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 주니치 드래곤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감독 | 89 이노우에 카즈키 |
1군 | 76 오츠카 아키노리 (투수코치) · 83 야마이 다이스케 (투수코치) — 마츠나카 노부히코 (타격코치) · 80 오다 코헤이 (포수코치) 71 도노우에 나오미치 (내야수비·주루코치) · 79 오니시 다카유키 (외야수비·주루코치) | |
2군 | 오치아이 에이지 (2군감독) · 82 아사오 타쿠야 (투수코치) 78 모리노 마사히코 (타격코치) · 84 후쿠다 노부마사 (타격코치) · 72 오노 쇼타 (포수코치) 81 모리코시 유토 (내야수비·주루코치) · 87 나카무라 유타카 (외야수비·주루코치) · 85 와타나베 히로유키 (육성코치)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주니치 드래곤즈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이노우에 카즈키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38번}}} | |||||||||||||||||||||||||||||||||||||||||||||||||||||||||||||||||||||||||||||||||||||
오오미야 타츠오 (1988~1989) | → | 이노우에 카즈키 (1990~1995) | → | 야노 아키히로 (1996~1997) |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99번}}} | ||||||||||||||||||||||||||||||||||||||||||||||||||||||||||||||||||||||||||||||||||||||
타테이시 미츠오 (1993~1994) | → | 이노우에 카즈키 (1996~2003) | → | 야마사키 아키히로 (2005~2006) | ||||||||||||||||||||||||||||||||||||||||||||||||||||||||||||||||||||||||||||||||||
나카무라 노리히로 (2007~2008) | → | 이노우에 카즈키 (2010~2013) | → | 다니엘 카브레라 (2014) |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9번}}} | ||||||||||||||||||||||||||||||||||||||||||||||||||||||||||||||||||||||||||||||||||||||
타노우에 카즈노리 (2002~2003) | → | 이노우에 카즈키 (2004~2009) | → | 노모토 케이 (2010~2013) | ||||||||||||||||||||||||||||||||||||||||||||||||||||||||||||||||||||||||||||||||||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99번 | ||||||||||||||||||||||||||||||||||||||||||||||||||||||||||||||||||||||||||||||||||||||
에프렌 나바로 (2018~2019) | → | 이노우에 카즈키 (2020~2022) | → | 제레미 비슬리 (2023~) |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89번}}} | ||||||||||||||||||||||||||||||||||||||||||||||||||||||||||||||||||||||||||||||||||||||
히데노리 (2014~2022) | → | 이노우에 카즈키 (2024) | → | 결번 |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99번}}} | ||||||||||||||||||||||||||||||||||||||||||||||||||||||||||||||||||||||||||||||||||||||
울란도 칼리스테 (2023~2024) | → | 이노우에 카즈키 (2025~) | → | 현역 |
<colbgcolor=#003595><colcolor=#ffffff> 주니치 드래곤즈 No.99 ★ | |
이노우에 카즈키 井上一樹 | Kazuki Inoue | |
출생 | 1971년 7월 25일 ([age(1971-07-25)]세) |
카고시마현 아이라군 미조베정 (現 카고시마현 키리시마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카고시마상업고등학교 |
신체 | 184cm | 93kg |
포지션 | 투수 → 외야수[1]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1989년 드래프트 2순위 (주니치) |
소속팀 | 주니치 드래곤즈 (1990~2009) |
지도자 | 주니치 드래곤즈 타격코치 (2010) 주니치 드래곤즈 2군 감독 (2011) 주니치 드래곤즈 타격코치 (2012~2013) 한신 타이거스 타격코치 (2020) 한신 타이거스 수석코치 (2021~2022) 주니치 드래곤즈 2군 감독 (2024)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2025~)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프로야구 선수. 2025년부터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을 역임한다.현역 시절엔 주니치 드래곤즈의 원 클럽 플레이어이자, 준주전급 외야수로 팀의 전성기를 지탱했고, 은퇴 후에도 한신 타이거스 수석코치를 2021~2022년에 잠시 맡은 걸 빼면 계속해서 주니치에서 지도자를 역임하거나 연고지인 나고야 지역 미디어에서 해설자 등을 맡다가 2025년부터 타츠나미 카즈요시의 후임으로 주니치 감독에 취임했다.
2. 선수 시절
고등학교 땐 투수와 외야수를 겸임하며 2학년 때 모교의 코시엔 대회 진출을 이끌었고, 통산 40홈런을 기록하며 투타 양면에서 주목을 받았다. 고등학교 졸업 시즌인 1989년 드래프트[2]에서 주니치 드래곤즈에 2순위로 지명받으며 프로에 데뷔했다.데뷔 초엔 주로 투수로 뛰었으나 1993년까지 통산 9시합 등판(14.2이닝), 0승 1패 12탈삼진 평균자책점 6.75[3]로 눈에 띄는 성적을 남기지 못했고, 1993년 시즌 도중 타자로 전향해 외야수에 전념하게 되었다.[4]
타자 전향 후에도 1997년까진 1~2군을 오가는 불안한 입지에 놓여 있었으나, 1998년에 우익수 자리를 꿰차면서 107시합에 출장하며 1군 정착에 성공. 다음 해인 1999년엔 붙박이 7번 타자로 개막 21시합 연속 안타를 기록하는 등의 맹활약을 펼치며 130시합 출장, 타율 .296/OPS .781 10홈런 65타점을 기록. 첫 규정타석 시즌과 함께 주니치의 11년 만의 센트럴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다만 같은 해 일본시리즈에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견고한 수비에 틀어막혀 13타수 무안타로 전혀 활약하지 못했고 팀도 시리즈 제패에 실패했다.
1999년 이후엔 다른 선수들과의 주전 경쟁 등이 겹치며 단 1번도 규정타석을 채우지 못했으나, 준주전 외야수로 꾸준히 1군에서 활약을 이어갔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 연속 10홈런,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 연속 타율 3할 및 OPS 8할을 기록했으며,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2004년 일본시리즈에서는 팀은 격전 끝에 3승 4패로 아쉽게도 또 다시 시리즈 제패에 실패했지만 이노우에 자신은 1차전을 제외한 시리즈 전 경기에 출장해 타율 .412 1홈런 8타점의 맹활약을 펼치며 5년 전의 굴욕을 만회하고 감투선수상[5]을 수상했다. 2006~2007년까지 팀의 선수회장[6]을 맡기도 했다.
그렇게 2008년까지 준주전 외야수로 꾸준히 뛰어오며 팀의 53년 만의 일본시리즈 제패도 맛보다 2009년에 출장기회가 급감하면서 9월 25일에 은퇴를 선언. 이틀 후인 9월 27일 한신 타이거스 전에서 은퇴 세레머니를 치르며 현역 생활에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다만 은퇴 세레머니 이후에도 같은 해 포스트시즌 엔트리에 들어가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 4차전에서 대타로 나서 아웃된 것이 현역으로써의 마지막 타석이 되었다.
통산 성적은 1215시합 출장, 863안타 79홈런 349타점 타율 .275/OPS .751이다.
3. 지도자 시절
은퇴 후 곧바로 2010년부터 주니치 드래곤즈 타격코치로 취임해 팀의 4년 만의 센트럴리그 우승을 함께했고, 2011년엔 2군 감독으로 영전하여 웨스턴리그 우승과 팜 일본시리즈 제패를 이끌었다. 2012년에 다시 1군에 타격코치로 복귀했으나 2013년 시즌 종료 후 타카기 모리미치 감독이 4위 추락의 책임을 지고 퇴임할 때 같이 팀을 떠났다.코치 퇴임 후엔 나고야 지역 미디어인 주니치 스포츠, 나고야 테레비, 주쿄테레비, 토카이 라디오 등에서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을 이어가다, 2020년에 옛 팀 동료 야노 아키히로의 요청으로 한신 타이거스 타격코치로 취임하며 처음으로 주니치 외의 다른 팀에서 지도자를 맡게 되었다. 2021년부턴 수석 코치로 승격되었으나 한신 시절의 3년 간 우승에 다다르진 못한 채 2022년 시즌 종료 후 야노와 함께 퇴임했다.
한신에서 퇴단한 뒤 2023년엔 다시 주니치 스포츠, CBC 라디오 등 나고야 지역 미디어에서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를 활동했고, 2024년 시즌부터 카타오카 아츠시 2군 감독이 1군 수석코치로 영전하며 후임으로 2군 감독을 맡아 11년 만에 주니치로 돌아오게 되었다. 2군 감독 복귀 후 2년 연속 최하위로 1군과 마찬가지로 수렁에 빠져있던 2군을 다시 정비해 웨스턴리그 2위로 약진시켰고 시즌 종료 후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이 3년 연속 최하위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후임 감독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동시에 등번호도 99번으로 바꿨다.
4. 여담
- 선수 시절에 유명한 움짤을 남겼는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도쿄돔 원정경기에서 이승엽의 외야 뜬공을 잡으려다 그만 낙구 지점 오른쪽으로 주저앉는 바람에(...) 타구를 놓치는 실책을 범했다. 당시 등판해 있던 야마이 다이스케[7]가 저 광경을 보자마자 방금 주웠던 로진을 다시 떨어뜨리는 게 압권.
5. 관련 문서
[1] 학창 시절엔 투수, 외야수를 겸임하다 프로 데뷔 직후 1993년까지 투수로만 뛰었으나 시즌 도중 외야수로 완전히 전향했다.[2] 노모 히데오, 후루타 아츠야, 사사키 카즈히로, 마에다 토모노리, 신죠 츠요시, 사사오카 신지 등 프로에서 맹활약을 펼친 선수들이 여럿 배출되며 일본프로야구 드래프트 중 역대 최고의 황금 드래프트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후 부상으로 대성하진 못했으나 데뷔 시즌인 1990년에 구원 투수로 맹활약하며 센트럴리그 신인왕을 수상한 요다 츠요시도 이 해 드래프트에서 주니치에 1순위로 지명받았다.[3] 1991~1992년까지의 기록으로 1990, 1993년엔 아예 1군 시합에 출장하지 못했다.[4] 사실 주니치 스카우트진들도 이노우에를 지명할 당시 타자로써의 가능성을 높이 사 빨리 타자로 전향하길 바랬으나, 이노우에 본인이 투수로 계속 뛰고 싶어해서 타자 전향이 늦어졌다고 한다. 다만 이노우에는 훗날 "덕분에 긴 시간 동안 야구계에 있을 수 있었다고 생각하면 마치 운명 같다"며 타자 전향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는 발언을 남겼다.[5] 일본시리즈 패전팀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는 상.[6] 캡틴과는 다른 개념이다. 자세한 사항은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참조.[7] 2007년 일본시리즈 5차전에서 퍼펙트 게임을 이어가다 오치아이 히로미츠 감독의 지시로 9회에 이와세 히토키와 교체된 일화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