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치바 롯데 마린즈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49년 ~ 현재 | ||||
초대 유아사 (1950~1952) ★ | 2대 와카바야시 (1953) | 3대 벳토 (1954~1959) | 4대 니시모토 (1960) ☆ | 5대 우노 (1961~1962) | |
6대 혼도 (1963~1965) | 7대 다마루 (1966) | 8대 토쿠라 (1967) | 9대 노닌 (1967~1971) ☆ | 10대 오사와 (1971~1972) | |
11대 카네다 (1973~1978) ★ | 12대 야마우치 (1979~1981) | 13대 야마모토 (1982~1983) | 14대 이나오 (1984~1986) | 15대 아리토 (1987~1989) | |
16대 카네다 (1990~1991) | 17대 야기사와 (1992~1994) | 18대 발렌타인 (1995) | 19대 에지리 (1996) | 20대 곤도 (1997~1998) | |
21대 야마모토 (1999~2003) | 22대 발렌타인 (2004~2009) ★ | 23대 니시무라 (2010~2012) ★ | 24대 이토 (2013~2017) | 25대 이구치 (2018~2022) | |
26대 요시이 (2023~ )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 21대 감독인 야마모토 코지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레전드인 야마모토 코지와는 이름의 한자가 다른 동명이인이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49년 ~ 현재 | ||||
초대 와타나베 타이리쿠 (1950) | 2대 나카지마 하루야스 (1951) | 3대 아리마 기이치 (1951) | 4대 코니시 도쿠로 (1952~1953) | 5대 나가사와 타케오 (1954) | |
6대 후지이 이사무 (1955) | 7대 사코하타 마사미 (1956~1958) | 8대 모리 시게오 (1959) | 9대 미하라 오사무 (1960~1967) ★ | 10대 벳토 카오루 (1968~1972) | |
11대 아오타 노보루 (1973) | 12대 미야자키 타케시 (1974) | 13대 아키야마 노보루 (1975~1976) | 14대 벳토 카오루 (1977~1979) | 15대 도이 키요시 (1980~1981) | |
16대 세키네 쥰조 (1982~1984) | 17대 콘도 사다오 (1985~1986) | 18대 코바 타케시 (1987~1989) | 19대 스도 유타카 (1990~1992) | 20대 에지리 아키라 (1992) | |
21대 콘도 아키히토 (1993~1995) | 22대 오오야 아키히코 (1996~1997) | 23대 곤도 히로시 (1998~2000) ★ | 24대 모리 마사아키 (2001~2002) | 25대 야마시타 다이스케 (2003~2004) | |
26대 우시지마 카즈히코 (2005~2006) | 27대 오오야 아키히코 (2007~2009) | 28대 오바나 타카오 (2010~2011) | 29대 나카하타 키요시 (2012~2015) | 30대 알렉스 라미레스 (2016~2020) ☆ | |
31대 미우라 다이스케 (2021~) ★ | |||||
★: 일본시리즈 우승 / ★: 센트럴리그 우승 / ☆: 일본시리즈 진출(리그 2~3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49년~ | ||||
초대 이시모토 슈이치 (1950~1953) | 2대 시라이시 카츠미 (1953~1960) | 3대 몬젠 마사토 (1961~1962) | 4대 시라이시 카츠미 (1963~1965) | 5대 하세가와 료헤이 (1965~1967) | |
6대 네모토 리쿠오 (1968~1972) | 7대 벳토 카오루 (1973) | 8대 모리나가 카츠야 (1974) | 9대 조 루츠 (1975) | 10대 코바 타케시 (1975~1985) ★★★★ | |
11대 아난 준로 (1986~1988) ★ | 12대 야마모토 코지 (1989~1993) ★ | 13대 미무라 토시유키 (1994~1998) | 14대 타츠카와 미츠오 (1999~2000) | 15대 야마모토 코지 (2001~2005) | |
16대 마티 브라운 (2006~2009) | 17대 노무라 켄지로 (2010~2014) | 18대 오가타 코이치 (2015~2019) ★★★ | 19대 사사오카 신지 (2020~2022) | 20대 아라이 타카히로 (2023~) | |
★:일본시리즈 우승 / ★: 센트럴리그 우승 |
1950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리그 MVP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타이거즈) | →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오리온즈) | → |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호크스) |
긴테쓰 버팔로즈 역대 감독 | |||||
치바 시게루 (1959~61) | → | 벳토 카오루 (1962~64) | → | 이와모토 요시유키 (1965~66) |
벳토 카오루 別当 薫 | |
출생 | 1920년 8월 23일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 |
사망 | 1999년 4월 16일 |
학력 | 구제 고요중학- 게이오기주쿠대학 |
투타 | 우투우타 |
포지션 | 외야수 |
소속팀 | 오사카 타이거즈(1948~1949) 마이니치 오리온즈(1950~1957) |
지도자 | 마이니치 오리온즈 감독 권한대행(1952)[1] 마이니치-다이마이 오리온즈 감독(1954~1959)[2] 긴테쓰 버팔로즈 감독(1962~1964) 다이요 훼일즈 감독(1968~1972/1977~1979) 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1973) 다이요-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즈 감독(1977~1979) |
1. 개요
일본의 야구선수, 감독, 해설가.2. 학창 시절
코요 중학교-게이오 대학을 졸업했다. 중학시절 고시엔 출장경력이 있으며, 게이오대 재학중엔 도쿄도 6대학 리그를 대표하던 강타자였다. 1942년 춘계리그 때 당시 6대학 리그 사상 최고타율 이던 5할을 기록하며 수위타자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최초로 게이오대가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데 큰 공헌을 세웠다.3. 프로 시절
대학 졸업 후 당초 가업을 잇기로 했지만, 1947년 일본의 사회인야구팀인 전오사카에 입단, 그해 도시대항 야구대회에서 팀을 우승시킨 것을 계기로 야구선수로 전업을 결심했고 이듬해 오사카 타이거스에 입단하며 본격적으로 프로 세계에 발을 들였다.오사카 타이거스 시절의 벳토
후지무라 후미오(우측)와 타이거스의 타선을 이끌던 시절
데뷔 첫해인 1948년엔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지만 타율 0.328, 13홈런으로 가능성을 보였고, 이듬해 후지무라 후미오와 함께 중심타선을 구축하며 39홈런에 126타점, 타율 0.322 라는 무시무시한 성적을 올렸다. 특히 우락부락한 호걸형의 외모를 가진 선수들이 대부분이던 당시 야구계에서 곱상한 얼굴에 호리호리한 몸매로 홈런을 펑펑 쳐내는 미남 슬러거로 큰 인기를 끌었다.
마이니치 오리온즈로 이적한 벳토
그러나 1950년 2리그 분열 소동에 휘말리며[3] 퍼시픽리그의 마이니치 오리온즈로 트레이드 되었고[4] 그 해 타율 0.335, 43홈런, 105타점을 기록하며 삼관왕에 가까운 맹활약을 보였다.[5] 또한 그해 마이니치가 2리그 분리 이후 처음으로 일본시리즈를 제패하는 데 일조한 선수중에 하나가 바로 벳토였다. 벳토는 그해 퍼시픽리그 MVP와 일본시리즈 MVP를 동시에 수상하며 최고의 한해를 보냈다.
1952년 헤이와다이 사건[6]으로 유아사 요시오 감독이 경질되자 팀의 감독대행을 맡기도 했고, 1954년 부터는 선수 겸 감독으로 선수단을 이끌었다. 1957년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통산 성적은 891경기 출장에 타율 0.302, 155홈런, 549타점, 186도루.
4. 감독 시절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즈 감독 시절
1958년 부터 다이마이의 전임 감독으로 팀을 지휘하였으나 이렇다 할 결과를 남기지 못한 채 1959년 시즌을 끝으로 감독직을 니시모토 유키오에게 넘기고 다이마이를 떠났다. 이후 킨테츠 버팔로즈(1962~1964), 다이요 훼일즈(1968~1972, 1977~1979), 히로시마 도요 카프(1973) 등의 감독을 역임했지만, 일본시리즈 우승은 고사하고 리그 우승 한번 못한 채 유니폼을 벗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독 생활 통산성적은 1237승 1156패 104무승부, 승률 0.517으로, 통산 1000승을 기록했다. 우승 경험 없이 1000승을 채운 감독은 벳토가 유일하다.
비록 우승 경험은 없지만 풍부한 타격 이론과 코칭기술을 바탕으로 강타자들을 많이 육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인 선수로 야마우치 카즈히로, 에노모토 키하치(이상 마이니치), 도이 마사히로(킨테츠)[7] ,
여담으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프랜차이즈 역사에서 최장기간 집권 감독(8년)이자 최다 A클래스 기록(4회) 보유 감독이기도 하다.
5. 이후
1980년 다이요 훼일즈 구단 대표(상무이사)로 재직하였고, 그 외 닛폰 테레비 등에서 야구해설가로 활동하였다. 만년에는 킨테츠 시절 제자인 도이 마사히로의 추천으로 세이부 소속이던 키요하라 카즈히로의 개인 타격코치를 맡기도 했다.1988년 일본야구전당에 입성했고, 1999년 4월 16일 심부전으로 별세했다. 향년 78세.
6. 여담
- 코엔 형제의 1998년작 영화 위대한 레보스키에서 주인공 '듀드' 역을 맡은 제프 브리지스가 극중에서 이 사람이 그려진 티셔츠를 입고 나온다. 왜 그랬는지는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영화가 컬트적 인기를 끌면서 그 옷을 따라 입는 팬들이 생겨났고 북미권 인터넷 쇼핑몰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1] 선수 겸 감독대행[2] 1957년까지는 선수 겸 감독[3] 마이니치 신문이 신생팀을 창단해 프로야구 진출을 선언하자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니치 드래곤즈가 주축인 반대파와 한신 타이거즈, 난카이 호크스가 주축인 찬성파가 대립하면서 단일리그였던 일본프로야구가 반대파의 센트럴리그와 찬성파의 퍼시픽리그로 분열된 사건. 당초 한신은 퍼시픽리그로 가기로 했다가 거인전의 수익을 고려해 센트럴리그로 방향을 바꿨고, 이에 반발한 와카바야시 타다시 선수 겸 감독과 친 와카바야시 성향의 선수들이 대거 마이니치로 트레이드 된다.[4] 강한 자존심의 소유자이던 팀 선배 후지무라 후미오가 자신의 명성을 위협하던 벳토를 평소 상당히 경원시 했고, 그 영향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5] 게다가 도루 또한 34개를 기록하여 일본 최초로 3(할)-30(홈런)-30(도루) 클럽에 가입하였다. 참고로 그해 벳토뿐만 아니라 쇼치쿠 로빈스의 이와모토 요시유키도 동시에 3-30-30을 기록.[6] 1952년 7월 16일 니시테츠 라이온즈의 홈구장인 헤이와다이 구장에서의 원정경기 때 4대 9로 뒤지던 마이니치가 우천과 일몰 노게임(당시 헤이와다이 구장은 조명시설이 없었다)을 노리고 고의적인 경기 지연행위를 벌여 결국 5회초에 노게임 선언이 되자 분노한 니시테츠 팬 수천명이 그라운드에 난입한 사건. 이 때 니시테츠의 오시타 히로시와 노구치 마사아키가 둘이서 함께 팬들의 주먹과 발길질에 피투성이가 되어가면서도 관객들을 저지했고 결국 이날 소동은 3300명의 경찰 기동대가 투입되어 겨우 진정되었다. 이날 관객들의 소란을 저지한 공으로 오시타와 노구치는 연맹 표창을 받은 반면 지연 행위를 조장했던 유아사 요시오 총감독은 해임, 와카바야시 타다시 감독은 2군 감독으로 강등당하는 조치를 받고 벳토 카오루가 선수 겸 감독으로 취임하였다.[7] 키요하라 카즈히로 이전 무관의 제왕 이라 불리던 강타자로, 고졸 신인으로 4번 타자를 맡은 것도 유명하다. 그 자신도 세이부 라이온즈 코치 시절 고졸 루키였던 키요하라 카즈히로를 4번 타자로 육성하기도 하였다. 1992년 시즌 삼성 라이온즈의 타격코치를 맡은적이 있다. 2018년까지 70대 중반의 나이에 주니치 드래곤스의 1군 타격코치로 왕성히 활동했고 2018년 시즌 종료 후 사임하였다.[8] 1982시즌 세리그 타격왕.[9] 2011년 SK 와이번스 타격코치로 영입되었으나 김성근 감독 경질 시 도중 하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