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2:49:39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여자 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아시아배구연맹.png
아시아 배구 연맹 소속 남자 국가대표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이란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스리랑카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중국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홍콩 일본 대한민국 마카오 몽골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쿡 제도 기.svg
북한 중화 타이베이 미국령 사모아 호주 쿡 제도
파일:피지 국기.svg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파일:괌 기.svg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피지 미크로네시아 연방 키리바시 마셜 제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니우에 기.svg 파일:나우루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팔라우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니우에 나우루 뉴질랜드 팔라우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파일:통가 국기.svg 파일:투발루 국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통가 투발루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파일:사모아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바누아투 사모아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바레인 이라크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레바논 오만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팔레스타인 카타르 시리아 아랍 에미리트 예멘 }}}
파일:image_1527657991585.png
대한민국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Republic of Korea National Volleyball Team
FIVB 코드 KOR
운영 주체 대한배구협회 (KVA)
연맹 아시아 배구 연맹 (AVC)
감독 이사나예 라미레스
주장
C
황택의
키트 스폰서 푸마
라이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일본 - 한일전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color: #000000,#ffffff; margin: -6px -1px -11px"
세계 대회
올림픽 [출전] 8회
[최고] 5위 (1984)
세계 선수권 [출전] 9회
[최고] 4위 (1978)
월드컵 [출전] 8회
[최고] 5위 (1991)
네이션스 리그 [출전] 1회
[최고] 16위 (2018)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출전] 2회
[최고] 4위 (2001)
대륙 대회
아시안 게임 [출전] 15회
[최고] 금메달 (1978, 2002, 2006)
아시아 선수권 [출전] 21회
[최고] 금메달 (1989, 1993, 2001, 2003)
남자 AVC컵 [출전] 7회
[최고] 금메달 (2014)
}}}}}}}}} ||
FIVB 랭킹
25위 / 142.17점
(2025년 8월 26일 기준 / #)
웹사이트 | 굿즈샵

1. 개요2. 최근 로스터
2.1. 코칭스태프
3. 역사4. 문제점
4.1. 유명무실해진 대표팀 전임 감독제4.2. 베테랑 의존과 세대교체의 딜레마4.3. 아시아권에서도 추락한 경쟁력
5. 주요 대회별 기록
5.1. 올림픽5.2.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5.3. FIVB 월드컵 (폐지)5.4. 월드 리그 (폐지)5.5. FIVB 남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5.6.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폐지)5.7. 아시안컵5.8.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5.9. 아시안 게임5.10. AVC 네이션스컵5.11. 동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배구 국가대표팀.

2. 최근 로스터

파일:image_1527657991585.png
대한민국 대표팀 로스터
<rowcolor=#fff> 등번호 이름 포지션 원 소속 구단
2 황택의 세터 KB손해보험
3 한태준 세터 우리카드
4 장지원 리베로 국군체육부대[1]
5 박경민 리베로 현대캐피탈
7 허수봉 아웃사이드 히터 현대캐피탈
9 임성진 아웃사이드 히터 KB손해보험
10 나경복 아웃사이드 히터 KB손해보험
11 차영석 미들 블로커 KB손해보험
12 박창성 미들 블로커 OK저축은행
17 임동혁 아포짓 스파이커 국군체육부대[2]
18 최준혁 미들 블로커 대한항공
30 신호진 아포짓 스파이커 현대캐피탈
99 김지한 아웃사이드 히터 우리카드
- 정한용 아웃사이드 히터 대한항공
감독: 이사나예 라미레스
참가 대회: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2.1. 코칭스태프

코칭스태프
감독 이사나예 라미레스
코치
트레이너
체력 트레이너
재활 트레이너
전력 분석
FIVB 닥터
팀 매니저
통역

3. 역사

3.1. 2022년

2022년 7월 국내에서 개최 예정인 2022 발리볼챌린저컵에 참가한다. 2022년 5월 10일 16명의 국가대표팀을 발표했다. 한선수, 신영석, 곽승석 등 기존부터 기용되어 온 베테랑을 비롯해 임성진, 박경민, 박찬웅 등을 발탁하며 임도헌 감독이 내걸었던 리빌딩 기조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7월 2022 발리볼챌린저컵에 이어 바로 8월에 개최되는 아시아배구연맹컵까지 소화 후, 9월 개최 예정이었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할 예정이었으나 아시안 게임이 연기됨에 따라 아시아배구연맹컵 종료 후 해단할 것으로 예상된다.

AVC 컵보다도 FIVB에서 주관하는 챌린저컵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데 FIVB 주관 대회에서 최대한 많은 포인트를 얻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2024 파리 올림픽 남자 배구 출전권은 총 12장으로 프랑스, 올림픽 예선 상위 6개국, 2024 VNL 종료 후의 세계 랭킹 상위 5개국이 그 출전권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남자 배구 대표팀의 현재 세계 랭킹은 33위로 이 상태가 유지될 경우 올림픽 예선 조차도 나갈 수 없다.

때문에 이번 챌린저컵에서 우승을 해야 2023 VNL에 출전을 할 수 있고 그렇게 될 경우 FIVB 포인트를 쌓을 가능성이 일말이라도 생길 수 있게 된다. 배구협회에서도 이 점을 알기에 챌린저컵 국내 개최를 위해 노력한 것이다.[3] 결론적으로 2022 챌린저컵 우승 → 2023 VNL 진출 → 세계 랭킹 상승 → 올림픽 예선전 진출 → 올림픽 출전의 로드맵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22 AVC컵 3위 결정전에서 세계 랭킹 70위 바레인에게 0-3으로 참패하면서 이게 공염불이라는 걸 증명하고 만다. 바레인은 돈으로 주요 선수들을 귀화시킨 카타르의 사례와 달리 자국선수들을 주축으로 감독만 외국인이었다. 소위 말하는 오일머니 드립도 못치게 된 셈.

3.1.1. 2022 챌린저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FIVB 남자 발리볼 챌린저컵/대한민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VB 남자 발리볼 챌린저컵/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VB 남자 발리볼 챌린저컵/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2022 AVC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AVC컵 남자배구대회/대한민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AVC컵 남자배구대회/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AVC컵 남자배구대회/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2023년

전년도에 이어서 그야말로 좌절의 연속이 이어지고 있다. 2023년 아시아 챌린저 컵에서는 4강에서 다시 만난 바레인에게 셧아웃 패배를 당하면서 FIVB 대회로는 올라가지도 못한 데다가, 이어진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8강에서 중국에게 1:3으로 무릎 꿇으면서 5위에 그쳤다. 작년부터 리빌딩을 통한 반등을 노렸지만 오히려 아시아 변방으로 점점 밀려나고 있음만 재확인된 것.

2개 대회를 거치면서 세계 랭킹이 일시적으로 26위로 올라왔지만 이어서 다른 대륙의 선수권 대회도 개최될 예정이기 때문에 과연 안정권인 세계 랭킹 32위선을 지킬지는 회의적이다.

3.2.1. 2023 AVC 남자 챌린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3 AVC 남자 챌린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AVC 남자 챌린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AVC 남자 챌린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2023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3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대한민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배구(남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배구(남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배구(남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강에서 파키스탄에게 충격패를 당하고 61년 만에 빈손으로, 개막식도 열리기 전에 대회를 마감하면서 아시아 무대에서도 중위권이라는 것을 입증하고 말았다.
MK 스포츠 - 설마설마했는데, 정말 아시아 삼류로 전락…‘12人 연봉 66억 5800만원’ 임도헌호, 충격적인 61년 만의 노메달
노컷뉴스 - '17년 만의 金? 현실은 61년 만의 노메달' 男 배구, 개회식 전 씁쓸히 퇴장

이미 버스가 떠난 뒤지만 바레인, 태국, 인도네시아를 연속으로 잡아 7위는 기록했다. 하지만 이미 다른 종목의 팬들, 선수들에게 '저 꼴은 되지 말자'는 반면교사 취급을 당하는 등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결국 아시안 게임 직후 계약이 종료된 임도헌 감독은 배구협회에서 대놓고 재계약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여 쓸쓸히 감독직을 내려놓았다.

대한배구협회에서 발표한 사과문에 따르면 쇄신 차원에서 감독에 이어 기존 경기력향상위원장까지 해임한 상황으로 연말(11월) 공청회를 거친 후 감독 선임 절차에 나서는만큼 후임 감독 선임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3.3. 2024년

임도헌 감독이 물러난 이후 국제 대회가 없어 한동안 대표팀 감독 자리가 공석이었다. 그러다가 2024년 2월 비시즌에 열리는 국제 대회를 대비해 새로 감독을 공개 모집했고 총 네 명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현직 프로팀을 지휘하고 있는 감독이 지원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었고# 결국 해당 감독이 지원을 철회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이후 지원자와 면접을 한 끝에 최종적으로 2024년 3월 18일 항저우 참사 당시 파키스탄 대표팀 감독이었던 브라질 국적의 이사나예 라미레스를 대표팀 감독으로 낙점했다. 이에 따라 남자 배구 대표팀 최초로 외국인 감독을 선임하게 되었다. 1984년생의 젊은 감독으로, 브라질을 비롯해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파키스탄에서 감독 생활을 하며 아시아 배구 감독 경험이 적지 않은 감독이다.

이번 국가대표 감독은 전임 감독제로 라미레스 감독은 대한민국 남자 배구 대표팀에 전념할 예정이다. 라미레스 감독과 동시에 이집트 여자 배구 대표팀과 페루 여자 배구 연령별 대표팀을 역임하고, 최근까지 바레인 배구 대표팀 코치로 자리했던 마르코 케이로카 코치도 대표팀에 합류한다.

라미레스호 발족 후 첫 대표팀 일정으로 6월 바레인에서 개최된 2024 AVC 챌린지컵 남자배구대회에 참가했다. 임동혁의 군 입대, 허수봉, 정지석의 부상 등 기존 전력들이 대거 이탈했음에도 조별 단계에서 인도네시아와 카타르를 꺾으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신호진, 이우진, 한태준, 최준혁 등의 발탁, 임성진-김지한의 활약이 이어지면서 대표팀 세대교체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4강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패배하며 결승 진출이 좌절, 자연히 FIVB 챌린저컵과 VNL 진출에도 실패했다. 이후 카자흐스탄과의 3-4위 결정전에서 승리해 최종 3위로 대회를 마쳤다.

2024년 7월 13~17일까지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2024 코리아컵 제천 국제남자배구대회개최했다. 제천실내체육관에서 중국, 일본, 브라질, 호주 대표팀을 상대하게 되었다. 그리고 13일 코리아컵 첫 경기에서 비록 2군이라고는 하지만 30년 넘게 이겨보지 못한 브라질을 3:1로 잡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어진 일본전에서 두 세트를 선취했지만 리버스 스윕으로 패배했지만, 호주전 셧아웃과 중국전 풀세트 승리를 더해 최종 3승 1패로 5개 팀 중 1위를 기록했다.

코리아컵에 참가했던 선수 그대로 7월 29일부터 8월 7일까지 크로아티아스페인으로 전지훈련을 떠난다. 전훈 기간 크로아티아 대표팀, 스페인 대표팀과 연습 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2024년 9월 4일, 대한민국 남자 배구대표팀이 11년 만에 국제배구연맹(FIVB) 세계선수권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이날 FIVB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5 세계선수권 출전국 명단을 발표했으며, 한국은 세계랭킹 28위로 막차를 타고 32개 참가국 중 마지막 팀으로 극적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 대회는 여러 면에서 변화가 있었다. 기존까지 남녀 각각 24개 팀이 참가하던 세계선수권은 2025년부터 32개국 체제로 확대되었으며, 개최 주기도 4년에서 2년으로 단축되었다. 남자부 대회는 2025년 9월 12일부터 28일까지 필리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출전권은 개최국 필리핀과 전 대회 우승국 이탈리아가 자동으로 부여받았고, 이어 각 대륙별 2023 선수권 대회 상위 1~3위 팀들이 자격을 얻었다. 여기에 2024년 8월 기준 FIVB 세계랭킹 상위 15개국이 추가로 선발되면서 총 32개국이 확정되었고, 한국은 이 마지막 랭킹 자격을 통해 출전권을 확보했다.

이후 진행된 조 추첨에서 한국은 프랑스, 아르헨티나, 핀란드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3.4. 2025년

6월 6일과 7일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네덜란드와의 평가전에선 1승 1패를 기록했다. 첫날은 네덜란드의 높이에서 나오는 강한 공격과 블로킹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며 첫 세트를 따고도 1-3으로 무너졌지만 다음날은 허수봉, 김지한, 임동혁의 활약으로 3-1으로 승리했다.

6월 17일부터는 2025 AVC 네이션스컵 남자대회[4]에 참여했고 뉴질랜드, 베트남을 꺾어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 호주를 이겼으나 4강에서 또다시 바레인한테 2-3으로 패하며 3·4위전에 진출했고 3·4위전에서 4강에서 파키스탄한테 패배한 카타르와 맞붙어서 0-3로 패하며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6월 말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브라질 국가대표 팀과 일주일간 합동 훈련 거쳐, 현지 시간 7월 6일, 8일, 10일, 12일에 친선 경기(유관중)를 치렀다.

8월 19일부터는 중국에서 열리는 동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참여했다. 원래 대학리그 대표팀이나 실업리그 대표팀같은 아마추어 대표팀이 나가던 대회였지만, 올해부터 VNL을 비롯한 여러 배구 국제대회가 세계랭킹(포인트제) 중심으로 개편되면서 승점을 쌓기 위해서 1군 대표팀이 직접 참여하기로 한 것. 조별예선에서 몽골과 대만을 연파한 뒤 4강에서 홍콩, 결승에서 다시 만난 대만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중국은 U19 대표팀이 참가했다.

9월 12일부터 28일까지 필리핀에서 열리는 세계선수권에 출전한다. 8월 27일부터 진천에서 강화훈련을 시작해 9월 6일 필리핀으로 이동, 현지 적응 훈련을 거칠 예정이다.

4. 문제점

4.1. 유명무실해진 대표팀 전임 감독제

박기원 감독은 구미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와 이란 대표팀을 이끌었던 명장으로, 2011년부터 대한민국 배구 대표팀의 지휘봉을 잡았다. 2015년 4월 잠시 문용관에게 자리를 넘겼다가 같은 해 11월 복귀했으며, 이후 대표팀을 계속 이끌었다. 그러나 2016년 4월, 월드리그를 불과 두 달 앞둔 시점에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대표팀 감독직을 내려놓았다. 현직 대표팀 감독이 프로 구단으로 이직하면서 대표팀 지휘봉이 공석이 된 것은 큰 논란을 불러왔다.

이 사건을 계기로 대한배구협회는 대표팀 감독직을 전임제로 전환하고, 처우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전임제 도입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2019년, 2020 도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을 앞둔 시점에 김호철 감독이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의 차기 감독으로 내정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이는 계약서에 명시된 임기 중 프로팀 감독 겸직 금지 조항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었으며, 더구나 김호철 본인이 먼저 프로 구단 지휘봉을 원했다는 사실까지 드러나 파장은 더욱 커졌다.

대한배구협회는 결국 스포츠공정위원회를 열어 김호철에게 자격정지 1년의 중징계를 내렸다. 이후 징계가 3개월로 감경되기는 했지만, 이 사건은 그의 명성과 대표팀의 신뢰 모두에 큰 타격을 남겼다. 이 사건을 계기로 협회는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고 앞으로 대표팀 감독의 겸직을 일절 허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실제로 KB손해보험이 남자 대표팀 감독의 겸직을 추진하다가 협회 방침에 따라 무산된 사례도 있었다. 협회는 “겸직 금지 원칙을 존중하겠다”고 재차 밝히며 전임 감독제를 재확인하였다.

다만, 대표팀의 활동 기간이 제한적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제도의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었다. 미국이나 일본처럼 대표팀이 실제로 활동하는 기간에만 전임제를 적용하고, 비시즌에는 겸직을 허용하는 방식이 더 현실적일 수 있다는 의견이었다. 이처럼 대표팀 감독직을 둘러싼 논란과 제도 개선 논의는 한국 배구 행정의 구조적 문제와 함께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았다.

한편 2024년 12월, 이사나예 라미레스 감독의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감독 내정설이 보도되면서 논란이 재현되는가 했으나 내정된 다음날 KOVO에서 전임 감독제를 존중하고, 이에 대해 협조하기로 하면서 라미레스 감독의 KB 감독 선임은 무산되었다.

4.2. 베테랑 의존과 세대교체의 딜레마

선수단의 노쇠화 역시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데 2019년 열린 2020 도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만 보더라도, 당시 한국 나이로 35세였던 한선수박철우, 34세였던 신영석이 각각 주전 세터, 라이트, 센터로 출전했다. 라이트 자리의 경우 원래는 박철우보다 네 살 어린 서재덕으로 세대교체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군복무로 인해 다시 박철우가 차출되면서 베테랑 의존 체제가 이어졌다. 이 장면은 한국 남자배구가 30대 중반 선수들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었으며, 대표팀 주축이 이미 선수 생활의 황혼기에 접어들었다는 점에서 미래에 대한 심각한 경고 신호였다. 당시 베테랑들 스스로도 세대교체가 늦어져선 안 된다며 절박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문제는 이들을 대체할 만한 젊은 자원이 부족하다는 데 있다. 라이트 포지션은 허수봉임동혁의 성장으로 어느 정도 대안을 마련했으나, 세터 한선수나 센터 신영석을 능가할 후계자는 여전히 보이지 않았다. 노재욱은 고질적인 허리 부상으로 한계가 있었고, 곽명우와 황택의도 안정감 면에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센터 포지션의 공백은 더욱 심각했다. 신영석·최민호 이후를 이을 중블로커 자원이 사실상 전무한 상황에서, 대표팀 새 감독 이사나예 라미레스가 인하대 출신의 신인 최준혁을 “한국 배구의 미래”라고 언급하며 주목한 사실은 이러한 문제를 방증하는 사례였다. 이는 단순히 세대교체 실패의 문제가 아니라 V-리그가 국대급 자원을 충분히 길러내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와, 대표팀이 매년 같은 선수들만 차출하는 관행이 맞물린 결과였다.

결국 2023년부터 대표팀은 인위적으로라도 본격적으로 세대교체에 착수했다. 한선수, 신영석, 곽승석, 최민호 등 베테랑들이 빠지고 20대 선수들이 주축이 되었으며, 30대는 김규민, 오재성, 조재영 세 명뿐이었다. 대표팀은 장기적으로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출전권 확보를 목표로 내걸고 새 판을 짜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실의 벽은 높았다. 2023년 7월 대만에서 열린 AVC 남자 챌린저 대회 준결승에서 한국은 세계 랭킹 77위의 바레인에 0-3으로 완패했다. 불과 1년 전 AVC컵 3위 결정전에서도 같은 상대에게 무릎을 꿇었던 터라 충격은 더욱 컸다. 당시 한국은 세계 랭킹 29위였음에도 두 차례 연속 완패를 당했다. 다만 3·4위전에서 베트남을 3-1로 꺾으며 체면을 세우는 데 그쳤다.

여기에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랭킹 73위 인도에 이어 파키스탄에게도 셧아웃을 당하며 61년 만에 메달을 따내지 못하는 수모를 겪었다. 이는 한국 남자배구가 더 이상 아시아 정상권은커녕 중위권과의 경쟁에서도 버거운 위치에 있음을 만천하에 드러낸 사건이었다. 단순히 세대교체의 지연만이 아니라, 아포짓 스파이커 자원의 양적-질적 한계, 미들블로커 전술 수행력 부족, 그리고 템포와 속도를 활용하지 못하는 경기 운영 등 구조적 문제까지 겹친 결과였다. 결국 한국 남자배구가 직면한 위기는 노쇠화라는 단일 현상을 넘어, 세대교체와 인식 전환이라는 근본적인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만 극복할 수 있는 문제로 드러났다.

4.3. 아시아권에서도 추락한 경쟁력

한국 남자배구는 최근 몇 년간 아시아 무대에서조차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2년 AVC컵 3위 결정전에서 자국 선수 중심으로 구성된 세계 랭킹 70위 바레인에 0-3으로 완패한 데 이어, 2023년 7월 대만에서 열린 AVC 남자 챌린저 대회 준결승에서도 다시 바레인에 0-3으로 패하며 1년도 채 안 되어 같은 상대에게 연거푸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당시 한국은 세계 랭킹 29위였지만 77위 바레인에게 연이어 완패하면서 랭킹과 실력의 괴리가 그대로 드러났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랭킹 73위 인도에 이어 파키스탄에게도 셧아웃을 당하며 61년 만에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이는 단순한 성적 부진을 넘어 한국 남자배구가 아시아 무대에서도 하위권으로 전락했음을 보여준 사건으로, 다른 종목 팬들조차 “저렇게 되지 말자”는 반면교사로 삼을 정도였다. 2023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도 한국은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을 벌이며 고전했고, 주전 다수를 제외한 중국 2진과의 경기에서도 1-3으로 패해 8강에 그치며 또 한번의 국제대회 참사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에도 반등은 쉽지 않았다. 항저우 대회에서 한국을 꺾었던 파키스탄 대표팀을 이끌던 브라질 국적의 이사나예 라미레스를 감독으로 선임하고 출전한 2024년 AVC 챌린지컵에서도 한국은 다시 파키스탄에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이로써 FIVB 챌린저컵과 VNL 진출 기회마저 잃었다.

국제무대 성적 부진만이 아니라 구조적 한계도 문제로 지적된다. V-리그 구단 단장들은 국내 선수 육성과 지도자 양성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신인 드래프트 상위 지명자가 곧바로 주전으로 뛰기 어려운 환경, 일부 스타 선수에게 연봉이 과도하게 몰리는 불균형, 그리고 체계적 훈련 부족 등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일본처럼 초·중·고 단계에서 일관된 커리큘럼을 통해 기본기를 체계적으로 다지는 시스템이 부재한 것도 큰 약점이다.

리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V-리그에 아시아 쿼터제가 도입되었지만, 아직 효과는 제한적이다. 일부에서는 외국인 선수 수를 확대해 체급과 파워에서 약한 국내 선수들의 단점을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로 대학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한국 배구가 아시아 내에서는 보통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세계적으로는 낮은 수준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강점으로는 기본기가 꼽힌 반면, 블로킹과 신장 열세는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은 2025년 VNL에 참가하지 못한 아시아 국가들이 참가하는 AVC 네이션스컵에서 4위에 머물렀다. 일본, 중국, 이란이 VNL에 참가하니 아시아 7위인 셈. 이 대회에 불참한 인도나 우리보다 못한 성적을 낸 오세아니아, 동남아 국가들에게도 무조건 승리를 장담할 상황은 아니다. 세계 랭킹도 29위에서 26위로 소폭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올림픽 본선이나 VNL 진출을 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세계선수권이 32개국으로 확대되면서 세계 무대를 경험할 기회를 잡은 것은 그나마 다행인 부분이다.

5. 주요 대회별 기록

5.1. 올림픽

  • 1964년 - 10위
  • 1968년 - 본선 진출 실패
  • 1972년 - 7위
  • 1976년 - 6위
  • 1980년 - 불참
  • 1984년 - 5위
  • 1988년 - 11위
  • 1992년 - 9위
  • 1996년 - 9위
  • 2000년 - 9위
  • 2004년 - 본선 진출 실패
  • 2008년 - 본선 진출 실패
  • 2012년 - 본선 진출 실패
  • 2016년 - 본선 진출 실패
  • 2020년 - 본선 진출 실패
  • 2024년 - 본선 진출 실패

5.2.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 1949년 - 본선 진출 실패
  • 1952년 - 본선 진출 실패
  • 1956년 - 18위
  • 1960년 - 본선 진출 실패
  • 1962년 - 본선 진출 실패
  • 1966년 - 본선 진출 실패
  • 1970년 - 출전 철회
  • 1974년 - 13위
  • 1978년 - 4위
  • 1986년 - 본선 진출 실패
  • 1990년 - 14위
  • 1994년 - 8위
  • 1998년 - 13위
  • 2002년 - 출전 철회
  • 2006년 - 17위
  • 2010년 - 본선 진출 실패
  • 2014년 - 17위
  • 2018년 - 본선 진출 실패
  • 2022년 - 본선 진출 실패
  • 2025년 - 본선 진출

5.3. FIVB 월드컵 (폐지)

  • 1965년 - 출전 자격 획득 실패
  • 1969년 - 출전 자격 획득 실패
  • 1977년 - 7위
  • 1981년 - 출전 자격 획득 실패
  • 1985년 - 7위
  • 1989년 - 7위
  • 1991년 - 5위
  • 1995년 - 8위
  • 1999년 - 7위
  • 2003년 - 6위
  • 2007년 - 11위
  • 2011년 - 출전 자격 획득 실패
  • 2015년 - 출전 자격 획득 실패
  • 2019년 - 출전 자격 획득 실패

5.4. 월드 리그 (폐지)

  • 1990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1991년 - 9위
  • 1992년 - 8위
  • 1993년 - 10위
  • 1994년 - 9위
  • 1995년 - 6위
  • 1996년 - 불참
  • 1997년 - 11위
  • 1998년 - 11위
  • 1999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0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1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2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3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4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5년 - 초청 대상 국가 아님
  • 2006년 - 10위
  • 2007년 - 9위
  • 2008년 - 13위
  • 2009년 - 14위
  • 2010년 - 16위
  • 2011년 - 13위
  • 2012년 - 14위
  • 2013년 - 15위
  • 2014년 - 19위
  • 2015년 - 18위
  • 2016년 - 23위

5.5. FIVB 남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

  • 2018년 - 16위[5]
  • 2019년 - 강등으로 인한 출전 비자격
  • 2020년 -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취소
  • 2021년 - 강등으로 인한 출전 비자격
  • 2022년 - 출전 자격 실패
  • 2023년 - 출전 자격 실패
  • 2024년 - 출전 자격 실패
  • 2025년 - 출전 자격 실패

5.6. FIVB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폐지)

  • 1993년 - 6위
  • 1997년 - 출전 자격 실패
  • 2001년 - 4위
  • 2005년 - 출전 자격 실패
  • 2009년 - 출전 자격 실패
  • 2013년 - 출전 자격 실패
  • 2017년 - 출전 자격 실패
  • 2021년 - 출전 자격 실패

5.7. 아시안컵

  • 2008년 - 2위
  • 2010년 - 6위
  • 2012년 - 5위
  • 2014년 - 1위
  • 2016년 - 8위
  • 2018년 - 8위
  • 2020년 -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취소
  • 2022년 - 4위

5.8.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75년 - 2위
  • 1979년 - 2위
  • 1983년 - 3위
  • 1987년 - 3위
  • 1989년 - 1위
  • 1991년 - 2위
  • 1993년 - 1위
  • 1995년 - 3위
  • 1997년 - 5위
  • 1999년 - 3위
  • 2001년 - 1위
  • 2003년 - 1위
  • 2005년 - 3위
  • 2007년 - 3위
  • 2009년 - 3위
  • 2011년 - 3위
  • 2013년 - 2위
  • 2015년 - 7위
  • 2017년 - 3위
  • 2019년 - 4위
  • 2021년 - 8위[6]
  • 2023년 - 5위

5.9. 아시안 게임

  • 1958년 - 불참
  • 1962년 - 5위
  • 1966년 - 2위
  • 1970년 - 2위
  • 1974년 - 2위
  • 1978년 - 1위
  • 1982년 - 3위
  • 1986년 - 2위
  • 1990년 - 2위
  • 1994년 - 3위
  • 1998년 - 2위
  • 2002년 - 1위
  • 2006년 - 1위
  • 2010년 - 3위
  • 2014년 - 3위
  • 2018년 - 2위
  • 2022년 - 7위

5.10. AVC 네이션스컵

  • 2018년 - 불참
  • 2022년 - 불참
  • 2023년 - 3위
  • 2024년 - 3위
  • 2025년 - 4위

5.11. 동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98년 - 2위
  • 2000년 - 2위
  • 2002년 - 2위
  • 2004년 - 2위
  • 2006년 - 3위
  • 2008년 - 1위
  • 2010년 - 1위
  • 2013년 - 2위
  • 2015년 - 3위
  • 2017년 - 3위
  • 2019년 - 4위

6. 둘러보기

대한민국 선수단 / 4대 구기 종목
파일:Korea Basketball National Team.png 파일:image_1527657991585.pn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농구 대표팀
남자 | 여자
배구 대표팀
남자 | 여자
야구 대표팀
남자 | 여자
축구 대표팀
남자 | 여자

[1] 원소속 한국전력[2] 원소속 대한항공[3] 챌린저컵 출전권은 대륙별 세계 랭킹에 따라 부여되기 때문에 국내 개최가 아니었다면 우리나라가 출전할 기회조차 없었다.[4] VNL 체계 개편에 따라 기존의 AVC 챌린지컵을 대체하여 열리는 대회다. VNL에 참가하는 일본, 이란, 중국은 참가하지 않는다.[5] 강등되어서 2022 첼린지컵에 참여[6] 코로나19로 인하여 상무 배구단이 대표로 참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