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2b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2bc> | }}} | |
{{{#!wiki style="color: #0072bc;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산요 신칸센 총괄본부 | ||
산요 신칸센 - 하카타미나미선 | |||
카나자와 지사 | |||
호쿠리쿠 신칸센 - ■ 호쿠리쿠 본선 - ■ 오바마선 - ■ 에츠미호쿠선 - ■ 나나오선 - ■ 히미선 - ■ 죠하나선 - ■ 타카야마 본선 - ■ 오이토선 | |||
킨키 총괄본부 (어반 네트워크) (케이시 지사, 한나 지사, 효고 지사) | |||
■ 호쿠리쿠 본선 ( 비와코선 - 코세이선) - ■ 도카이도 본선 ( 비와코선 - JR 교토선 - JR 고베선 - ■ 우메다 화물선- ■ 홋포 화물선) - 산요 본선 ( JR 고베선 - ■ 와다미사키선) - 아코선 - 코세이선 - 쿠사츠선 - 나라선 - 산인 본선 (사가노선) - 오사카 히가시선 - 후쿠치야마선 - JR 도자이선 - 카타마치선 - 카코가와선 - 키신선 - 오사카 순환선 - 사쿠라지마선 - 한와선 - 간사이 공항선 - 와카야마선 - 사쿠라이선 - 간사이 본선 ( 야마토지선) | |||
킨키 총괄본부 와카야마 지사 | |||
한와선 - 키세이 본선 - 와카야마선 | |||
킨키 총괄본부 후쿠치야마 관리부 | |||
산인 본선 - 마이즈루선 - 후쿠치야마선 - 반탄선 | |||
주고쿠 총괄본부 오카야마 지사 | |||
산요 본선 - 아코선 - 키신선 - 인비선 - 우노선 - 혼시비산선 (세토대교선) - 츠야마선 - 게이비선 - 키비선 - 하쿠비선 | |||
주고쿠 총괄본부 산인 지사 | |||
산인 본선 - 인비선 - 사카이선 - 키스키선 - 하쿠비선 - ■ 야마구치선 | |||
주고쿠 총괄본부 히로시마 지사 (히로시마 시티 네트워크) | |||
■ 산요 본선 ( 히로시마 지구) - ■ 산인 본선 - 후쿠엔선 - 쿠레선 - 카베선 - 게이비선 - ■ 간토쿠선 - ■ 우베선 - ■ 오노다선 - ■ 미네선 | |||
폐선 | |||
타이샤선 - 카지야선 - 산코선 | }}}}}}}}} |
[ruby(和, ruby=わ)][ruby(田, ruby=だ)][ruby(岬, ruby=みさき)]線 Wadamisaki Line | 와다미사키선 | |
207계 전동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산요 본선 지선 |
기점 | 효고역 |
종점 | 와다미사키역 |
역 수 | 2 |
개업일 | 1890년 7월 8일 |
소유자 | JR 서일본 |
운영자 | |
사용차량 | 207계 전동차 1000번대 |
차량기지 | 아보시 종합 차량소 아카시 지소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2.7㎞ |
궤간 | 1067mm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폐색방식 | 궤도회로검지식 |
신호장비 | ATS-SW |
최고속도 | 85㎞/h |
실측지도 상의 와다미사키선 |
전구간 왕복 주행영상 |
[clearfix]
1. 개요
JR 서일본 산요 본선의 지선으로, 효고현 고베시 효고구의 효고역과 와다미사키역을 잇는다. 어반 네트워크 노선에 속한다.와다미사키선이라는 이름은 통칭이며, 서류상으로는 산요 본선의 이름없는 지선이다.
1.1. 노선 데이터
- 관할: 서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효고~와다미사키 2.7km
- 궤간: 1067mm
- 역 수: 2
- 복선구간: 없음
- 전화구간: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ATS-SW
- 최고속도: 85km/h
- 운전지령소: 오사카 종합지령소
- 오사카 근교구간: 전구간
- 특정도구시내 고베 시내: 전구간
- 교통카드 호환지역: 전구간
- 영업본부: 킨키 총괄본부
2. 역사
1890년에 산요 철도의 화물지선으로 부설되었으며 1906년에 국유화되었다. 여객영업이 시작된 것은 1911년이다. 1987년에 국철민영화로 JR 서일본의 노선이 되었다.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으로 전구간이 운행중단되었으나 한 달 후에 완전히 복구되어 운행을 재개했다. 2001년에 전구간이 전철화되었다.103계 전동차가 원형 그대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이 노선을 타러 오는 철도 동호인도 많았다. 1973년 7월에 제작되어, 2023년 3월 18일부로 50년에 가까운 긴 기간의 운행을 마치고 퇴역하면서 이제는 옛말이 되었다.
3. 상세
운행은 통근수송에 특화되어 있으며 모든 열차가 와다미사키선 안에서만 운행한다. 평일에는 하행 17편성, 상행 14편성이 운행하며, 토요일에는 왕복 12편성, 일/공휴일에는 왕복 2편성만 운행한다.1990년까지 디젤 기관차 2대 사이에 객차를 연결해서 운행[1]했으나[2] 이후로는 키하 35계 디젤동차를 운행하였으며[3], 2001년 전철화 이후에는 전동차를 운행하고 있다.
2023년 3월 18일을 끝으로 103계 전동차가 퇴역하여서 207계 전동차만 운행한다. 6량 편성의 와다미사키선 전용인 X1편성으로 운행하며 정비나 고장 등으로 전용편성이 운행할 수 없을 때는 207계 3량편성을 두대로 병결하여 중련으로 운행한다.
하고로모선과는 달리 전차특정구간 특례가 적용되지 않아 운임이 다소 비싸진다. 전차특정구간내에서 보통승차권을 이용하는 경우 출발지-효고역, 효고역-와다미사키선의 승차권을 각각 발권하는 경우도 있다. 교통카드의 경우 어차피 효고역에서 중간 정산 과정을 거치기에 큰 상관이 없다.
현재 이 노선은 훈련용으로도 요긴하게 활용중이다. 고베 승무원 훈련센터에서 교육과정을 마친 인원들이[4] 이 노선에서 실전 연습을 하는 방식이다. 과거 103계 전동차가 운행하던 시절 훈련을 위해 221계 전동차가 입선한 적도 있다.[5]
4. 폐선 논란
2011년에 고베시에서 효고운하(兵庫運河)를 활용한 지역 정비 사업을 세웠는데, 내용 중 '효고운하 중앙부의 와다미사키선이 선박 운행을 막고 있다'고 하여 JR과 고베시가 협의에 들어갔었다. 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선이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유산으로서 활용, 산책로화 등의 의견이 나왔으나 존속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주변 상가에서 반발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폐지 가능성은 낮다.무엇보다 폐선이 어려운 두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는데. 먼저 카와사키 중공업 효고 공장의 존재이다[6]. 이 공장에서 만들어진 차량들의 출고선이 와다미사키선 쪽에 있어 각종 철도화물의 출고 경로로 이용되고 있어 화물 노선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거기에 이곳에서 일하는 엄청난 수의 통근자들을 JR 정기권 이용자로 붙잡아둘 수 있어 여객 노선으로서의 가치 또한 매우 크다. 덕분에 와다미사키선의 영업계수는 흑자이다. 또한 승무원들의 훈련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중이라, JR도 딱히 폐지시킬 분위기는 아니다.[7] 따라서 차량제작소가 폐업하지 않는 이상 당장 폐선될 일은 없어 보인다.
다만, 조금씩 카이간선으로 승객이 유출되고 있기 때문에[8] 아주 미래가 창창하다고 보기는 약간 어려운 감이 있다. 무엇보다도 효고 운하를 건너는 다리(와다선회교)가 대형 선박의 운하 통행을 방해하고 있고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이 노선의 미래를 어둡게 한다 애초에 폐선 계획이 나왔던 가장 큰 이유가 효고 운하를 유람선을 포함한 대형 선박을 운행할 수 있도록 재정비한다는 계획 때문이다.
5. 역 목록
- 전구간 효고현 고베시 효고구내 소재.
- 전구간이 특정도구시내구간 고베 시내()로 지정되어 있다.
JR 서일본 와다미사키선 | ||
역명 | km | 환승노선 |
효고 兵庫 | 0.0 | ¶JR 서일본 JR 고베선(A64) |
鐘紡前 | 1.6 | (1962년 폐역) |
와다미사키 和田岬 | 2.7 | ¶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선(K06) |
[1] 이런 진풍경(?)은 조만간 한국에서도 볼 수 있는데 2024년 말에 운행재개 예정인 한국철도공사 교외선이 이 방식으로 운용예정에 있다.[2] 1980년 12월에 촬영한 영상을 보면 6량으로 운행하는 것을 볼 수 있고, 객차는 좌석을 일부만 남겨놓아서 대부분 서서 간다.[3] 이거 마개조차다. 얼마나 개조를 거쳤냐면 화장실 탈거야 쓸 일이 없으니 그렇다 쳐도 단선 반복운전만 한다고 한 쪽 출입문 봉쇄, 심지어 원래 2량 모두 모터가 있었던 것을 한 칸의 모터를 탈거해서 편성당 90마력(!)밖에 출력이 안 나왔다. 그 결과 승객을 태우지 않은 공차회송 상태에서도 최고속력이 70 km/h가 겨우 나왔다 한다.[4] 효고역~다카토리역간 선로 1개를 훈련용으로 쓰고 있다. 다카토리역 구내에 고베화물터미널역이 있어 선로가 많기 때문이다.[5] 비슷하게 JR동일본의 조반완행선 아비코~토리데역 구간 역시 평일 낮 시간에만 영업운행을 하고 그 외에는 승무원 훈련등의 기타 용도로 사용중이다.[6] 바로 일본 및 해외의 철도 차량을 제작하는 곳이다[7] 위 문단을 잘 읽어보자. 전철화가 2001년, JR화 이후다![8] 일 평균 승하차객 2001년 JR 6,734명 지하철 7,205명 → 2016년 JR 4,823명 지하철 10,447명. 효고 현 총계서 및 고베시 교통국 사업개요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