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스 카브레라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04 | 201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 ||
<rowcolor=#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장훈 토에이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 |
<rowcolor=#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1루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후지타 타이라 한신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래리 패리쉬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짐 파쵸렉 한신 |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조지 아리아스 한신 |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타이론 우즈 주니치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크레이그 브라젤 한신 |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토니 블랑코 DeNA | 마우로 고메즈 한신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호세 로페즈 DeNA |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제프리 마르테 한신 | 호세 오수나 야쿠르트 |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카와이 코조 한큐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오카모토 켄이치로 한큐 | 스탠리 하시모토 토에이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타카키 타카시 킨테츠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카토 히데지 한큐 |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카토 히데지 한큐 |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 카토 히데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레온 리 롯데 |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부머 웰즈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리처드 데이비스 킨테츠 | 부머 웰즈 한큐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부머 웰즈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짐 트레버 킨테츠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훌리오 프랑코 롯데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훌리오 줄레타 소프트뱅크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 이대호 오릭스 |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타 쇼 닛폰햄 | 긴지 라쿠텐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나카타 쇼 닛폰햄 | 브랜든 레어드 롯데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톤구 유마 오릭스 |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지명타자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 오타 타쿠지 타이헤이요 클럽 |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라이터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레론 리 롯데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레론 리 롯데 |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트로이 닐 오릭스 |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프랭크 볼릭 롯데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터피 로즈 오릭스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이대호 소프트뱅크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 |
2008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1루수 부문 골든글러브 | ||||
후쿠우라 카즈야 (치바 롯데 마린즈 ) | →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버팔로즈) | → | 타카하시 신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2002년 퍼시픽 리그 최다 홈런 |
2006년 퍼시픽 리그 최다 타점 |
2002, 2010년 퍼시픽 리그 최고 출루율 |
보유 기록(NPB) | |
역대 최단 경기 150홈런 | 380경기 |
역대 최단 경기 200홈런 | 538경기 |
역대 최단 경기 250홈런 | 733경기 |
역대 최단 경기 300홈런 | 934경기 |
역대 최단 경기 350홈런 | 1,169경기 |
외국인 선수 통산 최다 고의사구 | 95개 |
외국인 선수 통산 최고 장타율 | .592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39번 | ||||
배리 매뉴엘 (1998) | → | 알렉스 카브레라 (2000) | → | 채드 모엘러 (2001) |
{{{#FFFFFF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42번}}} | ||||
레지 제퍼슨 (2000) | → | 알렉스 카브레라 (2001~2007) | → | 크레이그 브라젤 (2008) |
{{{#ffffff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42번}}} | ||||
시미즈 아키오 (2007) | → | 알렉스 카브레라 (2008~2010) | → | 알프레도 피가로 (2011~2012)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42번 | ||||
도우에 하야토 (2009~2010) | → | 알렉스 카브레라 (2011~2012) | → | 브랜던 앨런 (2012) |
| |
알렉산더 알베르토 "알렉스" 카브레라 Alexander Alberto "Alex" Cabrera[1] | |
출생 | 1971년 12월 24일 ([age(1971-12-24)]세) |
모나가스주 카리피토 | |
국적 |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안드레스 베요 고등학교 |
신체 | 185cm, 100kg |
포지션 | 1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1991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CHC) |
소속팀 | 페트롤레로스 데 미나티틀란 (1997)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1997~1998) 허신 웨일스 (1999)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0) 세이부 라이온즈 (2001~2007) 오릭스 버팔로즈 (2008~201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1~2012) 아길라 데 베라크루즈 (2014) |
등장곡 | HABANA CLUB BAND - La Colegiala |
[clearfix]
1. 개요
최전성기의 한가운데이던 2003년 시즌 50홈런 모음.
커리어 후반기이던 오릭스, 소프트뱅크 시절 홈런 모음.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로 우락부락한 근육질 체구에서 나오는 호쾌한 스윙과 강력한 파워를 무기로 홈런을 많이 생산한 거포 외국인 선수였다. 생산력 지표로 따지면 랜디 바스, 터피 로즈, 부머 웰스, 로베르토 페타지니 등과 함께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의 외국인 타자 반열에 있는 선수이다.
단 하술하듯 여러 차례 금지약물 복용 관련된 논란도 있던 선수로 일본 야구팬들 사이에서는 대표적인 로이더로 꼽히기도 한다.
2.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시절
1971년 베네수엘라 태생으로 1991년 시카고 컵스에 자유계약선수로 입단했고 1998년 시즌 개막 전 탬파베이 레이스로 이적했다. 1999년엔 대만으로 건너가 한 시즌을 뛰었고 다시 미국으로 복귀하여 2000년에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유니폼을 입었다. 애리조나 입단 전까지 마이너리그에서만 생활했으나 2000년 메이저리그를 밟았고 그해 31게임에서 타율 0.262/5홈런/14타점/10득점을 기록했다.3.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
2000년 시즌을 마치고 세이부 라이온즈가 그를 영입했다. 2001년 타율 0.282/49홈런/124타점, 2002년 타율 0.336/55홈런/115타점을 기록했고 2002년에는 퍼시픽리그 최우수선수로 선정됐다. 55홈런은 일본프로야구 당시 한시즌 최다홈런과 타이 기록이었는데 1964년에 오 사다하루가 세운 기록을 외국인 선수가 깨는 걸 원치 않아[2] 알렉스 카브레라나 터피 로즈(2001년)가 모두 55호까지는 기록한 뒤 상대 투수들의 승부 회피[3]로 결국 타이기록에 만족해야만 했다.[4]2003년에는 타율 0.324/50홈런/112타점을 기록했고 2004년에는 오른쪽 손목 골절 부상탓에 64게임에만 출장하며 25홈런/62타점을 기록했다. 2004년 일본시리즈에서 3홈런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세이부에서 6시즌간 활동하며 708경기에 출장, 타율 0.308/246홈런/605타점을 기록했다.
4. 오릭스 버팔로즈 시절
세이부에서의 생활을 마치고 2008년 1월 오릭스와 1년 계약을 맺고 이적하였다. 3시즌간 73홈런과 225타점을 기록했다. 2009년 시즌을 마치고 일본프로야구에서 8시즌 이상을 뛴 외국인 선수는 외국인 선수 쿼터 제한을 적용받지 않는 규정에 따라 외국인 선수로 인정받지 않게 됐으며 이는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4번째였다.5.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2011년과 2012년에는 호크스 유니폼을 입었으나 2시즌동안 97게임 출장에 그쳤다. 일본프로야구 11년간 총 357개의 홈런을 기록했다.6. 그 후
2007년 12월 13일, 미첼 리포트에서 금지약물 복용 혐의가 의심되는 선수명단에 이름을 포함하고 있었다.2012년에 호크스를 퇴단한 후 모국으로 돌아갔고 2013년에는 한 시즌 쉬었다. 이후 2013/14시즌에 모국인 베네수엘라 프로야구 리그에서 리그 최다 홈런 기록인 시즌 21홈런을 달성했다.[5]
2014년에는 멕시칸 리그에서 뛰고 있었으나 도핑 테스트 결과 금지 약물인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것을 적발당해 영구 퇴출 처분을 받게 됐다.
멕시코에서 퇴출된 후에는 모국 베네수엘라에서만 뛰었고 2016/17시즌을 끝으로 완전히 은퇴했다.
7. 여담
미우라 다이스케를 상대로 NPB 최장 비거리 홈런(175m)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의 홈런은 라인드라이브성보다는 큰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문샷의 형태가 많았으며, 각 팀들이 사용하는 돔구장 천정을 수차례 맞췄다. 하지만 터무니없는 파워로 밀어서 낮은 탄도의 라인드라이브로 넘긴 인상적인 홈런도 여러 개 남겼다.
934경기만에 300홈런을 기록했으며 이는 NPB 최단경기 300홈런 기록이다.
거포였음에도 상황에 따른 팀배팅을 할 줄 아는 선수였으며 잡아당기기 일변도가 아니라 밀어치기도 가능했던 타자였다.
8. 연도별 기록
| |||||||||||||||||
<rowcolor=#e3d4ad>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2000 | ARI | 31 | 87 | 21 | 2 | 1 | 5 | 10 | 14 | 0 | 4 | 21 | .263 | .299 | .500 | .799 | 0.5 |
MLB 통산 (1시즌) | 31 | 87 | 21 | 2 | 1 | 5 | 10 | 14 | 0 | 4 | 21 | .263 | .299 | .500 | .799 | 0.5 |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AR |
2001 | 세이부 | 139 | 605 | 145 | 23 | 0 | 49 | 96 | 124 | 3 | 84 | 150 | .282 | .385 | .613 | .998 | 5.3 |
2002 | 128 | 559 | 150 | 23 | 0 | 55 | 105 | 115 | 4 | 100 | 117 | .336 | .467 | .756 | 1.223 | 10.2 | |
2003 | 124 | 533 | 148 | 24 | 0 | 50 | 85 | 112 | 2 | 68 | 106 | .324 | .418 | .705 | 1.123 | 5.6 | |
2004 | 64 | 290 | 70 | 14 | 1 | 25 | 47 | 62 | 1 | 34 | 71 | .280 | .369 | .644 | 1.013 | 2.4 | |
2005 | 127 | 528 | 133 | 28 | 0 | 36 | 78 | 92 | 1 | 71 | 117 | .300 | .407 | .606 | 1.013 | 4.7 | |
2006 | 126 | 540 | 147 | 21 | 1 | 31 | 74 | 100 | 0 | 68 | 115 | .315 | .404 | .564 | .968 | 5.3 | |
2007 | 119 | 501 | 130 | 15 | 0 | 27 | 51 | 81 | 0 | 53 | 109 | .295 | .377 | .512 | .890 | 3.7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AR |
2008 | 오릭스 | 138 | 576 | 159 | 28 | 2 | 36 | 88 | 104 | 2 | 62 | 110 | .315 | .394 | .593 | .987 | 5.9 |
2009 | 65 | 275 | 75 | 10 | 0 | 13 | 37 | 39 | 0 | 33 | 53 | .314 | .400 | .517 | .917 | 2 | |
2010 | 112 | 481 | 135 | 21 | 2 | 24 | 66 | 82 | 1 | 69 | 91 | .331 | .428 | .569 | .997 | 4.4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AR |
2011 | 소프트 뱅크 | 89 | 340 | 70 | 13 | 0 | 10 | 25 | 35 | 0 | 25 | 94 | .225 | .285 | .363 | .649 | 0.3 |
2012 | 8 | 29 | 6 | 1 | 0 | 1 | 1 | 3 | 0 | 0 | 10 | .207 | .207 | .345 | .552 | -0.1 | |
NPB 통산 (12시즌) | 1239 | 5257 | 1368 | 221 | 6 | 357 | 753 | 949 | 14 | 667 | 1143 | .303 | .398 | .592 | .990 | 49.8 |
[1] NPB 등록명은 アレックス・カブレラ이다.[2] 정작 오 사다하루는 비록 어머니가 일본인이지만 장훈과 마찬가지로 일본인으로 귀화하지 않은 엄연한 외국인이다. 일본의 야구 관계자들이나 일본 국민들에게 오 사다하루는 국적과는 상관없이 일본인이라는 인식이 이미 굳어 있다는걸 알 수 있는 부분.[3] 심지어 카브레라에게 고의로 몸에 맞는 볼을 던지는 일도 있었고, 카브레라의 홈런 신기록 경신을 위해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는 그를 1번 타자로 기용했다.[4] 결국 2013년 블라디미르 발렌틴이 60호 홈런까지 치며 기록을 경신했다.[5] 이 리그가 윈터리그라 40~60경기정도밖에 치르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