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자카 다이스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04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2007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 반지}}} | |
2006 | 2009 |
2006,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MVP | ||||
대회 창설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일본) | → | 로빈슨 카노 (도미니카 공화국)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신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투수 | 카케야마 카즈오 난카이 / 내야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투수 | |
<rowcolor=#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내야수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 키무라 타모츠 난카이 / 투수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 장훈 토에이 / 외야수 | |
<rowcolor=#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수상자 없음 | 토쿠히사 토시아키 킨테츠 / 투수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투수 | 수상자 없음 | 수상자 없음 | |
<rowcolor=#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이케나카 마사아키 니시테츠 / 투수 | 수상자 없음 | 타카하시 요시마사 토에이 / 투수 | 수상자 없음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외야수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투수 | 미나가와 야스오 토에이 / 투수 | 카토 하지메 니시테츠 / 투수 | 니이미 사토시 닛타쿠홈 / 투수 | 미츠이 마사하루 롯데 / 투수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 후지타 마나부 난카이 / 투수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투수 | 무라카미 유키히로 난카이 / 투수 | 마츠누마 히로히사 세이부 / 투수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내야수 | 후타무라 타다미 닛폰햄 / 외야수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포수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 외야수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투수 | 모리야마 료지 세이부 / 투수 | 사카이 츠토무 오릭스 / 투수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 하세가와 시게토시 오릭스 / 투수 | 타카무라 히로시 킨테츠 / 투수 | 스기야마 켄토 세이부 / 투수 | 와타나베 히데카즈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투수 |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내야수 | 코사카 마코토 롯데 / 투수 |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 외야수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투수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수상자 없음 | 오쿠보 마사노부 오릭스 / 투수 | 쇼다 이츠키 닛폰햄 / 투수 | 와다 츠요시 다이에 / 투수 | 미세 코지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쿠보 야스토모 롯데 / 투수 | 야기 토모야 닛폰햄 /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 코마츠 사토시 오릭스 / 투수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투수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사카키바라 료 닛폰햄 / 투수 | 마키타 카즈히사 세이부 / 투수 | 마스다 나오야 롯데 / 투수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투수 |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투수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 타카나시 히로토시 닛폰햄 / 투수 | 겐다 소스케 세이부 / 내야수 | 타나카 카즈키 라쿠텐 / 외야수 | 타카하시 레이 소프트뱅크 / 투수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타이라 카이마 세이부 / 투수 |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 야마시타 슌페이타 오릭스 / 투수 | 타케우치 나츠키 세이부 / 투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승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3승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24승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5승 노구치 아키라 도쿄세네터즈 / 15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9승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42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38승 | 모리 코타로 한큐군 / 30승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40승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34승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22승 | 시라키 기이치로 세네터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30승 | 카와사키 토쿠지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27승 | 빅토르 스타루힌 다이에이 / 27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사나다 쥬조 쇼치쿠 / 39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28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33승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27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32승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30승 하세가와 료헤이 히로시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27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승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27승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29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5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0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0승 | 진 바키 한신 / 29승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5승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4승 |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 29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5승 |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2승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5승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17승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26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4승 |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20승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승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20승 |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승 | 타카하시 사토시 히로시마 / 20승 | 노무라 오사무 타이요 / 17승 |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 22승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6승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0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0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7승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18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8승 이토 아키미츠 야쿠르트 / 18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20승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17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7승 | 이마나카 신지 야마모토 마사 이상 주니치 / 17승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 17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9승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승 | 사이토 마사키 발비노 갈베스 요미우리 / 16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8승 |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17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승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멜빈 번치 주니치 / 14승 |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 14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승 케빈 호지스 야쿠르트 / 17승 | 이가와 케이 한신 / 20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5승 시모야나기 츠요시 한신 / 15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세스 그레이싱어 야쿠르트 / 16승 |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 17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승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16승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승 |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5승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16승 | 랜디 메신저 한신 / 13승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13승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7승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15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5승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4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쿠리 아렌 히로시마 / 13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 아즈마 카츠키 DeNA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6승 |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 24승 | 노구치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24승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6승 타나카 후미오 킨테츠 / 26승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4승 | 미우라 마사요시 다이에이 / 29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승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8승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33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42승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8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8승 | 코야마 마사아키 도쿄오리온즈 / 30승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7승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5승 | 이케나가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31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승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5승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21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0승 카네다 토메히로 토에이 / 20승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1승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16승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23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6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5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1승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19승 무라타 쵸지 롯데 / 19승 | 쿠도 미키오 닛폰햄 / 20승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8승 야마우치 카즈히로 난카이 / 18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1승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1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6승 |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9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5승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츠우라 히로아키 닛폰햄 / 15승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9승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다 코지 오릭스 / 17승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15승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킵 그로스 닛폰햄 / 16승 | 킵 그로스 닛폰햄 / 17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5승 코이케 히데오 킨테츠 / 15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3승 타케다 카즈히로 다이에 / 13승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13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6승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5승 |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7승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0승 |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15승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18승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8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7승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21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6승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7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7승 | D.J. 홀튼 소프트뱅크 / 19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9승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17승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24승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6승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15승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15승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5승 |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16승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6승 |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16승 |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15승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11승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11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8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5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승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5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 진 바키 한신 / 1.89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 천웨이인 주니치 / 1.54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 |
(1) 당해 수치상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 155이닝 2.03)였으나, 당해 한정으로 최우수방어율 타이틀 대상을 소속 구단의 시합수+60이닝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규정하여 규정상 소화 이닝에 미달한 탓에(164이닝, 당해 난카이의 시합 수인 104시합에 60이닝 추가) 198.1이닝을 던진 유키가 대신 타이틀을 수상했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탈삼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나이토 코조 나고야킨코군 / 139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96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29 | 카메다 타다시 이글스 / 137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6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282 | 카메다 타다시 쿠로와시군 / 297 | 나카오 히로시 도쿄쿄진군 / 179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264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53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113 | 사나다 쥬조 퍼시픽 / 200 |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191 |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7 | 타케스에 요시마사 난카이 / 18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233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33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69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29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273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50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6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312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1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3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4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10 | 코야마 마사아키 한신 / 270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7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31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05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07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25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401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62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340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67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33 |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38 |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7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3 |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7 |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176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62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23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19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1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96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6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208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2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5 | 카와구치 카즈히사 히로시마 / 184 |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187 | 카와구치 카즈히사 히로시마 / 19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키다 마사오 요미우리 / 182 | 카와구치 카즈히사 히로시마 / 230 | 나카다 코지 한신 / 194 |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 247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18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7 | 사이토 타카시 요코하마 / 206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59 |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41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10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187 | 이가와 케이 한신 / 206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94 | 이가와 케이 한신 / 228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카도쿠라 켄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177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94 이가와 케이 한신 / 194 |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0 | 콜비 루이스 히로시마 / 183 | 콜비 루이스 히로시마 / 186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74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92 | 스기우치 토시야 요미우리 / 172 노미 아츠시 한신 / 172 | 랜디 메신저 한신 / 183 | 랜디 메신저 한신 / 226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후지나미 신타로 한신 / 221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89 | 마일스 마이콜라스 요미우리 / 187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0 |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88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48 | 야나기 유야 주니치 / 168 | 토고 쇼세이 요미우리 / 154 | 이마나가 쇼타 DeNA / 174 | 토고 쇼세이 요미우리 / 156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요네카와 야스오 토큐 / 207 | 아베 하치로 한큐 / 150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04 | 요네카와 야스오 토큐 / 180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75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무라 히데후미 니시테츠 / 225 | 카지모토 타카오 한큐 / 327 | 카지모토 타카오 한큐 / 301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4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36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1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3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31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26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197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59 | 타나카 츠토무 니시테츠 / 217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22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305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86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7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69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180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178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141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154 | 무라타 쵸지 롯데 / 202 | 무라타 쵸지 롯데 / 180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178 | 무라타 쵸지 롯데 / 230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5 | 무라타 쵸지 롯데 / 154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52 |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43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136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188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78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201 | 오가와 히로시 롯데 / 204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83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87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87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28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76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39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39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178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92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48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196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4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14 |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82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15 | 아라카키 나기사 다이에 / 177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26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205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210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3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04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222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276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69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200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204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215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216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222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187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27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149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49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206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205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9 | 이마이 타츠야 세이부 / 187 |
최다탈삼진은 퍼시픽 리그에서 1989년부터, 센트럴 리그에서 1991년부터 타이틀 시상 대상에 들어갔다. |
1999~2001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라이온즈)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즈) | → | 제레미 파웰 (오사카 긴테츠 버팔로즈) |
2003~2006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골든 글러브 |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라이온즈)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라이온즈) | → | 다르빗슈 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8번 | ||||
곽태원 (1987~1997)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1999~2006) | → | 와쿠이 히데아키 (2009~2013)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18번 | ||||
제이슨 존슨 (2006)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7~2012) | → | 셰인 빅토리노 (2013~2015) |
뉴욕 메츠 등번호 16번 | ||||
릭 앤키엘 (2013)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2013~2014) | → | 다니엘 뮤노 (2015)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18번 | ||||
아라카키 나기사 (2003~2014)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2015~2017) | → | 다케다 쇼타 (2018~)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99번}}} | ||||
조던 노베르토 (2016~2017)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2018) | → | 스즈키 쇼타 (2019~2020)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18번}}} | ||||
스즈키 쇼타 (2014~2018)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2019) | → | 우메츠 코다이 (2021~)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6번 | ||||
키쿠치 유세이 (2014~2018)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2020~2021) | → | 스미다 치히로 (2022~)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8번 | ||||
타와타 신사부로 (2016~2020)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2021.10.19)[1] | → |
}}} ||
마쓰자카 다이스케 松坂大輔 / Daisuke Matsuzaka | |
출생 | 1980년 9월 13일 ([age(1980-09-13)]세) |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 |
출신 | 도쿄도 고토구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요코하마고등학교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1998년 드래프트 1순위 (세이부) |
소속팀 | 세이부 라이온즈 (1999~2006) 보스턴 레드삭스 (2007~2012) 뉴욕 메츠 (2013~201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5~2017) 주니치 드래곤즈 (2018~2019)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20~2021) |
링크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야구 선수.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선발 투수.일본 전국민에게 가장 사랑받는 스포츠인 야구에서 국민적 대축제라 할 수 있는 고시엔에서의 압도적인 활약을 바탕으로 '헤이세이의 괴물' 이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프로 데뷔 이전부터 엄청난 관심을 받은 초특급 투수 유망주였다.[2] 고시엔에서의 퍼포먼스로 인해 마쓰자카와 같은 동년배인 1980년 4월 2일부터 1981년 4월 1일[3]사이에 태어난 야구선수라면 '마쓰자카 세대' 라고 표현할 정도였다.[4]
직후 지명 1위로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데뷔해 8시즌 동안 204시합(190선발) 108승 60패 평균자책점 2.95, WHIP 1.14를 기록했으며. 특히 72완투(18완봉 포함) 완투율 38%라는 대단한 수치를 찍은 완투형 선발투수였다. 이를 바탕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해 보스턴 레드삭스에서는 첫 2년을 에이스급으로 활약한 후 4년을 부상과 부진으로 겪었고, 이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마이너리그를 거쳐 뉴욕 메츠에 몸담았다. 뉴욕 메츠에서 1년을 더 보낸 뒤 메이저리거 생활을 마무리하고 2015년 일본프로야구로 복귀하여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총액 12억엔을 받고 계약했으나 그동안 누적된 혹사로 인해 사이버 투수가 되며 3시즌 동안 불과 1경기만 등판했다. 이후 주니치 드래곤스로 이적해 간신히 재기에 성공했지만 다시 부상에 발목이 잡혔고, 결국 종착지가 된 친정팀 세이부 라이온즈에선 두 시즌 내내 등판하지 못하다가 2021 시즌 마지막에 간신히 은퇴 경기를 치르고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별명은 마쓰퐁(マツポン), 마쓰(マツ), 다이스케(ダイスケ)이며 메이저리그 진출 후에는 미국 미디어에서 'Dice-K', 'D-Mat'라고 자주 축약해서 표기하기도 한다.[5] 한국에선 한자표기를 그대로 읽은 '송판'이나 '마작가' 혹은 '마쓰작가' 등의 별명이 있다. 메이저리그 진출 후에는 일본 시절과 달리 구위로 압도하기 힘들어지자 바깥쪽 피하는 승부를 주로 했고 이로 인해 투구수가 늘어나면서 3회 정도만 되면 땀을 뻘뻘 흘리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는 이유로 '육수자카'라는 비칭도 붙었다.
2. 선수 경력
자세한 내용은 마쓰자카 다이스케/선수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155km/h 패스트볼 |
131km/h 커브 |
전성기 시절 포심의 구속이 평균 147.8km/h, 최고 156km/h[6]에 달한 적이 있는 우완 강속구 투수다.[7] 포심 외에도 투심, 커터, 슬라이더, 커브[8], 체인지업, 포크볼, 자이로성 슬라이더[9]등 다양한 구질을 구사하는 타입이기도 하다.
하지만, 저런 빠른 구속에 비해 제구력에 대해선 평가가 좋지 않은 편이다. 2001년에는 아예 117개로 리그 사사구 1등을 기록하기도 했을 정도고 노무라 카츠야 감독은 NPB의 스타 플레이어를 평가한 자신의 책인 プロ野球怪物伝에서 마쓰자카의 부족한 패스트볼 제구와 뛰어난 변화구를 이야기하면서 정통파보다는 기교파 느낌에 가까운 투수[10]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물론 그의 최전성기라 불리는 2003년부터 2006년 사이에는 제구력이 향상된 모습을 보여줬지만 이러한 부족한 패스트볼 제구력은 결국 MLB 진출 이후 그의 발목을 잡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정확히는 2002년에 투구폼을 간결하게 바꾸고 팔스윙을 바꾸면서 패스트볼의 구속과 제구는 향상되고 구위는 떨어졌는데, 이게 NPB 수준에서는 아주 잘 먹혔지만 MLB에서는 약간 좋은 구속과 구위에 좋지 않은 제구력이 되어 버리면서 자신있게 꽂아넣다가 얻어맞는 상황이 벌어졌다.
2007년 당시 마쓰자카의 포심은 높은 코스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당시는 현재처럼 어퍼 스윙의 시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높은 패스트볼이 쉽게 공략당했다. 그래서 다음 해인 2008년에는 바깥쪽 보더라인을 최대한 공략하며 도망다니는 피칭을 선보였는데, 자책점은 낮아졌지만 사사구가 늘고 이닝 이팅과 탈삼진도 줄어들었다[11]. 보더라인을 공략하는 로케이션 능력이 있었다면 꾸준한 성적을 기록했겠지만은 그러지 못했고 부상까지 겹치는 등 실망스러운 MLB 성적을 보였다.
은퇴식 당시 118km/h 패스트볼 |
은퇴식 당시 투구 모습. 2020년에 목 내시경 수술을 받은 후 손저림이 생겼는데, 2021년까지 손저림이 낫지 않아 공을 던질 수 없는 몸상태가 되었고 그대로 은퇴하였다.
뛰어난 패스트볼 구위에 가려졌지만 일본에서는 마쓰자카의 수비력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하고 있다. npb 데뷔 첫해부터 mlb 진출 전까지 8년 동안 골든글러브를 7회 수상했다. 다만 메이저리그에 가서 보여준 수비력은 애매한데 MLB 통산 790이닝 동안 기록한 디펜시브 런 세이브(DRS)가 -9다.
타격 실력은 꽤 괜찮았던 편이다. 고교 시절 가나가와현 예선전에서 연타석 홈런을 날렸고, 프로에서는 지명타자제를 채택한 퍼시픽 리그나 아메리칸 리그에서 뛰어서 타석에 들어설 기회가 많지는 않았지만, 센트럴 리그(요미우리) 홈경기였던 2002년 일본시리즈 1차전에서는 무려 투수인데 7번 타자로 선발 출장하기도 했으며 한신 타이거스와의 교류전(고시엔 구장)에서는 홈런을 치기도 했다. 메이저 리그에서는 통산 45타석 7안타 .189 3타점을 기록했다.
4. 은퇴 후
은퇴 후 개인 유튜브 채널을 올리기 시작했다.TV 아사히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2023 WBC 해설 또한 맡을 예정이다. 그래서 SBS와 단독 인터뷰를 가지기도 했다.#
5. 여담
- 다이스케(大輔)라는 이름은 80년대 고교야구를 풍미했던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강속구 투수 아라키 다이스케(荒木大輔)에서 따왔다고 하는데, 마쓰자카의 어머니가 제일 좋아했던 투수라고 한다. 근데 아라키가 고시엔에서의 혹사로 프로에선 기대 이하의 성적만 찍고 은퇴한 걸 생각하면 마쓰자카 다이스케 쪽이 청출어람.
- 본인 스스로 타격을 좋아한다고 공언 할 정도로 타격을 좋아하고 또 잘친다. 타격기회가 거의 없는 퍼시픽리그, 아메리칸 리그에 오래 있었지만, 한신과의 교류전에서 홈런도 친 적 있고 적은 타격기회에도 안타를 쏠쏠하게 쳤다. 첫타석에서 투수인데도 대타로 나와서 2타점 안타를 쳤다. 메츠시절에도 안타를 쳤고 주니치 시절에는 3타수 2안타를 친 적도 있다. 야구명문 강호였던 요코하마고에서 4번을 친 적도 있고, 고교통산 14홈런을 쳤다. 스윙폼도 엉거주춤한 투수의 타격폼이 아니다.
- 국제대회에서 한국과의 첫 인연은, 마쓰자카가 고3이던 1998년 9월에 일본 고시엔 구장에서 펼쳐졌던 <아시아 청소년 야구선수권대회> 때이다. 당시 예선 한국전에 5회부터 구원등판해 9회까지 퍼펙트로 막고 승리투수가 되었다.[12][13]
- 프로 입단 첫해였던 1999년에 (시드니올림픽 예선을 겸한)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참가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14] 입국한 그날이 공교롭게도 마쓰자카 본인의 생일인 9월 13일이었다.19990913 KBS 스포츠뉴스. 그리고 이틀 후인 9월 15일, 잠실야구장에서 펼쳐진 대만전에 선발투수로 등판해 완투승[15]을 거두고 일본의 올림픽본선 진출에 공헌한다.[16] 대회 최우수투수 타이틀은 덤.
- 1999년 신인으로써 올스타전 1차전에 선발등판했다.링크.
- 스즈키 이치로의 NPB 통산 100호 홈런을 허용한 투수가 바로 마쓰자카 다이스케다.영상 10분 38초부터.[17]
- 2001년 9월 24일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열린 긴테쓰 버팔로즈전에서, 터피 로즈에게 당시 일본타이기록이던 55홈런[18]을 허용했던 투수가 바로 마쓰자카 다이스케이다.영상 3분 51초부터. 또한, 이 경기에서 나카무라 노리히로에게 역전 끝내기 홈런[19]까지 허용하면서 패전투수(완투패)가 되기도 한다.영상 5분 46초부터.[20] 여담으로, 당일 상대편 킨테츠의 선발투수는, 훗날 마쓰자카에 이어 MLB에 입성하게되는 이와쿠마 히사시였다. 이와쿠마는 3.2이닝 3실점으로 안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강력한 타선덕에 ND 기록.[21] 반대로 상술된 것처럼 마쓰자카는 6-5 스코어 상황 9회 아웃카운트 하나만을 남겨둔채 역전 투런 홈런을 헌납해 8.2이닝 7실점 완투패 기록. 하나 덧붙이자면, 이 경기의 이틀 뒤 2001년 9월 26일 킨테츠는 자력으로 퍼시픽리그 우승을 확정짓게 되는데, 이는 킨테츠의 마지막 우승이었다.
- 이승엽이 일본프로야구 데뷔전에서 처음으로 상대했던 투수가 바로 마쓰자카 다이스케다.[22] 첫타석에서 1타점 2루타를 기록했다.영상 7분 08초부터. 참고로 이승엽은 일본프로야구 시절 마쓰자카를 상대로 홈런을 기록한 적이 없다.[23] 즉, 시드니 올림픽 예선 일본전[24] 당시 홈런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 2004년 일본시리즈 2차전에서 주니치의 타츠나미 카즈요시에게 동점 3점 홈런을 허용한 적이 있다.영상 6분 22초부터. 이후 역전까지 허용하며 2차전 패전 투수 기록.경기 풀영상.
- 2004년 11월 11일 미일 올스타전 6차전에서 1실점 완투승을 거둔 적이 있다. 링크.
- 어린 시절부터 같은 세이부 소속 선배인 기요하라 가즈히로의 활약상을 지켜봤겠지만 정작 기요하라와 함께 팀에서 뛴 적은 한 차례도 없었다. 마쓰자카가 프로 무대에 데뷔할 당시에 기요하라는 이미 요미우리 소속이었다. 그러다가 2002년 일본시리즈 1차전에서 맞대결을 펼쳤고, 결과는...
- 예능에서는 은근히 똥손이다. TV 아사히의 <카에레먼데이>에서는 주사위를 던지는데 죄다 안 좋은 숫자만 나와서 King & Prince의 진구지 유타와 대조되는 운을 보여주었다.
- 게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를 플레이 중이라고 한다. 그래서 아카시야 산마가 진행하는 니혼 테레비의 춤추는 산마저택에서 나이스 네이처의 성우인 마에다 카오리와 함께 출연했을 당시 마에다가 출연한다는 사실을 알고 상당히 놀랐다고. 그리고 마쓰자카가 우마무스메를 플레이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마에다가 즉석 애드립으로 나이스 네이처 목소리를 연기하자 찐텐으로 좋아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이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애니메이션 내에서 마쓰자카를 코스프레했다. 펜웨이 파크에 보스턴(으로 추정되는) 유니폼에 등번호 18번이니 확실하다. 이 코스프레 비슷한 게 등장한 화가 2009년 4월 초. 그렇다. 2회 WBC가 끝난 직후였다.
- 2024년 3월 18일, 메이저리그 서울시리즈 해설을 위해 25년만에 방한하였다. 공교롭게도 199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당시 배터리를 이뤘던 후루타 아쓰야와 (공동해설을 위해) 함께 방한하였다.기사.중계부스1.중계부스2.[27] 그 외 이구치 다다히토, 우에하라 고지, 후지카와 큐지 등도 서울시리즈 관련 각 언론사 해설을 위해 방한하였다.이구치 중계부스.우에하라&마쓰자카 투샷.후지카와 인터뷰.
- 2024년 11월 3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즈가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1998년 마쓰자카 본인이 요코하마 고교 3학년 시절 고시엔대회 우승을 차지할 당시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동반 우승 이후 26년만에 일본시리즈 우승이다.
6. 둘러보기
[1] 은퇴경기때 단 하루만 전성기 시절 등번호로 바꿨다.[2] 괴물의 칭호는 에가와 스구루가 원조격이며 마쓰자카를 거쳐 사사키 로키가 등장하며 레이와의 괴물로 이어 받게 된다. 다만 사사키는 순수 기량은 그야말로 괴물이지만 감독의 보호로 인해 고시엔 진출도 못했다.[3] 일본은 3학기제로 인해 학기의 시작을 4월 1일에 한다.[4] 무라타 슈이치, 스기우치 토시야, 후지카와 큐지, 나가카와 카츠히로 등의 명선수들이 나온 세대로 이러한 표현에 대해 와다 츠요시처럼 좋아한 선수들도 있었지만 불만을 가진 선수들도 있었다. 대표적인 케이스로 아라카키 나기사와 JFK로 활약했던 쿠보타 토모유키. 그래도 저 둘도 말년의 마쓰자카를 보면서 그의 부활을 바랐다.[5] 본인은 사인할 때 D-Mat을 선호한다고 한다.[6]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예선 한국전, 2003년 정규 시즌 지바롯데전(마린 스타디움), 2004년 일본시리즈 주니치전(반테린 돔 나고야) 등등 몇차례 최고 156km를 찍었다.[7] 메이저리그 시절에도 초반 몇년은 95~96 마일 이상을 여러 번 기록했다.[8] 특히 일본시절 터피 로즈가 마쓰자카의 커브를 극찬한 적이 있다.[9] 사실 구종 자체는 140km/h를 상회하는 빠지는 고속 슬라이더이지만 회전축은 실제로 진행 방향과 평행한 자이로 볼 성 회전에 가깝다.[10] 정확한 뉘앙스는 노무라 감독이 생각하는 정통파 투수란 패스트볼의 제구 능력이 뛰어나 상대 타자가 패스트볼을 기다려도 과감하게 패스트볼을 던져 승부 할 수 있는 투수인데, 마쓰자카는 제구가 그렇게 되지 않고 반대로 다양하고 뛰어난 변화구를 이용해 타자를 요리하기에 기교파다라는 뜻으로 이야기했다. 실제로 은퇴 직전이던 2018년의 투구를 보면 예전의 구위를 완전히 잃어버렸고 제구도 별로였지만 다양한 변화구로 타자들을 잡아내는 모습을 보였다.[11] 이 때문에 2007년과 2008년에는 BWAR(4.1, 5.4)과 FWAR(2.9, 2.7) 격차가 컸고 FIP가 중시되었을 때 평가가 낮았지만 이후 FIP 위상이 낮아지면서 재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2010년~2012년에는 오히려 BWAR가 FWAR보다 훨씬 낮아지면서 메이저리그 통산은 BWAR 9.3, FWAR 8.4로 별 차이 나지 않는다[12] 이 경기에서 한국팀의 투수운용은 백차승-권오준-마일영-송승준 순으로 이루어졌다.[13] 2021년 스톡킹에 출연한 송승준이 당시 숙소에서 마쓰자카의 인기를 체감한 일화를 언급한 적도 있다.[14] 이후 2024년이 되어서야 다시 방한하게 된다. 하단 참조.[15] 3피안타 1실점.[16] 9월 16일 한국이 대만을 꺾음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동반 올림픽티켓이 확정된다.[17] 1999년 7월 6일 고베 그린스타디움.[18] 2013년 블라디미르 발렌틴이 60홈런을 치면서 갱신한다.[19] 2점홈런.[20] 9회 2사 1루 상황에서 홈런을 허용했다. 최종스코어는 7대6으로 긴테쓰 버팔로즈 승리.[21] 정확히는 이와쿠마는 3회에만 3실점하고, 3-0 스코어에서 이와쿠마가 내려가고 난 뒤, 팀 타자들이 마쓰자카를 공략하는데 성공해 4-4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6-4로 뒤지게 되나 극적인 끝내기 홈런으로 결국 6-7 스코어로 킨테츠의 승리.[22] 2004년 3월 27일 베루나 돔.[23] 포스트시즌, 올스타전 포함.[24] 1회 우중간 담장을 넘기는 투런 홈런.[25] 2005년 12월에 장녀, 2008년에 장남, 2010년 3월에 차녀를 얻었다.[26] 3번째 홈런은 끝내기 홈런이었다.[27] 후루타는 (야쿠르트 팀동료였던) 다카쓰 신고가 KBO팀 히어로즈에서 뛰던 2008년, 다카쓰의 응원을 위해 방한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