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히메현 마츠야마시에 있는 동명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오테마치역(에히메) 문서 참고하십시오.
[ruby(大, ruby=おお)][ruby(手, ruby=て)][ruby(町, ruby=まち)]駅 (サンケイ[ruby(前, ruby=まえ)] / [ruby(読売新聞社前, ruby=よみうりしんぶんしゃまえ)])
Otemachi Station (Sankei-mae / Yomiuri Shimbunsha-mae)
도쿄메트로 오테마치역 (산케이마에) [산케이앞] | |||||
오기쿠보 방면 도 쿄← 0.6 km | 마루노우치선 (M-18) | 이케부쿠로 방면 아와지초0.9 km → | |||
◀ 호난초 지선 직통 | |||||
도쿄메트로 오테마치역 | |||||
나카노 방면 타케바시← 1.0 km | 도자이선 (T-09) | 니시후나바시 방면 니혼바시0.8 km → | |||
요요기우에하라 방면 니주바시마에〈마루노우치〉 ← 0.7 km | 치요다선 (C-11) | 키타아야세 방면 신오차노미즈1.2 km → | |||
◀ 오다큐 오다와라선 직통 | JR 조반 완행선 직통 ▶ | ||||
시부야 방면 진보초← 1.7 km | 한조몬선 (Z-08) | 오시아게 방면 미츠코시마에 0.7 km → | |||
◀ 도큐 덴엔토시선 직통 | 도부 이세사키선 경유 이세사키선·닛코선 직통 ▶ | ||||
도쿄도 교통국 오테마치역 (요미우리신분사마에) [요미우리신문사앞] | |||||
메구로 방면 히비야← 0.9 km | 미타선 (I-09) | 니시타카시마다이라 방면 진보초1.4 km → | |||
도자이선 오테마치역 ↔ JR 도쿄역 환승 특례 | |||||
주소 | |||||
공통: 도쿄도 치요다구 (東京都千代田区) | |||||
마루노우치선 | 오테마치1초메 6-1 大手町一丁目6-1 | ||||
치요다선 | |||||
한조몬선 | |||||
도자이선 | 오테마치2초메 1-1 大手町二丁目1-1 | ||||
미타선 | 마루노우치1초메 3-1 丸ノ内一丁目3-1 | ||||
역 운영기관 | |||||
나머지 노선 | <colbgcolor=#ffffff,#191919> 도쿄메트로 | ||||
미타선 | 도쿄도 교통국 | ||||
개업일 | |||||
1956년 7월 20일 |
B9b 출구 |
C10 출구 |
[clearfix]
1. 개요
일본 도쿄도 치요다구에 위치한 도쿄메트로와 도쿄도 교통국의 역. 마루노우치선에는 '산케이마에'[번역1],미타선에는 '요미우리신분샤마에'[번역2]이라는 부역명이 붙어 있다.2. 상세
도쿄 지하철의 핵심과도 같은 역으로, 옛날 노면전차 시절부터 내무성 앞이라서 장사가 잘 되던 곳이다. JR그룹이나 기타 사철 없이 지하철로만 5개 노선이 만나는 역이다. 수도권 전철에서 5개 노선이 만나는 역은 김포공항역과 서울역 둘 뿐이다. 그 아래로 4개 노선이 만나는 역이 3개(공덕역, 왕십리역, 청량리역)[3]인 사실로도 이 역이 얼마나 카오스한 역인지가 짐작이 갈 듯.[4] 뿐만 아니라 도쿄역까지 특례가 걸려 있고 도쿄역 자체가 신칸센 종착지에다 일본 3위 역이라 이 역도 엄청 카오스하다. 도쿄역 근방, 치요다구 한가운데에 있는 역이기 때문에 주변은 오테마치, 마루노우치 즉 도쿄 안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언론, 경제 중심 오피스타운이며, 출입구도 40개가 넘는다(…).[5] 도자이선, 미타선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도쿄메트로에서 제공하는 구내지도
도쿄도 교통국의 구내지도
위의 구내도를 보고 있자면 얼핏 봐서는 노선들이 다닥다닥 몰려있기 때문에 환승이 쉬울 것처럼 보이지만, 가장 먼 마루노우치선에서 도영 지하철 미타선으로 갈아타려면 한조몬선과 치요다선 승강장만큼의 거리를 걸어가야 한다. 심지어 마루노우치선은 이 역보다는 다음 역인 도쿄역이 미타선에서 더 가까운 엽기적인 구조이기도 하다. 또 도자이선의 환승은 구내도만 봐도 극악이다(...). 이런 구조 때문에 이 역은 개찰구를 나가서 환승하는 간접환승이 4개 노선 전부 인정된다. 환승통로가 있는데도 간접환승을 인정하는 곳은 이 역과 신주쿠산초메역 두 군데밖에 없다.
마루노우치선에서 도자이선으로 환승할 때는 개찰구를 나가지 않는 환승통로를 따라가면 600 m를 걸어야 하지만, 개찰구를 나가 자유통로를 이용하여 가로지르면 150 m만 걸어서 환승할 수 있다. 안내도 이쪽으로 되어 있지만, 개찰구를 한 번 나가도록 되어있으므로 종이 승차권 이용 시 꼭 주황색 개찰구를 이용해야 한다. 오테마치역 이외에 다른 역에서 환승할 수도 있으므로 다른 역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를 테면, 치요다 - 한조몬선 환승은 오모테산도역, 토자이 - 한조몬선 환승은 쿠단시타역, 마루노우치 - 치요다선 환승은 콧카이기지도마에역 등등... 그나마 마루노우치-한조몬, 치요다-한조몬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치요다선에는 JR 조반 완행선 이외에도 특급열차인 메트로 하코네, 메트로 사가미, 메트로 홈웨이가 들어오며, 이 열차를 타면 오다큐 오다와라선 직통으로 멀게는 가나가와현의 하코네유모토까지 한방에 갈 수도 있다.[6]
서울로 치면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본의 3대 부도심인 시부야, 신주쿠, 이케부쿠로와의 연계도 좋다. 오테마치역에서 시부야까지 한조몬선, 하라주쿠까지 치요다선, 다카다노바바까지 도자이선, 그리고 신주쿠와 이케부쿠로까지는 마루노우치선이 이어 준다.
오테(大手)는 에도 성(황거)의 정문이라는 의미이다.
니혼바시 강에 있는 토키와바시(常盤橋) 인근에 토치 타워가 들어선다. 2027년 개장 예정이며, 높이는 390m로 일본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등극하게 된다.#
3. 역 및 승강장
마루노우치선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며, 나머지 노선의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현재 모든 노선 승강장에 홈도어가 설치되었다.
3.1. 마루노우치선
↑ 도쿄 | |||
1 | ㅣ | ㅣ | 2 |
아와지초 ↓ |
1 | 마루노우치선 | 상행 | 도쿄 · 카스미가세키 · 아카사카미츠케 · 신주쿠 · 오기쿠보 · 나카노후지미초 방면 |
2 | 하행 | 오차노미즈 · 코라쿠엔 · 묘가다니 · 이케부쿠로 방면 |
승강장 분위기가 수도권 전철 5호선의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과 비슷하다. 다만 저기는 섬식 승강장이고 여긴 상대식 승강장인게 차이점이다.
3.2. 도자이선
↑ 타케바시 | |||
ㅣ | 4 | 3 | ㅣ |
니혼바시 ↓ |
3 | 도자이선 | 하행 | 니혼바시 · 우라야스 · 니시후나바시 · 츠다누마 · 토요카츠타다이 방면 (토요 고속철도) |
4 | 상행 | 쿠단시타 · 이다바시 · 나카노 · 미타카 방면 (츄오-소부 완행선) |
3.3. 치요다선
↑ 니주바시마에 | |||
ㅣ | 5 | 6 | ㅣ |
신오차노미즈 ↓ |
5 | 치요다선 | 상행 | 카스미가세키 · 오모테산도 · 요요기우에하라 · 혼아츠기 · 이세하라 · 하코네유모토 · 카타세에노시마 방면 (오다큐선) |
6 | 하행 | 신오차노미즈 · 니시닛포리 · 키타센쥬 · 아야세 · 토리데 방면 (조반 완행선) |
3.4. 한조몬선
↑ 진보초 | |||
ㅣ | 7 | 8 | ㅣ |
미츠코시마에 ↓ |
7 | 한조몬선 | 상행 | 쿠단시타 · 나가타쵸 · 오모테산도 · 시부야 · 츄오린칸 방면 (도큐 덴엔토시선) |
8 | 하행 | 킨시쵸 · 오시아게〈스카이트리마에〉 · 쿠키 · 미나미쿠리하시 방면 (도부 이세사키선) |
3.5. 미타선
↑ 히비야 | |||
ㅣ | 1 | 2 | ㅣ |
진보초 ↓ |
1 | 미타선 | 상행 | 히비야 · 미타 · 메구로 · 무사시코스기 · 히요시 · 신요코하마 · 에비나 방면 |
2 | 하행 | 진보초 · 스이도바시 · 카스가 · 스가모 · 니시타카시마다이라 방면 |
4. 완급결합
4.1. 도자이선
미타카 방면 타케바시← 1.0 km | 쾌속 快速 | 츠다누마·토요카츠타다이 방면 니혼바시 0.8 km → |
통근쾌속 通勤快速 | 츠다누마·토요카츠타다이 시발 니혼바시 ← 0.8 km | |
각역정차 各駅停車 | 츠다누마·토요카츠타다이 방면 니혼바시 0.8 km → |
4.2. 치요다선
카타세에노시마·하코네유모토·혼아츠기 방면 카스미가세키 ← 2.2 km | 로망스카 ロマンスカー | 키타센쥬 방면 키타센쥬9.9 km → |
5. 둘러보기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62e36> 본선 | 오기쿠보 - 미나미아사가야 - 신코엔지 - 히가시코엔지 - 신나카노 - 나카노사카우에 - 니시신주쿠 - 신주쿠 - 신주쿠산초메 - 신주쿠교엔마에 - 요츠야산초메 - 요츠야 - 아카사카미츠케 - 콧카이기지도마에 - 카스미가세키 - 긴자 - 도쿄 - 오테마치 - 아와지초 - 오차노미즈 - 혼고산초메 - 코라쿠엔 - 묘가다니 - 신오츠카 - |
분기선 | 호난초 - 나카노후지미초 - 나카노신바시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도쿄메트로 도자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치아이 - 타카다노바바 - 와세다 - 카구라자카 - 이다바시 - 쿠단시타 - 타케바시 - 오테마치 - 니혼바시 - 카야바쵸 - 몬젠나카쵸 - 키바 - 토요쵸 - 미나미스나마치 - 니시카사이 - 카사이 - 우라야스 - 미나미교토쿠 - 교토쿠 - 묘덴 - 바라키나카야마 - (→츠다누마·토요카츠타다이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요요기코엔 - 오모테산도 - 노기자카 - 아카사카 - 콧카이기지도마에 - 카스미가세키 - 히비야 - 신오차노미즈 - 유시마 - 네즈 - 센다기 - 니시닛포리 - 마치야 - 키타센쥬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도쿄메트로 한조몬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모테산도 - 아오야마잇초메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width=18]][[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width=18]] [[나가타쵸역|{{{#8f76d6 나가타쵸}}}]] - 한조몬 - 쿠단시타 - 진보초 - 오테마치 - 미츠코시마에 - 스이텐구마에 - 키요스미시라카와 - 스미요시 - 킨시쵸 - (→쿠키 방면)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도에이 미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로카네다이 - 시로카네타카나와 - 미타 - 시바코엔 - 오나리몬 - 우치사이와이초 - 히비야 - 오테마치 - 진보초 - 스이도바시 - 카스가 - 하쿠산 - 센고쿠 - 스가모 - 니시스가모 - 신이타바시 - 이타바시혼초 - 모토하스누마 - 시무라사카우에 - 시무라산초메 - 하스네 - 니시다이 - 타카시마다이라 - 신타카시마다이라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번역1] 산케이 앞[번역2] 요미우리 신문사 앞[3] 다만 몇 년 후면 이 다섯 역 모두 5개 노선 환승역이 될 것이다.[4] 참고로 도쿄의 경우 환승하는 두 역 이름이 다른 경우까지 포함하면 아카사카미츠케역(+나가타쵸역)이 5노선이고, 이다바시역, 카스가역(+코라쿠엔역), 타메이케산노역(+콧카이기지도마에역), 히비야역(+유라쿠초역)이 4노선 환승역이다.[5] 대한민국 도시철도역 중 가장 많은 출구를 가진 반월당역도 출구수가 23개에 불과하다.[6] 다만 오테마치역 부근에서 오다와라로 최단시간으로 가려면 바로 옆에 있는 도쿄역에서 도카이도 신칸센을 이용하는 것이 제일 빠르다.[7] 노선 수로만 따지면 왕십리역(서울 경전철 동북선예정), 서울역(신안산선 예정)도 마찬가지. 다만 이 세 역 모두 세월아 네월아이다 보니...[8] 그나마 공덕역은 해당문서에서도 보다시피 애초에 5호선 지을 때부터 5개 노선 환승을 예측하고 동선을 짜놨기에 4개 노선을 개통했는데도 아주 심각한 막장환승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