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5:39:12

이토 히로키

1 [[마누엘 노이어|노이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8em"]] · 2 우파메카노 · 3 김민재 · 6 키미히 · 7 그나브리 · 8 고레츠카 파일:부상 아이콘.svg · 9 케인
10 사네 · 11 코망 · 15 다이어 · 16 J. 팔리냐 · 17 올리세 · 18 페레츠 파일:부상 아이콘.svg · 19 데이비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21 이토 파일:부상 아이콘.svg · 22 게헤이루 · 23 보이 · 25 [[토마스 뮐러|뮐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8em"]] · 26 울라이히 · 27 라이머
28 부흐만 파일:부상 아이콘.svg · 40우르비히 · 42 무시알라 · 44 스타니시치 · 45 파블로비치 · 46 비도비치
파일:UEFA BEL.png 뱅상 콤파니 {{{#!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Hiroki Ito(24-25).png
<colbgcolor=#dc052d> FC 바이에른 뮌헨 No. 21
이토 히로키
[ruby(伊藤, ruby=いとう)] [ruby(洋輝, ruby=ひろき)]|Hiroki Ito
출생 1999년 5월 12일 ([age(1999-05-12)]세)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히가시구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신체 188cm / 체중 84kg[1]
포지션 센터백[2], 레프트백[3]
주발 왼발
등번호 일본 대표팀 21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 <colbgcolor=#dc052d> 유스 산투스 FC 사커 아카데미 재팬
하마마츠 카바 SSS ( ~2012)
주빌로 이와타 (2012~2017)
선수 주빌로 이와타 (2018~2022)
나고야 그램퍼스 (2019 / 임대)
VfB 슈투트가르트 (2021~2022 / 임대)
VfB 슈투트가르트 (2022~2024)
FC 바이에른 뮌헨 (2024~ )
국가대표 19경기 1골[4] (일본 / 2022~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c052d> 역대 등번호 <colbgcolor=#fff,#191919>일본 대표팀 - 21번, 26번
주빌로 이와타 - 15번, 38번
나고야 그램퍼스 - 15번
VfB 슈투트가르트 - 21번, 37번
FC 바이에른 뮌헨 - 21번
후원사 아디다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개인 수상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낙태 종용 논란
7. 여담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 국적의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센터백이고 레프트백도 가능하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토 히로키/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2022년 6월 2일, 자국에서 치러진 파라과이와의 평가전에서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그 후 8일 뒤 치러진 가나와의 평가전에서도 선발로 나섰는데, 이 경기에서 고의적인 파울을 가나 선수에게 범했다. 공중볼에 점프하는 가나 선수와 경합할 때 뛰어오른 가나 선수의 다리 부분을 밀어버려 그대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게 만들어버렸다. 그러나 사과도 하지 않는 굉장히 뻔뻔한 모습을 보였고, 심지어 퇴장당하지 않는 행운까지 누렸다.

3.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월드컵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등번호 26번.

카타르 월드컵 E조 2차전 코스타리카와의 경기에서 교체 투입됐지만, 상대팀 선수 케이셰르 풀레르의 침투 타이밍을 못 맞추는 바람에 혼자 남아 오프사이드 트랩을 붕괴시켰고, 요시다 마야의 클리어링 미스+곤다 슈이치의 불안한 핸들링+본인의 트랩 미스로 결승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3.2.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아시안컵에서도 일본 대표팀에 선발됐다. 등번호 21번.

조별리그 1,2차전 모두 풀타임을 소화했으나 2차전 이라크이변의 1-2 패배를 막지 못했다. 3차전 인도네시아전에선 결장했다.

16강 바레인전도 출전하지 않았지만, 8강 이란전에서는 선발 출장해 풀타임을 소화했으나 팀은 1-2로 패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4. 플레이 스타일

현대 축구에서 희소가치를 인정받는 왼발잡이 수비수. 볼 컨트롤이 부드럽고, 후방 빌드업 전개력이 상당히 좋은데 특히 전방으로 뿌려주는 롱패스를 통한 빌드업을 즐겨한다. 수비 시 4백의 좌측 센터백과 레프트백, 3백의 좌측 스토퍼까지 가능할 정도로 유틸리티성이 좋은 수비수다. 수비 시에는 침착하게 위치를 잡고 공을 블록하거나 인터셉트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

센터백이 주 포지션이었으나 2023년부터는 대표팀이나 클럽에서나 레프트백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여기서 포텐이 제대로 터졌다. 준수한 수비 능력은 물론 원래부터 좋았던 빌드업 능력과 좋은 크로스 능력까지 장착하며 나가토모의 뒤를 이어 일본 대표팀의 새로운 주전 레프트백으로 자리를 잡았다. 2024년에는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의 각성, 단악셀 자가두의 시즌아웃으로 인해 센터백으로 출전하는 경기가 많아졌다.

다만, 센터백 자리에서도 지적받던 수비에서의 불안정은 아직 남아있다. 레프트백으로 전향한 후로는 수비 실수도 많이 줄어들었지만, 상대 공격수의 침투를 놓치거나 본인의 위치 선정 미스로 인해 찬스를 허용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수비 면에서는 아직 불안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되나, 매우 희소한 빌드업 능력을 갖춘 왼발잡이 장신 수비수라는 이점과 빅리그에서 경험치를 어마어마하게 많이 먹고 있기에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5. 기록

5.1. 개인 수상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낙태 종용 논란

2022년 7월 주간 신문 취재 기자에 의해 그의 낙태 종용 스캔들이 폭로되었다. # 폭로에 따르면 이토는 연인이었던 A씨에게 아이를 갖는 건 절대 무리라고 이야기하였고 그에 따라 A씨는 낙태를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후에 이토는 A씨에게 걱정하거나 미안해하는 감정 또한 없었다고 밝혀진 것이 충격. 이토 히로키의 서명이 적혀있는 임신중절동의서를 보면 낙태 사실은 거의 확정이다.

일단 이토 측은 낙태가 A씨와의 충분한 합의 하에 이뤄진 것이라고 주장하는 중이지만, 아무리 양측의 합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피임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낙태라는 행위 자체가 문제시되기에 이토 본인의 이미지 하락은 피할 수 없었다.

이 논란으로 인해 뛰어난 실력과는 별개로 자국에서도 큰 비판을 받는 선수이다.[5] 본인이 임신시켜놓고 낙태를 종용한 행적이 개인의 사생활 정도로 치부하고 가볍게 넘어갈 수준이 아니기 때문. 그래서인지 토미야스 타케히로, 이타쿠라 코, 스가와라 유키나리, 요시다 마야, 타니구치 쇼고 같은 다른 국대 선수들보다 더 뛰어난 실력과 장래성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일본 국내 인기는 밑바닥 수준이다. 정말 말 그대로 안티들만 있는 수준. 서양에서도 낙태 종용은 큰 도덕적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판국에 메이와쿠에 민감한 문화인 일본에서는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한국에서도 수비수 김민재가 있는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함에 따라 이토의 주목도가 높아지며 이 논란이 재조명과 비판을 받고 있다.

7. 여담

  • 오른쪽 눈썹 부분에 백반증을 앓고 있다. 치료를 할 수 있지만 워낙 이것으로 유명해져 다들 알기도 하고, 같은 백반증 환자가 자신을 보며 힘을 얻을 수 있도록 치료하지 않고 놔두기로 하였다.

8.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c042d><tablebgcolor=#dc042d>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FC 바이에른 뮌헨
2024-25 시즌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C 바이에른 뮌헨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Manuel Neuer(24-25).png
파일:Dayot Upamecano(24-25).png
파일:Minjae Kim(24-25).png
파일:Joshua Kimmich(24-25).png
파일:Serge Gnabry(24-25).png
1 (C) 2 3 6 7
마누엘 노이어
Manuel Neu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86.03.27 ([age(1986-03-27)])
2011~2026
다요 우파메카노
Dayot Upamecano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DF
1998.10.27 ([age(1998-10-27)])
2021~2026
김민재
Kim Min-Jae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 DF
1996.11.15 ([age(1996-11-15)])
2023~2028
요주아 키미히
Joshua Kimmich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1995.02.08 ([age(1995-02-08)])
2015~2025
세르주 그나브리
Serge Gnabry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1995.07.14 ([age(1995-07-14)])
2017~2025
파일:Leon Goretzka(24-25).png
파일:Harry Kane(24-25).png
파일:Leroy Sané(24-25).png
파일:Kingsley Coman(24-25).png
파일:Eric Dier(24-25).png
8 9 10 11 15
레온 고레츠카
Leon Goretzka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1995.06.02 ([age(1995-06-02)])
2018~2026
해리 케인
Harry Kane

파일:england-flag-round-icon-256.png | FW
1993.07.28 ([age(1993-07-28)])
2023~2027
리로이 사네
Leroy Sané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1996.01.11 ([age(1996-01-11)])
2020~2025
킹슬리 코망
Kingsley Coman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FW
1996.06.13 ([age(1996-06-13)])
2015~2027
에릭 다이어
Eric Dier

파일:england-flag-round-icon-256.png | DF
1994.01.15 ([age(1994-01-15)])
2024~2025
파일:João Palhinha(24-25).png
파일:Michael Olise(24-25).png
파일:Daniel Peretz(24-25).png
파일:Alphonso Davies(24-25).png
파일:Hiroki Ito(24-25).png
16 17 18 19 21
주앙 팔리냐
João Palhinha

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 | MF
1995.07.09 ([age(1995-07-09)])
2024~2028
마이클 올리세
Michael Olise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FW
2001.12.12 ([age(2001-12-12)])
2024~2029
다니엘 페레츠
Daniel Peretz

파일:israel-flag-round-icon-256.png | GK
2000.07.10 ([age(2000-07-10)])
2023~2028
알폰소 데이비스
Alphonso Davies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 DF
2000.11.02 ([age(2000-11-02)])
2018~2030
이토 히로키
Hiroki Ito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 DF
1999.05.12 ([age(1999-05-12)])
2024~2028
파일:Raphaël Guerreiro(24-25).png
파일:Sacha Boey(24-25).png
파일:Thomas Müller(24-25).png
파일:Sven Ulreich(24-25).png
파일:Konrad Laimer(24-25).png
22 23 25 (VC) 26 27
라파엘 게헤이루
Raphael Guerreiro

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 | DF
1993.12.22 ([age(1993-12-22)])
2023~2026
사샤 보이
Sacha Boey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DF
2000.09.13 ([age(2000-09-13)])
2024~2028
토마스 뮐러
Thomas Müll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1989.09.13 ([age(1989-09-13)])
2008~2025
스벤 울라이히
Sven Ulreich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88.08.03 ([age(1988-08-03)])
2021~2025
콘라트 라이머
Konrad Laimer

파일:오스트리아 원형 국기.svg | MF
1997.05.27 ([age(1997-05-27)])
2023~2027
파일:Tarek Buchmann(24-25).png
파일:Jonas Urbig(24-25).png
파일:Jamal Musiala(24-25).png
파일:Josip Stanišić(24-25).png
파일:Aleksandar Pavlović(24-25).png
28 40 42 44 45
타레크 부흐만
Tarek Buchmann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DF
2005.02.28 ([age(2005-02-28)])
2023~2026
요나스 우르비히
Jonas Urbig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2003.08.08 ([age(2003-08-08)])
2025~2029
자말 무시알라
Jamal Musiala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3.02.26 ([age(2003-02-26)])
2020~2026
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sic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 | DF
2000.04.02 ([age(2000-04-02)])
2021~2029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
Aleksandar Pavlović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4.05.03 ([age(2004-05-03)])
2023~2029
파일:Gabriel Vidović(24-25).png
46
가브리엘 비도비치
Gabriel Vidović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 | MF
2003.12.01 ([age(2003-12-01)])
2022~2026
FC 바이에른 뮌헨 2024-25 시즌 임대 선수
파일:alexander-nuebel-fc-bayern-muenchen-dfl-sea-0001k4.png
파일:Bryan Zaragoza(23-24).png
파일:Paul Wanner(23-24).png
파일:Arijon Ibrahimović(24-25).png
파일:Lovro Zvonarek(23-24).png
# # '''
14
'''
20 34
알렉산더 뉘벨
Alexander Nübel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96.09.30 ([age(1996-09-30)])
2020~2029
VfB 슈투트가르트 임대
2026.06.30 복귀
브리안 사라고사
Bryan Zaragoza

파일:spain-flag-round-icon-256.png | FW
2001.09.09 ([age(2001-09-09)])
2024~2029
CA 오사수나 임대
2025.06.30 복귀
파울 바너
Paul Wann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5.12.23 ([age(2005-12-23)])
2022~2027
1. FC 하이덴하임 임대
2025.06.30 복귀
아리욘 이브라히모비치
Arijon Ibrahimović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5.12.11 ([age(2005-12-11)])
2023~2027
SS 라치오 임대
2025.06.30 복귀
로브로 즈보나레크
Lovro Zvonarek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 | MF
2005.05.08 ([age(2005-05-08)])
2024~2027
SK 슈투름 그라츠 임대
2025.06.30 복귀
파일:Mathys Tel(24-25).png
파일:Frans Krätzig(23-24).png
파일:Tom Hülsmann(23-24).png
39 '''
41
'''
43
마티스 텔
Mathys Tel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FW
2005.04.27 ([age(2005-04-27)])
2022~2027
토트넘 홋스퍼 FC 임대
2025.06.30 복귀
프란스 크레치히
Frans Krätzig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DF
2003.01.14 ([age(2003-01-14)])
2023~2027
1. FC 하이덴하임 임대
2025.06.30 복귀
톰 휠스만
Tom Hülsmann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2004.04.11 ([age(2004-04-11)])
2023~2026
SKN 장크트푈텐 임대
2025.06.30 복귀
구단 정보
의장: 얀 크리스티안 드리즌 / 감독: 뱅상 콤파니 / 구장: 알리안츠 아레나
출처: FC 바이에른 뮌헨 공식 웹사이트 /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1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파일:세리에 A 로고.svg SERIE A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 가로형.svg
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logo-cssl-white.png
파일:덴마크 수페르리가 가로형 로고.svg
파일:윌리엄힐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png
파일:알스벤스칸 로고 가로형.png
파일:엑스트라클라사 워드마크.png
파일:Liga I casa.png LIGA I
파일: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신 로고.jpg
파일: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 2024.png
파일:비르스리가.png
파일:베이카우스리가 로고.svg
파일:에이 리가.png A LYGA
파일:Telekom_Prva_CFL.png
파일:BOV 몰타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2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가로형2).svg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가 포르투갈 Meu Super 로고 가로형.svg
파일:챌린저 프로 리그 로고.svg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1liga.png I LIGA
파일:리가 II 로고.png LIGA II
파일:위쾨스리가 로고_가로.p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3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가로형2).svg
파일:프리메라 페데라시온 로고 화이트.svg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파일:리가 3 아이콘.svg
파일:덴마크 세컨드 디비전 로고.png
파일:위쾨넨_white.png
}}}}}}}}}}}} ||

<rowcolor=#263164>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73E5,#263164 20%,#263164 80%,#0073E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구단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오사코 케이스케
(Keisuke Osako)
1999년 7월 28일 ([age(1999-07-28)]세) 8 0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타니 코세이
(Kosei Tani)
2000년 11월 22일 ([age(2000-11-22)]세) 2 0 파일:일본 국기.svg FC 마치다 젤비아
스즈키 자이온
(Zion Suzuki)
2002년 8월 21일 ([age(2002-08-21)]세) 1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마 칼초 1913
DF 나가토모 유토
(Yuto Nagatomo)
1986년 9월 12일 ([age(1986-09-12)]세) 142 4 파일:일본 국기.svg FC 도쿄
타니구치 쇼고
(Shogo Taniguchi)
1991년 7월 15일 ([age(1991-07-15)]세) 32 1 파일:벨기에 국기.svg 신트트라위던 VV
이타쿠라 코
(Ko Itakura)
1997년 1월 27일 ([age(1997-01-27)]세) 35 2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마치다 코키
(Koki Machida)
1997년 8월 25일 ([age(1997-08-25)]세) 17 0 파일:벨기에 국기.svg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세코 아유무
(Ayumu Seko)
2000년 6월 7일 ([age(2000-06-07)]세) 4 0 파일:스위스 국기.svg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2000년 6월 28일 ([age(2000-06-28)]세) 14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우스햄튼 FC
하시오카 다이키
(Daiki Hashioka)
1999년 5월 17일 ([age(1999-05-17)]세) 1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턴 타운 FC
타카이 코타
(Kota Takai)
2004년 9월 4일 ([age(2004-09-04)]세) 1 0 파일:일본 국기.svg 가와사키 프론탈레
MF/FW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1993년 2월 9일 ([age(1993-02-09)]세) 67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이토 준야
(Junya Ito)
1993년 3월 9일 ([age(1993-03-09)]세) 58 14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드 랭스
미나미노 타쿠미
(Takumi Minamino)
1995년 1월 16일 ([age(1995-01-16)]세) 65 23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FC
후루하시 쿄고
(Kyogo Furuhashi)
1995년 1월 20일 ([age(1995-01-20)]세) 22 5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렌 FC
모리타 히데마사
(Hidemasa Morita)
1995년 5월 10일 ([age(1995-05-10)]세) 39 5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오하시 유키
(Yuki Ohashi)
1996년 7월 27일 ([age(1996-07-27)]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블랙번 로버스 FC
카마다 다이치
(Daichi Kamada)
1996년 8월 5일 ([age(1996-08-05)]세) 38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미토마 카오루
(Kaoru Mitoma)
1997년 5월 20일 ([age(1997-05-20)]세) 26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오가와 코키
(Koki Ogawa)
1997년 8월 8일 ([age(1997-08-08)]세) 9 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NEC 네이메헌
마에다 다이젠
(Daizen Maeda)
1997년 10월 20일 ([age(1997-10-20)]세) 22 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하타테 레오
(Reo Hatate)
1997년 11월 21일 ([age(1997-11-21)]세) 10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도안 리츠
(Ritsu Dōan)
1998년 6월 16일 ([age(1998-06-16)]세) 55 10 파일:독일 국기.svg SC 프라이부르크
다나카 아오
(Ao Tanaka)
1998년 9월 10일 ([age(1998-09-10)]세) 30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즈 유나이티드 FC
나카무라 케이토
(Keito Nakamura)
2000년 7월 28일 ([age(2000-07-28)]세) 13 8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드 랭스
쿠보 타케후사
(Takefusa Kubo)
2001년 6월 4일 ([age(2001-06-04)]세) 40 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소시에다드
후지타 조엘 치마
(Joel Chima Fujita)
2002년 2월 16일 ([age(2002-02-16)]세) 2 0 파일:벨기에 국기.svg 신트트라위던 VV
일정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2024년 11월 15일(금) 원정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2024년 11월 19일(화) 원정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출처: 일본축구협회
2024년 11월 7일 기준
}}}}}}}}}}}}}}}

1 가와시마 · 2 야마네 · 3 타니구치 · 4 이타쿠라 · 5 나가토모 · 6 엔도 · 7 시바사키 · 8 도안 · 9 미토마
10 미나미노 · 11 쿠보 · 12 곤다 · 13 모리타 · 14 이토 · 15 카마다 · 16 토미야스 · 17 다나카 · 18 아사노
19 사카이 · 20 마치노 · 21 우에다 · 22 요시다 · 23 슈미트 · 24 소마 · 25 마에다 · 26 이토
파일:2022 FIFA 월드컵 일본 아이콘.svg 모리야스 하지메

1 마에카와 · 2 스가와라 · 3 타니구치 · 4 이타쿠라 · 5 모리타 · 6 엔도 · 7 미토마 · 8 미나미노 · 9 우에다
10 도안 · 11 호소야 · 12 노자와 · 13 나카무라 · 14 이토[1] · 15 마치다 · 16 마이쿠마 · 17 하타테 · 18 아사노
19 나카야마 · 20 쿠보 · 21 이토 · 22 토미야스 · 23 스즈키 · 24 와타나베 · 25 마에다 · 26 사노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일본 아이콘.png 모리야스 하지메
{{{#!folding [ 각주 ]

[1] 성폭력 형사 고소 사건으로 중도 하차



[1]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프로필[2] 원래는 센터백으로 성장해왔고 새로운 포지션인 레프트백도 높은 평가를 받기는 하나 소속팀에서는 23-24 시즌 26경기에서 센터백으로 55.9%, 레프트백으로는 44.1%를 소화해 여전히 센터백으로 출전 횟수가 좀 더 많다.[3] 2023년부터 소속팀과 국대를 가리지 않고 레프트백으로도 활용되는데, 이는 최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이 30대 후반에 접어든 나가토모 유토를 다시 발탁할 만큼 레프트백 기근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4] 2024년 6월 11일 기준[5] 예를 들어 경기에서 잘하면 아기 지우는 것도 잘하고 상대 공격수 지우는 것도 잘하는 수비수가 천직인 선수, 못하면 잘하는 게 아기 지우는 것밖에 없는 폐급 선수와 같은 방식으로 잘하든 못하든 까이며 옹호 여론도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