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30 16:18:50

고쿠보 히로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감독 90 고쿠보 히로키
1군 92 나라하라 히로시(수석코치) · 94 쿠라노 신지(투수수석코치 겸 수석코디네이터) · 71 나카타 켄이치(투수코치)
· 72 와카타베 켄이치(투수코치) · 78 무라카미 타카유키(타격코치) · 80 혼다 유이치(내야수비·주루·작전코치)
· 79 오니시 타카유키(외야수비·주루·작전코치) · 84 타카야 히로아키(배터리코치)
2군 74 마츠야마 히데아키(2군 감독) · 73 오가사와라 타카시(투수수석코치) · 97 마키타 카즈히사(투수코치) · 93 무라마츠 아리히토(타격코치)
· 82 타카타 토모키(내야수비·주루코치) · 96 키도코로 류마(외야수비·주루코치) · 87 호소카와 토오루(배터리코치)
3군 88 사이토 카즈미(3군 감독) · 76 테라하라 하야토(투수코치) · 86 오쿠무라 마사토(투수코치) · 75 오미치 노리요시(타격코치)
· 91 카네코 케이스케(내야수비·주루코치) · 98 타카나미 후미카즈(외야수비·주루코치) · 83 시미즈 마사우미(배터리코치)
4군 011 오코시 모토이(4군 감독) · 012 카와고에 히데타카(투수수석코치) · 024 펠리페 나텔(투수코치) · 013 모리카사 시게루(타격코치)
· 014 사사가와 타카시(내야수비·주루코치) · 015 카마모토 고(외야수비·주루코치) · 016 마토야마 테츠야(배터리코치) · 017 모리야마 료지(투수 재활코치)
· 018 나카타니 마사히로(야수 재활코치) · 019 세키가와 코이치(야수 코디네이터) · 020 호시노 쥰(투수 코디네이터) · 021 이데 타츠야(야수 코디네이터)
· 022 모리 히로유키(야수 코디네이터) · 023 아라카네 히사오(야수 총괄 겸 수비·주루 코디네이터)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고쿠보 히로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6b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등번호 9번}}}
우치노쿠라 타카시
(1991~1993)
고쿠보 히로키
(1994~2003)
임시결번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6번}}}
카와이 마사히로
(2000~2003)
고쿠보 히로키
(2004~2006)
코사카 마코토
(2007~2008)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9번
임시결번 고쿠보 히로키
(2007~2012)
야나기타 유키
(2015~)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등번호 90번
공번 고쿠보 히로키
(2013~2017)
타구치 카즈토
(2017~2019)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90번
로베르트 수아레스
(2016~2019)
고쿠보 히로키
(2021~)
현역
}}} ||
파일:고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jpg
<colbgcolor=#ff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90
고쿠보 히로키
[ruby(小久保, ruby=こくぼ)] [ruby(裕紀, ruby=ひろき)] | Hiroki Kokubo
출생 1971년 10월 8일 ([age(1971-10-08)]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와카야마 현립 세이린고등학교 (와카야마)[1]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신체 182cm | 87kg | AB형
포지션 3루수, 1루수, 2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3년 드래프트 2라운드 (다이에, 역지명[2])
소속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4~2003)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4~2006)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7~2012)
지도자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13~2017)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군 수석코치 (2021)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감독 (2022~202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2024~)
응원가 요미우리 시절[3][4]
소프트뱅크 시절[5]

1. 개요2. 선수 생활3. 지도자 생활4. 기타5. 감독 성적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일본의 前 야구 선수. 現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내야수.

선수 시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거포 내야수로 활약했고 두 구단에서 주장을 맡기도 했다. 다만 요미우리에서의 선수 생활은 3년뿐에 그 이전과 이후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프로 선수생활은 호크스에서 지냈고 요미우리 이적에도 나름 사유가 있었기 때문에 호크스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인정받는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사단법인 일본프로야구선수회의 제10대 이사장을 역임했다.

2. 선수 생활

파일:external/cdn.mainichi.jp/011.jpg

아오야마가쿠인대학에서 주전으로 뛰며 3학년 때인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출장해 동메달을 수상했고, 4학년 때인 1993년엔 야구부를 첫 전일본 대학야구 선수권대회 우승으로 이끌었다. 직후인 1993년 드래프트에서 러브콜을 받은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중 다이에를 역지명해 드래프트 2순위로 입단한다.

입단할 때부터 대타자였던 오 사다하루 감독에게 타자로써의 자질을 인정받았고, 데뷔 첫 시즌인 1994년엔 타율 .215 6홈런으로 아직 프로에 적응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지만 다음 해인 1995년부터 주전 2루수로 정착해 그 해 전시합(130시합) 출장에 리그 홈런왕(28홈런)을 수상했고[6], 1997년엔 개인 첫 3할 타율과 리그 타점왕(114타점) 수상, OPS 1위를 달성하면서 준수한 타격을 자랑하는 강타자로써 투타의 베테랑 쿠도 키미야스아키야마 코지, 함께 타선의 핵심을 맡은 주전 포수 조지마 겐지 등과 함께 다이에의 중심 선수로 활약하면서 1999년 일본시리즈 우승, 2000년 퍼시픽리그 연패에 공헌하는 등 호크스의 암흑기 탈출의 일등공신으로 활약한다. 1998년엔 후술할 탈세사건으로 인한 출장정지와 부상으로 거의 드러누웠고 1996년과 1999년엔 타격 부진으로 허덕인 흑역사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다음 해 바로 성적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꾸준히 중심 타자 자리를 맡았고 2001년엔 44홈런 123타점[7], 2002년에도 32홈런을 치는 등 우수한 장타력을 뽐냈다.

그러나 2003년에 또 다시 시범경기에서 큰 부상[8]을 당하는 바람에 데뷔 후 처음으로 시즌을 완전히 날리고 말았는데, 고쿠보의 공백에도 불구하고 빈 자리를 메꾸기 위해 콜업된 카와사키 무네노리의 도약을 비롯해 이구치 타다히토, 마츠나카 노부히코, 조지마 겐지, 페드로 발데스"100타점 4인방"으로 대표되는 다이에의 일명 '다이하드 타선'은 쉴새없이 불을 뿜었고 여기에 사이토 카즈미, 스기우치 토시야, 와다 츠요시, 아라카키 나기사 등 준수한 투수진의 활약이 더해진 다이에는 코쿠보의 공백이 실감이 안 갈 정도로 연전연승을 이어가며 한신 타이거스와 7차전까지 가는 혈투 끝에 일본시리즈를 제패했다.

이것을 본 팬들은 물론 선수들도 "이 핵타선에 고쿠보까지 부상에서 돌아온다면 다이에 타선은 내년에도 최강이다!"라고 예상했으나, 시즌 종료 후 고쿠보는 갑작스럽게 요미우리 자이언츠무상 트레이드로 이적하게 되었다. 부상 치료비 지급을 둘러싼 구단과의 트러블이 결국 무상 트레이드로 이어졌는데, 부상 이전까지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선수단의 리더였던 고쿠보를 허무하게 떠나보내게 된 선수단과 팬들은 당연히 멘붕에 빠지게 되었다. 선수단은 아래의 코멘트로 항의한 것은 물론, 구단 오너 나카우치 타다시[9]후쿠오카 돔에 방문했을 때 오너의 인사를 무시하고 심지어 예정되어 있던 우승 여행까지 보이콧하며 고쿠보를 방출시킨 구단을 크게 비난했다.
마츠나카 노부히코 : "구단에 '웃기지 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어째서 고쿠보 씨를 그렇게 공짜로 쿄진에 넘겨버릴 수 있죠? 그렇게 팀을 위해 열심히 뛴 사람이 간단히 방출된다면, 우리들도 똑같은 꼴(고쿠보처럼 무상 트레이드)이 될 수밖에 없네요. 이 구단은 이기고 싶다는 생각조차 없나 보네요. 끝장입니다. 팬분들껜 죄송하지만 내년에 리그 연패를 하겠다는 의지가 급격히 떨어져 버렸습니다."[10]
사이토 카즈미 : "지금은 머리 속이 하얗게 변해서 아무것도 생각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런 트레이드를 한 다이에 구단이) 부끄럽습니다. 아무리 봐도 일본 제일의 구단이 할 짓이 아닙니다. 선수를 모욕하는 것으로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시바하라 히로시[11] : "팀을 뭉치게 한 사람이 코쿠보 씨였기에 팀에 있어서도 큰 타격입니다."
조지마 겐지 : "보통 일이 아니다."
와다 츠요시 : "시즌 때 몇 번이고 격려해 주셨습니다. 내년에 (팀에) 없다니 믿기지 않습니다."
오 사다하루 감독 : "팀이 붕괴되고 있다."

이 무상 트레이드의 진실은 베일에 가려져 있었으나, 고쿠보가 훗날 자서전에서 트레이드는 코쿠보 자신이 요청한 것이었으며 트레이드의 계기는 단순히 수술비만의 문제가 아니었다고 언급하면서 진실이 밝혀졌다. 당시 코츠카 타케시 사장을 필두로 한 구단 프런트가 선수들만 출입할 수 있는 공간에 화류계 여성들을 불러들여 경기가 끝난 다음 그 날 활약한 선수가 화류계 여성들과 사진을 찍게 강요하는 것도 모자라 선수의 성적이 아닌 선수 관련 상품의 판매실적을 연봉협상에 반영하겠다는 등 도가 넘는 짓들을 일삼으며 구단 운영이 엉망진창으로 진행됐고[12] 고쿠보가 구단의 행태에 지속적으로 항의하는 입장이었던 것. 이후 고쿠보가 상술한 시범경기에서의 큰 부상으로 미국에서 수술을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프런트는 구단이 지정한 병원 이외의 곳에서 진료를 받으면 치료비를 줄 수 없다고 거절하면서 수술비 2,000만엔을 자비로 지불하게 했고, 이것이 고쿠보가 가진 마지막 인내심을 끊는 계기가 되어 결국 자진해서 트레이드를 요청하게 되었다고 한다.

고쿠보 자신은 딱히 요미우리 이적을 바란 것이 아니라 다이에가 아니라면 어디라도 좋다는 입장이었고 다이에와 요미우리 간에 어떤 계약이 있었는지도 본인은 알지 못한다고 언급했는데, 사실 무상 트레이드로 이적하게 된 것은 코쿠보의 대학 선배인 나카우치 타다시 오너가 트레이드로 구단이 받을 돈을 코쿠보의 연봉을 보태는 데 대신해서 써달라고 요미우리에 요청했기 때문이었다고 하며 실제로 나카우치는 코쿠보에게 미안한 마음이 있었는지 코쿠보와 함께한 트레이드 발표 기자회견에서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13]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7f506cce.jpg
우여곡절 끝에 요미우리에 입단한 고쿠보는 녹슬지 않은 기량을 뽐내며 화려하게 부활했다. 2004년에는 구단 역사상 최초로 우타자 40홈런을 기록하며(41홈런) 컴백상을 수상했고 2006년에는 리더십을 인정받아 타팀 출신 선수로써는 최초로 요미우리의 주장에 선출되기도 했다. 다만 그 시절 요미우리는 하라 타츠노리 감독이 구단과의 불화로 갑작스럽게 사임한 뒤 후임인 호리우치 츠네오가 여러 삽질로 팀을 추락시키고, 감독으로 복귀한 하라가 그 뒷수습을 하던 때라 고쿠보의 활약이 다소 빛바랜 감은 있다.

파일:external/athlete-maniax.blog.so-net.ne.jp/E5B08FE4B985E4BF9DE8A395E7B480.jpg
2006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취득했고, 오 사다하루 감독에게 다시 한 번 헹가래를 시켜드리겠다는 포부와 함께 친정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금의환향했다. 복귀 후엔 전성기만큼의 성적은 내지 못했어도 꾸준히 뛰어가며 팀의 지주로 활약했고, 2011년에는 40세의 나이로 일본시리즈 MVP를 차지하면서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고령 일본시리즈 MVP가 되었다.[14]

파일:external/hwd.heteml.jp/20120625_31695.jpg
2000안타 달성 후.

2012년 대망의 2,000안타를 달성하고 통산 2,041안타, 413홈런의 대기록과 함께 파란만장했던 현역 시절을 마감했다. 그러나 정작 은퇴경기이자 2012년 정규시즌 마지막 홈경기인 10월 8일 경기에서 상대팀인 오릭스 버팔로즈니시 유키에게 노히트 노런을 당하는 모습을 지켜봐야 했는데, 이 날은 다름 아닌 고쿠보 본인의 생일이었고 현역 시절 처음으로 경험하는 노히트 노런이기도 했다. 평생 잊을 수 없는 은퇴선물(?)을 받았다

워낙 전성기 때의 임팩트가 강했던 데다, 불의의 부상으로 시즌을 말아먹은 적이 여러 번이다 보니 팬들에게서 부상만 아니었으면 더 좋은 성적을 냈을 거 같은 선수로 자주 손꼽히기도 한다.

3. 지도자 생활

이듬해인 2013년부터는 NHK의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다가, 같은 해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의 전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5]

3.1. 2015 WBSC 프리미어 12

파일:external/www.ad-vank.com/RS%5EADBWfzE8EFY.jpg
홍낄낄
Go KBO
2015 WBSC 프리미어 12를 통해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첫 공식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 당시 메이저리그 사무국이 소속 선수들의 출전을 불허함에 따라, 강력한 자국 리그를 보유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은 단숨에 우승 후보 1순위로 평가받았다.[16]

세간의 기대대로, 고쿠보 감독이 이끄는 일본 대표팀은 대회 최강 전력을 자랑했다. 한국과의 개막전에서 5:0 완승을 거두며 순조롭게 출발했고, 조별리그를 5전 전승으로 마치며 8강에 진출했다. 8강전 역시 승리하며, 대회 6연승이라는 파죽지세로 4강에 올랐다.

4강전에서는 다시 만난 한국에게 선발투수 오타니 쇼헤이의 호투에 힘입어 8회까지 3:0으로 앞서갔지만, 9회 초 이른바 도쿄 대첩을 허용하며 충격의 역전패를 당했다.
파일:8yK4vCM.jpg
경기 직후 일본 야구 팬들이 보인 넷상 반응은 무능, 쓰레기, 나가뒤져라, 영구추방, A급 전범 고쿠보GO 크보?, 보다가 리모컨 던졌어요 등 거친 비난 일색이었다.

일본은 결국 초대 챔피언 자리를 홈에서 놓치게 되었고, 이어진 멕시코와의 3·4위 결정전에서 승리했음에도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후 고쿠보 감독의 경질설이 연일 보도되었으나, 일본 야구계는 이번 대회가 그가 지휘한 첫 국제대회라는 점과 진정한 시험 무대는 다가올 2017 WBC2020 도쿄 올림픽이라는 점을 들어 그를 유임시키기로 결정했다.

3.2.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운 고쿠보 히로키 감독의 임기 마지막 대회로 이번 대회의 성적에 따라 2019 WBSC 프리미어 122020 도쿄 올림픽까지 그가 지휘봉을 잡을 수 있을지 결정되는 대회였다. 고쿠보 히로키 감독 개인적으로서 역시 지난 2015 WBSC 프리미어 12에서의 부진[17]의 치욕을 한번에 되갚을 수 있는 대회이기도 하였다.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쿠바, 호주, 중국과 1라운드 B조에 배치되었다. 고쿠보호는 아마 최강 쿠바전 11:6 대승을 시작으로 호주전 4:1 승, 중국전 7:1 승, 최종 3전 전승을 거두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 역시 네덜란드전 8:6 승, 쿠바전 8:5 승, 이스라엘전 8:3 승, 최종 3전 전승을 거두며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WBC 전 대회 4강 이상 진출에 성공했다.[18]
이어진 4강전, 메이저리거 올스타들로 중무장한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을 만났지만 2:1 석패를 거두며 8년만의 세계 야구 패권 탈환은 4년 후로 미루게 되었다. 하지만 단 한명의 메이저리거[19]만을 포함한 채 전원 자국리거로 미국을 상대한 고쿠보호는 실력면에서 전혀 뒤쳐지지 않는 명경기를 선보이며 세계 야구계를 다시 한번 놀라게 했다. 특히 요미우리 자이언츠스가노 도모유키는 메이저리거 올스타 타선을 상대로 6이닝 비자책 호투를 펼치며 일본프로야구의 높은 수준을 다시금 떠올리게 만들었다.

결국 당초 목표로 삼았던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일본인 메이저리거들의 연이은 불참[20] 속에서 WBC 4대회 연속 4강이라는 호성적, 세계 최강 미국과의 호각으로 고쿠보 히로키는 지난 대회에서 실추된 이미지를 회복하는 것에 성공하였고, 처음에는 재계약을 통해 2020 도쿄 올림픽까지 지휘봉을 잡게 하려고 했으나 본인이 오퍼를 고사하고 스스로 감독직을 그만뒀다. 후임은 야쿠르트, 니혼햄 캡틴 출신인 이나바 아츠노리.

그러나 고쿠보 감독의 WBC 성적으론 애당초 올림픽까지는 무리였다는 의견이 많은데, 애당초 WBC 4강은 일본 입장에서는 큰 성적도 아니기 때문인게 고쿠보 감독 이전 감독인 야마모토 고지 감독이 이끄는 2013 WBC 대표팀도 큰 무리 없이 4강은 갔기 때문이다.[21] 고쿠보 감독의 4강도 지난번 프리미어 12에서 일본을 쓰러뜨린 한국이 1라운드에서 떨어졌기 때문에 일본 측에서 한 언플이란 것이다. 자국 리그가 탄탄한 일본 입장에서는 4강 정도는 사실 본전치기인 성적인 것이다. 그래서 실제론 일본야구협회도 언플은 했지만 협회가 원하던 성적은 프리미어 12 우승, 그리고 WBC 준우승 정도의 성적이었기에 프리미어 12 3위와 WBC 4강의 성적을 이끈 고쿠보 감독은 애초에 재계약은 무리였다는 게 평론이다.

3.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난뒤 2021 시즌부터 데뷔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수석코치로 돌아와 쿠도 키미야스 감독을 보좌하게 되었다. 쿠도 감독과는 요미우리 시절인 2006년 이후 15년 만의 재회.

하지만 현장 복귀 이후의 평가는 매우 좋지 않다. 취임 1년 차부터 호크스 팬덤 내에서 금지어화가 진행중으로 강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벤치를 싸늘하게 만드는가 하면 오로지 자신의 야구 철학만을 가지고 팀 운영에 관여,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22] 팀을 망치는 1등공신으로 찍혔다. 오죽했으면 쿠도 감독이 타격에 대한 전권을 고쿠보에게 맡겼음에도 결과가 신통치 않아 다시 본인이 타격에 재차 관여하자마자 팀 타선이 나아지는 등 명색이 2000안타-400홈런을 기록한 대타자 출신 코치가 투수 출신 감독보다 타선 운영을 못하는 희한한 광경을 보여줬다.

스프링캠프 때부터 올드스쿨식 반복 훈련을 도입하는가 하면 선수 개개인의 성향이나 특징도 파악하지 못해 무작정 작전을 남발하다 실패하여 기껏 만든 찬스를 날리는 등 호크스 팬들의 뒷목을 수도 없이 잡게 만들었으나 차기 감독직이 유력한 1군 수석 코치라는 자리에 있는 데다 2021년 시즌 종료 후 쿠도 감독이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것이 확정되면서 호크스 팬들은 차기 감독으로 고쿠보가 승격되는 참사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냐며 매우 불안해했었다.

그러나 구단 수뇌부가 고쿠보의 능력 부족을 뒤늦게나마 인지한 듯 2군 감독이었던 후지모토 히로시를 1군 감독으로 승격시키고 공석이 된 2군 감독에 고쿠보를 보냈다. 그리고 후지모토는 비록 2022시즌 막판 중요한 경기를 연달아 놓치며 오릭스 버팔로즈에게 리그 우승을 내줬지만 하위권을 전전했던 지난 해와는 달리 최후반까지 우승 경쟁을 벌이는 등 팀을 상위권으로 재차 올려놓으며 감독 선임은 그럭저럭 맞았던 선택이라 평가받는 듯했다.

그러나 2023 시즌 센가 코다이의 MLB 이적이라는 악재는 있었어도 콘도 켄스케의 영입 등으로 여전히 우수한 전력을 보유했던 호크스가 후지모토의 선수기용 미스로 우승은 커녕 12연패를 찍으며 3위로 추락하고 간신히 진출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조차 광탈을 확정짓자 탈락한지 1시간도 안되어 후지모토 히로시 감독의 해임 소식과 함께 곧바로 후임 감독 취임이 발표되었다.

야마카와 호타카의 FA 영입 등으로 강력한 전력 보강을 받은 2024년 시즌, 팀은 초반부터 다른 팀들과의 승차를 크게 벌리며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 과거 수석코치 시절의 혹평으로 인해 한 차례 1군 감독 후보에서 밀려나 2군 감독직으로 돌아갔던 그는, 그 사이의 경험이 도움이 되었는지 이전에 지적받았던 문제점은 현재까지는 크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전임 감독의 지휘 능력이 워낙 혼란스러웠던 터라, 팬들 사이에서는 "적어도 전임보다는 낫다"는 평가와 함께, 성적이 잘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압도적인 타선의 힘으로 4년 만에 퍼시픽리그 우승을 일찌감치 확정지은 팀은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를 상대로 단 한 경기도 내주지 않고 완승을 거두며 일본시리즈에 직행했다.

그러나 일본시리즈에서는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6차전까지 치르고 올라온 요코하마를 상대로 원정 2연승을 거두며 유리한 고지를 점한 뒤, 정작 홈구장에서는 타선이 갑자기 침묵하며 내리 4연패를 당했다. 결과적으로 사상 최대의 하극상이라는 평가를 받는 충격적인 패배였다. 양 팀의 시즌 승수 차이는 무려 91승 대 71승, 20승 차이로, 이를 KBO에 비유하면 2024년 KIA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에서 롯데 자이언츠한화 이글스에게 패한 수준에 해당한다.

타선의 부진이 가장 큰 원인이었지만, 고쿠보 감독의 불안한 경기 운용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1~2점 차의 중요한 상황에서도 오가타, 이와이 등 신인급 투수를 마운드에 올리며 투마카세[23]를 시전하거나, 2024년 일본 최고의 타자 중 한 명인 콘도 켄스케를 끝까지 5번 타순에 고정 배치하는 등, 석연치 않은 전략이 도마 위에 올랐다.

25시즌 초반에는 4할 승률과 3게임차로 엎치락 뒤치락 하나 꼴찌를 차지하였다가, 조금씩 성적이 상승하고 있다. 그리고 6년만에 교류전 우승을 달성하였고, 전반기 종료 시점에서는 51승 4무 34패 선두 닛폰햄과 2경기차 2위로 전반전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32년만에 올스타에 단 한 명도 팬 투표에서 소프트뱅크 선수가 들어가지 못하는 굴욕을 달성하였다.

4. 기타

파일:external/baseballking.s3.amazonaws.com/465662190.jpg 파일:external/pds.joins.com/2015091221443348548_1.jpg
  • 어릴 적부터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아 성적이 뛰어났고 은퇴한 지금도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노래도 엄청 잘 한다고 한다.
  • 위에서 언급한 장점과는 별개로 옷을 엄청 못 입는 것으로도 유명해 현역 시절엔 일본 야구계를 대표하는 패션 테러리스트 소리를 듣기도 했다.
  • 자신의 7년 선배이자 이전에 호크스의 거포 유망주로 주목받던 오미치 노리요시를 '세계에서 가장 배트를 짧게 잡는 사나이'라는 컨택형 타자로 방향을 바꾸는 데 큰 기여를 하기도 했다. 물론 고쿠보 본인이 의도한 것은 아니고, 신인 시절의 고쿠보가 프리배팅에서 무지막지한 괴력을 뽐내는 모습을 지켜보던 오미치가 이 모습을 보고 "거포 타자로 저 녀석과 경쟁해서는 밥 먹고 살기도 힘들겠다."라는 생각에 타격 방향을 바꿀 것을 결심해 이전의 장타를 노리던 타격 스타일을 버리고 극단적으로 배트를 짧게 잡는 컨택형 타자가 된 것. 결과적으로 고쿠보는 팀의 주포로 맹활약하고, 장타 소질은 있었지만 컨택 문제로 1군에서 기회를 많이 못 받던 오미치도 장타를 버린 대신 컨택 능력이 늘어나 준주전 타자로 도약해 무시 못할 컨택을 보여주며 서로 윈윈이 되었다.
  • 흑역사로 1997년 시즌오프에 프로야구 선수들[24]이 허위지출을 만들어 소득을 은폐함으로써 탈세를 꾀했던 '프로야구 탈세사건'에 연루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형과 벌금 700만엔을 선고받고 이와는 별개의 커미셔너 징계로 제재금 400만엔, 8주간의 출장정지에 처해진 적이 있다. 이 당시 연루된 선수들 중 가장 탈세액이 많았고(2,833만엔) 여기에 탈세를 도와줄 경영 컨설턴트와 선수를 엮어주는 브로커 노릇까지 했기에 그만큼 무거운 형벌을 받았는데, 결국 이 사건으로 받은 출장정지와 어깨 부상이 쌍으로 겹치면서 1998 시즌을 거의 날렸고[25] 이듬해인 1999 시즌에도 후유증이 가시지 않으면서 부진한 성적에 그쳤다.[26]

  • 요미우리 시절인 2005년 5월 21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교류전에서 닛폰햄의 투수 에지리 신타로[28]에게 투런 홈런을 때려냈는데, 고쿠보의 확신에 찬 배트 플립과 그 직후 격분해 글러브를 내던진 에지리의 모습이 겹치며 인상적인 대비를 이루는 명장면으로 남았다.

5.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승률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2024 소프트뱅크 143 91 49 3 .650 우승 일본시리즈 패퇴
2025 .
총계 143 91 49 3 .650 리그 우승 1회 일본시리즈 진출 1회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고쿠보 히로키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4번 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49c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사와 후지오
(永沢富士雄)
파일:일본 국기.svg 이토 켄타로
(伊藤健太郎)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하루야스
(中島治康)
파일:일본 국기.svg 츠츠이 오사무
(筒井修)
파일:일본 국기.svg 마에카와 하치로
(前川八郎)
1936夏 1936夏-1943 1936夏-1948 1936秋 1937秋
<rowcolor=#f49c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파일:일본 국기.svg 미즈하라 시게루
(水原茂)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카미 테츠하루
(川上哲治)
파일:일본 국기.svg 아오타 노보루
(青田昇)
파일:일본 국기.svg 키구레 리쿠조
(木暮力三)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무라 마사미
(中村政美)
1937秋 1939-1958 1943-1952 1943 1943-1944
<rowcolor=#f49c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스다 히로시
(須田博)
파일:일본 국기.svg 콘도 사다오
(近藤貞雄)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바타 히로시
(川畑博)
파일:일본 국기.svg 쿠로사와 토시오
(黒沢俊夫)
파일:일본 국기.svg 코마츠바라 히로키
(小松原博喜)
1944 1944 1944 1946 1947
<rowcolor=#f49c00>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파일:일본 국기.svg 히라야마 키쿠지
(平山菊二)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미츠오
(宇野光雄)
파일:일본 국기.svg 미나미무라 후카시
(南村不可止)
파일:일본 국기.svg 테즈카 아키하루
(手塚明治)
파일:미국 국기.svg 미야모토 토시오
(宮本敏雄)
1948 1951-1953 1951-1952 1953-1954 1955-1961
<rowcolor=#f49c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파일:일본 국기.svg 히가사 카즈오
(樋笠一夫)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오 시게루
(藤尾茂)
파일:일본 국기.svg 카시와에다 분지
(柏枝文治)
파일:미국 국기.svg 요나미네 카나메
(与那嶺要)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시마 시게오
(長嶋茂雄)
1955 1955-1961 1955 1958 1958-1974
<rowcolor=#f49c00>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자키 카즈히코
(坂崎一彦)
파일:일본 국기.svg 쿠니마츠 아키라
(国松彰)
파일:대만 국기.svg 오 사다하루
(王貞治)
파일:일본 국기.svg 이케자와 요시유키
(池沢義行)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마사아키
(森昌彦)
1959-1962 1960-1968 1962-1980 1963 1964-1965
<rowcolor=#f49c00>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파일:일본 국기.svg 아이바 요시히로
(相羽欣厚)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다 카츠토요
(吉田勝豊)
파일:일본 국기.svg 타나카 쿠스오
(田中久寿男)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쿠라 테루유키
(高倉照幸)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나가 카츠야
(森永勝也)
1965 1965 1967 1967 1967
<rowcolor=#f49c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타 이사오
(柴田勲)
파일:일본 국기.svg 스에츠구 토시미츠
(末次利光)
파일:일본 국기.svg 야나기다 마사히로
(柳田真宏)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리모토 이사오
(張本勳)
파일:일본 국기.svg 아와구치 켄지
(淡口憲治)
1969 1970-1975 1974 1976-1979 1976
<rowcolor=#f49c00>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 존슨
(ジョンソン)
파일:미국 국기.svg 존 시핀
(シピン)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모토 코지 파일:미국 국기.svg 로이 화이트
(ホワイト)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하타 키요시
(中畑清)
1976 1978-1979 1979-1980 1980-1982 1981-1988
<rowcolor=#f49c00>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파일:미국 국기.svg 게리 토마슨
(トマソン)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바라 마코토
(松原誠)
파일:일본 국기.svg 하라 타츠노리
(原辰徳)
파일:미국 국기.svg 레지 스미스
(スミス)
파일:미국 국기.svg 워렌 크로마티
(クロマティ)
1981 1981 1982-1995 1983-1984 1984-1990
<rowcolor=#f49c00>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파일:대만 국기.svg 루밍쑤
(呂明賜)
파일:일본 국기.svg 코마다 노리히로
(駒田徳広)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무라 사다아키
(吉村禎章)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브라운
(ブラウン)
파일:미국 국기.svg 필 브래들리
(ブラッドリー)
1988 1988-1992 1990-1998 1990 1991
<rowcolor=#f49c00>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파일:미국 국기.svg 로이드 모즈비
(モスビー)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바필드
(バーフィールド)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자키 카오루
(岡崎郁)
파일:일본 국기.svg 오쿠보 히로모토
(大久保博元)
파일:일본 국기.svg 오치아이 히로미츠
(落合博満)
1992-1993 1993 1993 1993 1994-1996
<rowcolor=#f49c00>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사와 카츠미
(広沢克実)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이 히데키
(松井秀喜)
파일:미국 국기.svg 셰인 맥
(マック)
파일:일본 국기.svg 키요하라 카즈히로
(清原和博)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이 히로오
(石井浩郎)
1995-1998 1995-2002 1996 1997-2005 1997-1999
<rowcolor=#f49c00>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하시 요시노부
(高橋由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밍고 마르티네스
(マルティネ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로베르토 페타지니
(ペタジーニ)
파일:일본 국기.svg 코쿠보 히로키
(小久保裕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엽
(李承燁)
1999-2014 1999 2003-2004 2004-2006 2006-2008
<rowcolor=#f49c00>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파일:일본 국기.svg 니오카 토모히로
(二岡智宏)
파일:일본 국기.svg 아베 신노스케
(阿部慎之助)
파일:일본 국기.svg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小笠原道大)
파일:일본 국기.svg 알렉스 라미레스
(ラミレス)
파일:일본 국기.svg 초노 히사요시
(長野久義)
2006 2007-2019 2007 2008-2011 2011-2016
<rowcolor=#f49c00>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타 슈이치
(村田修一)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호세 로페스
(ロペス)
파일:미국 국기.svg 존 보우커
(ボウカー)
파일:멕시코 국기.svg 레슬리 앤더슨
(アンダーソン)
파일:쿠바 국기.svg 프레데릭 세페다
(セペダ)
2012-2017 2013-2014 2013 2014-2015 2014
<rowcolor=#f49c00>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타 타이시
(大田泰示)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모토 하야토
(坂本勇人)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이 다이스케
(中井大介)
파일:일본 국기.svg 카메이 요시유키
(亀井善行)
파일:미국 국기.svg 개럿 존스
(ジョーンズ)
2014-2015 2015~ 2015 2015 2016
<rowcolor=#f49c00>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파일:멕시코 국기.svg 루이스 크루즈
(クルーズ)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시 맥기
(マギー)
파일:아이티 국기.svg 알렉스 게레로
(ゲレーロ)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모토 카즈마
(岡本和真)
파일:일본 국기.svg 마루 요시히로
(丸佳浩)
2016 2017-2018 2018 2018~ 2020
<rowcolor=#f49c00>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타 쇼
(中田翔)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카와 나오키
(吉川尚輝)
파일:미국 국기.svg 트레이 캐비지
(キャベッジ)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시로 타쿠미
(大城卓三)
파일:일본 국기.svg 마스다 리쿠
(増田陸)
2022 2025 2025 2025 2025
<rowcolor=#f49c00> 제96대
파일:일본 국기.svg 키시다 유키노리
(岸田行倫)
2025
1) 연도는 해당 선수가 4번 타자로 1경기 이상 출장한 해.
2) 볼드체일본야구전당 헌액자.
}}}}}}}}} ||

파일:1999다이에.pn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5.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 반지
1999[29] 2011


파일: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로고.svg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bd5c24 동메달}}}
1992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c63 동메달(감독)}}}
2015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2루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카리타 히사노리
츠바사군
치바 시게루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치바 시게루
요미우리
하코다 히로시
코쿠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노우에 노보루
주니치
츠치야 마사타카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이노우에 노보루
주니치
츠치야 마사타카
요미우리
코사카 요시타카
히로시마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도이 쇼조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안도 모토오
한신
쿠나사다 야스히로
히로시마
존 시핀
타이요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데이비 존슨
요미우리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데이브 힐튼
야쿠르트
펠릭스 미얀
타이요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모토이 미츠오
타이요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와다 유타카
한신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와다 유타카
한신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에디 디아스
히로시마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타나카 히로야스
야쿠르트
히가시데 아키히로
히로시마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히라노 케이이치
한신
타나카 히로야스
야쿠르트
니시오카 츠요시
한신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마키 슈고
DeNA
요시카와 나오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혼도 야스시
마이니치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모리시타 마사오
난카이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사사키 신야
타카하시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기 아키라
니시테츠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잭 블룸필드
킨테츠
다릴 스펜서
한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다릴 스펜서
한큐
쿠나사다 야스히로
난카이
돈 블레이싱게임
난카이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모토이 미츠오
니시테츠
사쿠라이 테루히데
난카이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바비 마르카노
한큐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
바비 마르카노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후쿠라 준이치
한큐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후쿠라 준이치
오릭스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훌리오 프랑코
롯데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타카기 히로유키
세이부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호리 코이치
롯데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후지타 카즈야
라쿠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나카무라 쇼고
롯데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1루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후지타 타이라
한신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래리 패리쉬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짐 파쵸렉
한신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조지 아리아스
한신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타이론 우즈
주니치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토니 블랑코
주니치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크레이그 브라젤
한신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토니 블랑코
주니치
토니 블랑코
DeNA
마우로 고메즈
한신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호세 로페즈
DeNA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제프리 마르테
한신
호세 오수나
야쿠르트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카와이 코조
한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오카모토 켄이치로
한큐
스탠리 하시모토
토에이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타카키 타카시
킨테츠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카토 히데지
한큐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카토 히데지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레온 리
롯데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부머 웰즈
한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리처드 데이비스
킨테츠
부머 웰즈
한큐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부머 웰즈
오릭스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짐 트레버
킨테츠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훌리오 프랑코
롯데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필 클라크
킨테츠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훌리오 줄레타
소프트뱅크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이대호
오릭스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타 쇼
닛폰햄
긴지
라쿠텐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나카타 쇼
닛폰햄
브랜든 레어드
롯데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톤구 유마
오릭스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2루수 골든글러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존 시핀
타이요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데이비 존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도이 쇼조
요미우리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모토이 미츠오
타이요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와다 유타카
한신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히라노 케이이치
한신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타나카 히로야스
야쿠르트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나카노 타쿠무
한신
요시카와 나오키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오시타 츠요시
토에이
사쿠라이 테루히데
난카이
바비 마르카노
한큐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바비 마르카노
한큐
야마자키 히로유키
세이부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타카기 히로유키
세이부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후지타 카즈야
라쿠텐
루이스 크루즈
롯데
후지타 카즈야
라쿠텐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스즈키 다이치
롯데
나카무라 쇼고
롯데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토노사키 슈타
세이부
나카무라 쇼고
롯데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토노사키 슈타
세이부
나카무라 쇼고
롯데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1루수 골든글러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후지타 타이라
한신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나카하타 키요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나카하타 키요시
요미우리
코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짐 피치오렉
한신
코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조지 아리아스
한신
와타나베 히로유키
주니치
앤디 시츠
한신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앤디 시츠
한신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수상자 없음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호세 로페스
요미우리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호세 로페스
DeNA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호세 로페스
DeNA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나카타 쇼
주니치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클라렌스 존스
난카이
웨슬리 파커
난카이
카토 히데지
한큐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카토 히데지
한큐
카시와바라 쥰이치
닛폰햄
오가와 토오루
킨테츠
카시와바라 쥰이치
닛폰햄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시와바라 쥰이치
닛폰햄
카타히라 신사쿠
세이부
야마모토 코지
롯데
부머 웰즈
한큐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부머 웰즈
한큐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아이코 타케시
롯데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짐 트레버
킨테츠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훌리오 프랑코
롯데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타카기 타이세이
세이부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T-오카다
오릭스
나카타 쇼
닛폰햄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긴지
라쿠텐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나카무라 아키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나카무라 아키라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나카무라 아키라
소프트뱅크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54개
랜디 바스
한신 / 47개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토큐 / 2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레론 리
롯데 / 34개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부머 웰즈
한큐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T-오카다
오릭스 / 3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타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3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4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7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1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8점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75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7점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5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0점
아오타 노보루
도쿄쿄진군 / 42점
노구치 아키라
세이테츠군 / 42점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5점
츠루오카 카즈토
그레이트링 / 95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71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0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42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161점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105점
니시자와 마치오
나고야 / 9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98점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 91점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 91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7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6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78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92점
모리 토오루
주니치 / 87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76점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9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8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2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9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2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5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05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1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0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9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3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8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3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2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03점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95점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103점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102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134점
랜디 바스
한신 / 109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98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102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16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02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9점
래리 시츠
타이요 / 100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4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94점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107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106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09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12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0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153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8점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127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7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4점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113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147점
타이론 우즈
주니치 / 144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2점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5점
토니 블랑코
주니치 / 110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9점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 93점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104점
토니 블랑코
DeNA / 136점
마우로 고메스
한신 / 109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105점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110점
호세 로페스
DeNA / 105점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131점
네프탈리 소토
DeNA / 108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97점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11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134점
마키 슈고
DeNA / 10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86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105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7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6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86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7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9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95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100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85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95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03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12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4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35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5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97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0점
조지 알트만
도쿄 오리온즈 / 100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1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2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1점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01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9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96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97점
카토 히데지
한큐 / 82점
레론 리
롯데 / 109점
바비 마르카노
한큐 / 94점
카토 히데지
한큐 / 104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129점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108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99점
미즈타니 지츠오
한큐 / 114점
부머 웰즈
한큐 / 130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46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16점
부머 웰즈
한큐 / 11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5점
부머 웰즈
한큐 / 124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106점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 106점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92점
짐 트라버
킨테츠 / 92점
부머 웰즈
다이에 / 97점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107점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111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80점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 80점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 80점
트로이 닐
오릭스 / 111점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114점
나이젤 윌슨
닛폰햄 / 124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01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10점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32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17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3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0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121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100점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100점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108점
터피 로즈
오릭스 / 118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2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109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16점
이대호
오릭스 / 91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10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00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4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10점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103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27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3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나카타 쇼
닛폰햄 / 108점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96점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90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87점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99점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 투수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투수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투수
1960 1961 1962 1963 1964
콘도 아키히토
타이요 / 내야수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외야수
도바시 마사유키
토에이 / 투수
타네모 마사유키
토에이 / 포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1965 1966 1967 1968 1969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내야수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포수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외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스에츠구 토시미츠
요미우리 / 외야수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히로타 스미오
롯데 / 외야수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오오스기 카츠오
야쿠르트 / 내야수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내야수
1980 1981 1982 1983 1984
짐 라이틀
히로시마 / 외야수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 투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오오타 타쿠지
세이부 / 외야수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 외야수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내야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코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 외야수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내야수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외야수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투수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투수
1995 1996 1997 1998 1999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내야수
트로이 닐
오릭스 / 내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 외야수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 외야수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니오카 토모히로
요미우리 / 내야수
스기우치 토시야
다이에 / 투수
이시이 타카시
세이부 / 투수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 내야수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외야수
나카무라 노리히로
주니치 / 내야수
키시 타카유키
세이부 / 투수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포수
2010 2011 2012 2013 2014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 내야수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 내야수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투수
미마 마나부
라쿠텐 / 투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2015 2016 2017 2018 2019
이대호
소프트뱅크 / 내야수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내야수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포수
유리스벨 그라시알
소프트뱅크 / 내야수
2020 2021 2022 2023 2024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외야수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포수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외야수
치카모토 코지
한신 / 외야수
쿠와하라 마사유키
DeNA / 외야수
}}}}}}}}} ||

}}} ||
고쿠보 히로키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Central League)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Pacific League)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아베 신노스케 후지카와 큐지 고쿠보 히로키 신조 츠요시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원형 엠블럼.svg
미우라 다이스케 아라이 타카히로 요시이 마사토 미키 하지메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다카쓰 신고 이노우에 카즈키 기시다 마모루 니시구치 후미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30><table bordercolor=#1C262D>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역대 대표팀
}}} ||
{{{#!wiki style="color:#1C262D;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0
시드니 올림픽
2003
아테네 올림픽 예선
2004
아테네 올림픽
2006
WBC
2007
베이징 올림픽 예선
오오다가키 고우즈우
2000
나카하타 키요시
2003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2004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오 사다하루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6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호시노 센이치
[[김경문호/2007|
2007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8
베이징 올림픽
2009
WBC
2013
WBC
2015
프리미어 12
2017
WBC
호시노 센이치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
2008
]]
하라 다쓰노리
2009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야마모토 코지
2009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고쿠보 히로키
2015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
2017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2017
APBC
2019
프리미어 12
2020
도쿄 올림픽
2023
WBC
2023
APBC
이나바 아츠노리
2017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2019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2020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쿠리야마 히데키
2023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이바타 히로카즈
2023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24
프리미어 12
2026
WBC
2026
APBC
2027
프리미어 12
2028
LA 올림픽
이바타 히로카즈
2024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color: #002d72;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ff> A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인식
파일:대만 국기.svg

궈타이위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헨슬리
뮬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제리
와인스타인
B조 파일:일본 국기.svg
고쿠보
히로키
파일:호주 국기.svg

디블
파일:중국 국기.svg

맥라렌
파일:쿠바 국기.svg
카를로스
마티
C조 파일:미국 국기.svg

릴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어니
위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루이스
우루에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니
페냐
D조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드가
곤잘레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코
마치에리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에드윈
로드리게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마
비즈켈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이콘.svg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워드마크.svg
}}}}}}}}}}}} ||

파일:일본프로야구선수회 엠블럼.svg 일반사단법인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이사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야스무라 카즈오
1980~1985
오치아이 히로미츠
1985~1987
이시게 히로미치
1987~1989
오카다 아키노부
1989~1992
오카자키 카오루
1992~1993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츠지 하츠히코
1993~1995
이토 아키미츠
1995~1998
카와이 마사히로
1998~2001
타츠나미 카즈요시
2001~2005
코쿠보 히로키
2005~2009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이바타 히로카즈
2009~2013
히가시데 아키히로
2013~2015
오오시마 요헤이
2015~2019
마츠다 노부히로
2019~2021
마루 요시히로
2021~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5년~
초대
타카스 카즈오
(1938~1940)
2대
미타니 하치로
(1941~1942)
3대
카토 키사쿠
(1942)
4대
타카다 카츠오
(1943)
5대
카토 키사쿠
(1943~1944)
6대
츠루오카 카즈토
(1946~1965)

7대
카게야마 카즈오
(1965)
8대
츠루오카 카즈토
(1966~1968)
9대
이이다 토쿠지
(1969)
10대
노무라 카츠야
(1970~1977)
11대
히로세 요시노리
(1978~1980)
12대
돈 블레이싱게임
(1981~1982)
13대
아나부키 요시오
(1983~1985)
14대
스기우라 타다시
(1986~1989)
15대
타부치 코이치
(1990~1992)
16대
네모토 리쿠오
(1993~1994)
17대
오 사다하루
(1995~2008)
18대
아키야마 코지
(2009~2014)
19대
쿠도 키미야스
(2015~2021)
20대
후지모토 히로시
(2022~2023)
21대
코쿠보 히로키
(2024~)
: 단일리그 우승 /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7대 감독인 카게야마 카즈오는 취임 4일 후 급사하여 정식 감독으로써 지휘한 적은 없다.
}}}}}}}}}}}}}}} ||

{{{#ff6b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등번호 9번}}}
우치노쿠라 타카시
(1991~1993)
고쿠보 히로키
(1994~2003)
임시결번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6번}}}
카와이 마사히로
(2000~2003)
고쿠보 히로키
(2004~2006)
코사카 마코토
(2007~2008)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9번
임시결번 고쿠보 히로키
(2007~2012)
야나기타 유키
(2015~)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등번호 90번
공번 고쿠보 히로키
(2013~2017)
타구치 카즈토
(2017~2019)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90번
로베르트 수아레스
(2016~2019)
고쿠보 히로키
(2021~)
현역
}}} ||
[1] 옛날에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일본어과가 이 학교와 교류를 맺은 적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업 중 코쿠보에 대한 이야기도 간혹 나왔다고 한다.[2] 과거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가 자신이 원하는 구단을 선택해 구단과 합의해서 확정적으로 입단할 수 있었던 제도였다.[3] 전주:我等の旗の下 集いし戦士よ 力の限り 大きく羽ばたけ 小久保!(우리의 깃발 아래 모인 전사여 있는 힘껏 크게 날개쳐라 고쿠보!×4)[4] 千の夢を 胸に秘めた 勝利の申し子 その叡智と その力で 我等を導け(천개의 꿈을 가슴에 간직한 승리의 신이 내린 아이 그 지혜와 그 힘으로 우리를 이끌어라)[5] 鷹のプレイグラウンドに 帰ってきたんだ 小久保戦えよ 勝利の為に(매의 플레이 그라운드에 돌아왔다 고쿠보 싸워라 승리를 위해서), 소프트뱅크 복귀 후 사용한 응원가로 다이에 시절엔 다른 응원가를 썼다.[6] 참고로 이 해에는 스즈키 이치로가 홈런왕을 뺀 모든 타이틀 시상 분야(타율, 타점, 최다안타, 출루율, 도루)에서 1위를 차지했는데, 고쿠보가 이치로의 25홈런보다 3개 많은 28홈런을 치고 장타율(타이틀 미시상)도 .548로 리그 1위를 차지하며 타격 전부문 타이틀 획득을 저지했다. 덤으로 3루타도 9개로 리그 1위를 기록하면서 1947년 오시타 히로시 이래 48년 만에 양대리그 최초로 3루타+홈런 동시 1위 기록도 차지했다.[7] 보통의 시즌이었으면 홈런왕과 타점왕을 수상하기엔 충분한 성적이었으나, 하필 이 당시가 역대 최악의 타고투저 시즌이라 불리는 '래빗볼 시대'의 시작인 데다 이 해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특유의 '이테마에(쳐부숴라) 타선'이 본격적으로 폭발한 탓에 당시 킨테츠의 중심타선을 맡고 있던 터피 로즈(홈런왕, 55홈런)와 나카무라 노리히로(타점왕, 132타점)에게 홈런, 타점왕 타이틀을 내준 것은 물론 팀도 리그 3연패를 놓치는 굴욕을 겪었다.[8] 홈플레이트 접전 도중 상대팀 포수와 충돌해 무릎 전방 십자 인대 파열 및 내측 인대와 외부 반월판 연골 손상, 경골 및 대퇴골 타박상 등 완치까지 최소 6개월이 필요한 중상을 입었다.[9] 구단주이자 다이에의 창업자였던 나카우치 이사오의 차남으로, 고쿠보와는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선후배 관계였다. 후술하겠지만 고쿠보의 무상 트레이드에도 관여했다.[10] 그런데 결국 마츠나카의 말처럼 이듬해인 2004년에 다이에는 정규시즌 1위를 차지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세이부 라이온즈에게 패해 리그 연패에 실패했고, 시즌 종료 후 호크스는 소프트뱅크에 매각된다.[11]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중반까지 주전 외야수로 활약한 선수. 이 해 주로 8번 타자 등의 하위타선으로 나왔음에도 타율 .333을 기록하는 무시 못할 공격력을 보여줬다.[12] 이미 코츠카 사장은 코쿠보의 선배 투수이자 4년 전인 1999년 다이에의 첫 우승을 이끈 공로로 리그 MVP를 수상한 쿠도 키미야스에게조차 "네가 등판하는 날은 관중 수가 적다"는 핑계로 연봉을 올려주기 싫다는 늬앙스를 노골적으로 풍겨 FA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이적하는 단초를 만든 전과가 있었다.[13] 2004년 이후 다이에 호크스는 모기업인 다이에의 부도로 인하여 야구단을 공개매각했고 소프트뱅크가 인수하게 된다. 이후 다이에그룹은 이온의 자회사로 편입되어 회사의 규모가 작아졌다.[14] 고쿠보 이전의 최고령 일본시리즈 MVP 기록은 2011년 소프트뱅크의 감독이자 1999년 일본시리즈에서 37세로 MVP를 수상한 아키야마 코지였다.[15] WBC, 올림픽, 프리미어12를 중점으로 준비할 것으로 예상된다.[16] 일본 역시 마에다 겐타, 오타니 쇼헤이, 마키타 가즈히사 등 예비 메이저리거들을 포함하긴 했으나, 메이저리그 소속 선수는 모두 제외한 상태였다.[17] 최종 성적은 3위로 낮다할 수 없지만 미국, 도미니카, 베네수엘라, 푸에르토리코, 네덜란드 등의 야구 강국들이 메이저리거들을 전원 제외한 채 치른 대회에서의 성적이기에 실망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18] 2006년 우승, 2009년 우승, 2013년 4강, 2017년 4강.[19] 아오키 노리치카[20] 마에다 겐타, 다나카 마사히로, 다르빗슈 유, 타자와 준이치, 우에하라 고지 등이 대표팀 불참을 선언했다. 아오키 노리치카 만이 유일하게 메이저리거 신분으로서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21] 심지어 이 당시에는 메이저리거 차출에 실패해서 국내파로만 대회를 치렀었다.[22] 일례로 팀에서 가장 잘치는 타자를 4번으로 써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워서 야나기타 유키를 무작정 4번으로 기용했는데 오히려 성적이 떨어지는 부작용만 초래했다. 전임 수석인 히라이시 요스케가 철저한 분석을 통해 타순 변동에 관여한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23] 일본어로 '맡긴다'는 의미로,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무계획적 투수 기용을 뜻하는 속어.[24] 코쿠보 외에도 팀 동료 후지이 마사오미야모토 신야, 타네다 히토시 등이 마찬가지로 탈세가 발각되어 기소 처분이나 커미셔너 징계를 받았다.[25] 17경기 타율 .225 2홈런[26] 130경기 타율 .234 24홈런 77타점. 당시 홈런과 타점은 팀 내 1위였지만 어깨 부상의 후유증이 타격에 영향을 미치면서 풀타임 4번타자로썬 썩 좋지 못한 성적을 남겼다.[27] 특히 만 50세까지 현역으로 뛴 투수로 유명한 야마모토 마사가 고쿠보에게 홈런을 많이 내줬다.[28] 3수로 와세다대학에 들어간 특이한 이력을 가진 투수로 유명하다. 프로에선 닛폰햄, 요코하마, 소프트뱅크 3구단을 거쳐가며 통산 277시합(37선발) 20승 28패 1세이브 53홀드, 평균자책점 4.38의 성적을 남기고 2014년 은퇴했고, 이후엔 소프트뱅크 그룹 산하 자회사, 구단 프런트를 거쳐 현재는 호크스 구단의 자회사인 Acrobats의 사장을 맡고 있다.[29] 2003년에도 다이에가 우승을 했으나, 후술하겠지만 고쿠보는 부상으로 이해 시즌을 통째로 날린 데다가 전대미문의 무상 트레이드 사건 때문에 이 시즌 자체가 흑역사가 되는 아픔을 겪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