다.[2] 왕망이 태수를 대윤(大尹)으로 고쳤는데, 옛 삼보 지역은 6개의 위군(尉郡)으로 나눠 각각 대부(大夫)를 임명했고 이를 경조대윤(京兆大尹)이 관할하게 했다. 하남대윤(河南大尹)은 보충신경(保忠信卿)으로 고치고 그 관할구역을 보충신향(保忠信鄕)이라고 불렀는데, 삼하와 홍농군·영천군·남양군을 6개의 수군(隊郡)으로 개편하여 각각 대부를 임명해 보충신경의 관할을 받게 했다. 모두 신나라가 망하면서 환원되었다.[3] 경조윤·좌빙익·우부풍·홍농군·한흥군(한안군)·신평군→옹주, 하남윤→예주, 하내군·하동군→기주 위국(魏國)[4] 예주 하남윤, 기주 하내군·하동군, 옹주 홍농군. 경조군·빙익군·부풍군·신평군은 옹주에 남았고, 기존 한흥군은 폐지되어 부풍군에 합병되었다.[5] 후한 때까지 사례교위부는 원래 경조윤·우부풍·좌빙익·홍농군·하남군·하내군·하동군 총 7곳이었다. 이중 경조윤·우부풍·좌빙익은 원래 삼보(三輔)로 통칭하는 관직인데, 삼보는 이들의 관할구역을 가리키는 지명으로도 쓰였다. 『진서』 지리지에는 당시 삼보가 사례교위부에 소속되고 위군 등은 서진 때 사주(司州)로 이속했다고 쓰여있으나, 실제론 이때 삼보는 옹주에 소속되었다. 또한 위 왕조의 핵심 지역을 서진이 특별히 수도권 개념으로 통하는 사주로 편성할 이유는 없으며, 위나라 때 기주목의 치소가 위군 업현에서 이전했다. 따라서 해당 기록은 오류로 판단되며, 사례교위가 복구될 때 삼보 대신에 위군이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6] 흔히 '호로관'으로 읽히고 있지만, 사실 잘못된 독음이다.[7] 정황상 대양현의 전신으로 보이나 명확하지 않다.[8] 『한서』 지리지에는 조양군(兆陽郡)으로 오기(誤記)되었다.[9] 『진서』 지리지에는 전한 이전 이름인 원현으로 표기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