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5:08:24

안성시/행정

안성1동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안성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205b>
파일:안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도읍
{{{#!wiki style="margin: -16px -11px"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미양면
대덕면 양성면 원곡면 고삼면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
법정동
가사동 가현동 구포동 낙원동 동본동
명륜동 발화동 봉남동
시청
봉산동
성남동
숭인동 영동 옥천동 창전동 현수동
계동 도기동 서인동 석정동 신흥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아양동 옥산동 인지동 중리동 }}}
금산동 금석동 당왕동 대천동 사곡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건지동 신모산동 신소현동 연지동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seong-map.png

1. 동
1.1. 안성1동1.2. 안성2동1.3. 안성3동
2. 읍3. 면
3.1. 금광면3.2. 대덕면3.3. 보개면3.4. 미양면3.5. 서운면3.6. 양성면3.7. 원곡면3.8. 삼죽면3.9. 일죽면3.10. 죽산면3.11. 고삼면

1.

34개의 법정동'이 있어 안성1동, 안성2동,안성3동'으로 나뉜다.

1.1. 안성1동

관할 법정동은 가사동·가현동·구포동·낙원동·동본동·명륜동·발화동·봉남동·봉산동·성남동·숭인동·연지동(일부)·영동·옥천동·창전동·현수동이다. 인구는 11,802명.[A] 이 중에서 가사동·가현동은 1997년 보개면에서 편입한 곳이다.

안성시내 동쪽과 동북쪽, 동남쪽 일대를 깡그리 합쳐서 부른다. 안성1동사무소와 안성2동사무소가 예전엔 붙어 있었으나, 지금은 안성2동사무소가 보건소 신축한 곳으로 이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이전, 현재 자리에는 안성1동 주민센터만 존재한다.[2] 가사동에 안성종합버스터미널, 구포동에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 낙원동에 안성시노인복지관, 명륜동에 안성향교, 봉산동에 안성시청, 현수동에 안성맞춤아트홀, 안성시장애인복지관이 있다. 학교는 안성초, 명륜여중, 안성여중, 가온고, 안법고가 있다.

안성 동 지구 중 가장 쇠퇴하긴 했지만 현재 수도권 내륙선안성역 후보지가 가사동, 현수동으로 점쳐지고 있기에 확정되면 역 주변 개발 호황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1.2. 안성2동

관할 법정동은 계동·도기동·서인동·석정동·신흥동·아양동·옥산동·인지동·중리동이다. 인구는 26,165명[A]으로 안성시의 행정동들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안성 중심가와 남쪽, 남서쪽 일대이다. 물론 완전한 시내가 아니고 광신사거리(서인사거리) 기준으로 남쪽은 2동이다. 이곳의 동사무소는 크고 아름답다. 과거 안성선의 종착역인 안성역이 석정동에 위치해 있었다. 안성소방서, 안성경찰서, 안성우체국, 안성시보건소, 한경국립대학교, 이마트 안성점, 중앙시장, 안성맞춤시장이 있다. 중리동에는 미양면과 서운면 산단의 배후 거주단지가 있다. 학교는 내혜홀초, 백성초가 있다. 현재 석정동, 옥산동, 아양동 일대가 아양지구로 개발되어 사실상 상업 중심지로 도약 중에 있고 최초로 CGV까지 입점한 것 때문에 거의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1.3. 안성3동

관할 법정동은 금산동·금석동·당왕동·대천동·사곡동·신건지동·신모산동·신소현동·연지동(일부)이다. 인구는 22,080명.[A] 이 중에서 신건지동·신모산동·신소현동은 1997년 대덕면에서 편입한 곳이다. 전부가 아닌 일부만 편입했기 때문에 앞에 신(新)을 붙였다. 광신사거리(서인사거리) 기준으로 북쪽일대와 서쪽일대이다.

안성3동은 비교적 아파트단지들이 많은 편이고 인근에 공단도 있다. 이 공단에서 안성탕면이 생산되고 있다(농심그룹). 당왕동에는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이 있는데, 안성시에선 가장 규모가 큰 종합병원으로 본래는 안성3동 주민센터 옆에 있었으나 2018년 4월에 확장 이전했다. 옛 부지는 체육센터 건립이나 행복주택 개발사업 등의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학교는 비룡초, 비룡중, 안성중, 안청중, 안성고, 안성여고가 있다. 현재 당왕지구 개발 중에 있으나 아파트만 들어오는 걸 보면 주거 중심으로 방향을 잡은 듯 하다.

2.

2.1. 공도읍

읍소재지는 만정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5] 인구는 61,350명[A]으로 안성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2001년 으로 승격되었다.

공도읍 인구가 안성 인구의 약 1/3 수준인 6만 명 대로 한때 안성시내보다 공도읍 인구가 많았으나, 2021년 들어 안성시내도 택지개발이 많이 이루어지면서 2022년 12월 기준 공도읍 인구가 59,930명, 안성1,2,3동(구 안성읍) 합쳐서 60,420명으로 시내지역의 인구가 공도읍 인구를 넘어섰다가, 2023년 들어 다시 공도읍 인구가 역전하였다.2024년 6월 공도읍 인구는 6만3천명이 넘는다.[7]

신두리에는 경기도 관광명소 안성팜랜드가 있다. 진사리에는 스타필드 안성이 있어 38번 국도의 정체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양기리에는 롯데마트 안성점이 있다. 마정리에는 전원주택단지로 조성된 일명 대림동산이 있다. 학교는 공도초, 만정초, 문기초, 양진초, 용머리초, 공도중, 만정중, 양진중, 경기창조고가 있고 인구 증가로 공도고등학교 신설을 추진중이다. 또한 . 스타필드, 안성팜랜드, 롯데마트가 있다.

3.

3.1. 금광면

면소재지는 내우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8] 인구는 7,341명.[A]

금광저수지는 매번 FTV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으며, 인데 불구하고 18개 동 1,719세대 규모의 홍익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이 지역을 다니는 버스의 번호는 주로 2번과의 연계가 많은 편이며[10], 이 중 금광면소재지로 가는 것은 총 19회 운행한다. 학교는 개산초, 금광초가 있다.

금광호수로 인하여 낚시 및 박두진 둘레길로 관광객이
많다.

천년고찰인 석남사가 있다.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안성금광IC가 개통 예정이다.

3.2. 대덕면

면소재지는 건지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11] 인구는 15,207명.[A] 향후 원곡,보개와 함께 읍으로 승격될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13]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로 설명 끝. 중앙대학교에 살고, 중앙대학교에 온다는 말로 함축할 수 있다. 안성의 중간에 위치해 있고, 여기도 공도읍과 안성시내 사이에서 나름의 지위가 확실한 곳으로 안성1~3동과 공도읍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빗자루질로 유명한 50번70번 버스도 대덕면을 관통하지만 중앙대 인근과 면소재지 지역만 쓰리슬쩍 훑고 지나가서 그 이외 지역은 교통이 좋지 못하고, 면소재지나 전통적인 마을들이 중앙대 후문 지역보다 발달하지 못한 그야말로 기형적인 지역. 안성종합터미널과 공도읍내 정류장 세 곳과 더불어서 중앙대학교 정문 버스정류장이 유일하게 고속·직행버스가 꾸준히 정차하는 곳이다.[14] 보통 버스는 1번과 연계된 버스가 주로 다니는데, 역시 교통이 좋은 편이다보니 지역별로 다른 버스도 자주 다니는 편이다. 강남역으로 가는 광역버스가 개통'되었는데 중앙대에서 정차(탑승 및 하차)가 가능하다.

학교는 광덕초, 대덕초, 명덕초, 어울초가 있다.

영화배우 김수로안성시 대덕면 출신이다.

여담으로, 대전광역시 대덕구와는 대덕이 '大德'으로 한자가 같다.

3.3. 보개면

면소재지는 불현리, 관할 법정리는 19개이다.[15] 인구는 5,110명.[A]
하지만 국가반도체 소부장특화단지에 보개면이 지정되되었고 서울세종간 고속도로의 안성맞춤IC도 보개면에 설치되었다. 앞으로 보개면은 소부장특화단지를 비롯하여 안성맞춤 IC그리고 미니신도시가 들어올 예정이라 엄청난 발전을 예상한다. 추가로 향후 보개면의 동신리가 안성 1동으로 편입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죽산에서 안성시내로 들어가는 관문으로 안성종합운동장이 있다. 안성종합버스터미널이 바로 옆 가사동(그나마도 안성시 승격할 때까지는 보개면 관할)으로 옮겨오면서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상삼리에 구원파/기독교복음침례회의 본거지인 금수원이 있다. 보개농협과 보개우체국은 다 가사동에 위치해 있다. 참고로 보개면소재지에서 안성종합버스터미널로 시내에서의 환승 없이 바로 가는 버스가 아예 없다.[17] 보개면소재지에서 가장 자주 오는 버스는 안성시내와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을 잇는 15번 버스이다. 복평리에는 안성맞춤랜드, 북가현리에는 안성추모공원, 신장리에는 너리굴문화마을이 있다. 학교는 동신초, 보개초가 있다.

학교는 명문 국제학교'인 베일러 국제학교가 있다.

3.4. 미양면

면소재지는 양지리, 관할 법정리는 18개이다.[18] 인구는 5,533명.[A]

안성시에서 비교적 드넓은 평야지대를 볼 수 있는 곳이다. 현재는 폐선되었지만 미양면 역전리에 미양역, 고지리에 고지역이 있었다. 거봉포도와 샤인머스캣을 재배하는 포도 농가가 많고, 한우 축사도 볼 수 있다. 미양면사무소가 있는 동쪽과 공단이 있는 서쪽으로 나뉘는데, 동서의 편차가 큰 편이다. 안성시 '안성마춤쌀' 브랜드는 이 곳 아니면 보개면에서 생산한다.

이렇게만 서술하면 농업으로만 유명한 것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안성시의 세수 부담을 상당히 덜어주는 동네. 농심 공장으로도 알려진 미양면의 안성시 제2공단의 규모는 안성시에서 가장 크고 서부 지역의 아파트 단지도 꽤 규모가 있는 편. 제4공단도 있으며[20], 리더스코스메틱의 유일한 공장도 여기에 있다. 학교는 개정초, 미양초, 보체초, 두원공고가 있다.

이곳을 지나는 시내버스는 보통 숫자 10과 연계되고, 제2공단 쪽은 숫자 5와 연계된다. 23번 지방도를 통해 천안시 입장면에 접하고 천안시 시내버스 201번이 천안역까지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70번 지방도를 통해 천안시 성환읍에 접하며 안성 10-1번이 천안시 성환버스터미널까지 하루 3회 운행했다가 폐선되었다.

고속도로는 남안성IC가 있다.

3.5. 서운면

면소재지는 인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21] 인구는 3,081명.[A]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서운IC가 개통되며, 제5산단이 조성되는 곳이다.

서운산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포도밭들이 무수히 존재하며, 포도 농사로 부농한 사람들이 돈을 들여 서운중학교라는 사립 중학교까지 만들 정도였다(2014년 현재 서운중학교 학생 수는 약 130명으로 여전히 학생 수가 적다). 한국에서 최초로 포도가 재배된 안성시의 포도는 대부분 서운면에서 재배가 된다. 또한 안성 제4공단이 있어서 제2공단이 있는 미양면과 함께 공업을 담당한다. 학교는 서운초, 신평초, 현매초, 서운중이 있다.

청용리의 남사당의 근원지이자.바우덕이의 역사를 느낄 수 있으며,청용호수에서는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서울세종간 고속도로가 서운IC가 개통되면 서운면의 발전도 기대가 된다.
서운면은 세계최고 규모의 사계절 돔 스키장이 지어질 곳이 였지만 주민 반대로 인하여 건설이 되지 못했지만
앞으로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개통의 기대되는 곳 중 한 곳이다.

이곳을 지나는 시내버스는 보통 숫자 20과 연계된다. 57번 지방도를 통해 천안시 입장면 도림리에 접하고 있으나 천안시 버스는 운행되지 않고 안성버스 20번이 도림리를 경유하여 하루 10회 실질적 월경지인 청룡리 청룡사입구까지 운행되고 있다. 또한 진천군 진천읍에서 엽돈재를 넘어 입장까지 1일 2회 운행하는 진천군 버스가 청룡리 입구를 경유한다.

경기도의 최남단 지역이기도 하다. 반대(최북단)의 지역은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23] 직선거리로 150km. 일반교통(자동차)으로 최단거리 168km의 후덜덜한 거리다.

3.6. 양성면

면소재지는 동항리, 관할 법정리는 18개이다.[24] 인구는 5,131명.[A]

일제강점기가 오기 전까지 아예 양성군으로 존재했던 지역이고, 1980년대까지는 죽산면의 뒤를 이은 탑 3에 꼽히던 동네였다. 안성에서도 기후가 좋고 산과 평지가 적절히 조화를 이룬 지역이라 살기가 좋았으며, 45번 국도가 양성면을 지나가기 때문에 평택과 용인을 오가기 좋은 위치이다. 하지만 문제는 양성면은 철도가 지나가지 않았으며, 경기도경인선경부선이 지나고 경인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가 통하는 서남해안 일대를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그래서 양성면을 비롯한 안성시는 이제 경기도의 외곽 지자체들처럼 경제적으로도 많이 힘들어지게 되었고, 양성면도 안성시의 여러 읍면 지역들처럼 발전이 정체되었다.

면소재지 바로 옆에 고성산 등의 걸출한 산이 있는지라 교통에도 문제가 있다. 공도읍과 상권이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90년대 말에 지역 단위 농협 통합 등의 경제권 개편 논의가 있었지만, 양성 쪽 토호들이 반대하는 바람에 무산되었다. 안성시 공도농협과 평택시 원곡농협이 합병했다는 언급을 앞에서 했었는데 아마 이걸 말하는 듯 싶다.

미산리에서 tvN에서 방영한 풀 뜯어먹는 소리라는 예능을 촬영했다. 미산리에 미리내 성지가 있다. 학교는 미곡초, 양성초, 양성중이 있다.

양성의 약수터식당 곱창 전골, 창진산장휴게소가 유명하다고 한다.

고속도로는 서안성IC가 있다.

여러 버스가 다니지만, 가장 많이 다니는 버스는 안성 시내와 용인 시내를 잇는 용인 버스 22-1로 50분 간격으로 22회 운행하며, 그 다음으로 자주 다니는 건 공도에서 양성을 이어주는 7번 계열 버스[26]들이 총 20회 운행한다. 그 이외에도 양성면 난실리[27]를 거쳐 미산리 미리내 성지로 향하는 60번 버스도 7회 운행한다.

3.7. 원곡면

면소재지는 외가천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28] 양성면 이서지역, 그리고 공도읍 북서쪽에 위치한 동네. 인구는 6,495명.[A] [30]

서안성IC와 송탄IC가 원곡면에 위치해 있다.[31]

고속도로가 2개나 지나가며(경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시와 매우 가까워서 안성으로 가는 것보다 평택으로 가는 게 훨씬 편한 동네.[32] 애초에 원곡면에서 가장 자주 다니는 버스도 평택으로 가는 8번 버스다. 그럴 만도 한 게, 1983년 2월 15일 평택군 평택읍으로 편입되어 나간 용이리, 월곡리, 죽백리, 청룡리가 원래 원곡면 소속이었던 행정구역들이다.[33] 화성시에 있는 동탄신도시도 멀지는 않은데, 교통편이 엄청 불편하다. 오산시도 가까운 편이다. 특히 성은리와 성주리는 용인시 남사읍이나 마찬가지인 동네이며 버스도 남사를 거쳐 오산으로 가는 평택 버스 11이 가장 많이 다닌다.

평택시에 편입된 용이리, 월곡리, 죽백리, 청룡리 권역이 한두 평도 아니고 15㎢의 알짜배기 땅들인데 대부분 평지에 큰 도로와 인접한 곳이다. 용이동은 인구가 많아 아예 단독 행정동으로 분리되었고, 죽백동도 아파트가 넘쳐난다. 반면 안성에 남은 지역은 산지가 많아 개발하기 어렵고 아예 시 경계선 바로 옆에 면소재지가 위치한 형태였지만, 2024년 원곡면 행정복지센터가 신축이전하였고, 송탄취수장이 해제되면서 앞으로 발전이 주목된다.

고성산, 칠곡호수 등)이 있어 인근지역 시민들이 많이 찾는다. 칠곡호수 주변에는 호수변을 따라 카페와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있어 주말에는 나들이객들로 북적인다.

외가천리에 제일건설의 원곡 오투그란데가 2018년 7월 입주했다.

반제리()는 반제저수지, 반제낚시터[34]가 있는곳. 저수지 수변으로 창고지와 소소한 음식점들이 있다.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가 있다.

쿠팡 안성 5, 6, 7물류센터가 있다.

3.8. 삼죽면

면소재지는 내강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35] 인구는 3,739명.[A] 실질적인 면소재지는 용월리와 덕산리에 걸쳐 있다.

진촌리에 동아방송예술대학이 있다. 학교는 마전초, 삼죽초가 있다.

3.9. 일죽면

면소재지는 송천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37] 인구는 7,279명.[A]

면소재지가 꽤 크며, 중부고속도로 일죽IC, 일죽터미널이 있다. 학교는 방초초, 일죽초, 죽화초, 일죽중, 일죽고가 있다.

노성산이 일죽에 자리하고 있다.

고속도로는 일죽IC가 있다.

3.10. 죽산면

면소재지는 죽산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39] 인구는 6,834명.[A] 이 중 지리적으로 당목리·두교리·칠장리는 금강 수계이다.

천년고찰인 칠장사가 있고, 죽주산성이 있다.

舊 죽산군의 중심지로 죽산향교 등이 남아 있다. 장원리에 두원공과대학이 있다. 경일여객서류상 본거지인 죽산터미널이 있다. 학교는 죽산초, 죽산중, 죽산고가 있으며,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한 학교인 한겨레중/고등학교가 칠장리에 있다.

3.11. 고삼면

면소재지는 가유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41] 인구는 1,887명.[A] 안성에서 제일 낙후된 곳이지만 서울세종간 고속도로의 비우덕이IC가 개통되면 앞으로 얼마나 발전된지 기대가 되는 곳이다.[43]

원곡면만큼이나 동떨어져 있는 지역인데다가 주변이 죄다 산인 지역. 그나마 원곡은 평택으로의 교통은 편하지만 고삼은 면소재지가 분지에 위치해 있어서 아무리 잘 봐줘도 교통이 편하다고 할 수 없는 지역이다. 그나마 자동차전용도로인 안성대로가 면소재지 바로 옆에 있어서 엄청 불편한 정도까지는 아니다. 이곳의 랜드마크라면 고삼저수지. 경기도에서 두 번째로 큰 담수호이다. 자연환경은 좋지만 가장 외진 지역이다보니 관광이 힘들다는 문제가 있어서 낚시꾼들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 지역. 학교는 고삼초 하나 뿐이다.

이 지역을 다니는 버스는 보통 50번과 연계가 많은데 시내버스 50번, 50-9번안성시 시내버스 50번은 -1,-2 등이 있다.


[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2] 옛 안성군청이 있던 곳이며, 최근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A] [A] [5] 건천리·마정리·만정리·불당리·승두리·신두리·양기리·용두리·웅교리·중복리·진사리[A] [7] 공도 소사리 인구를 합산하면 2024년 6월 기주 공도읍의 인구는 8만명'이다.[8] 개산리·금광리·내우리·사흥리·삼흥리·상중리·석하리·신양복리·오산리·오흥리·옥정리·장죽리·한운리·현곡리[A] [10] 예외적으로 2-2번 버스는 홍익아파트 부분만 금광면이고 종합운동장부터 동신초 정류장까지는 보개면을 경유한다.[11] 건지리·내리·대농리·명당리·모산리·무능리·보동리·삼한리·소내리·소현리·신령리·죽리·진현리·토현리[A] [13] 인구2만명이 넘으면 읍으로 승격 조건이 갖춰진다.[14] 한때 버스정류소 안내방송에 신령리.내리사거리로 방송한적이 있는데 신령리는 내리와 붙어있기 때문 중앙대 건너 롯데캐슬아파트도 신령리 소재이다.[15] 가율리·곡천리·구사리·기좌리·남풍리·내방리·동신리·동평리·복평리·북가현리·북좌리·불현리·상삼리·신안리·신장리·양복리·오두리·이전리·적가리[A] [17] 예외적으로 내방리와 상삼리쪽은 바로 가는게 가능하다.[18] 갈전리·강덕리·개정리·계륵리·고지리·구례리·구수리·마산리·법전리·보체리·신계리·신기리·양변리·양지리·용두리·정동리·진촌리·후평리[A] [20] 1단계 구간이 가동되었고, 나머지도 가동이 예정되어 있거나 준비 중이다. 참고로 제4공단은 서운면과 여기에 접해 있다.[21] 동촌리·북산리·산평리·송산리·송정리·신기리·신능리·신촌리·신흥리·양촌리·오촌리·인리·청용리·현매리[A] [23] 옛 경기도 삭녕군 지역이다.[24] 구장리·난실리·노곡리·덕봉리·도곡리·동항리·명목리·미산리·방신리·방축리·산정리·삼암리·석화리·이현리·장서리·조일리·추곡리·필산리[A] [26] 송정아파트로 가는 7-1번, 신용정으로 가는 7-3번, 공도읍을 순환하는 7-8번 제외.[27] 22-1번 버스가 서는 정류소랑 완전 다른점을 유의해야 한다. 22-1번 버스에 정차하는 난실리 정류장은 용인시 이동읍 어비리 평온의숲 경계에 있는 구간이다.[28] 내가천리·반제리·산하리·성은리·성주리·외가천리·지문리·칠곡리[A] [30] 원곡의 일원인 용이,죽백,청룡,월곡의 인구를 합산하면 원곡의 인구는 2024년 6만명이 넘는다.[31] 서안성IC는 반제리와 칠곡리에 걸쳐 있고,송탄IC는 내가천리에 위치해 있다.안성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터체인지를 보유하고 있으며,향후 송탄IC는 북안성IC또는 원곡IC로 변경되어야 한다.[32] 직선거리상으로도 평택이 압도적으로 가까운데, 지형마저 안성방면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평택시 방면은 평지로 뚫려있다.[33] 같은 날 공도면 소사리도 평택시에 편입되었다.[34] 떡붕어, 토종붕어 포인트, 평일낮낚시 입어료 1만원이고 주말엔 입어료 2만원[35] 기솔리·내강리·내장리·덕산리·마전리·미장리·배태리·용월리·율곡리·진촌리[A] [37] 가리·고은리·금산리·능국리·당촌리·방초리·산북리·송천리·신흥리·월정리·장암리·주천리·죽림리·화곡리·화봉리[A] [39] 당목리·두교리·두현리·매산리·용설리·장계리·장능리·장원리·죽산리·칠장리[A] [41] 가유리·대갈리·봉산리·삼온리·신창리·쌍지리·월향리[A] [43] 바우덕이 휴게소가 완공되면 전국에서 가장 크고 화려한 휴게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