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09:19:1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ab3326> 파일:아시아 야구 연맹 심볼(화이트).svg아시아야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ab3326,#fff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네팔 국기.svg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라오스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라오스 국기.svg
]]
네팔 대만 대한민국 라오스
[[몽골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몽골 국기.svg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미얀마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미얀마 국기.svg
]]
[[방글라데시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1]
[[부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부탄 국기.svg
]]
[[북한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북한 국기.svg
]]
[[베트남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베트남 국기.svg
]]
[[브루나이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
부탄[1] 북한 베트남[1]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스리랑카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
[[싱가포르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아프가니스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
사우디아라비아[1]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이라크 국기.svg
]]
[[이란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이란 국기.svg
]]
[[인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이라크
이란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일본 국기.svg
]]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중국 국기.svg
]]
[[카자흐스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
중국 카자흐스탄 캄보디아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태국 국기.svg
]]
[[파키스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팔레스타인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필리핀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필리핀 국기.svg
]]
태국 파키스탄 팔레스타인[1] 필리핀
[[홍콩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
[1] WBSC에만 가입해 있는 상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00022e><tablebgcolor=#ffffff,#00022e>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역대 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주요 대표팀 | 역대 로스터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유니폼 | 세대별 대표팀 | 주요 경기
<rowcolor=#ffffff>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1999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00
시드니 올림픽
2001
야구 월드컵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주성노호
[[주성노호/1998년|
199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주성노호/1999년|
1999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응룡호
[[김응룡호/2000년|
2000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정택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s-7.11|
2001
]]
김인식호
[[김인식호/2002년|
2002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06
WBC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2007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08
올림픽 최종예선
김재박호
[[김재박호/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3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인식호
[[김인식호/2006년|
2006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재박호
[[김재박호/2006년|
2006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경문호
[[김경문호/2007년|
2007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김경문호/2008년/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2008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08
베이징 올림픽
2009
WBC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2013
WBC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김경문호
[[김경문호/2008년|
200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인식호
[[김인식호/2009년|
2009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조범현호
[[조범현호|
2010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류중일호
[[류중일호/2013년|
2013
]] | [[류중일호/2014년|
2014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15
프리미어 12
2017
WBC
2017
APBC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19
프리미어 12
김인식호
[[김인식호/2015년|
2015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김인식호/2017년|
2017
]]
선동열호^^
전임
^^
[[선동열호/2017년|
2017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선동열호/2018년|
201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경문호^^
전임
^^
[[김경문호/2019년|
2019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20
도쿄 올림픽
2023
WBC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3
APBC
2024
프리미어 12
김경문호^^
전임
^^
[[김경문호/2020년|
2020
]] | [[김경문호/2021년|
2021
]]
이강철호
[[이강철호|
2023
]]
류중일호^^
전임
^^
[[류중일호/2022년|
2022
]] | [[류중일호/2023년|
2023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AG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류중일호/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APBC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류중일호/2024년|
2024
]]
<rowcolor=#ffffff> 2026
WBC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2026
APBC
2027
프리미어 12
2028
LA 올림픽
류지현호^^
전임
^^
[[류지현호|
2026
]]
KBO 리그 소속 선수 선발을 책임지는 KBO가 참여하기 시작한 대표팀이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이기 때문에 이를 시작점으로 한다.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는 24세 이하 대표팀이다.
③ 2001 야구 월드컵은 KBO 리그의 프로 선수가 대거 참가한 대회이기 때문에 특별히 포함한다.
아마추어 야구 대표팀 목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Republic of Korea National Baseball Team
<colbgcolor=#00022e><colcolor=#fff> IOC 코드 KOR
운영 주체 한국야구위원회 (KBO)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KBSA)[1]
연맹 아시아 야구 연맹 (BFA)
홈구장 고척 스카이돔 (16,000석)
감독 류지현
주장 송성문
라이벌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한일전'''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WBSC 랭킹 6위 - / 4539점
(2025년 3월 8일 기준 / #)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color: #ffff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22e><colcolor=#fff> WBC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출전] 5회[2]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2009)
프리미어 12 [출전] 3회[3]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15)
올림픽 [출전] 4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8)
아시안 게임 [출전] 9회[4]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98, 2002, 2010, 2014, 2018, 2022)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22e><colcolor=#fff> 최다 연승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12연승
1998년 12월 7일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전 ~ 2000년 9월 11일 파일:WBSC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최다 연패 5연패
2021년 8월 4일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전 ~ 2023년 3월 10일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최다 득점
경기
파일:WBSC 필리핀 국기.png 필리핀
199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7이닝 32:2
최다 실점
경기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1990년 야구 월드컵 7이닝 1:26
최장 이닝
경기
파일:WBSC 도미니카 공화국 국기.png 도미니카 공화국
1981년 대륙간컵 3, 4위전, 15이닝 3:4
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
1982년 야구 월드컵 조별 라운드, 15이닝 7:6
}}}}}}}}}}}} ||
<colbgcolor=#f5f5f5,#050505> 컬러 홈(HOME) 원정(AWAY)
모자/헬멧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상의
파일:프로스펙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파일:프로스펙스 로고 화이트.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


하의 파일:프로스펙스 로고.svg


파일:프로스펙스 로고.svg



1. 개요2. 상징3. 상세
3.1. 호칭3.2. 전임 감독제3.3. KBO 기술위원회3.4. 국제 대회 포상
4. 라이벌5. 역대 대표팀6. 역대 대회 전적7. 폐지 대회
7.1. 세계야구선수권대회(야구 월드컵)7.2. 인터컨티넨탈컵(대륙간컵)
8. 논란9. 개인 기록10. 병역 특례자 통계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1. 개요

<nopad>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0954106_STD.jpg 파일:external/m.busan.com/20151216000241_0.jpg
2008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당시 2015 WBSC 프리미어 12 우승 당시

대한민국야구 국가대표팀아시아에서 일본대만과 함께 3대 강국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 국가들은 모두 야구 및 자국 야구 리그국내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스포츠라는 공통점이 있다.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매우 높은 주목도를 가지는 국가대표팀으로, 대한민국에서 최고의 상업적 흥행성과 인지도를 자랑하는 프로 야구 리그인 KBO 리그의 인기와 더불어 야구 대표팀의 인기도 상당하다.

2. 상징

2.1. BI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광복 이후 서울 클럽 유니폼을 그대로 사용한 1954년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표팀의 유니폼을 제외하면 가슴에는 항상 KOREA라는 국호가 새겨져 있다.
초대 대표팀 BI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cb7ddLSsO1sqk8veo5_r1_400.png
1996 애틀란타 올림픽 대표팀 BI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1996).png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대표팀 BI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cb7ddLSsO1sqk8veo6_r1_500.png
2006 - 2008 대표팀 BI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crcr1l2il1sqk8veo10_r1_540.gif파일:korea_national_baseball_team_bi_2006_wbc_b_c.png
유니폼 모자
2006 WBC 당시 사용되었던 로고. 2006년 아시안 게임때는 색만 빨간색으로 변형시켜서 사용되었다. 나이키에서 만든 로고로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에도 한동안 쓰였다.
2008 - 2014 대표팀 BI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유니폼 모자
2008년 베이징 올림픽부터 처음으로 사용된 유니폼 로고로, KBO에서 제작했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성적이 가장 좋았던 황금기를 상징하는 로고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애착을 지닌 팬들이 많다.
2014 - 2021 대표팀 BI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데상트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데상트 모자 로고.png
유니폼 모자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킷 스폰서가 데상트로 바뀌면서 유니폼 로고도 변경되었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19 WBSC 프리미어 12에서도 사용되었다. 다만 반응이 좋지 못했고 결국 후술할 로고로 교체된다.
현재 대표팀 BI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2년, 대표팀의 킷 스폰서가 프로스펙스로 바뀌며 2008 시절의 로고가 복귀했다. 다만 이번엔 색깔이 좀 더 짙은 남색으로 변경되어 활용중이다. 유소년 야구 대표팀을 시작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성인 남자 A팀으로서는 2023 WBC에 처음으로 데뷔했다.

2.2. 유니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유니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유니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유니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상세

전 세계 야구 국가 대표팀들 중 쿠바[5]에 이어 두 번째올림픽 야구 전승 우승을 기록한 국가 대표팀이자,[6] 2000년대와 2010년대에 세계 야구의 다크호스로 떠올랐던 팀이며 아시안 게임 야구 6회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역대 로스터 문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2000년대 전까지는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 대표팀과 세계 선수권 대표팀 멤버가 거의 비슷한데, 애초에 두 대회를 합쳐 대표팀을 뽑았기 때문에 그랬던 것이다. 원래는 아마추어 선수들만 출전이 가능했지만 1998 방콕 아시안 게임부터 프로 선수들도 출전할 수 있게 되면서 이후로 점점 대표팀 구성원들이 스타급 플레이어로 채워졌다. 그와 반대로 인지도가 떨어지는 세계선수권대회에는 상무경찰청 소속 선수를 비롯한 2군 선수가 주축이 되었다. 한때는 프로 구단이 선수 차출을 꺼려 2005년에는 절반 가량을 상무 선수로 채운 적도 있었다. 그나마도 당시 대표팀 감독이 상무 감독인 김정택 감독이었기에 가능했던 일.

소위 황금기라 불리우는 2000년대에 좋은 성적을 냈다. 2006년 WBC, 2008년 올림픽, 2009년 WBC등에서 각각 4강, 우승, 준우승을 달리며 한국 야구의 정점을 찍었던 시기도 바로 이 시기. 이후 2015 WBSC 프리미어 12 우승을 마지막으로 대표팀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성적이 떨어지며 암흑기에 돌입한 상태이다. 2009년도 이후 WBC에서는 3연 1라운드 탈락이라는 처참한 성적을 내고있으며 프리미어 12에선 초대 우승을 거머쥐었으나 2회 대회에는 준우승, 3회 대회에서는 1라운드 탈락이라는 수모를 겪는 중이다.

국제 대회에서의 한국 대표를 뽑는 것은 대한야구협회이고 원칙적으로 대한야구협회 등록 선수를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프로 선수 참가가 허용된 현재는 한국 국적을 가진 한국야구위원회, 일본야구기구, MLB 사무국 등의 등록 선수도 대상에 포함된다. 이렇게 해서 뽑힌 선수는 일시적으로 대한야구협회 등록선수로 간주하는 것.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의 경우, 선수 차출에 대한 규정이 상당히 느슨하기 때문에 이론상 한국 국적이 아닌 선수들도 대표팀에 기용이 가능하고, 실제로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선 토미 에드먼이 한국 대표로 합류한 이력이 있다.

아시아에서의 공공의 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일본 입장에서 일한전, 대만 입장에서 중한대전[7]은 흥행면에서 주목도가 높은 빅매치다. 아시아에서 야구가 인기인 나라는 한국, 일본, 대만인데, 대만은 한일전 수준으로 대(対)한국전이 관심을 받고, 일본도 한국과의 경기는 높은 시청률과 미디어 관심도가 보장되는 흥행필승 카드이다.

3.1. 호칭

2025년 기준, 한국 대표의 공식적인 별명이나 애칭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사무라이 재팬이라는 BI를 출범, 호칭도 일본국대와 사무라이 재팬이 혼용되고 있는것과 대비된다. 비공식적으로는, 영문판 위키피디아에는 'Blue Wave' 혹은 '푸른 물결'로 소개되어있다. ## 일본 매체에서는, WBC 2009년 총집편에서 한국 대표를 アジアの青い大波, '아시아의 푸른 대파(큰 파도)'라고 소개한 이력이 있다. # 이와 별개로,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때는 '파란 도깨비',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때는 '푸른 물결'이란 명칭의 공식 서포터즈를 소집한 이력이 있다. ##

세계 야구 협회인 WBSC에는 KOREA, 줄여서 KOR라고 등록되어 있으며, 표기도 되고 있다. 북한의 경우, WBSC와 BFA 아시아 연맹에도 가입해 있지만, 1990년대 초 아주 잠시나마 국제 대회에 참가한 이력 이후에는 야구 국제 대회에 대표팀을 일절 보내고 있지 않다. 애초에, 북한 정부가 야구를 자본주의의 유희로 여겨 탄압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차피 북한이 참가할 일이 없기에 남북을 구분할 필요도 없이 국제 대회에서는 그냥 한국을 Korea라고 표기하는 것. 이는 대한민국을 ROK, 북한을 PRK등으로 표기하는 타 종목과 대비되는 차이점이다.

일본, 대만과 같은 한자문화권 국가에서는 주로 한국(韓国)으로 표기한다. 대만에서는 간혹 남한(南韓), 혹은 남한대표(南韓代表)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3.2. 전임 감독제

한국 야구 대표는 전임 감독제의 실시와 폐지를 여러번 번복한 이력이 있다. 현재는 전임 감독제를 실시중이며, 류지현 감독이 전임감독으로서는 4대, 통산으로서는 16대 감독으로서 사령탑을 맡고 있다.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이전에는 전임 감독이 따로 존재하지 않아, 야구 대표팀 감독도 자원봉사급으로 국대 감독을 맡았다. 임의의 국제대회가 다가와서야 KBO 리그 우승 감독을 국대 감독으로 선임했기에 연봉 계약도 하지 않았다. 더군다나 이때까지만 해도 야구는 축구처럼 국제 대회가 그리 없었고, 국제 대회의 비중도 크지 않았으며, 리그 경기 수가 많았기에, 이런 구조를 유지하는 데 일조했다.

하지만 한국 대표가 2017년 WBC에서 2연 1라운드 탈락이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내고,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결국 금메달을 목에 결긴 했으나 과정이 순탄치 않았음을 본 국내 여론이 반전되기 시작한다. 여기에 2015년 프리미어 12 우승을 이끈 김인식 감독도 '전임 감독제를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추가적으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9 WBSC 프리미어 12, 2020년 도쿄 올림픽[8],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9] 등 연속으로 큰 대회들이 열리게 되면서, 결국 KBO도 전임 감독제를 도입, 선동열 감독을 전임 감독으로 임명했고 이것이 야구 대표팀 역사상 첫 번째 전임 감독제가 된다.

그러나 한국 대표가 도쿄 올림픽에서 노메달이라는 좋지 못한 성적에 그치자, 여론이 극심하게 악화되어 2대 사령탑인 김경문 감독이 지휘봉을 내려놓았고 이후 2022년 7월 21일 이강철 KT 위즈 감독이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2017년 전임 감독제 도입 이후로 5년 만에 다시 겸임 감독제로 회귀하였다. 하지만, 한국 대표가 2023 WBC에서 세 대회 연속으로 1라운드를 탈락하며, 결과적으로 이강철호의 겸임 감독제는 결국 대실패로 끝났다. 이후 2023년 7월 20일 한국 야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회의에서 KBO는 '국가대표팀 전임 감독제를 재시행'한다고 밝혔다. # 감독을 보좌하는 코치 또한 전임으로 선임하며, 기간은 202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회까지다.

이로 인해 전임 감독으로 부임한 류중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 각각 우승과 준우승이라는 좋은 경기력을 기록했다. 그러나 2024 WBSC 프리미어 12에서 슈퍼라운드 진출에 실패하면서 프리미어 12까지로 계약된 류중일 감독과는 계약이 종료되었다.

이후 2025년 1월 16일 이동욱, 강인권 전 NC감독 허삼영 전 삼성 감독, 김강민 전 선수가 전력강화위원에 새로 합류, 전임감독제는 유지하기로 했고 새 전임감독을 추천하기로 했다. 회의 끝에 류지현을 4대 전임 감독으로 선임, 2026 WBC부터 한국 대표를 지휘한다.

3.3. KBO 기술위원회

대표팀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이야기가 바로 KBO 기술위원회다. 김경문호가 출범한 이후, 대표팀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경기운영위원제도를 폐지하고 기술위원회를 신설하게 된다. 기술위원회는 국제 대회가 있을 경우, 총재 추천을 통해 임명된 기술위원장과 이를 보좌하는 야구인들이 모여 대표팀 운영 전반에 걸쳐서 의논을 나누고 지원을 하게끔 되어 있는 제도다. 이 기술위원회는 대표팀 운영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수 있었는데 선동열 전 감독이 대표팀 전임 감독으로 임명되기 전까지는 KBO 약관에는 대표팀 운용의 대부분을 이 기술위원회를 걸쳐야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2016 KBO 약관 중 기술위원회 관련 대목 보기
>제3조 [대표팀 감독, 코치 등의 선임]
1. 대표팀 감독은 대회 개최시기와 비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총재가 선임한다.
2. 선임 코치는 현역 감독을 제외한 코치를 대상으로 구단당 최대 2명 이내에 선임한다.
3. 기타 인스트럭터, 트레이너 등은 기술위원회가 선임하여 총재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제4조 [대표팀 선수 선발 및 해산]
① 대표팀 선수(이하 “선수”라 한다)의 선발은 대표팀 감독 및 기술위원회가 선발한다.
기술위원회와 대표팀 감독은 대표팀 소집일 30일 전까지 협의된 대표팀 명단을 KBO에 제출하여 총재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제6조 [선수단의 소집 및 통보]
1. 대표팀 감독은 선수의 소집일정 및 훈련계획을 작성하여 기술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한다.
2. KBO는 기술위원회가 정한 대표팀 소집인원과 일정을 즉시 소속구단에 서면 통보하고, 소속구단은 통보 받은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참가여부를 KBO에 서면 통보하여야 한다.
3. 2항의 서면 통보는 우편 및 팩스를 주로하고, 이메일을 보조수단으로 한다.
5. 대표팀의 감독은 소집기간 중 부상이나, 사고, 질병에 따른 인원 부족으로 긴급히 선수의 추가 소집이 필요할 경우 이를 즉시 기술위원회에 요청하여야 한다.

제7조 [국내 강화훈련 및 해외 전지훈련]
1. 대표팀 감독은 대표팀 전력보강을 위하여 일정기간의 국내 강화훈련 및 해외 전지훈련을 기술위원회에 요청할 수 있다.
2. 기술위원회는 감독이 요청하는 국내 강화훈련 및 전지훈련을 위한 제반사항을 총재에게 보고한 후 선수의 소속구단에 이를 통보하고, 필요 사항을 협의할 수 있다.

제10조 [보고서 제출]
1. 대표팀 감독은 참가하는 대회, 훈련 또는 경기종료 후 10일 이내에 대회, 훈련 또는 경기 전반에 걸친 감독 보고서를 기술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2. 기술위원회는 대표팀이 참가하는 대회, 훈련 또는 경기에 기술위원을 파견하고, 임무를 수행한 기술위원은 파견 종료 후 10일 이내에 기술분석 보고서를 기술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3. 1호 및 2호의 사항에 관한 보고서 양식은 기술위원회가 별도로 정한다.

제13조 [징계]
1. 대표팀 감독, 코치, 인스트럭터, 트레이너, 선수에 대한 징계는 KBO 규약 및 벌칙내규에 의거하여 적용한다.
2. 기술위원회는 징계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건의할 수 있다.
3. 다음 각목에 해당되는 자에 대하여 징계위원회를 개최한다.
가. 고의로 대표팀 명예를 훼손한 자
나. 대표팀 운영규정을 위반하였거나, 코칭스텝의 훈련지시에 불응한 자
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자
4. 총재가 인정하지 않는 사유로 대표팀 감독 선임을 거부할 경우- 거부회신일로부터 1년간 KBO 등록금지.
5. 총재가 인정하지 않는 사유로 코치 선임, 선수의 대회 참가를 거부할 경우 - 거부 회신일로부터 KBO 정규시즌 30경기 출장정지.

하지만 이런 기구의 단점도 있었으니 기술위원회의 입김이 선수 선발 과정에서 감독을 배제할 정도로 막강했다는 점이다.
기술위원회가 폐지됐던 것은 대표팀 선수 차출 과정에서 불거지는 형평성 문제 때문이었다. KBO 이사회 구성원들인 각 구단 사장들의 입김이 작용한다는 것이었다. 올림픽 3위 이내 입상, 아시안 게임 1위에 주어지는 병역 혜택을 각 구단이 고루 누리자는 암묵적 합의가 형평성을 해쳤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왔다.
부활하는 KBO 기술위원회, 그 폐단 사라질까
이런 이유로 폐지되었으나 2018년 선동열 대표팀이 각종 논란에 휩싸이자 다시 부활했다. ## 다만 기존에 있던 내용들은 대부분 삭제되고 남아 있는 부분도 총재에게로 권한이 넘어가며 감독을 지원하는 역할로 변경되었다.

3.4. 국제 대회 포상

대표팀 포상의 경우 다른 종목과 달리 큰 액수가 지급되지는 않는다. 우승 상금이 가장 큰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올림픽이 10억원 가량으로[10] 큰 동기부여가 되는 편은 아니다.[11]

또한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의 경우 병역 특례라는 보상이 있지만 WBSC 프리미어 12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그런 것도 없고 김동주가 2006 WBC에서 헤드퍼스트 슬라이딩으로 인해 부상을 입어 FA 일수에서 손해를 보는 일이 발생하게 되자, 선수를 위한 대책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나왔다.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는 김재박호의 선수 선발 과정에서 박진만은 "프로 선수에게 부상은 크나큰 문제다. 그에 대한 보상이 없다면 출전하지 않을 것이다."이라고 못 박은 적도 있다.

그래서 나온 것이 국가대표 포상 포인트제로 국제 대회 참가 1일당 FA 필요 일수 1일을 차감해 준다. 총 8년을 채워야 FA 조건이 충족되는 KBO FA제도의 1군 등록 기간이 145일 이상 되어야 1년으로 쳐주는 것을 생각하면 국제 대회만 꾸준히 나간다면 FA 일수를 앞당길 수 있다.[12] 또한 국제 대회 부상으로 인해 FA 일수에서 손해를 보게 될 경우 출전하지 못한 기간의 절반을 1군 등록 기간으로 인정해 준다.

가장 많은 점수는 올림픽과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으로 우승 시 총 60일이 차감된다. 또한 KBO 중요 대회의 경우 본선 진출 시 별도의 가산점을 지급하는 경우가 있다. 2019 WBSC 프리미어 12의 경우 2020 도쿄 올림픽 진출 가산점이 30점이 부여되었고 그 덕에 준우승을 했지만 준우승 시 받는 30점에 가산점 30점이 추가되어 우승과 마찬가지인 60점을 부여받았다.
대회 참가 8강 4강 3위 준우승 우승 우승시 최종 획득 포인트 개최주기 비고
<colbgcolor=#fff,#191919> 파일:asia_probaseball_champion_ship_2017.pn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10 - - - - 10 <colbgcolor=#eaeaea,#222222> 20 4년 U-24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야구
10 - - - - 15 25 4년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WBSC 프리미어 12
10 - 10 - 10 20 50 4년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올림픽 야구
10 - - 20 10 20 60 4년
파일: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10 10 10 - 10 20 60 4년
파일:아시아 야구 연맹 심볼.svg파일:아시아 야구 연맹 심볼(화이트).svg
아시아야구선수권
5 - - - - 15 20 2년 협회 주관
파일:WBSC U-23 야구 월드컵 로고.svg
WBSC U-23 야구 월드컵
5 - - - 5 10 20 2년

4. 라이벌

4.1. 일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일전/야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일전/야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일전/야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유니폼 워드마크.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Baseball National Team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Japan Baseball National Team

한일전이라는 특수한 관계에 의해 한국과 일본간의 야구전은 항상 큰 관심을 받아온 유구한 라이벌 더비이다. 현대에 들어서 이 라이벌 더비는 초대2회 WBC를 걸치면서 한일 양국이 여러번 명승부를 만들어내며 정립되었다. 2000년대 후반까지 한국 야구대표는 소위 황금기라고 불리우는 주축 선수들을 앞세워 일본전에서 선전하며 라이벌 구도를 키워갔다. 하지만, 2015 WBSC 프리미어 12를 마지막으로 일본은 한국을 상대로 국제전 9연승을 달성하며 상대 전적에서 한국 대표를 크게 압도하게 되었다. 특히 2020년도부터 일본 야구계가 유례없는 전성기를 맞이하며, 두 대표간 실력의 격차는 아득하게 멀어져버렸다.

4.2. 대만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파일: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
대만
台灣成棒隊

TPE

오랜 시간 동안 대만에서는 한국 대표팀을 자신들의 라이벌로 여겨 왔다. 대만의 라이벌 의식과, 2010년도 후반부터의 야구대표 실력 향상이 겹치면서 한국에서도 대만과의 라이벌 구도를 의식하기 시작했다.

대만인들은 한국전을 마치 한일전을 대하는 한국인의 심정으로 바라본다. 한국에서 일제에 맞서 싸우는 자를 한국인들이 항일영웅이라 부르듯, 대만에서는 자국의 야구 국가대표팀을 한국에 맞서 싸우는 자라는 뜻으로 항한영웅(抗韓英雄)이라는 표현까지 쓴다.

역사적인 전적은 대한민국이 대만을 크게 앞선다. 하지만 대만 야구대표의 수준이 크게 향상된 2010년대 후반부터는 결코 한국이 대만을 압도한다고 할 수 없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24 WBSC 프리미어 12등에서 한국과 대만이 서로 일격을 주고받으며 결코 대만이 한국에게 밀린지 않는다는걸 증명해냈다.
대회 및 라운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결과 비고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예선전 16 5 대한민국 콜드 승
더블리그 4 3 대한민국 승
1999 아시아야구 선수권 본선 2차전 5 4 대한민국 승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예선전 7 0 대한민국 승
결승전 4 3 대한민국 승
2003 아시아야구선수권 예선전 4 5 대만 승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본선 1라운드 2 0 대한민국 승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예선전 2 4 대만 승
2007 아시아야구선수권 예선전 5 2 대한민국 승
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예선전 4 3 대한민국 승
2008 베이징 올림픽 예선전 9 8 대한민국 승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본선 1라운드 9 0 대한민국 승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예선전 6 1 대한민국 승
결승전 9 3 대한민국 승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본선 1라운드 3 2 대한민국 승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8강 10 0 대한민국 승
결승전 6 3 대한민국 승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본선 1라운드 11 8 대한민국 승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U-24 대회
예선전 1 0 대한민국 승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예선 B조 1 2 대만 승 [A]
2019 WBSC 프리미어 12 슈퍼라운드 0 7 대만 승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B조 4경기 0 4 대만 승
결승전 2 0 대한민국 승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U-24 대회
예선전 6 1 대한민국 승
2024 WBSC 프리미어 12 조별리그 3 6 대만 승

5. 역대 대표팀[1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00022e><tablebgcolor=#ffffff,#00022e>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역대 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주요 대표팀 | 역대 로스터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유니폼 | 세대별 대표팀 | 주요 경기
<rowcolor=#ffffff>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1999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00
시드니 올림픽
2001
야구 월드컵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주성노호
[[주성노호/1998년|
199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주성노호/1999년|
1999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응룡호
[[김응룡호/2000년|
2000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정택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s-7.11|
2001
]]
김인식호
[[김인식호/2002년|
2002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06
WBC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2007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08
올림픽 최종예선
김재박호
[[김재박호/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3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인식호
[[김인식호/2006년|
2006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재박호
[[김재박호/2006년|
2006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김경문호
[[김경문호/2007년|
2007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김경문호/2008년/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2008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08
베이징 올림픽
2009
WBC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2013
WBC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김경문호
[[김경문호/2008년|
200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인식호
[[김인식호/2009년|
2009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조범현호
[[조범현호|
2010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류중일호
[[류중일호/2013년|
2013
]] | [[류중일호/2014년|
2014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15
프리미어 12
2017
WBC
2017
APBC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19
프리미어 12
김인식호
[[김인식호/2015년|
2015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김인식호/2017년|
2017
]]
선동열호^^
전임
^^
[[선동열호/2017년|
2017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선동열호/2018년|
2018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김경문호^^
전임
^^
[[김경문호/2019년|
2019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rowcolor=#ffffff> 2020
도쿄 올림픽
2023
WBC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3
APBC
2024
프리미어 12
김경문호^^
전임
^^
[[김경문호/2020년|
2020
]] | [[김경문호/2021년|
2021
]]
이강철호
[[이강철호|
2023
]]
류중일호^^
전임
^^
[[류중일호/2022년|
2022
]] | [[류중일호/2023년|
2023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AG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류중일호/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APBC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류중일호/2024년|
2024
]]
<rowcolor=#ffffff> 2026
WBC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2026
APBC
2027
프리미어 12
2028
LA 올림픽
류지현호^^
전임
^^
[[류지현호|
2026
]]
KBO 리그 소속 선수 선발을 책임지는 KBO가 참여하기 시작한 대표팀이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이기 때문에 이를 시작점으로 한다.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는 24세 이하 대표팀이다.
③ 2001 야구 월드컵은 KBO 리그의 프로 선수가 대거 참가한 대회이기 때문에 특별히 포함한다.
아마추어 야구 대표팀 목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역대 감독 대회 최종성적 전적 비고
경기 승률
초대 주성노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1 11 0 1.000
1999년 아시아선수권대회
겸 시드니 올림픽 지역 예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대 김응용 2000 시드니 올림픽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9 5 4 .556
3대 김인식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6 6 0 1.000
4대 김재박 2003 아시아선수권대회
겸 아테네 올림픽 지역 예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예선 탈락
3 1 2 .333
5대 김인식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7 6 1 .857
6대 김재박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5 3 2 .600
7대 김경문 2007 아시아선수권대회
겸 베이징 올림픽 지역 예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예선 탈락
3 2 1 .667
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7 6 1 .857
2008 KBO
네덜란드 평가전
- 1 1 0 1.000 [A][16]
2008 CUZN
쿠바 평가전
- 2 1 1 .500 [A][18]
2008 베이징 올림픽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9 9 0 1.000
8대 김인식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9 6 3 .667
9대 조범현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5 5 0 1.000
10대 류중일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조별 예선 탈락 3 2 1 .667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5 5 0 1.000 -
11대 김인식 2015 서울 슈퍼시리즈 - 2 1 1 .500 [A]
2015 프리미어 12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8 6 2 .750
2017 strikezon
쿠바 평가전
- 2 2 0 1.000 [A]
2017 strikezon
호주 평가전
- 1 1 0 1.000 [A]
2017 WBC 조별 예선 탈락 3 1 2 .333 -
12대 선동열 2017 APBC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3 1 2 .667 [A][2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6 5 1 .800
13대 김경문 2019 신한은행
푸에르토리코 평가전
- 2 2 0 1.000 [A]
2019 프리미어 12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8 5 3 .625
2020 도쿄 올림픽 4위 7 3 4 .428 [25]
14대 이강철 2023 WBC 본선 1라운드 탈락 4 2 2 .500
15대 류중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6 5 1 .833 [26]
2023 APBC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4 2 2 .500
MLB 서울 시리즈 평가전 - 2 0 2 0.000
2024 K-BASEBALL SERIES vs 쿠바 - 2 2 0 1.000
2024 WBSC 프리미어 12 5위 5 3 2 .600
16대 류지현 2026 WBC
역대 대표팀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8회 /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5회 /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4회 131 98 33 0.748

5.1. 주요 대표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주요 대표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주요 대표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주요 대표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역대 로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역대 대회 전적

6.1.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역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전적 순위: 5위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2006 4강 3위 7 6 1 26 14
2009 준우승 2위 9 6 3 53 30
2013 1라운드 9위 3 2 1 9 7
2017 1라운드 11위 3 1 2 12 15
2023 1라운드 12위 4 2 2 40 26
합계 출전 5회 / 우승 0회 / 준우승 1회 26 17 9 140 9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월드 베이스볼 클래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회 대회에서는 비교적 열악한 전력에도 불구, 각각 4강, 준우승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뽑아냈다. 하지만 2013 3회 대회부터 2023 5회 대회까지 무려 3연 1라운드 탈락이라는 충격적인 성적을 내면서 완전히 몰락, 10년 이상 암흑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6.2. WBSC 프리미어 12

역대 WBSC 프리미어 12 전적 순위: -위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2015 우승 1위 8 6 2 50 19
2019 준우승 2위 8 5 3 38 27
2024 조별 리그 5위 5 3 2 28 24
합계 출전 3회 / 우승 1회 / 준우승 1회 21 14 7 114 7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WBSC 프리미어 12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WBSC 프리미어 12#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WBSC 프리미어 1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초대 대회에선 4강에서 만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기적적으로 역전승을 거두고 결승전에서 미국을 꺾으면서 우승하였다. 2회 대회에선 다시 만난 일본에게 결승전에서 패해 준우승으로 경기를 마무리하였고, 3회 대회에선 1라운드 탈락이라는 결과를 내며 계속해서 성적이 하락하고 있다.

6.3. 하계 올림픽 야구[27]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1984[시범종목] 4강 4위 5 2 3 12 17
1988[시범종목] 4강 4위 5 2 3 11 19
1992 예선 탈락[30]
1996 조별 예선 8위 7 1 6 40 59
2000 4강 동메달 9 5 4 45 30
2004 예선 탈락
2008 우승 금메달 9 9 0 50 26
2020 4강 4위 7 3 4 33 35
2028 -강 -위 - - - - -
합계 출전 4회 / 우승 1회 32 18 14 168 15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올림픽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올림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올림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아시안 게임 야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아시안 게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아시안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아시안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U-24 야구 국가대표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U-24 야구 국가대표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U-24 야구 국가대표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6.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7. 폐지 대회

7.1. 세계야구선수권대회(야구 월드컵)[31]

  • 1938년 1회 대회(영국)
  • 1939년 2회 대회(쿠바)
  • 1940년 3회 대회(쿠바)
  • 1941년 4회 대회(쿠바)
  • 1942년 5회 대회(쿠바)
  • 1943년 6회 대회(쿠바)
  • 1944년 7회 대회(베네수엘라)
  • 1945년 8회 대회(베네수엘라)
  • 1947년 9회 대회(콜롬비아)
  • 1948년 10회 대회(니카라과)
  • 1950년 11회 대회(니카라과)
  • 1951년 12회 대회(멕시코)
  • 1952년 13회 대회(쿠바)
  • 1953년 14회 대회(베네수엘라)
  • 1961년 15회 대회(코스타리카)
  • 1965년 16회 대회(콜롬비아)
  • 1969년 17회 대회(도미니카 공화국)
  • 1970년 18회 대회(콜롬비아)
  • 1971년 19회 대회(쿠바)
  • 1972년 20회 대회(니카라과)
  • 1973년 21회 대회(쿠바)
  • 1973년 22회 대회(니카라과)
  • 1974년 23회 대회(미국)
  • 1976년 24회 대회(콜롬비아): 6위
  • 1978년 25회 대회(이탈리아): 3위
  • 1980년 26회 대회(일본): 준우승
  • 1982년 27회 대회(한국): 우승[32]
  • 1984년 28회 대회(쿠바): 5위
  • 1986년 29회 대회(네덜란드): 준우승
  • 1988년 30회 대회(이탈리아): 8위
  • 1990년 31회 대회(캐나다): 3위
  • 1994년 32회 대회(니카라과): 준우승
  • 1998년 33회 대회(이탈리아): 준우승
  • 2001년 34회 대회(대만): 6위
  • 2003년 35회 대회(쿠바): 8위
  • 2005년 36회 대회(네덜란드): 준우승
  • 2007년 37회 대회(대만): 5위
  • 2009년 38회 대회(유럽[33]): 9위
  • 2011년 39회 대회(파나마): 6위

7.2. 인터컨티넨탈컵(대륙간컵)

  • 1973년 1회 대회(이탈리아)
  • 1975년 2회 대회(캐나다): 6위
  • 1977년 3회 대회(니카라과): 우승[34]
  • 1979년 4회 대회(쿠바)
  • 1981년 5회 대회(캐나다): 4위
  • 1983년 6회 대회(벨기에): 5위
  • 1985년 7회 대회(캐나다): 준우승
  • 1987년 8회 대회(쿠바): 6위
  • 1989년 9회 대회(푸에르토리코): 5위
  • 1991년 10회 대회(스페인): 5위
  • 1993년 11회 대회(이탈리아): 4위
  • 1995년 12회 대회(쿠바): 4위
  • 1997년 13회 대회(스페인)
  • 1999년 14회 대회(호주): 7위
  • 2002년 15회 대회(쿠바): 준우승
  • 2006년 16회 대회(대만): 7위
  • 2010년 17회 대회(대만): 6위

8.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개인 기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개인 기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개인 기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개인 기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병역 특례자 통계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이래로, 프로 구단 소속으로 병역 특례(예술체육요원) 자격을 받은 선수는 총 88명이다.
<rowcolor=#fff> 팀명 1998
AG
2000
올림픽
2002
AG
2006
WBC
2008
올림픽
2010
AG
2014
AG
2018
AG
2022
AG
합계
두산 베어스 2
진갑용
김동주
1
정수근
- 1
정재훈
2
고영민
김현수
2
임태훈
고창성
1
오재원
2
함덕주
박치국
1
곽빈[35]
12
KIA 타이거즈 1
임창용
1
장성호
2
김진우
김상훈
1
전병두
3
이용규
한기주
윤석민
1
양현종
1
나지완
- 1
최지민
11
삼성 라이온즈 - - - 2
배영수
오승환
1
권혁
2
안지만
조동찬
2
차우찬
김상수
2
최충연
박해민
2
원태인
김지찬
11
키움 히어로즈 - - - - 2
이택근
장원삼
1
강정호
2
한현희
김민성
3
김하성
최원태
이정후
2
김동헌
김혜성
10
롯데 자이언츠 - 1
손민한
- - 3
강민호
이대호
송승준
- 2
황재균
손아섭
- 3
박세웅
나균안
윤동희
9
SSG 랜더스 - 1
이승호
- 1
이진영
2
정근우
김광현
3
송은범
최정
김강민
- - 1
최지훈
8
한화 이글스 1
백재호
- - 2
김태균
이범호
1
류현진
- 1
이태양
- 2
문동주
노시환
7
LG 트윈스 3
조인성
이병규
심재학
- - - - - 1
유원상
1
오지환
2
정우영
문보경
7
NC 다이노스 - - - - - - 2
이재학
나성범
1
박민우
2
김영규
김주원
5
현대 유니콘스 2
최원호
박재홍
1
박진만
1
조용준
1
정성훈
- - - - - 5
kt wiz - - - - - - - - 2
박영현
강백호
2
쌍방울 레이더스 1
김원형
- - - - - - - - 1
합계 10 5 3 8 14 9 12 9 18 88

이 외에 MLB, MiLB, 아마추어 소속으로 병역 특례를 받은 선수는 아래와 같다. 괄호 안은 당시 소속.
  •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 강봉규(고려대), 강철민(한양대), 강혁(현대 피닉스)[36], 경헌호(한양대), 김병현(성균관대), 박찬호(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박한이(동국대), 서재응(뉴욕 메츠 산하 마이너), 신명철(연세대), 장영균(인하대), 홍성흔(경희대), 황우구(인하대)
  • 2000 시드니 올림픽 - 없음[37]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 정재복(인하대)
  •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김선우(콜로라도 로키스), 봉중근(신시내티 레즈), 최희섭(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008 베이징 올림픽 - 없음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 김명성(중앙대), 추신수(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 홍성무(동의대)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 없음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장현석(마산용마고)[38]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역대 우승 이력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
{{{#!wiki style="color: #d889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10a04; margin: -6px -1px -11px"
※ 1984년, 1988년 대회는 시범 종목.
<rowcolor=#202020> 23회 24회 25회 26회 27회
파일:미국 국기.svg
1984 로스엔젤레스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88 서울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랜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
<rowcolor=#202020> 28회 29회 32회 34회 35회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앤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파일:WBSC 쿠바 국기.png 쿠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WBSC 프리미어 12™
역대 우승국
}}} ||
{{{#!wiki style="color:#0066b3;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10a04; margin: -6px -1px"
<rowcolor=#ffffff> 1회 2회 3회 4회 5회
2015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2019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레드 모자 로고.svg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2024
파일: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로고.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 }}}}}}
{{{#!wiki style="color: #db372b;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10a04; margin: -6px -1px -11px"
※ 1990년 대회는 시범 종목.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중국 국기.svg
1990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1994 히로시마
파일:태국 국기.svg
1998 방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부산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6 도하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중국 국기.svg
2010 광저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인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자카르타·팔렘방
파일:중국 국기.svg
2022 항저우
파일:일본 국기.svg
2026 아이치·나고야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파일:아시아올림픽평의회 로고.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22e>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세대별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om12w4DQ8P1sqk8veo1_1280.jpg
리틀리그 월드시리즈에 진출하는 리틀야구 대표팀(U-12)은 한국 대표팀이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대표자격으로 참가.
U-12 U-12 대표팀
U-15 U-15 대표팀
U-18 U-18 대표팀
U-23 U-23 대표팀
U-24 U-24 대표팀
A대표팀 남자 야구 국가대표팀
여자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주요 대표팀 | 역대 로스터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유니폼 | 논란
}}}}}}}}} ||

파일:팀 코리아 로고.svg
파일:Korea Basketball National Team.png 파일:image_1527657991585.pn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농구 대표팀
남자 | 여자
배구 대표팀
남자 | 여자
야구 대표팀
남자 | 여자
축구 대표팀
남자 | 여자

[1] 대한축구협회가 운영을 총괄하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는 달리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보다 KBO의 영향력이 훨씬 크다. 프로 선수 차출과, 전력 분석, 지원금 등 운영 전반은 KBO에서 담당하며,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는 아마추어 야구 대표팀의 선발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2] 연속 5회 출전[3] 연속 3회 출전[4] 연속 9회 출전[5]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야구 전승 우승,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 전승 우승.[6] 2020 도쿄 올림픽/야구에서는 일본도 전승으로 우승하였다. 세 번째 전승 우승 국가 대표팀.[7] 대만 자국 내에서는 대표팀을 대만대(隊)라고도 하지만, 보통은 중화대라고 더 많이 한다.[8] 코로나 19로 1년 연기됨[9] 코로나 19로 2년 연기됨[10] 다만 WBC는 선수 상금이 별도로 지급되는데 그 규모는 대표팀이 성적으로 받는 수령액의 50%. 따라서 우승하면 10억원에 5억원의 선수 수당이 나온다.[11] 당장 KBO 한국시리즈 우승 상금이 30억원대다. 만약 모기업이 우승 보험을 들어놓으면 50억원 가까이 받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12] 김하성의 경우 원래라면 2022 시즌 종료 후 FA이나, 국가대표 출전 기한의 혜택을 받아 2021 시즌 종료 후 FA가 된다.[A] 실업+대학 선발 대표팀[14] 프로 선수가 참여하기 시작한 98년 아시안 게임부터.[A] 평가전[16] 10:2 승[A] [18] 1차전 6:2 패, 2차전 3:15 승.[A] [A] [A] [A] [23] 전임 감독제 체제 시작.[A] [25] 2020년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1년으로 연기[26] 2022년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3년으로 연기[27] 야구가 2012 런던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종목에서 제외되었으나 2020 도쿄 올림픽에서 한시적으로 부활했다. 하지만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제외되고 2028 LA 올림픽에서 다시 부활할 예정이다.[시범종목] [시범종목] [30] 당시 양준혁, 이종범을 비롯해 초화 라인업을 구성했지만 일본과 대만에게 패배하며 본선 진출을 하지 못했다.[31] 영문 명칭으로는 Amateur World Series. 88년 대회부터는 야구 월드컵(Baseball World Cup)이라고 불렀다. 2011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32] 아시아 유일한 우승이긴 하지만 최다 우승국이자 강력한 우승후보 쿠바가 불참했기에 이뤄진 점도 있다.[33]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한 국가가 아닌 한 대륙이 개최. 개최 국가는 네덜란드, 독일, 산마리노, 스웨덴, 스페인, 이탈리아, 체코, 크로아티아 8개국.[34]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 첫 국제 대회 우승.[35] 항저우 아시안 게임 전에 사회복무요원 소집 장기 대기로 전시근로역으로 전환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자세한 사정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36]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 때 방콕 아시안 게임 전에 병역 면탈을 시도했던 사실이 드러나 자격 박탈.[37] 유일한 아마추어 소속이었던 정대현은 많은 야구 팬 및 매체가 아는 것과는 달리 이미 제2국민역 판정을 받은 상태였다.[38] 항저우 아시안 게임 직전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입단 계약을 했지만 미국에서 뛰는 것은 2024년부터이므로 아마추어 팀 소속으로 자격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