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베일로 · 2 니우코프 · 3 베일런 · 4 황인범 · 5 스말 · 6 제루키 · 7 모데르 · 8 [[퀸턴 팀버르|Q. 팀버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9 우에다 · 10 스텡스 11 하르트만 · 14 파이샹 · 15 곤살레스 · 16 부에노 · 17 이바누셰츠 · 18 트라우너 · 19 카란사 · 20 미첼 21 안드레예프 · 22 벨렌로이터 · 23 하지 무사 · 24 제히엘 · 26 레아트 · 27 밀람보 · 29 S. 히메네스 · 30 로통바 · 33 [[다비드 한츠코|한츠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34 나제 · 38 오스만· 49 레드몬드 |
브리안 프리스케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
<colbgcolor=#e30013><colcolor=#fff>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No. 9 | ||||||
우에다 아야세 [ruby(上, ruby=うえ)][ruby(田, ruby=だ)] [ruby(綺, ruby=あや)][ruby(世, ruby=せ)] | Ayase Ueda | ||||||
출생 | 1998년 8월 28일 ([age(1998-08-28)]세) | |||||
이바라키현 미토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82cm / 체중 76kg[1] / A형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주발 | 오른발 | |||||
등번호 | 일본 대표팀 | 9 |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
소속 | <colbgcolor=#e30013><colcolor=#fff> 유스 | 가시마 앤틀러스 (2011~2013) 가시마학원고등학교 (2014~2016) 호세이대학 (2017~2019) | ||||
프로 | 가시마 앤틀러스 (2019~2022) 세르클러 브뤼허 KSV (2022~2023)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3~ ) | |||||
국가대표 | 30경기 14골[2] (일본 / 2019~ ) | |||||
통산 득점 | 94골[3] | |||||
SNS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30013><colcolor=#ffffff> 역대 등번호 | 일본 대표팀 - 9번, 13번[4], 21번[5] 가시마 앤틀러스 - 18번[6], 36번[7] 세르클러 브뤼허 KSV - 36번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9번 | ||||
후원사 | 미즈노 | |||||
에이전트 | SARCLE | |||||
학력 | 미토시립요시다소학교 (졸업) 미토시립다이욘중학교 (졸업) 가시마가쿠엔고등학교 (졸업) 호세이대학 스포츠건강학부 (졸업) | |||||
가족[8] | 아버지 우에다 아키라(上田 晃)[9] 어머니 누나 배우자 유후 나츠키(由布 菜月)[10] |
[clearfix]
1. 개요
일본 국적의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이바라기현 미토시 출신으로 중학교 시절 가시마 앤틀러스 유스 팀에 가입했다. 중학교 시절부터 성인팀 승격을 노렸지만 작은 체격 탓에 유스 팀을 벗어나진 못했고 가시마 학원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에 있는 호세이대학으로 진학했다. 대학교 축구부 1학년 때부터 주전으로 뛰며 대학 리그 신인왕을 수상했다. 2학년 때부터 전국 대학 축구 대회 우승에 기여하며 대학 리그 베스트 일레븐을 수상했고 이 활약을 평가받아 가시마 앤틀러스 구단으로부터 프로 입단을 하게 되었다.2.2. 가시마 앤틀러스
입단 당시에는 선수 본인이 대학 졸업 후 프로 입단을 희망하여 2021 시즌에 구단에 합류할 예정이었지만, 2019년 5월 성인 대표팀에 선발된 것을 계기로 스스로 다음 단계로 스텝업하기 위해 동년 7월 호세이 대학 축구부에서 퇴단하고 예정보다 빠르게 입단했다.[11] 가시마 구단 입장에서도 여름 이적 시장에서 젊은 주전들이[12] 유럽 진출로 빠져버렸기 때문에 전력 보강이 필요했고 저연령 대표부터 성인 대표까지 경험한 즉시 전력감이 합류하는 걸 크게 반겼다고 한다.2019년 8월 10일, 22라운드 요코하마 F. 마리노스전에 교체 출전하여 프로 데뷔골을 기록했다. 출전 시간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4골을 넣었고, 이듬해 출전 시간을 서서히 늘리며 두 자리 득점까지 달성했다.
2021년 6월 16일, 천황배 2차전 YSCC 요코하마전에서 프로 데뷔 후 첫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꾸준히 선발로 나와 득점포를 가동하며 그렇게 가시마에서 통산 103경기 47골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2.3. 세르클러 브뤼허 KSV
2022년 7월 1일, 세르클러 브뤼허 KSV으로 이적했다. KVC 베스테를로와의 개막전부터 주전으로 데뷔전을 치렀고, 이후 계속해서 뛰며 시즌 42경기 23골이라는 어마 무시한 기록을 세우며 리그 득점 2위까지 차지했다.2.4.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3년 8월 3일, 에레디비시 명문 클럽 중 하나인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으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900만 유로로 클럽 레코드를 갱신했다. 등번호는 9번이며, 계약 기간은 5년.2.4.1. 2023-24 시즌
클럽 레코드로 데려오긴 했으나 산티아고 히메네스가 물오른 득점력과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어 교체 선수에 머무르고 있다.리그 5라운드 FC 위트레흐트전에서 후반 30분에 칼빈 스텡스의 패스를 받아 페예노르트에서의 데뷔골을 기록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2차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산티아고 히메네스를 대신하여 선발 출전하였다. 전반 7분, 좋은 움직임으로 패스를 받아 슈팅을 기록했고 골키퍼가 막아냈지만 리바운드 된 공이 마리오 에르모소 맞고 골대 안으로 들어갔다. 자책골 유도 이후 별다른 활약 없이 교체되었고 팀은 2:3으로 패배했다.
조별리그 5차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경기에서 후반 시작하자마자 투입되었다. 좋은 턴과 움직임으로 기회를 많이 만들었지만 역시 골은 들어가지 않았다. 그럼에도 번뜻이는 플레이를 보여줘 현지 해설에서 계속해서 극찬을 했다. 산티아고 히메네스의 쐐기를 박는 자책골로 결국 점수 차를 좁히지 못해 패배했고 남은 경기와 무관하게 조 3위로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를 가게 되었다.
조별리그 6차전 셀틱 FC과의 경기에서 예상과 달리 벤치로 시작. 67분에 투입되었다. 클럽레코드로 나왔지만 아직 단 한골밖에 기록하지 못하여, 급한 나머지 무리한 슈팅을 보여줬다. 공중전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이번 경기에도 무득점이었고 팀은 2대1로 패배하며, 6년 만에 셀틱은 챔스에서 승리를 맛보게 되었다.
UEFA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 1차전 AS 로마와 홈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였다. 좋은 위치에서 프리킥을 만들어 내어 직접 해결하려 나섰지만 수비벽에 막혔다. 아쉬운 모습을 계속 보여주며 히메네즈와 교체 된 후 팀은 실점하며 1대1로 비겼다.
2차전 원정 경기에서는 78분부터 교체로 출전하였다. 연장전까지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에 돌입했고, 1번 키커로 나서 깔끔하게 성공시켰다. 그러나 두 키커가 밀레 스빌라르에게 막혀 팀은 패배했다.
리그 26라운드 SC 헤이렌베인전 88분, 상대 수비수의 실책을 놓치지 않고 골로 연결시켜 역전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리그 31라운드 고 어헤드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다. 후반 69분에 쐐기골을 넣으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리그 32라운드 PEC 즈볼러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다. 전반 33분에 선제골을 넣었다. 본인이 직접 PK를 얻어 멀티골을 기록할 뻔했지만 본인의 강점이었던 PK를 실축하는 바람에 기회를 날려버렸다.
리그 33라운드 NEC 네이메헌과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다. 전반에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지만 후반 시작하자마자 퇴장 유도와 57분 얀쿠바 민테에게 리그 첫 도움을 기록하였다.[13] 이후 후반 88분 알리레자 자한바크시에게 좋은 패스를 받으며 결승골까지 넣으며 팀은 힘겹게 승리하였다.
2.4.2. 2024-25 시즌
요한 크루이프 스할에서 교체로 출전해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승리에 기여하고 트로피를 들게 됐다.산티아고 히메네즈가 노팅엄 포레스트 FC 이적 제안을 거절하며 우에다는 저번 시즌과 똑같이 교체 출전하며 시즌을 보낼 예정.
5라운드 NAC 브레다와의 경기에서 전반 히메네즈가 부상을 당해 이른 시간 교체 투입된 이후 특유의 좋은 움직임과 헤딩으로 곧바로 선제골을 집어넣었다.
이후 히메네즈가 허벅지 부상을 입었고, 약 3개월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이로써 우에다는 입단 2년차에 3개월간 주전으로 활약할 기회를 잡게 되었다.
6라운드 NEC 네히메헌과의 경기에 선발 출전했으나 기회 창출 3회를 기록하긴 했지만 90분간 슈팅 1회, 공중볼 경합 7회 전부 실패등 상당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말았다. 반대편에서 오가와 코키가 골대를 때리는 등 맹활약한 것과 대조적이였다. 팀은 1:1 무.
챔피언스리그 지로나 FC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했으나 경기장에서 사라지다시피하며 볼 터치, 슈팅, 패스, 공중볼 경합까지 뭐 하나 되는 게 없는 총체적 난국인 모습을 보인 데다가 자신감을 얻으라고 넘겨준 PK까지 실축하고 말았다. 히메네스의 부상으로 기회를 잡았지만 정작 교체로 나올 때보다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폼이 좋지 않은 상황. 팀은 난타전 끝에 3:2로 승리했다.
7라운드 FC 트벤테와의 경기에서도 초반 영 좋지 않은 폼을 보이고 있었으나 전반 28분 황인범의 킬패스를 받은 우고 부에노의 크로스를 그대로 헤딩으로 연결해 선제골을 넣었다. 8라운드, 고 어헤드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팀의 4번째 득점을 터뜨리며 2경기 연속 득점에 성공했다. 팀은 2:1 승
8라운드 고 어헤드 이글스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해 일방적인 경기 속에서 후반 팀의 4번째 골을 터트렸다. 팀은 5:1 승.
챔피언스리그 SL 벤피카와의 경기에서 전반 12분만에 선제골을 넣어 본인의 챔스 데뷔골을 만들었다. 10분 후에 1골을 더 넣었지만 VAR 결과 취소되었고, 이후에는 조금 활약이 미미했지만 팀의 3:1 승리에 기여했다.
9라운드 AFC 아약스와의 경기에서 좋지 않은 폼을 보이다가 전반 40분 부상으로 교체되었고 올해 시즌 아웃 판정을 받았다.
19라운드 빌럼 II과의 경기에서 교체 출전을 하며 부상 복귀를 했다.
챔피언스리그 FC 바이에른 뮌헨 상대로 후반 뒤늦게 교체 출전하였다. 패스를 일부러 흘리며 다요 우파메카노를 완벽히 벗겨낸 뒤 1:1 상황에서 왼발로 득점에 성공하며 3:0 승리에 기여했다.
3. 국가대표 경력
3.1. 2018~2021년
2018년, 대학교 2학년 시절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 대표팀 명단에 뽑혔다. 16강 말레이시아전과 준결승 UAE전에서 골을 넣으며 결승 진출에 공을 세웠고, 결승전 한일전에서도 선발로 나와 2대0으로 뒤지던 연장 후반 막바지에 추격골을 넣었다. 이후 결정적인 찬스를 한차례 더 있었으나 공을 제대로 잡아놓지 못해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고, 팀도 1:2로 져 은메달에 족해야 했다.2019년 5월, 대학생 3학년 신분으로 2019 코파 아메리카에 나서는 일본 국대 명단에 전격 포함됐고, 조별리그 1차전 칠레전에 선발 원톱으로 출전하여 성인 대표팀 데뷔를 이뤘다. 이후 조별리그에서 교체로도 꾸준히 나왔으나 단 한 번도 유효 슈팅을 기록하지 못하며 부진했다.
2019년 7월, 2019 나폴리 하계 유니버시아드 일본 대학생 대표팀에 선발됐다. 1차전 아르헨티나전에서 2골을 기록했고, 결승 브라질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일본 대표팀의 우승에 크게 공헌했다.
2019년 12월,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된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도 선발되어 3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나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2020년 1월, 태국에서 열린 AFC U-23 챔피언십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어 조별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나 무득점에 그쳤고 일본 대표팀은 1무 2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21년, 2020 도쿄 올림픽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 당시 주전 멤버는 하야시 다이치라 한 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벤치였고 결국 한 골도 기록은 하지 못하고 오랜만에 열리는 홈에서 4위로 아쉽게 메달을 흭득하지 못했다.
3.2.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 일본 대표로 선발되었다.조별리그 2차전 코스타리카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월드컵 데뷔를 했다. 하지만 그 경기서 별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후반 시작되자마자 교체당했다. 거기다 팀은 지며 모리야스 하지메의 이해 가지 않는 선발 라인업에 대해 큰 비난을 받았다.
그 당시 주전 스트라이커는 마에다 다이젠이었고, 그 밑으로 아사노 타쿠마가 있었기에 코스타리카와의 경기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3.3. 2023년
2023년 6월 15일, 엘살바도르와의 친선경기에서 선발 출전해 전반 2분 만에 상대에게서 페널티킥 및 퇴장 유도를 하고 본인이 얻어낸 PK를 해결하여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팀은 6:0 대승.2023년 9월 10일, 독일과의 친선경기에서 선발 출전했다. 그리고 1:1로 팽팽하던 전반 22분, 스가와라 유키나리의 크로스가 이토 준야를 거쳐서 우에다에게 왔고 그대로 마무리하면서 자신의 A매치 2번째 골을 기록했다. 본인은 득점에 성공하고 팀은 4대1로 대승리를 거뒀지만 정작 1대1 찬스에서 테어슈테겐에게 여러 번 막혀 아쉬운 플레이를 보여줬다.
2023년 11월,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미얀마와 시리아의 경기에서 각각 선발 출전하여 해트트릭과 멀티골을 기록했다.
3.4. 2023 AFC 아시안컵
아시안컵에도 예상대로 최종 명단에 포함됐다. 등번호 9번을 달았다.조별 리그 1차전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호소야 마오가 선발로 나왔다. 이후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 출전하였고 경기 막판 쐐기골을 넣어 4대2 승리를 거두웠다.
2차전 이라크와의 경기에서도 아사노 타쿠마에게 밀려 후반 20분경 교체로 투입했지만 팀의 1:2 패배를 막지 못했다.
3차전 인도네시아 상대로 드디어 대회 첫 선발 출전하며 PK 유도, 멀티골과 자책골 유도를 하는 등 풀타임을 소화하며 팀의 승리와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16강 바레인전에서도 선발 출전했다. 일본이 2-0으로 앞서던 64분에 바레인의 코너킥이 진행됐는데 헤딩슛을 스즈키 자이온 골키퍼가 막아냈지만 이후 뜬 공을 우에다가 헤딩으로 처리하려다 공을 잡으려고 한 골키퍼와 충돌하여 둘 다 공을 놓쳤고, 이 공이 골문 안으로 들어가면서 추격골을 허용했다. 스즈키의 자책골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8분 후 드리블을 치며 수비수를 벗겨내어 직접 골문으로 돌파하여 때린 슛이 골키퍼 다리 사이로 들어가며 추가골을 기록했다.
8강 이란전에서도 선발 출전하여 풀타임을 소화했지만, 이렇다 할 장면을 만들어내지는 못했다.
3.5. 2024년
6월,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미얀마와 경기에서 결장했다. 이후 시리아와의 마지막 2차 예선 경기에서는 선발 출전하여 헤딩으로 선취득점을 하였다.9월,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중국과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모두 선발 출전했다. 중국과의 경기에서 골은 기록하지 못했지만 하나의 도움을 기록했고, 바레인과의 경기에서는 비매너 관중의 레이저 포인터로 시야의 방해가 있었음에도 침착하게 PK로 선취 득점을 하였다. 후반 초반에는 강력한 슛이 골대에 맞고 골문으로 들어가 멀티골까지 성공시켰다. 이후에 등을 지며 모리타 히데마사에게 어시스트까지 해줬다.
4. 플레이 스타일
빠른 발을 이용한 뒷공간 침투, 박스 안팎에서의 위치 선정이나 수비를 벗어나는 움직임 등 이른바 오프 더 볼이 장점인 선수이다. 이러한 장점을 통해 통해 순도 높은 공격 기회를 만들어내는 포처 유형의 공격수다.피지컬이나 바디 밸런스가 잘 잡혀있고 발목 힘도 좋은 편이라 강한 슈팅을 자주 시도하고, 슛 스킬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여기에 더해 상대 수비수를 스피드로만 제칠 정도의 순간 스피드를 가지고 있고, 슛 동작이 빨라 특유의 민첩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오프 더 볼이 좋기에 이 장점이 더더욱 부각된다.
여기에 더해 몸싸움도 꺼리지 않고, 기본기도 잘 잡힌 편이라 2선과 측면 지역까지 내려와 팀원과 연계를 간결하게 가져가기 때문에 활동 범위가 상당히 넓다. 박스 안에서 공격을 결정짓는 전형적인 9번 공격수의 역할뿐만 아니라 자신의 장점을 이용한 여러 보조적인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어서 활용의 폭은 나름 넓은 편.
더불어 큰 신장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어느 정도 상회하는 점프력과 헤딩할 때 타이밍, 그리고 임팩트를 완벽하게 줄 수 있는 자세를 잘 갖췄기 때문에 헤더 능력도 좋다. 헤더 능력이 좋기에 공중볼에서도 좋은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단점으로는 여러 역할을 소화할 순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포처 유형의 선수라서 타겟맨이나 어드밴스 포워드같은 다른 역할을 맡길 경우, 그 역할을 어느 정도 해내기는 하지만 만족스럽게 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진 못한다. 그리고 골을 얼마나 잘 넣냐에 따라 등락이 좌우되는 포처의 특성 상 팀 경기력에 따라 본인의 경기력도 기복이 있다. 잔부상 이력도 있는 편.
그리고 슛 기술과 센스까지 겸비했음에도 불구하고 골 결정력 면에서 생각보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편이다. 이는 클럽에서의 활약에 비해 세간의 시선이 집중되는 국가대표 경기에서 결정적인 찬스를 놓치는 모습을 자주 보였기 때문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3~ )
- KNVB 베이커: 2023-24
- 요한 크루이프 스할: 2024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안 게임 은메달: 2018
5.2. 개인 수상
5.3. 통산 기록
5.3.1. 클럽
- 2024년 5월 6일 기준
시즌 | 팀 | 소속 리그 | 리그 | FA컵 | 리그컵 | 대륙 대항전 | 총합 |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
2019 | 가시마 앤틀러스 | J1리그 | 13 | 4 | - | - | 2 | 0 | 2 | 0 | 17 | 4 |
2020 | 26 | 10 | - | - | 1 | 0 | - | - | 27 | 10 | ||
2021 | 29 | 14 | 3 | 3 | 4 | 2 | - | - | 36 | 19 | ||
2022 | 18 | 10 | 1 | 1 | 4 | 3 | - | - | 23 | 14 | ||
통산 | 86 | 38 | 4 | 4 | 11 | 5 | 2 | 0 | 103 | 47 |
시즌 | 팀 | 소속 리그 | 리그 | 플레이오프 | FA컵 | 총합 |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
2022-23 | 세르클러 브뤼허 KSV | 벨기에 프로 리그 | 34 | 18 | 6 | 4 | 2 | 1 | 42 | 23 |
통산 | 34 | 18 | 6 | 4 | 2 | 1 | 42 | 23 |
시즌 | 팀 | 소속 리그 | 리그 | FA컵 | 대륙 대항전 | 총합 |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
2023-24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에레디비시 | 26 | 5 | 4 | 0 | 7 | 0 | 37 | 5 |
2024-25 | - | - | - | - | - | - | - | - | ||
통산 | 26 | 5 | 4 | 0 | 7 | 0 | 37 | 5 |
5.3.2. 국가대표
- 2024년 6월 11일 기준
소속 | 연도 | 경기 | 득점 |
일본 | |||
2019 | 6 | 0 | |
2020 | 0 | 0 | |
2021 | 0 | 0 | |
2022 | 6 | 0 | |
2023 | 7 | 7 | |
2024 | 9 | 7 | |
통산 | 28 | 14 |
6. 여담
- 엄청난 먹보로 알려져 있다. 중학교 시절부터 많이 먹기 시작했으며, 일반적으로 3인분 정도의 양을 먹는다고 한다. 좋아하는 음식은 타코야키와 오므라이스, 싫어하는 음식은 고수이다.
- 모리야스 하지메가 애증하는 스트라이커이다. 대학 시절부터 계속해서 그를 기용하며 메이저 대회에 참가시켰고, 결국은 2022년 월드컵에서 선발 출전까지 시키고 말았다. 지금이야 네덜란드 명문 클럽인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소속으로 사람들은 모리야스의 안목은 좋다면서 신뢰를 하고 있다. 특히 2023년 11월에 월드컵 2차 예선에서 2경기 5골을 넣으며 많은 기대와 함께 주전 스트라이커 입지를 확보했다.
6.1. 외모
6.2. WAGs
7. 둘러보기
[[페예노르트 로테르담|{{{-1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페예노르트 로테르담/2024-25 시즌|{{{-1 2024-25 시즌}}}]] {{{-1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4-25 시즌 스쿼드[주의] | |||||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1 | GK | 저스틴 베일로 | Justin Bijlow | |||
2 | DF | 바르트 니우코프 | Bart Nieuwkoop | |||
3 | DF | 토마스 베일런 | Thomas Beelen | |||
4 | MF | 황인범 | Hwang In-Beom | |||
5 | DF | 헤이스 스말 | Gijs Smal | |||
6 | MF | 라미즈 제루키 | Ramiz Zerrouki | |||
7 | MF | 야쿠프 모데르 | Jakub Moder | |||
8 | MF | 퀸턴 팀버르 | Quinten Timber | 주장 | ||
9 | FW | 우에다 아야세 | Ayase Ueda | |||
10 | FW | 칼빈 스텡스 | Calvin Stengs | |||
11 | DF | 크빌린치 하르트만 | Quilindschy Hartman | |||
14 | FW | 이고르 파이샹 | Igor Paixão | |||
15 | DF | 파쿤도 곤살레스 | Facundo González | [2] | ||
16 | DF | 우고 부에노 | Hugo Bueno | [3] | ||
17 | MF | 루카 이바누셰츠 | Luka Ivanušec | |||
18 | DF | 게르노트 트라우너 | Gernot Trauner | |||
19 | FW | 훌리안 카란사 | Julián Carranza | |||
20 | DF | 제일란드 미첼 | Jeyland Mitchell | |||
21 | GK | 플라멘 안드레예프 | Plamen Andreev | |||
22 | GK | 티몬 벨렌로이터 | Timon Wellenreuther | |||
23 | FW | 아니스 하지 무사 | Anis Hadj Moussa | |||
24 | MF | 지바이 제히엘 | Gjivai Zechiël | |||
26 | DF | 히베로 레아트 | Givairo Read | |||
27 | MF | 안토니 밀람보 | Antoni Milambo | |||
29 | FW | 산티아고 히메네스 | Santiago Giménez | |||
30 | DF | 조르당 로통바 | Jordan Lotomba | |||
33 | DF | 다비드 한츠코 | Dávid Hancko | 부주장 | ||
34 | MF | 크리스-케빈 나제 | Chris-Kévin Nadje | |||
38 | FW | 이브라힘 오스만 | Ibrahim Osman | [4] | ||
49 | FW | 제피케누 레드몬드 | Zépiqueno Redmond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유벤투스 FC에서 임대[3]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4]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에서 임대
}}}}}}}}} ||<rowcolor=#26316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73E5,#263164 20%,#263164 80%,#0073E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 구단 | |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오사코 케이스케 (Keisuke Osako) | 1999년 7월 28일 ([age(1999-07-28)]세) | 8 | 0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타니 코세이 (Kosei Tani) | 2000년 11월 22일 ([age(2000-11-22)]세) | 2 | 0 | FC 마치다 젤비아 | ||||
스즈키 자이온 (Zion Suzuki) | 2002년 8월 21일 ([age(2002-08-21)]세) | 16 | 0 | 파르마 칼초 1913 | ||||
DF | 나가토모 유토 (Yuto Nagatomo) | 1986년 9월 12일 ([age(1986-09-12)]세) | 142 | 4 | FC 도쿄 | |||
타니구치 쇼고 (Shogo Taniguchi) | 1991년 7월 15일 ([age(1991-07-15)]세) | 32 | 1 | 신트트라위던 VV | ||||
이타쿠라 코 (Ko Itakura) | 1997년 1월 27일 ([age(1997-01-27)]세) | 35 | 2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
마치다 코키 (Koki Machida) | 1997년 8월 25일 ([age(1997-08-25)]세) | 17 | 0 |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 ||||
세코 아유무 (Ayumu Seko) | 2000년 6월 7일 ([age(2000-06-07)]세) | 4 | 0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 2000년 6월 28일 ([age(2000-06-28)]세) | 14 | 2 | 사우스햄튼 FC | ||||
하시오카 다이키 (Daiki Hashioka) | 1999년 5월 17일 ([age(1999-05-17)]세) | 11 | 0 | 루턴 타운 FC | ||||
타카이 코타 (Kota Takai) | 2004년 9월 4일 ([age(2004-09-04)]세) | 1 | 0 | 가와사키 프론탈레 | ||||
MF/FW |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 1993년 2월 9일 ([age(1993-02-09)]세) | 67 | 4 | 리버풀 FC | |||
이토 준야 (Junya Ito) | 1993년 3월 9일 ([age(1993-03-09)]세) | 58 | 14 | 스타드 드 랭스 | ||||
미나미노 타쿠미 (Takumi Minamino) | 1995년 1월 16일 ([age(1995-01-16)]세) | 65 | 23 | AS 모나코 FC | ||||
후루하시 쿄고 (Kyogo Furuhashi) | 1995년 1월 20일 ([age(1995-01-20)]세) | 22 | 5 | 스타드 렌 FC | ||||
모리타 히데마사 (Hidemasa Morita) | 1995년 5월 10일 ([age(1995-05-10)]세) | 39 | 5 | 스포르팅 CP | ||||
오하시 유키 (Yuki Ohashi) | 1996년 7월 27일 ([age(1996-07-27)]세) | 1 | 0 | 블랙번 로버스 FC | ||||
카마다 다이치 (Daichi Kamada) | 1996년 8월 5일 ([age(1996-08-05)]세) | 38 | 8 | 크리스탈 팰리스 FC | ||||
미토마 카오루 (Kaoru Mitoma) | 1997년 5월 20일 ([age(1997-05-20)]세) | 26 | 8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 ||||
오가와 코키 (Koki Ogawa) | 1997년 8월 8일 ([age(1997-08-08)]세) | 9 | 9 | NEC 네이메헌 | ||||
마에다 다이젠 (Daizen Maeda) | 1997년 10월 20일 ([age(1997-10-20)]세) | 22 | 4 | 셀틱 FC | ||||
하타테 레오 (Reo Hatate) | 1997년 11월 21일 ([age(1997-11-21)]세) | 10 | 0 | 셀틱 FC | ||||
도안 리츠 (Ritsu Dōan) | 1998년 6월 16일 ([age(1998-06-16)]세) | 55 | 10 | SC 프라이부르크 | ||||
다나카 아오 (Ao Tanaka) | 1998년 9월 10일 ([age(1998-09-10)]세) | 30 | 8 | 리즈 유나이티드 FC | ||||
나카무라 케이토 (Keito Nakamura) | 2000년 7월 28일 ([age(2000-07-28)]세) | 13 | 8 | 스타드 드 랭스 | ||||
쿠보 타케후사 (Takefusa Kubo) | 2001년 6월 4일 ([age(2001-06-04)]세) | 40 | 5 | 레알 소시에다드 | ||||
후지타 조엘 치마 (Joel Chima Fujita) | 2002년 2월 16일 ([age(2002-02-16)]세) | 2 | 0 | 신트트라위던 VV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 2024년 11월 15일(금) | 원정 | 인도네시아 | ||||
2024년 11월 19일(화) | 원정 | 중국 | ||||||
출처: 일본축구협회 2024년 11월 7일 기준 | }}}}}}}}}}}}}}} |
1 오사코 · 2 사카이 (W.C) · 3 나카야마 · 4 이타쿠라 · 5 요시다 (W.C) · 6 엔도 (W.C) · 7 쿠보 8 미요시 · 9 마에다 · 10 도안 · 11 미토마 · 12 타니 · 13 하타테 · 14 토미야스 · 15 하시오카 16 소마 · 17 다나카 · 18 우에다 · 19 하야시 · 20 마치다 · 21 세코 · 22 스즈키 |
모리야스 하지메 |
1 가와시마 · 2 야마네 · 3 타니구치 · 4 이타쿠라 · 5 나가토모 · 6 엔도 · 7 시바사키 · 8 도안 · 9 미토마 10 미나미노 · 11 쿠보 · 12 곤다 · 13 모리타 · 14 이토 · 15 카마다 · 16 토미야스 · 17 다나카 · 18 아사노 19 사카이 · 20 마치노 · 21 우에다 · 22 요시다 ⓒ · 23 슈미트 · 24 소마 · 25 마에다 · 26 이토 |
모리야스 하지메 |
1 마에카와 · 2 스가와라 · 3 타니구치 · 4 이타쿠라 · 5 모리타 · 6 엔도 ⓒ · 7 미토마 · 8 미나미노 · 9 우에다 10 도안 · 11 호소야 · 12 노자와 · 13 나카무라 · 19 나카야마 · 20 쿠보 · 21 이토 · 22 토미야스 · 23 스즈키 · 24 와타나베 · 25 마에다 · 26 사노 |
모리야스 하지메 |
{{{#!folding [ 각주 ] |
[1] 성폭력 형사 고소 사건으로 중도 하차
[1] 일본축구협회 공식 프로필[2] 2024년 10월 15일 기준[3] 2025년 1월 23일 기준.[4] 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2019 EAFF E-1 풋볼 챔피언십[5]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6] 2021 시즌, 2022 시즌[7] 2019 시즌, 2020 시즌[8] 참조[9] 사회인 팀에서 뛰었던 축구 경험자로, 프로는 아니었지만 축구를 열정적으로 사랑했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유치원 때부터 축구를 시작하게 되었고, 초등학교 1학년 때 프로 경기는 아니었지만 아버지가 해트트릭을 기록하여 팀을 역전승으로 이끄는 모습을 보고 축구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아버지와 함께 해외 축구 경기를 시청하고 일상적으로 축구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자랐으며, 아버지와의 엄격한 훈련을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10] 동갑내기로 일본의 모델이다.[11] 2020년 대학을 졸업하긴 했다.[12] 스즈키 유마, 아베 히로키 등[13] 등을 지면서 터닝슛을 하려했지만 헛발질을 했고 그 공이 자연스럽게 민테에게 흘렀다.
분류
- 1998년 출생
- 미토시 출신 인물
- 호세이대학 출신
- 일본의 남자 축구 선수
- 스트라이커
- 2019년 데뷔
- 가시마 앤틀러스/은퇴, 이적
- 세르클러 브뤼허 KSV/은퇴, 이적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현역
- 일본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
- 일본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
- 일본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
- 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참가 선수
- 일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일본의 AFC U-23 아시안컵 참가 선수
-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참가 선수
- 일본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