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러두기
한국에서 거의 안 쓰는 일본어를 적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어의 외래어/일본어 문서와 겹치는 내용이 너무 많아진다.2. 영어 출신
어휘 | 유래 | 비고 |
アタック(아탓쿠) | attack | |
アテンド(아텐도) | attend | アテンドしてもらう 식으로 '도움 받는다'는 의미로 적지않게 쓰인다. |
アニメーション(아니메숀) | animation | アニメ(아니메)로 축약해 쓴다. |
アプリケーション(아푸리케숀) | application | アプリ(아푸리)로 줄여 쓴다. |
アポ(아포) | appointment | 줄임말로 쓰이며, 비지니스 관계 등에서 미리 약속을 잡을때 흔히 쓰인다. |
エクストリーム(에쿠스토리무) | Extreme | |
グラス(구라스)(유리) | glass | ガラス(가라스)와 어감이 다르다. |
コーラ(코라)(콜라) | cola | |
コンクリート | concrete | コンクリ(콘쿠리, 공구리)로 줄여 쓰였다. 이 줄임말이 한국 현장용어로 쓰인다. |
コンパス(콘파스)(나침반) | compass | 태풍 이름으로 등록되어 다른 나라에서도 쓰인다. |
シボレー(시보레) | Chevrolet | |
スマートフォン(스마토훤) | smartphone | スマホ(스마호)으로 줄여 부른다. |
デジタル・カメラ(데지타루카메라) | digital camera | デジカメ(데지카메)로 줄여 부른다. |
テナント(테난토) | tenant | |
トラブル(토라부루) | trouble | |
トラベル(토라베루) | travel | |
トロッコ(토롯코, 광차) | truck | 과거 |
ハバハバ(하바하바) | hubba-hubba | 연합국 점령기에 미군을 통해 들어온 '빨리빨리'를 뜻하는 어휘, 상세 설명 항목 참조 |
ハンデ(한데) | handicap | |
パソコン(파소콘) | personal computer의 변형 | 우리나라에서도 한때 '퍼스컴'이라는 말을 썼다. |
ビルディング(비루딘구) | building | ビル(비루) 맥주를 뜻하는 ビール(비ー루)와 헷갈릴 수 있으니 주의 |
フライ(후라이) | fry | 같은 튀김요리지만 덴뿌라와 별개 음식이다. 전분으로 튀김옷을 입힌 덴뿌라와 달리 후라이는 빵가루를 입혀 까끌까끌한 튀김을 뜻한다. 분식집 튀김과 일반적인 새우튀김으로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
ホットコーヒー(홋토코히) | hot coffee | |
ラムネ(라무네) | Lemonade |
3. 한국어 출신
주로 한국 요리와 관련된 표현이 많다. 고유명사가 아닌 속어의 경우, 한국어에서 유래했음이 명백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설에 불과한 것도 있다.어휘 | 유래 | 비고 |
カルビ(카루비) | 갈비 | |
キムチ(키무치) | 김치 | '김치파동'으로 한국에 알려졌다. |
ギョプサル(굣푸사루) | 삼겹살 | 어처구니없게도 쌈의 의미로 쓰고 있다. |
キンパ (킴파) | 김밥 | |
[ruby(靴,ruby=くつ)](쿠츠) | 구두 | 일본에서 한국어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지만, 막상 한국어 구두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일본어 유래라고 보고 있다. |
クッパ(쿳파) | 국밥 | |
[ruby(車,ruby=くるま)](쿠루마) | 구름마 / 구르마 | '걸음마'와 같은 원리로 '구르는 것'을 한국어 고어로 '구르마'로 했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チヂミ(치지미) | 지짐(<= 찌짐) | 복수표준어다. |
チャリ (차리) / チャリンコ(차린코) | 자전거 | 차린코는 일본어로 자전거를 가리키는 속어인데, 일본어로 자전거 벨이 울리는 소리를 가리키는 차리차리(ちゃりちゃり)에서 왔다는 설 등이 있으며 이 중 한국어 유래설은 '자전거'(チャジョンゴ, 차존고)가 일본에 퍼져 차린코로 변화했고 다시 줄어서 차리가 되었다는 설이다. |
チャンジャ(찬자) | [ruby(腸子,ruby=창자)] | 창난젓(명태 창자로 만든 젓갈)을 가리키는 말로, 창난젓의 발음이 불편해 무역업자가 발음이 편한 '창자'로 소개해 들여왔다고 전한다. 정작 한국어 어휘인 창자도 한자어 장자가 변형된 귀화어다. |
チョンガー(촌가) | 총각 |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고, 60대 이상의 일부 사람들만 간혹 쓰는 어휘이다. |
ナムル(나무루) | 나물 | 굣푸사루와 비슷하게 무침류 전반으로 의미 변화 중이다. |
パッチ(팟치) | 바지 | 바지라는 말은 한국어에서 17세기부터 있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에도시대부터 간사이 지방에서 긴 바지를 'パッチ'로 불렀다. 만약 한일의 두 어휘가 별개의 단어가 아니었다면 16세기 말의 임진왜란 시기에 전해졌을 것인데 어느 쪽에서 어느쪽으로 정해졌는지는 확실치 않다. 지금 일본어의 '바지'는 프랑스어의 'jupon'에서 온 'ズボン'이 일반적으로 쓰이며, 'パッチ'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ビビンバ/ビビンパ(비빈바/비빈파) | 비빔밥 | |
[ruby(明太,ruby=めんたい)](멘타이) | [ruby(明太,ruby=명태)] | 일본어에서 明(밝을 명)을 めん(멘)으로 읽는 것은 멘타이, 멘타이코(명란젓)이 유일하며, 따라서 이것이 외래어임이 확실하다. 그 가운데서도 한국어 명태(明太)에서 왔음이 주류 학설이고 이는 명란젓 등의 음식의 전래 경로와 일치한다. 그 밖에 중국어설, 러시아어설 등이 있으나 소수 학설이다. |
[ruby(明太子,ruby=めんたいこ)] (멘타이코) | 한국어 + 일본어 혼성어 | |
ユッケ(윳케) | 육회 |
4. 프랑스어 출신
어휘 | 유래 | 비고 |
グルメ(구루메) | gourmet | |
シュシュ(슈슈) | chouchou | 곱창밴드를 뜻한다. |
ズボン(즈봉) | jupon | 바지를 뜻한다. |
5. 포르투갈어 출신
어휘 | 유래 | 비고 |
オランダ(오란다) | Holanda | 네덜란드) |
イギリス(이기리스) | 형용사 Inglês | 잉글랜드(영국), 왜 ㅇ 발음이 없나 의문을 가지겠지만 일본어에서 가행에 비음이 강하게 섞이는 발음이 났었다. 그래서 가가 현재 발음과 다르게 응아를 빠르게 내는 소리였다. 지금은 일본에서 비음을 잘 내지 않게 변하여 이기리스가 되었으나 실제 들어올 당시 발음으로는 '잉이리스'였다. 그럼 포어 잉글레스하고 비슷하다. |
かるた(카루타) | Carta | |
ギリシャ(기리샤) | Grécia | 그리스를 가리킨다. |
[ruby(金平糖,ruby=こんぺいとう)](콘페이토) | confeito | 별사탕 |
てんぷら(덴뿌라) | tempero(양념) 혹은 tempora(금육일) | |
トルコ(토루코) | 형용사 Turco | 터키(튀르키예) |
パン(판) | pão | |
ボタン(보탄) | botão | |
ヨーロッパ[1](요롯파[2])(유럽) | Europa |
6. 독일어 출신
어휘 | 유래 | 비고 | ||
アレルギー(아레루기) | Allergie | エネルギー(에네루기) | Energie | 영어 energy(에너지) |
カプセル(카푸세루) | Kapsel | 캡슐 | ||
カルテ(카르테) | karte | |||
ガーゼ(가제-붕대) | Gaze | ギプス(기푸스) | Gips | 과거에 기부스로 |
バイト(바이토) | arbeit |
7. 네덜란드어 출신
어휘 | 유래 | 비고 |
ガラス(가라스) | glas | 유리 |
[ruby(独逸,ruby=ドイツ)](도이츠) | Duits | 한국 한자음으로 독일 |
ビール(비루) | bier | 맥주 |
8. 중국어 출신
간혹 중국어 한어병음에서 무성 무기 치경 파찰음(\[t͡s˭\])인 z(ツァ행에 해당)를 ザ행으로 옮기기도 하는데, 철자에 이끌린 표기다. 사실상 표준 로마자 표기법인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에서 z가 ジ를 제외한 ザ행이기 때문이다.어휘 | 유래 | 비고 |
[ruby(騒霊,ruby=そうれい)](소레이) | '폴터가이스트'의 중국 번역어인 '骚灵'(sāolíng) | 한국 한자음으로 소령, 일본에서 '폴터가이스트'의 역어로 쓰이기도 한다. |
[ruby(炒飯,ruby=チャーハン)](차-한) | 炒饭(chǎofàn) | 볶음밥 |
[ruby(電腦,ruby=でんのう)](덴노) | '컴퓨터'의 중국 번역어인 '电脑'(diànnǎo) | 한국 한자음으로 전뇌, '사이버'나 '디지털'와 비슷한 뉘앙스의 표현이다. |
面子メンツ(멘츠) | 面子(miànzi, 몐쯔) | 체면 |
이외에 일본 한자음 중 당음(唐音)으로 분류되는 [ruby(上海,ruby=シャンハイ)]、[ruby(南京,ruby=ナンキン)]、[ruby(北京,ruby=ペキン)]、[ruby(香港,ruby=ホンコン)] 같은 중국 지명 등도 포함한다.
9. 기타 언어 출신
어휘 | 유래 | 비고 |
オナニー | 히브리 인명 오난, 구약성경 오난 이야기 | '자위행위'를 뜻한다. |
[ruby(屈狸,ruby=クズリ)]、[ruby(貂熊,ruby=クズリ)](쿠즈리) | 니브흐어 кʼузр̌(kʼuzř) | 울버린 |
シャボン(샤본) | 스페인어 xabón | 비누 |
じゃが[ruby(芋,ruby=いも)](자가이모) | ジャガタラ(Djakarta, Jayakarta) + [ruby(芋,ruby=いも)] | 감자 |
ノルマ(노르마) | 러시아어 Норма() | 할당량, 최소 목표 |