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 그랜드 슬램 | |||
| | | |
| | | |
윔블던 선수권 대회 The Championships, Wimbledon | |
| |
<colbgcolor=#006636><colcolor=#fff> 창설 연도 | 1877년 |
개최지 | 영국 런던 윔블던 올 잉글랜드 클럽 |
코트 | 잔디 / 야외 |
총 상금 | ₤53,500,000[1] |
타임 키퍼 | 롤렉스 |
웹 사이트 | |
소셜 미디어 | |
최근 우승자 | |
남자 단식 |
야닉 시너[2025] |
여자 단식 |
이가 슈피온텍[2025] |
최다 우승자 | |
남자 단식 |
로저 페더러 (8회) |
여자 단식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9회) |
1. 개요
매년 6월 말~7월 초부터 2주간 영국 런던 윔블던에서 개최되는 테니스 대회로 시즌 세 번째 그랜드 슬램이다. 공식 명칭은 윔블던 챔피언십(The Championships, Wimbledon)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테니스 토너먼트이며 테니스 대회 중 최고의 권위를 가진 대회로 꼽힌다.경기가 열리는 장소는 영국 런던 머튼 구의 윔블던에 위치한 올 잉글랜드 테니스 클럽(The All England Lawn Tennis and Croquet Club, AELTC)이며[4], 유일하게 잔디 코트에서 치러지는 그랜드 슬램 대회이다.[5] 5개의 메인 경기 부문(남녀 단식, 남녀 복식, 혼합 복식)과 4개의 주니어 경기 부문(남녀 단식, 남녀 복식) 외에도 휠체어 단복식, 14세 이하 단식, 초청 복식 부문도 치러진다. 대회 1주차 일요일에 잔디 보호를 위해 경기를 쉬는 것이 특징이었으나[6], 2022년도 대회부터 휴식일이 폐지되며 1주차 일요일 역시 경기가 진행된다.
|
대회가 개최되는 올 잉글랜드 론 테니스 클럽 |
2. 역사
윔블던이 열리는 '올 잉글랜드 클럽'의 역사는 1868년에 설립된 사설 테니스·크로케 클럽인 The All England Lawn Tennis and Croquet Club에서 시작되었다.[7] 이후 1870년대 즈음, 월터 클롭턴 윙필드(Walter Clopton Wingfield) 장군에 의해 현대 테니스와 거의 유사한 규칙과 장비 등을 적용하여 테니스 대회를 개최한 것이 지금의 윔블던 대회로 이어지고 있다.전체 경기장에서 메인 코트는 다른 코트들의 중앙에 위치하게 배치되었는데, 이 때문에 메인 코트를 ‘센터 코트’(Centre Court)로 칭하게 되었다. 이후 1922년 경기장이 현재의 처치 로드(Church Road)로 옮겨오면서 메인 코트의 위치는 중앙이 아닌 다른 위치로 배치되었지만 기존의 명칭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러다 1980년에 4개의 코트가 경기장 북측에 새로 만들어지면서, 센터 코트의 위치는 다시금 실제로 전체 경기장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다.
1877년 첫 대회에서는 남자 단식 경기만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영국 상류층이 다니는 명문 사립학교인 해로우 스쿨 출신의 스펜서 고어(Spencer Gore)가 우승했으며, 결승전에서는 약 200명의 유료 관람객들이 경기를 관전했다.
1882년에 이르러서는 클럽의 활동이 거의 테니스로 한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클럽 명칭에서 ‘크로케’가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서적인 이유에서 이 단어는 1889년 다시 복원되어, 이 때부터 클럽의 명칭은 올 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드 크로케 클럽이 되었다.
1884년에는 대회에 여자 단식과 남자 복식이 추가되었으며, 1913년에는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이 추가되었다. 1922년 이전까지 대회의 우승자는 자동으로 이듬해 대회 결승에 진출하고 새로운 결승 진출자가 이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과 마찬가지로, 옛 윔블던에는 톱 랭킹 아마추어 선수들이 대거 참가하였으며, 이는 1968년 오픈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1936년 프레드 페리 이후, 그리고 여자 단식에서는 1977년 버지니아 웨이드 이후로 오랫동안 영국 출신 우승자가 나오지 않았다. 이렇게 영국에서 개최하는 세계적 명성의 대회에서 자국 선수가 장기간 우승하지 못하는 것이 마치 금융시장의 과도한 자유개방으로 인하여 자국 금융시장이 외국 자본에 잠식되는 상황과 비슷하여 윔블던 효과라는 경제 용어가 생겼다. 그러다가 36년 만인 2013년에 앤디 머리가 남자 단식 우승을 차지하였고 여자 주니어 단식에서는 1984년 애너벨 크로프트와 2008년 로라 롭슨이 영국인 출신으로 우승하였다.
1937년 대회 최초로 경기가 TV로 중계되었다.
1993년 윔블던은 가장 오랜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최고 권위의 테니스 대회로서의 위상을 21세기에도 이어 나간다는 목표 아래 관람자와 참가선수, 대회진행요원들 및 지역 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대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 계획을 발표하였다.
- 1단계 계획은 1997년 아오란지 파크(Aorangi Park)에 새로운 1번 코트와 방송 센터, 두 면의 추가 잔디 코트 및 언덕 지역 아래에 처치 로드와 서머싯 로드(Somerset Road)를 잇는 터널을 완공하면서 완성되었다.
- 2단계 계획은 옛 1번 코트 경기장을 철거하여 여기에 선수 및 기자, 진행요원, 회원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춘 새로운 밀레니엄 빌딩을 건축하는 것과, 센터 코트의 서쪽 스탠드에 728석의 좌석을 추가 설치하는 것으로 완성되었다.
- 3단계 계획은 입구 빌딩과 직원 숙소, 박물관, 은행 그리고 티켓 오피스를 설치하는 것으로 완료되었다.
2009년에는 센터 코트에 개폐식 지붕을 설치하여 우천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경기 진행이 가능한 환경을 갖추었다.[8] 다만 인근 주민들의 주거권 보호를 위해 밤 11시 이후로는 경기를 진행할 수 없다. 정식 대회에서 새로운 지붕을 최초로 사용한 것은 당해 여자 단식 4회전 디나라 사피나와 아멜리 모레스모의 경기 도중에 시작된 비로 인해 지붕을 닫고 경기를 진행한 것이며, 전체 경기가 지붕을 닫고 진행된 최초의 경기는 2009년 6월 29일 남자 단식 4회전 앤디 머리와 스탠 바브린카의 경기였다.
2019년부터 최종 세트(deciding set)의 스코어가 12-12이면 타이브레이크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9] # 이후 2022년부터는 최종 세트의 스코어가 6-6이 되면 10점 선취 타이브레이크를 진행하는 그랜드 슬램 대회 표준 규정에 합의하였다.
130년이 넘는 유구한 역사 중 대회를 열지 못한 경우가 딱 9회 있다. 이 중 8회는 세계 대전의 영향 때문으로, 1915~1918년까지는 제1차 세계 대전 때문에, 1940~1945년까지는 제2차 세계 대전 때문에 대회 개최가 중단되었다. 나머지 한 번은 2020년으로, 2020년 4월 1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대회 취소를 발표했다.# 이는 1945년 2차 세계대전 이후 75년 만인데, 당시 영국 내 확진자 추세가 매우 심각했던 데다가 잔디 코트 특성상 관리가 매우 힘들고, 여름철이 지나면 경기용으로 쓰는 것이 부적합해 대회를 연기할 수도 없어 사실상 다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2022년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발한다는 의미로 러시아 및 벨라루스 국적 선수들의 참여를 불허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그러자 ATP와 WTA는 공정성과 차별금지 원칙에 위배된다며 윔블던 본선 모든 경기의 결과에 관계없이 랭킹 포인트 미부여 조치를 검토중이라는 폭탄 선언을 했다. 관련기사 그리고 5월 21일, 세계 테니스계를 총괄하는 대표적인 단체인 ATP, WTA 그리고 ITF(국제테니스협회)에서 공식적으로 당해 윔블던 대회 결과에 대해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성명문 관련기사 2023년 들어서는 러시아 및 벨라루스 국적 선수의 참가를 다시 허용하나, 대회 기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지지 의사 표명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해야 하고, 러시아나 벨라루스 정부로부터 대회 출전에 대한 지원을 받아서도 안 된다는 규칙안을 내놓았다.#
3. 대회 특징
3.1. 잔디 코트
|
윔블던의 메인 코트인 센터 코트 (Centre Court) |
천연잔디는 다른 종류의 코트에 비해 미끄러운 성질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11] 공의 바운드가 빠르고, 하드코트에 비해 바닥이 단단하지 않아서 공이 잔디에 스치듯이 낮게 튄다. 따라서 빠른 서브를 리턴하기 가장 어려운 종류의 코트이며, 랠리가 비교적 짧은 편이다. 또한 낮은 바운스때문에 발리 및 드롭 샷과 슬라이스의 사용이 큰 위력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강한 서브와 발리 스킬을 갖춘 선수들에게 극히 유리한 타입의 대회이다.
다만, 천연잔디 코트는 인조잔디 코트나 클레이에 비해 손상에 매우 취약하기에, 대회 기간에 걸쳐 선수들이 수십 시간동안 코트 위를 누비고 공이 잔디에 꽂히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잔디가 마모되고 죽는다. 아무리 관리 및 보수를 부지런히 하더라도 대회 중후반부에 접어들면 베이스라인 근처는 늘 잔디가 벗겨져 맨땅이 드러날 수 밖에 없는 것. 그 결과 불규칙 바운드가 자주 발생해 경기 운영이 보다 까다워질 뿐더러, 빅서버들의 이점이 줄어들고 베이스라이너들이 유리해지는 환경이 조성된다.
대회 역사를 보았을 때도 서브 & 발리에 특화된 선수들이 강한 모습을 보여 왔다. 대표적으로 피트 샘프라스의 경우, 잔디 코트에서 통산 83%의 승률을 가지고 있으며 1992년~2000년 사이에 총 일곱 번의 윔블던 우승을 기록했다. 고란 이바니세비치의 경우도 다른 기술들은 평균 수준이었지만, 190cm가 넘는 거대한 체구와 왼손잡이의 파워를 앞세운 강서브와 발리만으로 네 번이나 윔블던 결승에 진출해 결국 우승까지 차지했다.[12] 그의 통산 기록 또한 다른 그랜드슬램 대회들 (61승 36패, 62.9%)보다 윔블던 (49승 14패, 77.7%)에서 더 좋았다. 특히 2000년대 전후는 선수들이 사용하는 라켓 재질이 강화됨과 함께 리하르트 크라이첵, 마크 필리포시스 등 오픈 시대 들어 가장 서브 & 발리어가 강세였던 시기.
다만 오직 서브만으로 경기가 좌우되어 대회의 재미가 떨어진다는 반응이 많아졌고, 주최 측도 대회가 대포알 서버들에게 너무 유리하다는 점을 인지하여 2001년 이후부터는 잔디 종류를 바꾸고 물과 모래를 뿌리는 등 바운스 속도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윔블던은 잔디 코트에서 개최되는 대회 중에서는 가장 느린 코트가 되었으며, 코트 스피드 지표에서 아웃도어 하드와 엇비슷한 수준을 보인다.[13] 또한 테니스 라켓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여 과거에 비해 리턴과 패싱샷이 더 강력해지면서 서브 앤 발리의 입지가 좁아졌다.[14] 그 결과 올라운더인 로저 페더러(8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 보유)와 앤디 머리(2회 우승), 라파엘 나달(2회 우승), 노박 조코비치(7회 우승), 카를로스 알카라스(2회 우승)와 같은 베이스라이너들의 우승이 연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브와 발리를 잘 구사하는 선수이 윔블던에서 이점을 갖는 것은 사실이라, 다른 대회들에 비해 강서버들이 상위 라운드에 진출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3.2. 복장 규정
|
2025년 남자 단식 결승전 야닉 시너와 카를로스 알카라스 |
|
2025년 여자 단식 결승전 이가 슈피온텍과 아만다 아니시모바 |
윔블던은 경기에 참여하는 모든 선수들(주니어 및 시니어 부분 포함)로 하여금 착용하는 복장을 반드시 흰색으로[15]완벽한 흰색만 허용된다.] 통일해야 한다는 엄격한 복장 규정으로 유명하다. 경기복 상하의는 기본이고 테니스화와 양말, 모자와 해어밴드, 손목밴드까지 의류·신발·액세서리 모든 아이템에 있어 적용된다. 이토록 엄격한 규정으로 인해 선수들이 지적을 받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2013년 대회에서 로저 페더러는 밑창이 주황색인 테니스화를 신었다는 이유로 주최 측의 지적을 받고 신발을 바꾸어 신은 적이 있다. 대회 측 규정으로는 상하의 끝단 1cm 정도는 다른 색이어도 된다고는 하나, 사실상 흰색 외의 색이 겉으로 보이면 다 걸리는 셈이다.
2014년도부터는 남녀 속옷 역시, 상하의가 땀에 젖어 속옷이 비치는 경우를 포함해 절대로 흰색이 아닌 다른 색이 드러나면 안된다고 규정을 대폭 강화했다. 이 규정 변화를 전해듣지 못하고 다른 색의 스포츠 브래지어를 입은 일부 여성 선수들이 출전하자 주최 측에서 갈아입을 것을 요청했는데, 여분의 흰색 스포츠 브래지어가 있는 선수들은 그나마 나았지만 당장 별도로 구입해오기 어려운 상황에 있던 선수들은 노브라로 경기를 뛰기도 했다. 2017년 윔블던에서는 비너스 윌리엄스가 핑크색 브래지어 어깨끈이 보인다는 이유로 지적을 받고, 속옷을 갈아입고서야 경기를 재개할 수 있었다.# 안나 쿠르니코바는 2002년 대회에서 검은색 속바지를 지적받아 남자 코치의 바지를 빌려 입고 경기하기도 했다.
사실 흰색 옷을 입는 것은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윔블던 고유의 문화가 아닌 테니스 전체에 해당되는 문화였다. 색이 있는 옷은 땀을 흘리면 땀자국이 도드라져보이는 까닭에, 보수적이고 귀족적인 테니스계에서는 흰 옷을 입는 것이 당연한 문화였다.[16] 이후 시간이 지나며 흰색 옷을 입는 것이 전통으로 굳어져가다가, 1963년에야 명시적으로 흰색 복장 규정이 도입된 것이다. 이 규정 역시 외투나 헤어 밴드같은 부분은 지금처럼 엄격하지 않았고, 기본 컬러만 흰색으로 고정되어 있을 뿐 패턴이나 배색을 달리 할 수 있어서 충분히 독특한 디자인을 보여줄 수 있었다.
|
1980년 남자 단식 결승전 비에른 보리와 존 매켄로 |
앞선 문단처럼 복장 규정이 이토록 엄격해진 것은 2014년 윔블던 주최측이 복장 규제를 강화하면서부터인데, 이는 의류를 통해 상업적 광고를 노리는 스포츠 용품 업체들의 경쟁이 대회의 품격을 떨어뜨리는 걸 막으려는 의도라고 밝혔다. 같은 이유로, 많은 선수들의 경기복에는 본인이 스폰서십을 받는 기업 및 브랜드 패치나 로고가 박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윔블던은 이를 아주 작은 크기만 허용하고 있다. 상업적 광고를 아예 못하게 만들 수는 없으니 어떻게든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그럼에도 복장 규정이 너무 지나치다며 불만이 제기되는 경우가 허다한데, 브래지어나 속바지까지 규제하는 것은 확실히 심하다는 게 중론. 결국 2023년부터는 여성 선수들의 속바지가 스커트보다 길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색이 있는 속바지를 입어도 된다는 규정이 신설되었다. 여성 선수가 생리 중인 경우 흰색 하의를 입으면 경기 중 곤란하거나 신경 쓰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이 여자 선수들의 멘탈적인 측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고 한다.
참고로 윔블던이 열리는 올 잉글랜드 클럽에서 개최된 2012년 런던 올림픽의 경우, IOC의 규정을 따라야 했기 때문에 흰색 복장 규정이 적용되지 않았다.
선수들뿐만 아니라 관중석 가운데 일종의 VIP석인 로열 박스(Royal Box)의 게스트들에도 복장 규정이 존재한다. 어느 정도 격식을 갖춘 단정한 차림이 원칙이며, 남성은 재킷 혹은 수트에 타이를 매야 한다. 모자의 경우 다른 사람들의 시야를 방해한다는 이유로 금지하는 규정이 있긴 하나, 보통 챙이 넓지 않은 모자는 허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로열 박스에 앉는 이들은 세계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유명인[17] 혹은 부호들이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규정을 잘 지키는 편이지만 간혹 드레스 코드에 어긋나 쫒겨나는 경우도 있다. 2015년 F1 드라이버 루이스 해밀턴이 자켓과 타이 없이 꽃무니 셔츠를 입고 왔다가 입장을 거부 당하고 쫓겨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3.3. 경기 시간 규정
다른 대회들과 달리 윔블던은 야간에 경기가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센터 코트와 1번 코트를 제외한 나머지 야외 코트들의 경우 인공 조명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경기 진행이 어렵고, 잔디 코트의 특성상 저녁이 되면 매우 미끄러워져서 부상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일몰 이후까지 마무리되지 못한 경기는 상황에 따라 중단되어 다음날 같은 코트에서 재개된다.[18] 또한 2025년부터는 윔블던에도 전자 라인 판독 시스템이 도입되었는데, 날이 어두워지고 나면 조명 없이는 호크아이가 정확하게 작동하지 못한다.[19]한편, 2009년 센터 코트에 조명이 달린 개폐식 지붕이 생긴 후로는 해가 지고 나서도 경기가 가능해졌다. 그럼에도 경기 진행 가능 시간을 밤 11시까지로 제한하고 있는데, 이는 지역 주민 편의와 대중교통 문제 때문이다. 늦은 시간 관중들의 함성 소리로 인한 주민 주거권 침해를 우려한 지방자치단체와 대회를 주최하는 올 잉글랜드 클럽의 합의로 해당 규정이 도입되었으며, 어차피 경기장 주변 지하철이나 기차도 밤 11시 전후로 운행이 종료되기 때문에 이 시간을 넘어가면 경기장 내의 관객들도 귀가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2019년 들어 개폐식 지붕이 설치된 1번 코트도 마찬가지로 밤 11시까지 경기 진행이 가능하다. 참고로 윔블던에서 가장 늦게 종료된 경기는 2012년 남자 단식 3라운드 앤디 머리와 마르코스 바그다티스의 경기로, 밤 11시 2분에 종료되었다. 23시 정각을 기준으로 머리가 4세트 5-1 서빙 포 더 매치를 앞둔 상황이라 약간의 융통성을 발휘해 머리가 경기를 마무리 지을 기회를 준 것. 최근에는 보통 각 세트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다음 세트가 23시 전까지 마무리되기 어려울 것 같다고 판단하면 그 시점에서 경기를 중단한다.
경기 시작 시간의 경우, 우천 지연이 없는 한 야외 코트는 오전 11시, 1번 코트는 오후 1시, 센터 코트는 오후 1시 30분에 경기를 시작한다.[20]
3.4. 기타 특징
|
2010년, 대회를 찾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예를 표하는 앤디 머리 |
- 달달한 크림을 곁들인 딸기(strawberries and cream)는 윔블던을 대표하는 간식이자 대회가 처음 시작된 19세기부터 이어져 온 전통이다. 경기장 내에 판매 부스가 있으며, 가격은 2.7 파운드(한화 약 5000원)이다.[22] 워낙 역사도 깊고 인기도 많은 전통이라, 딸기는 현재 윔블던의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23]
- 테니스 경기 진행에 반드시 필요한 스태프인 볼키즈(Ball Kids)[24]를 뽑는 방식도 상당히 특이하다. 본래 투어급 대회 이상에 참여하는 볼키즈 참가 자격은 국적을 불문하고 전 세계 모든 청소년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주는 게 일반적인데, 윔블던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누구든지 볼키즈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해 놓았지만, 실제로는 거의 인근 중학교·고등학교에서 테니스를 하는 청소년들에게 볼키즈 자격을 부여한다. 물론 이것도 해당 학교 교장들의 추천서가 있어야 가능하다.
- 관객들과 선수들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입장한 관객들이 핸드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전자기기를 반입하더라도 반드시 전원을 꺼야 했다. 다만 현재는 조금 완화되어서 무음 모드로 할 경우 전원은 끌 필요는 없으며, 사진 촬영은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는 한 허용하고 있다. 또한 경기 진행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게임 중에는 경기장 입장 및 퇴장이 금지된다. 이동은 경기 시작 전, 종료 후 혹은 선수들이 코트 체인지를 하는 휴식 시간(체인지 오버) 동안에만 가능하다.
-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과는 달리 남자 단식 예선 최종 라운드(3라운드)에서 5세트제(best of 5) 규정을 사용하고 있다. 본래 남자 복식도 5세트제였으나, 2023년 대회부터 3세트제로 축소했다.[25]
- 남자 단식 우승자는 높이 18.5인치(약 47cm)에 지름 7.5인치(약 19cm)의 금도금을 한 우승컵을 수여 받는다. 이 우승컵은 1887년부터 사용되었으며 표면에는 “All England Lawn Tennis Club Single Handed Championship of the World”라는 글귀와 함께 역대 우승자의 이름이 순서대로 새겨져 있다. 기존 트로피에 공간이 부족해지자 2009년부터는 아래 받침대를 추가해 여기에 새기고 있다. 여자 단식 우승자는 로즈워터 디시(Rosewater Dish) 혹은 비너스 로즈워터 디시(Venus Rosewater Dish)라고 불리는 순은쟁반을 수여 받는다. 이 쟁반의 지름은 18.75인치(약 48cm)이며 신화와 관련된 무늬들로 장식되어 있다. 남녀 복식 및 혼합 복식 우승팀은 은제 우승컵을 수여 받으며, 준우승자팀은 모두 무늬가 새겨진 은쟁반을 수여 받는다. 트로피는 보통 올 잉글랜드 클럽의 회장에 의해 수여되는데, 최근에는 캐서린 왕세자비가 남녀 단식 우승 트로피를 수여하고 있다.
4. 주요 기록
- 굵은 표시는 현역 선수
- 2025년 대회 종료 기준
4.1. 남자 단식
<colbgcolor=#006636><colcolor=#fff><rowcolor=#fff> 기록 | 성명 | 횟수 |
최다 우승 | 로저 페더러 | 8회[26][27] |
최다 결승 진출 | 로저 페더러 | 12회[28] |
최다 4강 진출 | 노박 조코비치 | 14회 |
최다 본선 승리 | 로저 페더러 | 105승[29] |
4.2. 여자 단식
<colbgcolor=#006636><colcolor=#fff><rowcolor=#fff> 기록 | 성명 | 횟수 |
최다 우승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 9회[30][31] |
최다 결승진출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 12회[32][33] |
최다 4강진출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크리스 에버트 | 17회 |
최다 본선승리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 120승[34] |
5. 대한민국 선수 출전 기록
- 굵은 표시는 현역 선수
- 2023년 대회 종료 기준
5.1. 남자 단식
<colbgcolor=#006636><colcolor=#fff><rowcolor=#fff> 순서 | 성명 | 기록 |
1 | 윤용일 | 1패 |
2 | 이형택 | 5승 7패 |
3 | 정현 | 1패 |
4 | 권순우 | 1승 3패 |
5.2. 여자 단식
<colbgcolor=#006636><colcolor=#fff><rowcolor=#fff> 순서 | 성명 | 기록 |
1 | 이덕희 | 2승 4패 |
2 | 박성희 | 2승 3패 |
3 | 조윤정 | 2승 2패 |
6. 상금 규모
대회 참가선수들에게 상금이 지급되기 시작한 것은 프로 선수들에게 문호가 개방되었던 1968년부터이다.2007년 이전까지 윔블던을 포함한 다른 대부분의 대회들은 남자 선수들에게 여자 선수들보다 더 많은 상금을 지급해 왔다. 2007년 윔블던은 상금 정책을 변경하여 남녀 선수들간의 상금 차등을 없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남자 선수들이 여자 선수들보다 인기가 더 많고 더 많은 세트를 소화하므로, 시간당 지급되는 보수를 균등하게 책정한다는 의미에서 남자가 상금을 더 많이 받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도 있다.
- 2009년~2021년 현재 상금규모의 변화표. 단위는 파운드(£)
연도 | 총상금 | 상승률 | 단식 우승상금 | 상승률 | 단식 1회전 탈락자 상금 |
2009 | 12,550,000 | 6.2% | 850,000 | 13.3% | 10,750 |
2010 | 13,725,000 | 9.3% | 1,000,000 | 17.6% | 11,250 |
2011 | 14,600,000 | 6.3% | 1,100,000 | 10.0% | 11,500 |
2012 | 16,060,000 | 10.0% | 1,150,000 | 4.5% | 14,500 |
2013 | 22,560,000 | 40.4% | 1,600,000 | 39.1% | 23,500 |
2014 | 25,000,000 | 10.8% | 1,760,000 | 10.0% | 27,000 |
2015 | 26,750,000 | 7.0% | 1,880,000 | 6.8% | 29,000 |
2016 | 28,100,000 | 5.0% | 2,000,000 | 6.3% | 30,000 |
2017 | 31,600,000 | 12.4% | 2,200,000 | 10.0% | 35,000 |
2018 | 34,000,000 | 7.5% | 2,250,000 | 2.2% | 39,000 |
2019 | 38,000,000 | 11.7% | 2,350,000 | 4.4% | 45,000 |
2021 | 35,000,000 | -7.9% | 1,700,000 | -27.7% | 48,000 |
7. 역대 결승전
타이브레이커 점수 표기 방식은 영문 위키백과의 방식(예: 6-7(10-12))대로 표기하도록 한다.7.1. 남자 단식
윔블던에서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것은 1968년이지만, 4대 그랜드슬램 대회 모두가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오픈 형식이 된 건 1969년이니 이때를 기준으로 표시한다.연도 | 우승 | 준우승 | 스코어 |
1969 | 6-4, 5-7, 6-4, 6-4 | ||
1970 | 5-7, 6-3, 6-2, 3-6, 6-1 | ||
1971 | 6-3, 5-7, 2-6, 6-4, 6-4 | ||
1972 | 4-6, 6-3, 6-3, 4-6, 7-5 | ||
1973 | 6-1, 9-8, 6-3 | ||
1974 | 6-1, 6-1, 6-4 | ||
1975 | 6-1, 6-1, 5-7, 6-4 | ||
1976 | 6-4, 6-2, 9-7 | ||
1977 | 3-6, 6-2, 6-1, 5-7, 6-4 | ||
1978 | 6-2, 6-2, 6-3 | ||
1979 | 6-7, 6-1, 3-6, 6-3, 6-4 | ||
1980 | 1-6, 7-5, 6-3, 6-7, 8-6 | ||
1981 | 4-6, 7-6(7-1), 7-6(7-4), 6-4 | ||
1982 | 3-6, 6-3, 6-7(2-7), 7-6(7-5), 6-4 | ||
1983 | 6-2, 6-2, 6-2 | ||
1984 | 6-1, 6-1, 6-2 | ||
1985 | 6-3, 6-7(4-7), 7-6(7-3), 6-4 | ||
1986 | 6-4, 6-3, 7-5 | ||
1987 | 7-6(7-5), 6-2, 7-5 | ||
1988 | 4-6, 7-6(7-2), 6-4, 6-2 | ||
1989 | 6-0, 7-6(7-1), 6-4 | ||
1990 | 6-2, 6-2, 3-6, 3-6, 6-4 | ||
1991 | 6-4, 7-6(7-4), 6-4 | ||
1992 | 6-7(8-10), 6-4, 6-4, 1-6, 6-4 | ||
1993 | 7-6(7-3), 7-6(8-6), 3-6, 6-3 | ||
1994 | 7-6(7-2), 7-6(7-5), 6-0 | ||
1995 | 6-7(5-7), 6-2, 6-4, 6-2 | ||
1996 | 6-3, 6-4, 6-3 | ||
1997 | 6-4 6-2 6-4 | ||
1998 | 6-7(2-7), 7-6(11-9), 6-4, 3-6, 6-2 | ||
1999 | 6-3, 6-4, 7-5 | ||
2000 | 6-7(10-12), 7-6(7-5), 6-4, 6-2 | ||
2001 | 6-3, 3-6, 6-3, 2-6, 9-7 | ||
2002 | 6-1, 6-3, 6-2 | ||
2003 | 7-6(7-5), 6-2, 7-6(7-3) | ||
2004 | 4-6, 7-5, 7-6(7-3), 6-4 | ||
2005 | 6-2, 7-6(7-2), 6-4 | ||
2006 | 6-0, 7-6(7-5), 6-7(2-7), 6-3 | ||
2007 | 7-6(9-7), 4-6, 7-6(7-3), 2-6, 6-2 | ||
2008 | 6-4, 6-4, 6-7(5-7), 6-7(8-10), 9-7 | ||
2009 | 5-7, 7-6(8-6), 7-6(7-5), 3-6, 16-14 | ||
2010 | 6-3, 7-5, 6-4 | ||
2011 | 6-4, 6-1, 1-6, 6-3 | ||
2012 | 4-6, 7-5, 6-3, 6-4 | ||
2013 | 6-4, 7-5, 6-4 | ||
2014 | 6-7(7-9), 6-4, 7-6(7-4), 5-7, 6-4 | ||
2015 | 7-6(7-1), 6-7(10-12), 6-4, 6-3 | ||
2016 | 6-4, 7-6(7-3), 7-6(7-2) | ||
2017 | 6-3, 6-1, 6-4 | ||
2018 | 6-2, 6-2, 7-6(7-3) | ||
2019 | 7-6(7-5), 1-6, 7-6(7-4), 4-6, 13-12(7-3) | ||
2020 |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취소 | ||
2021 | 6-7(4-7), 6-4, 6-4, 6-3 | ||
2022 | 4-6, 6-3, 6-4, 7-6(7-3) | ||
2023 | 1-6, 7-6(8-6), 6-1, 3-6, 6-4 | ||
2024 | 6-2, 6-2, 7-6(7-4) | ||
2025 | 4-6, 6-4, 6-4, 6-4 |
7.2. 여자 단식
윔블던에서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것은 1968년이지만, 4대 그랜드슬램 대회 모두가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오픈 형식이 된 건 1969년이니 이때를 기준으로 표시한다.연도 | 우승 | 준우승 | 스코어 |
1969 | 3-6, 6-3, 6-2 | ||
1970 | 14-12, 11-9 | ||
1971 | 6-4, 6-1 | ||
1972 | 6-3, 6-3 | ||
1973 | 6-0, 7-5 | ||
1974 | 6-0, 6-4 | ||
1975 | 6-0, 6-1 | ||
1976 | 6-3, 4-6, 8-6 | ||
1977 | 4-6, 6-3, 6-1 | ||
1978 | 2-6, 6-4, 7-5 | ||
1979 | 6-4, 6-4 | ||
1980 | 6-1, 7-6(7-4) | ||
1981 | 6-2, 6-2 | ||
1982 | 6-1, 3-6, 6-2 | ||
1983 | 6-0, 6-3 | ||
1984 | 7-6(7-5), 6-2 | ||
1985 | 4-6, 6-3, 6-2 | ||
1986 | 7-6(7-1), 6-3 | ||
1987 | 7-5, 6-3 | ||
1988 | 5-7, 6-2, 6-1 | ||
1989 | 6-2, 6-7(1-7), 6-1 | ||
1990 | 6-4, 6-1 | ||
1991 | 6-4, 3-6, 8-6 | ||
1992 | 6-2, 6-1 | ||
1993 | 7-6(8-6), 1-6, 6-4 | ||
1994 | 6-4, 3-6, 6-3 | ||
1995 | 4-6, 6-1, 7-5 | ||
1996 | 6-3, 7-5 | ||
1997 | 2-6, 6-3, 6-3 | ||
1998 | 6-4, 7-6(7-2) | ||
1999 | 6-4, 7-5 | ||
2000 | 6-3, 7-6(7-3) | ||
2001 | 6-1, 3-6, 6-0 | ||
2002 | 7-6(7-4), 6-3 | ||
2003 | 4-6, 6-4, 6-2 | ||
2004 | 6-1, 6-4 | ||
2005 | 4-6, 7-6(7-4), 9-7 | ||
2006 | 2-6, 6-3, 6-4 | ||
2007 | 6-4, 6-1 | ||
2008 | 7-5, 6-4 | ||
2009 | 7-6(7-3), 6-2 | ||
2010 | 6-3, 6-2 | ||
2011 | 6-3, 6-4 | ||
2012 | 6-1, 5-7, 6-2 | ||
2013 | 6-1, 6-4 | ||
2014 | 6-3, 6-0 | ||
2015 | 6-4, 6-4 | ||
2016 | 7-5, 6-3 | ||
2017 | 7-5, 6-0 | ||
2018 | 6-3, 6-3 | ||
2019 | 6-2, 6-2 | ||
2020 |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취소 | ||
2021 | 6-3, 6-7(4-7), 6-3 | ||
2022 | 3-6, 6-2, 6-2 | ||
2023 | 6-4, 6-4 | ||
2024 | 6-2, 2-6, 6-4 | ||
2025 | 6-0, 6-0 |
8. 여담
* 2010년 윔블던에서는 역사상 가장 긴 테니스 경기가 펼쳐졌는데, 존 이스너(미국)과 니콜라 마위(프랑스)의 남자 단식 1라운드 경기로, 6월 23부터 25일까지 무려 사흘에 걸쳐 총 11시간 5분 동안 진행되었다. 최종 스코어는 6-4 3-6 6-7(7-9) 7-6(7-3) 70-68로 이스너의 승리.[35] 이때는 윔블던이 매치 타이브레이크 제도를 도입하기 전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기록이다. 그런데 이 매치 타이브레이크 제도는 이스너가 2018년 7월 13일 남자 단식 4강에서 케빈 앤더슨과 6시간 36분짜리 경기(7-6(8-6) 6-7(5-7) 6-7(9-11) 6-4 26-24)를 치르며 역사상 두번째로 긴 그랜드 슬램 경기를 기록하고 난 다음 해부터 도입되었기 때문에[36] 이스너가 테니스의 규정을 바꿨다는 농담도 있다. 해당 경기는 아래와 같은 다시는 깨지기 힘든 기록들을 보유하고 있다.
* 최장 경기 시간 - 11시간 5분
* 최장 세트 시간(5세트) - 8시간 11분(491분)
* 가장 많은 게임을 한 세트(5세트) - 70-68로 총 138게임
* 가장 많은 게임을 한 경기 - 183게임
* 가장 많은 에이스를 기록한 경기 - 이스너의 113개는 역대 1위, 마위의 에이스도 103개로 역대 2위. 총합은 216개로 1위를 차지했다.
* 각자 연속으로 서비스게임을 지킨 경기 - 서로 84번씩 본인 서브게임을 지키면서 총 168게임 연속으로 지켰다.
* 한 경기에서 가장 많은 게임을 승리 - 183게임 중 승리한 이스너가 총 92게임, 패배한 마위가 91게임을 승리했다.
* 단일 경기에서 최다 득점 - 980포인트, 패배한 마위가 총 502포인트를 따냈으며 이스너는 478포인트.
* 최장 세트 시간(5세트) - 8시간 11분(491분)
* 가장 많은 게임을 한 세트(5세트) - 70-68로 총 138게임
* 가장 많은 게임을 한 경기 - 183게임
* 가장 많은 에이스를 기록한 경기 - 이스너의 113개는 역대 1위, 마위의 에이스도 103개로 역대 2위. 총합은 216개로 1위를 차지했다.
* 각자 연속으로 서비스게임을 지킨 경기 - 서로 84번씩 본인 서브게임을 지키면서 총 168게임 연속으로 지켰다.
* 한 경기에서 가장 많은 게임을 승리 - 183게임 중 승리한 이스너가 총 92게임, 패배한 마위가 91게임을 승리했다.
* 단일 경기에서 최다 득점 - 980포인트, 패배한 마위가 총 502포인트를 따냈으며 이스너는 478포인트.
* 2013년 대회 때 주니어 남자 단식 부분에서 '한국 테니스의 기대주'로 불리던 삼일공고 소속의 정현(당시 만 17세) 선수가 대한민국 테니스 역사상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해 준우승을 기록했다. 당시 주니어 세계 랭킹 1위 등의 엄청난 강자들을 꺾는 등 큰 포텐셜을 보여주었다.[37] 여자 주니어 부문에서는 1994년 전미라가 준우승을 기록한 바 있는데, 당시 결승전 상대는 마르티나 힝기스였다. 이후 1995년 US 오픈에서는 힝기스와 복식조로 나서기도 했다.
- 2025년 7월 12일 여자 단식 결승전에서는 윔블던 결승 역사상 114년 만에 더블 베이글 스코어(6-0, 6-0)가 나왔다. 오픈 시대 이후로는 최초.[38]
9. 관련 문서
[1] 한화 약 997억 원.[2025] [2025] [4] 런던 내에서 이곳의 우편번호가 SW19이라서 대회 혹은 테니스 클럽 자체를 SW19로 칭하기도 한다.[5] 과거에는 호주 오픈과 US 오픈도 잔디 코트를 사용하였으나, US 오픈은 1975년에 클레이로 바꿨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1978년에 하드코트로 변경하였으며, 호주 오픈도 1988년에 하드 코트로 변경하였다.[6] 이로 인해 남녀 단식 16강 16경기가 모두 2주차 월요일 하루에 진행되어 이를 "Manic Monday"라고 불렀다.[7] 이 클럽에서 사용한 최초의 경기장은 윔블던 워플로드(Worple Road)에 위치.[8] 올 잉글랜드 클럽은 2009년 5월 17일에 개폐식 지붕 설치를 기념하는 축하행사인 A Centre Court Celebration을 개최하였으며, 이 행사에서는 안드레 애거시/슈테피 그라프 vs 킴 클레이스터르스/팀 헨먼의 혼합 복식 초청 경기가 함께 열렸다. 애거시&그라프 부부는 말할 필요 없는 테니스 레전드 이고, 킴 클레이스터르스도 그랜드 슬램 4회 우승에 세계 랭킹 1위에 오른 위대한 선수이다. 팀 헨먼의 경우 그랜드 슬램 우승은 없지만, 영국인으로서 세계 랭킹 1위에 오른 유명 선수이다.[9] 이 규정을 도입하는 데에는 존 이스너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2010년 니콜라 마위와 사흘에 걸쳐 역사에서 가장 긴 테니스 경기(6–4, 3–6, 6–7, 7–6, 70–68; 11시간 5분)를 펼친 데 이어, 2018년 4강에서는 케빈 앤더슨과 두번째로 가장 긴 경기(6-7, 7-6, 7-6, 4-6, 24-26; 6시간 36분)을 기록했다. 결국 윔블던은 이듬해 매치 타이브레이크를 도입했는데, 이 새로운 규정이 바로 그 해 결승전에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10] 그전까지는 이전까지는 라이그래스 70%, 크리핑 레드 페스큐(Creeping Red Fescue)30%로 혼합 사용했다.[11] 게다가 초여름 잔디 관리를 위해 코트에 물을 뿌리기 때문에 더욱 미끄러워진다.[12] 전성기가 다 지나고 각종 부상으로 부진에 빠져 랭킹 100위권까지 내려왔을 때 와일드카드를 받아 참가한 2001년 대회에서 우승을 거두었다. 윔블던 역사상 와일드카드로 참가해 우승을 거둔 선수는 현재까지도 이바니세비치가 유일하다.[13] 여전히 빠른 코트 스피드를 고수하는 슈투트가르트 오픈이나 할레 오픈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도드라진다.[14] 2000년대 후반부터는 랭킹 상위권에서 서브 앤 발리어를 찾아보기 힘들어졌다.[15] 여기서 미색이나 크림색은 허용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며,[16] US 오픈도 윔블던처럼 흰색 복장 규정을 고수하다가 1972년이 되어서야 규정을 폐지했다.[17] 테니스 외에도 각종 종목의 전직/현역 선수, 유명 가수/배우, 정치인 등[18] 정확한 시간이 정해진 것은 아니고, 보통은 진행 중이던 세트까지는 마무리하고서 경기를 중단한다. 다만 2025년부터는 후술할 호크아이 이슈로 세트 도중에 중단되는 경우도 있다.[19] 이러한 이유로 2025년 남자 단식 2라운드 벤 쉘튼과 링키 히지카타의 경기에서 황당한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3세트 5-4, 쉘튼의 서빙 포 더 매치 게임을 앞두고 경기가 중단된 것. 당시 호크아이 사용 가능 시간이 5분 정도 남아있는 상황이었고, 게임이 듀스로 이어지면 5분을 넘길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쉘튼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경기를 중단했다. 그리고 다음날 재개된 경기에서 쉘튼은 3개의 에이스와 1개의 서브 포인트로 단 69초만에 경기를 마무리지었고, 선수들도 중계진도 관객들도 웃음을 터뜨렸다. #[20] 야외 코트와 달리 센터 코트 경기를 늦게 시작하는 이유는 클럽 회원들을 비롯한 VIP들을 대상으로 하는 점심 식사 때문이다. 중요한 손님들이 비공개 점심 행사를 마치고 나서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배치한 것. 윔블던이 공식적으로 이를 언급한 적은 없지만 공공연하게 알려진 사실이다.[21] 본래는 영국 왕실의 고위급 인사들이 있으면 무조건 예를 표했는데, 2003년부터 왕(여왕)과 왕세자(왕세녀)에게만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22] 지난 15년 간 가격이 2.5파운드로 고정되어 있었으나 2025년 들어 20펜스 인상되었다.[23] 윔블던 공식 MD에 딸기 프린팅이 빠지지 않으며, 객석 여기저기에서 딸기 관련 아이템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들을 항상 찾을 수 있다.[24] 본래는 볼보이 & 볼걸로 불렀으나 2014년도부터 남녀로 구분하는 게 좋지 않다는 여론을 수용하여 볼키즈 또는 볼퍼슨(Ball Person)이라는 명칭을 권장하고 있다.[25] 나머지 3개 그랜드 슬램의 경우 남자 단식 예선 모든 라운드와 남자 복식에서 3세트제(best of 3)를 사용한다.[26] 5연패 (2003년 ~ 2007년)[27] 공동 2위 피트 샘프러스, 노박 조코비치(7회)[28] 2위 노박 조코비치(10회)[29] 2위 노박 조코비치(103승)[30] 6연패 (1982년 ~ 1987년)[31] 2위는 세레나 윌리엄스와 슈테피 그라프의 7회[32] 9연속 (1982년 ~ 1990년)[33] 2위는 세레나 윌리엄스의 11회[34] 2위는 세레나 윌리엄스의 98승[35] 이 대회 여자부 우승자인 세레나 윌리엄스는 여자부가 3세트 경기인 것을 감안해도 1회전부터 결승전까지의 총 경기 시간이 10시간도 되지 않았다. 반대로 이 경기에서 승리한 이스너는 체력 소모를 많이 한 탓인지 2회전에서 74분만에 0-3으로 조기 탈락했다.[36] [39][37] 정현은 프로 데뷔 후 2018년 호주 오픈 남자 단식 4강에 오르기도 했다.[38] 오픈시대 이후 4대 그랜드슬램을 전부 합쳐도 결승전에서 더블 베이글 스코어가 나왔던 경기는 1988년 롤랑가로스 여자 단식 결승전이 유일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윔블던|윔블던]]}}}{{{#!if external != "o"
[[윔블던]]}}}}}}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윔블던?uuid=0a4a4bb7-767c-4e40-a41e-01666c8599c1|r29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윔블던?uuid=0a4a4bb7-767c-4e40-a41e-01666c8599c1#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윔블던?from=29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윔블던|윔블던]]}}}{{{#!if external != "o"
[[윔블던]]}}}}}}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윔블던?uuid=0a4a4bb7-767c-4e40-a41e-01666c8599c1|r29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윔블던?uuid=0a4a4bb7-767c-4e40-a41e-01666c8599c1#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윔블던?from=29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39] 이 경기의 경우 하루만에 끝나기는 했지만, 이 경기가 길어짐으로 인해 이어서 진행된 다른 준결승전(라파엘 나달 vs 노박 조코비치)이 1박2일에 걸쳐 치러졌으며, 해당 경기 역시 5세트가 10-8로 끝나는 대접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