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9:55:10

2004년 일본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5px; word-break: keep-all"
파일: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svg 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 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 파일:쿄진1953로고.svg 파일:주니치식 c로고.svg
1950년 일본시리즈 1951년 일본시리즈 1952년 일본시리즈 1953년 일본시리즈 195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 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 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 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 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55년 일본시리즈 1956년 일본시리즈 1957년 일본시리즈 1958년 일본시리즈 1959년 일본시리즈
파일:타이요 훼일즈 심볼(1960).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토에이 모자로고 1960s.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60년 일본시리즈 1961년 일본시리즈 1962년 일본시리즈 1963년 일본시리즈 196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1965년 일본시리즈 1966년 일본시리즈 1967년 일본시리즈 1968년 일본시리즈 196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파일:롯데 오리온즈 심볼.svg
1970년 일본시리즈 1971년 일본시리즈 1972년 일본시리즈 1973년 일본시리즈 197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75년 일본시리즈 1976년 일본시리즈 1977년 일본시리즈 1978년 일본시리즈 1979년 일본시리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80년 일본시리즈 1981년 일본시리즈 1982년 일본시리즈 1983년 일본시리즈 198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
1985년 일본시리즈 1986년 일본시리즈 1987년 일본시리즈 1988년 일본시리즈 1989년 일본시리즈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 파일:쿄진로고 1993.svg
1990년 일본시리즈 1991년 일본시리즈 1992년 일본시리즈 1993년 일본시리즈 1994년 일본시리즈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 파일:오릭스로고 1991.svg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 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1996~2008).svg 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1995년 일본시리즈 1996년 일본시리즈 1997년 일본시리즈 1998년 일본시리즈 1999년 일본시리즈
파일:쿄진로고 1993.svg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 파일:쿄진로고 1993.svg 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2000년 일본시리즈 2001년 일본시리즈 2002년 일본시리즈 2003년 일본시리즈 2004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 파일:드래곤즈 블루 심볼.svg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쿄진로고 1993.svg
2005년 일본시리즈 2006년 일본시리즈 2007년 일본시리즈 2008년 일본시리즈 2009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파일:쿄진로고 1993.svg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0년 일본시리즈 2011년 일본시리즈 2012년 일본시리즈 2013년 일본시리즈 2014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5년 일본시리즈 2016년 일본시리즈 2017년 일본시리즈 2018년 일본시리즈 2019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심볼.svg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심볼.svg
2020년 일본시리즈 2021년 일본시리즈 2022년 일본시리즈 2023년 일본시리즈 2024년 일본시리즈
}}}}}}}}} ||

파일:NPB 로고.svg
역대 일본시리즈 우승팀
2003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4년
세이부 라이온즈
2005년
치바 롯데 마린즈

파일:2004g7_02.jpg
파일:2004_seibu.png
2004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세이부 라이온즈
MVP 이시이 타카시
2004년 일본시리즈 엠블럼
파일:2sh0hdsh04.png

1. 개요2. 양 팀간의 리그 진행 3. 일정 및 결과
3.1. 1차전3.2. 2차전3.3. 3차전3.4. 4차전3.5. 5차전3.6. 6차전3.7. 7차전
4. 수상5. 둘러보기 틀6. 여담

[clearfix]

1. 개요

NPB NIPPON SERIES 2004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화이트 심볼.svg
세이부 라이온즈 주니치 드래곤즈

2004년 10월 16일부터 10월 25일까지 센트럴리그 우승팀 주니치 드래곤즈와 퍼시픽 리그 우승팀 세이부 라이온즈가 맞붙은 일본프로야구 제55회 일본시리즈.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세이부 라이온즈가 시리즈 4승 3패의 성적을 기록하면서 12년만에 12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 양 팀간의 리그 진행

세이부 라이온즈는 2003년 시즌을 다이에의 이은 2위로 마감하자 플레잉코치에서 은퇴한 이토 츠토무가 감독이 되어 2004년 시즌 팀을 이끈다. 마쓰이 가즈오의 메이저리그 진출 공백과 투타 중심 선수들의 부상으로 힘겨운 시즌을 보냈지만 나카지마 히로유키가 성장하고 치바 롯데에서 이적해온 호세 페르난데스(1974)알렉스 카브레라의 부상 공백을 메꾸며 정규리그를 작년과 같은 2위로 마무리한다. 그러나 플레이오프 제1스테이지에서 정규리그 3위 닛폰햄을 2승 1패로 격파하고, 제2스테이지에서도 정규리그 1위 다이에를 5차전 10회 연장 끝에 3승 2패로 꺾으면서[1] 2년만이자 통산 20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 일본시리즈 진출을 결정했다.

센트럴리그의 주니치 역시 2003년 2위를 기록하고[2], 시즌 후 1988년 리그 우승의 주역이었던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감독으로 부임한다. 오치아이는 1987년 이후의 ‘호시노 컬러’를 일신하며 이와세 히토키를 마무리로 임명하고 센트럴리그 역대 최저인 45실책과 역대 최다인 골드글러브 6명을 기록하는 엄청난 수비력으로 지키는 야구를 펼치며 취임 첫 해에 센트럴리그 우승에 성공하며 일본시리즈 진출을 결정했다.[3]

이 해 일본시리즈는 예년과 다르게 조금 일찍 열렸는데, 2004 아테네 올림픽 일정이 있어 좀 더 리그 진행이 빨라진 것도 있고, 올림픽 이후 일본프로야구에서는 사상 초유의 파업(공백의 2일) 소동이 일어났기 때문이었다.[4]

어쨌든, 그렇게 세이부와 주니치의 일본시리즈가 성사되었다. 무려 16년만의 격돌.[5] 두 팀의 대결은 오치아이 감독의 오레류(オレ流)와 이토 감독의 레오류(レオ流)의 대결로도 관심을 모았다.

3. 일정 및 결과

경기 날짜 경기장 원정팀 점수 홈팀 중계
1차전 10월 16일(토) 나고야 돔 세이부 라이온즈 2 0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TBS 테레비 로고(1994~2020).svg
2차전 10월 17일(일) 세이부 라이온즈 6 11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3차전 10월 19일(화) 세이부 돔 주니치 드래곤즈 8 10 세이부 라이온즈 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
4차전 10월 21일(목) 주니치 드래곤즈 8 2 세이부 라이온즈
5차전 10월 22일(금) 주니치 드래곤즈 6 1 세이부 라이온즈 파일:TBS 테레비 로고(1994~2020).svg
6차전 10월 24일(일) 나고야 돔 세이부 라이온즈 4 2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7차전 10월 25일(월) 세이부 라이온즈 7 2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TBS 테레비 로고(1994~2020).svg
우승: 세이부 라이온즈(12년 만, 통산 12회)

3.1. 1차전

10월 16일 나고야 돔
팀명 선발투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세이부 이시이 다카시 0 0 0 1 1 0 0 0 0 2 7 1
주니치 카와카미 겐신 0 0 0 0 0 0 0 0 0 0 2 2

▲ 승리투수: 이시이 다카시 (1승)
▲ 패전투수: 카와카미 겐신 (1패)
▲ 세이브투수: 도요다 기요시 (1S)
▲ 홈런: 와다 가즈히로 (4회 1점)1호 이상 세이부

1차전 양팀 선발투수는 이시이 다카시와 카와카미 겐신, 시즌 1승 투수[6]사와무라상까지 수상한 17승 투수의 대결이었다. 누가 봐도 주니치의 우세가 점쳐진 대결이었지만, 이시이는 주니치의 타선을 7이닝 무실점으로 막는 대이변을 일으킨다. 그러는 사이 세이부는 와다 가즈히로의 솔로 홈런과 5회에 나온 주니치의 실책[7]을 더해 2점을 내며 1차전 승리를 가져가게 되었다.

3.2. 2차전

10월 17일 나고야 돔
팀명 선발투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세이부 마쓰자카 다이스케 2 0 0 0 3 0 1 0 0 6 11 1
주니치 야마모토 마사 0 0 3 0 0 0 5 3 X 11 14 0

▲ 승리투수: 마크 발데스 (1승)
▲ 패전투수: 마쓰자카 다이스케 (1패)
▲ 홈런: 호세 페르난데스(1974) (1회 2점)1호, 와다 가즈히로 (7회 1점)2호 이상 세이부. 타츠나미 카즈요시(7회 3점)1호 이상 주니치

타격전의 양상으로 갔다. 선취 득점은 세이부가 뽑아냈는데 나카지마 히로유키의 출루와 호세 페르난데스(1974)의 2점 홈런으로 뽑아 냈으나 3회 마쓰자카의 볼질로 역전을 허용하더니 다시 5회초 세이부가 사토 토모아키와 아카다 쇼고, 와다 가즈히로의 적시타로 재역전에 성공한다.

이어 7회 와다의 쐐기포로 그렇게 끝나나 싶더니 7회말까지 잘 던지던 마쓰자카가 타츠나미에게 동점 3점포를 맞고 무너지며 강판당한 뒤, 세이부는 계투진들을 출격시켰으나 이미 흐름이 주니치 방향으로 넘어간 뒤였다. 이후 주니치는 다니시게 모토노부후쿠도메 고스케의 적시타로 재역전하였고 8회에 3점의 추가점을 내며 2차전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3.3. 3차전

10월 19일 세이부 돔
팀명 선발투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주니치 도밍고 구스만 0 0 0 0 0 5 1 2 0 8 11 0
세이부 호아시 카즈유키 0 0 3 1 0 0 6 0 X 10 9 2

▲ 승리투수: 오누마 고지 (1승)
▲ 패전투수: 오카모토 신야[8](1패)
▲ 세이브투수: 도요다 기요시 (2S)
▲ 홈런: 다니시게 모토노부 (6회 4점) 1호 오마르 리나레스 (8회 1점) 1호 이상 주니치 알렉스 카브레라 (4회 2점, 7회 4점), 나카지마 히로유키 (5회 1점) 1호 이상 세이부

영화 콜래트럴의 광고차 일본을 방문한 톰 크루즈의 시구로 시작된[9] 3차전 역시 타격전의 양상이었다. 4회 페르난데스의 적시타와 카브레라의 2점 홈런, 5회 나카지마의 솔로 홈런으로 세이부가 4점을 선취하자 주니치는 6회초 1대4 3점차 상황에서 다니시게의 역전 만루홈런으로 5대4로 역전에 성공했다.

그러나 7회말 주니치의 불펜 에이스 오카모토 신야가 흔들리며 2사 만루를 만들었고 여기서 사토 도모아키의 2루타가 터지며 6대6 동점이 되었다. 그러나 오치아이 감독은 오카모토를 믿고 계속 마운드에 두었고 결과는 카브레라의 재역전 만루홈런으로 순식간에 6대10이 되었다.

이후 주니치가 2점을 따라갔으나 결국 그것을 끝으로 경기 종료, 세이부가 2승 1패로 앞서게 된다.

3.4. 4차전

10월 21일[10] 세이부 돔
팀명 선발투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주니치 야마이 다이스케 0 1 0 4 2 1 0 0 0 8 11 0
세이부 쟝즈지아 0 0 0 0 0 0 1 1 0 2 11 0

▲ 승리투수: 야마이 다이스케 (1승)
▲ 패전투수: 쟝즈지아[11] (1패)
▲ 홈런: 오마르 리나레스 (2회 1점) 2호, 알렉스 오초아 (4회 1점) 1호, 이노우에 가즈키 (4회 3점) 이상 주니치 나카지마 히로유키 (8회 1점) 2호 이상 세이부

이 날은 일방적인 주니치의 흐름이었다. 이 경기는 1차전의 반대로 시즌 9승 투수 쟝즈지아와 2승 투수 야마이 다이스케의 대결이었지만 결과는 야마이의 완승으로 끝났다.

주니치는 2회 리나레스의 선제 솔로 홈런을 시작으로 4회 알렉스의 솔로 홈런, 이노우에의 3점 홈런, 5회 다니시게의 적시타로 8대 0까지 달아난다. 6회까지 야마이에게 눌려있던 세이부는 7회 페르난데스의 적시타와 8회 나카지마의 솔로 홈런으로 2점을 추격하지만 더 이상의 추격 없이 8대 2로 경기가 종료되며 2승 2패의 동률을 맞추게 된다.

3.5. 5차전

10월 22일 세이부 돔
팀명 선발투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주니치 카와카미 켄신 0 0 1 2 0 0 0 0 3 6 6 0
세이부 니시구치 후미야 0 0 1 0 0 0 0 0 0 1 6 1

▲ 승리투수: 카와카미 겐신 (1승 1패)
▲ 패전투수: 니시구치 후미야[12] (1패)
▲ 홈런: 타츠나미 카즈요시(9회 2점) 2호 알렉스 오초아(9회 1점) 2호 이상 주니치

이 날 경기는 부상에서 돌아온 니시구치 후미야와 카와카미 겐신의 대결로 결국 주니치의 완승으로 끝났다. 주니치는 3회 이바타 히로카즈의 적시타, 4회 이노우에의 적시타로 3대 0으로 앞서갔으며 카와카미는 8회까지 1실점으로 막는 호투를 보여주었다.

결국 9회 타츠나미와 알렉스의 백투백 홈런으로 6대 1로 달아난 주니치는 이와세가 9회를 정리하며 6대 1로 승리, 3승 2패로 50년만의 일본시리즈 우승까지 1승만을 남기게 된다.

3.6. 6차전

10월 24일 나고야 돔
팀명 선발투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세이부 마쓰자카 다이스케 1 0 0 0 0 2 0 1 0 4 11 0
주니치 야마모토 마사 0 1 0 1 0 0 0 0 0 2 7 0

▲ 승리투수: 마쓰자카 다이스케 (1승 1패)
▲ 패전투수: 야마모토 마사 (1패)
▲ 세이브 투수: 도요다 기요시 (3S)
▲ 홈런: 와다 가즈히로(6회 2점, 8회 1점) 3호, 4호 이상 세이부

선발투수는 야마모토와 마쓰자카, 2차전의 재대결이었지만 이날은 2차전과 달리 투수전으로 전개되었다. 세이부가 1회 카브레라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올리자, 주니치는 2회 이노우에의 내야안타로 1점을 따라간 뒤 4회 다시 이노우에가 적시타를 치며 2대 1로 역전한다.

이대로만 가면 주니치의 일본시리즈 우승이었겠지만 6회 야마모토 마사알렉스 카브레라에게 2루타, 와다 가즈히로에게 10구 승부 끝 좌측으로 넘어가는 2점 홈런을 맞으며 3대 2로 역전, 강판당하고 만다. 8회에는 오치아이 에이지가 와다에게 다시 솔로 홈런을 맞으며 4대 2가 되었고 마츠자카가 8회까지 마운드를 지켜 개인 통산 첫 일본시리즈 승리투수가 되며 이대로 경기가 종료된다.

시리즈는 3승 3패로 다시 동률이 되며 최후의 7차전을 향하게 되었다.

3.7. 7차전

10월 25일 나고야 돔
팀명 선발투수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세이부 이시이 다카시 0 0 5 0 0 1 1 0 0 7 6 0
주니치 도밍고 구스만 0 0 0 0 0 0 0 0 2 2 7 2

▲ 승리투수: 이시이 다카시 (2승)
▲ 패전투수: 도밍고 구스만 (1패)
▲ 홈런: 알렉스 카브레라(3회 2점), 히라오 히로시(7회 1점) 이상 세이부

결국 시리즈가 7차전까지 가게 되자 세이부는 1차전에서 호투한 이시이를 다시 선발로 내세웠고, 주니치는 10승 투수이자, 3차전서 5이닝 4실점을 한 구스만을 선발로 내세웠다.

이시이는 1차전의 기세를 이어 또다시 6이닝 3피안타 무실점의 호투를 펼쳤으나, 도밍고는 3회 2아웃 이후 집중타를 맞으며[13] 강판당하게 된다. 뒤이어 올라온 야마이 다이스케가 알렉스 카브레라에게 2점 홈런을 맞으며 5대 0, 게임의 추가 세이부로 기울게 된다. 이후 세이부가 2점을 추가하여 7대0이 되었다.

8회에는 전날 선발로 나와 8이닝을 던진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올라와(!!) 1이닝을 던졌고 9회에는 지금까지 팀의 모든 승리를 지킨 마무리 도요다가 2실점을 했지만 와타나베 히로유키를 1루수 플라이 처리하며 세이부는 12년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달성하였다.

4. 수상

대회 MVP: 이시이 다카시 (세이부 라이온즈)(2승, 13이닝 무실점)[14]
감투선수상: 이노우에 카즈키 (주니치 드래곤즈)
우수선수상: 알렉스 카브레라, 와다 가즈히로 (이상 세이부 라이온즈), 모토시게 시게노부 (주니치 드래곤즈)

5.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43d69><tablebgcolor=#143d69>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colbgcolor=#143d69><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세이부철도 로고.svg 세이부 철도
과거 모기업 파일:서일본 철도 로고.svg 서일본 철도
일본시리즈 우승
★★★★★★★★★★★★★
1956 · 1957 · 1958 · 1982 · 1983 · 1986 · 1987 · 1988 · 1990 · 1991 · 1992 · 2004 · 2008
리그 우승
(23회)
1954 · 1956 · 1957 · 1958 · 1963 · 1982 · 1983 · 1985 · 1986 · 1987 · 1988 · 1990 · 1991 · 1992 · 1993
1994 · 1997 · 1998 · 2002 · 2004 · 2008 · 2018 · 2019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1회)
1982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8 · 2010 · 2011 · 2012 · 2013 · 2017 · 2018 · 2019 · 2022
시즌 문서 2013-2021 · 2022 · 2023 · 2024월별문서 · 2025월별문서
현역 선수 경력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 · 겐다 소스케/선수 경력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 · 나카무라 다케야/선수 경력
타이라 카이마/선수 경력
경기장 1군 베루나 돔 · 2군 CAR3219 필드 · 지방 홈구장 사이타마현영 오미야공원 야구장 · 조모 신문 시키시마 구장 · 오키나와 셀룰러 스타디움 나하
과거 헤이와다이 야구장
홈 중계 채널 파일:후지테레비2 로고.jpg 후지 테레비 2
주요 인물 구단주 고토 타카시 · 단장 공석 · 감독 니시구치 후미야 · 선수회장 토노사키 슈타 · 주장 겐다 소스케
구단 상세 정보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10.19(야구) · 미스터 레오
틀 문서
세이부 그룹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미스터 레오
}}}}}}}}}}}}}}} ||

6. 여담

  •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2년 전 일본시리즈에서 팔꿈치 부상의 여파로 이렇다 할 활약을 하지 못한 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무기력하게 시리즈 스윕을 당한 아쉬움을 달랜 시리즈가 되었다.
  • 일본은 같은 해 아테네 올림픽에서 준결승전 호주[15]와의 경기서 패배를 하여 동메달을 받는다. 4년 전 시드니 올림픽에서 구대성마쓰자카 다이스케의 투수전 끝에 한국에게 패퇴하여 목메달을 들고 귀국을 했으나, 이번 대회에 선전을 하며 팬들과의 이벤트를 많은 진행을 했었지만. 암흑기라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가 초대 야구 월드컵에서 초대 우승컵을 들며 드디어 2차 전성기를 맞나 싶더니, 다음 하계 하계 올림픽크나 큰 삽질을 하며 엄청난 비난을 받는다. 자국 국민들 및 옆 나라 국민들에게 개까이다가 두 번째 WBC에서 한국과의 결승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그동안의 만회와 부진을 씻어내며 자국민들의 호평을 얻게 된다.
  • 세이부 라이온즈라는 이름으로 맞이한 마지막 일본시리즈이자 우승한 일본시리즈이다. 다음 일본시리즈는 이름을 바꾸고 진출하였다.


[1] 다이에의 탈락에는 이 해 헤이세이 유일의 3관왕을 차지한 마쓰나카 노부히코의 19타수 2안타 부진이 결정적이었다. 다만 다이에는 플레이오프를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밑의 파업 이야기 참조.[2] 초반에 최하위로 떡락하다가 간신히 2위를 했다. 야마다 히사시 감독이 시즌 중반 경질이 되고 사사키 쿄스케 수석코치가 감독 대행을 도맡아 2위까지 갔으나 14.5 경기차의 열세를 뒤집진 못했다.[3] 센트럴리그가 플레이오프를 도입한 것은 퍼시픽리그보다 3년 늦은 2007년이었다.[4] 이 파업은 일본야구계의 한 획을 긋는 파업이었다. 2004년을 끝으로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오릭스 블루웨이브에 흡수합병되는 것이 확정되었고, 다이에 호크스도 모기업 다이에가 오늘내일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신규 구단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두 구단이 없어지고 10개 구단 체제가 되어 자칫 잘못하면 양대리그 체제가 없어질 수도 있던 상황에서 선수들이 파업을 해 이를 막은 것. 리그-선수협간의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고, 다이에 호크스를 소프트뱅크가 인수 + 신생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리그에 참가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파업은 막을 내린다.[5] 두 팀간의 첫 일본시리즈는 1954년 니시테츠 vs 주니치. 주니치가 우승한다. 이 후 28년 뒤인 1982년과 6년뒤 1988년 다시 일본시리즈에서 만났으나 모두 세이부가 승리.[6] 세이부의 에이스는 당연히 마쓰자카였지만, 마쓰자카는 5일 전 플레이오프 5차전 선발로 나온 상태였고 이시이도 1승 5패 ERA 4.65로 시즌을 망치기는 했지만 10승 투수였던 니시구치 후미야의 부상으로 선발 한자리가 비게 되어 투수진의 정신적 리더였던 그는 다이에와의 플레이오프 제2스테이지 1차전 선발과 5차전 헹가래 투수를 맡으며 이토 감독에게 신뢰를 쌓았다.[7] 호세 페르난데스(1974)가 친 우익수 방면의 아주 평범한 뜬공을 놓치는 실책으로 주니치의 견고한 수비가 무너지는 순간이었다.[8]LG에서 뛰던 외국인 선수가 맞다.[9] 일본시리즈에서 외국인이 시구를 맡은 것은 1989년 일본시리즈 3차전에서 로널드 레이건 당시 미국 대통령이 시구한 이후 처음이었다.[10] 원래 경기는 10월 20일 이었으나 태풍 23호 북상으로 인한 취소[11] 2001년 대만 야구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을 상대로 1실점 완투승, 일본을 상대로 완봉승을 거둔 적도 있으며, 삿포로 참사(야구)대한민국을 상대로 1이닝 무실점으로 던진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2002년부터 3년간 연간 130이닝 정도를 소화하며 2002년 11승 기록, 2004년에는 올스타전에 출전하는 등 나름대로 활약하였다. 이 후 부상으로 망하자 구단은 그를 웨이버 공시한다. 그렇게 대만으로 컴백을 했으나... 집 돌아가서 얌전히 있던 놈이 결국 대만 프로야구 리그에서 승부조작을 적발 당하며 구속 된 적이 있었다. 2024년 1월 심근경색으로 사망.[12] 1997년 사와무라상과 퍼시픽리그 MVP를 수상하기도 했고 7년 연속 두자릿수 승수를 거두는 등 2015년까지 세이부 한팀에서만 뛰며 헤이세이 시대 대졸 최다인 182승을 거둔 프랜차이즈 스타다. 그러나 일본시리즈에서만큼은 이 패배를 포함해 7경기 0승 5패(...)로 매우 좋지 않았다.[13] 중간에 호세 페르난데스가 런다운에 걸려 아웃될뻔했지만 최고의 수비를 자랑하던 유격수 이바타 히로카즈의 송구가 페르난데스의 머리에 맞으며 아웃을 잡는데 실패하는 해프닝이 있었다.[14] 이시이는 사상 최초로 시즌 승수보다 일본시리즈 승수가 많은 선수가 되었다.[15] 당시 호주는 크리스 옥스프링. 애드리안 번사이드 등의 마이너리거, 메이저리거 선수들도 포진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